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장애수용태도와의 관계

        강석순 ( Seok Soon Gang ),김자경 ( Ja Kyoung Kim ),강혜진 ( Hye Jin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본 연구는 통합학급의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장애수용태도의 관계가 어떠한 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시의 통합학급에 소속되어있는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484명을 대상으로 학급풍토 질문지와 장애수용태도 질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 유형에 따라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장애수용태도 총점과 하위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장애수용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자율적 풍토와 친교적 풍토는 장애수용태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통제적 풍토와 방임적 풍토는 장애수용태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통합학급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장애수용태도에 대한 학급풍토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제적 풍토와 방임적 풍토는 모든 장애수용태도 영역에서 유의미하지 않아 제외되었고, 장애수용태도 총점, 통합태도, 통합행동의도 영역에서는 자율적 풍토와 친교적 풍토가 유의미하게 포함되었고, 통합인식 영역에는 친교적 풍토만이 유의미하게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급풍토는 장애수용태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며, 통합학급의 일반아동들은 학급풍토가 자율적이거나 친교적일 때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제적이거나 방임적일 때는 장애수용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 통합학급 교사는 학급분위기를 자유롭고 친교적인 분위기로 조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climate perceived by general children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inclusion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fourth to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with special classes which provide an inclusion education in P-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in the total score and all sub-test of the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in the inclusion classroom. Seco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miliar climate or the autonomous climate and the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in the inclusion classroom.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olled and laissez-faire climate and the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in the inclusion classroom. Third,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d on the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in the inclusion classroom were the familiar climate and the autonomous climate. According to this results of the study,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main members creating the class climate need to make the inclusion classrooms`` climate familiar and autonomous. This suggests the class climate made by teachers and students together affects an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ies.

      • KCI등재

        단일학급 공립유치원에서 통합학급을 운영하는유아교사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라정미,이병인,김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operate the inclusive class in a single class public kindergarten. For this purpose,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purpose were interviewed according to the interview questionnaires,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 two themes, seven sub-topics and 74 concepts were derived. The topics that have been derived include the difficulties of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and the needs to support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First, it is found that the difficulties of kindergarten facilities and environment, the difficulties of instructing special education children, the difficulties in inclusive class related duties, and the lack of specialti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when the kindergarten teachers operate inclusive class in single class public kindergarten. Second, the support requirements for the operation of a single class public kindergarten inclusive class include support for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public kindergartens for inclusive education, support for improving the specialties of teachers needed for inclusiv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inclusive class in special situation by collecting various opinions about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operate inclusive class in single class public kindergarten. 본 연구는 단일학급 공립유치원에서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유아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를 질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부합한 유아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 하였고, 수집된 면담자료는 전사한 후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개의 주제와 7개의 하위주제 및 7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로는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어려움,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지원 요구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이 단일학급 공립유치원에서 통합학급 운영할 때는 유치원 시설 및 환경에 따른 어려움, 특수교육대상유아 지도의 어려움, 통합학급 관련 업무과중의 어려움, 통합교육 관련 전문성 부족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일학급 공립유치원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지원요구로는 통합교육을 위한 공립유치원의 시설 및 환경개선에 대한 지원, 통합교육에 필요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 내실 있는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학급 공립유치원에서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유아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효율적인 통합학급을 위한 지원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교수 경험 분석

        정대영(Jung, Dae-young),이지은(Lee, Ji-eu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교수 경험을 바탕으로, 협력 교수 실행에서 나타난 중심현상과 이에 영향을 끼치는 관련 변인을 알아보고,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교수 경험에 대한 상황모형과 협력 교수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Strauss와 Corbin(1998, 2014)의 근거이론에 입각한 질적연구 방법으로 협력 교수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네 명, 통합학급 교사 네 명의 면담과 연구 참여자의 반성적 일지와 수업성찰 일지, 연구자의 면담 일지와 연구 일지, 공개수업 참관 및 세미나 참석을 통해 자료 수집, 분석 및 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결과 특수교사는 151개의 개념, 59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범주로 도출되었고 통합학급 교사의 경우 95개의 개념, 38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교수에 대한 중심현상은 공통적으로 ‘협력 교수 시행착오’였다. 이에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조건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에게 각각 나타났으며 ‘협력 교수 시행착오’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수교사는 ‘학부모 연수’, ‘교사 연수’, ‘일반 학생 장애이해교육’, ‘협력 교수 계획’, ‘협력 교수 협의’, ‘협력교수 실시 전략’, ‘교사 관계 기술’이 도출되었고 통합학급 교사는 ‘협력 교수 협의방법’, ‘협력 교수 계획 및 실시 전략’, ‘교사관계 기술’이 그 전략이 나타났다. 이러한 전략을 조정하는 중재조건들이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조건이 ‘교사 관계’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 결과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협력교수 전문가로 성장하기’가 도출되었다. 협력 교수의 이론적 모형이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성공적인 협력 교수를 시행착오 줄이기’에 대한 상황모형이 개인차원, 기관차원, 사회차원으로 나타났다. 개인차원으로는 특수교사 요인, 통합학급 교사 요인, 학생 요인, 학부모 인식에 영향을 받으며 기관차원으로는 학교 업무, 연수지원, 학교장 태도에 영향을 받으며 사회차원으로는 통합교육 중요성 인식과 행정적 제도적 지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협력 교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특수교사, 통합학급 교사가 서로 신뢰하는 관계로 형성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해 기관과 사회적 차원에서 다양한 전략이 촉매제 역할을 하며 갈등을 극복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수교사가 주도적으로 움직일 때 통합학급 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였고 일반 학생들의 장애인식이 개선되어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도가 커지고 학부모, 학교장의 인식이 변화여 협력 교수가 활성화 되었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 of co-teaching between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Following issues in co-teaching were studied in order to identify the central phenomena and their relevant factors involved in co-teaching to fomulate conditional matrix of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co-teaching and strategy to promote co-teaching in field. Method: This research carried out the study participants’ reflective diaries and class reflection diaries, researcher interview diaries and research diaries, open class visits and seminar attendance.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special teachers and four general teachers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e interviews were designed and conduct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 (1998, 2014). Collected data were simultaneously analys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aturation. A theory was crea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process of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categorizing and organizing concepts, and formulation of conditional matrix. Result: As a result of open coding, 151 concepts, 59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special teachers. In the case of general teachers, 95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followings ar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and conditions affecting co-teaching. The central phenomenon of cooperative teaching between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was ‘Trial and Error of Co-teaching’.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using various strategies, both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Growth as a Co-teaching Specialist’ were deriv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tegorized and structured co-teaching experience by analyzing teachers’ experie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where co-teaching is poor, even though co-teaching is ess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tegrated education. Variou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ere highlighted based on empirically observed difficulties. In particular, various solution strategies presented practical and specific support measures.

      • KCI등재

        통합교육의 선호요인, 통합교육 장면 및 특수학급 효율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권선미 ( Sun Mi Koun ),정용석 ( Yong Seok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3

        통합교육을 주장하는 관점은 매우 많은 갈래에서 비롯되었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연구에서 주장하는 다양한 이유나 요인들이 오늘날 한국의 특수교육을 통합교육으로 유도하였다. 이러한 가치 있는 연구에서 주장한 요인들이 특수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 선호요인으로서는 어떤 모습을 가지는가? 통합교육이 실천되는 교육현장의 관점에서 한국의 통합교육을 선호하는 요인에 대한 정보를 밝히는 것이 첫 번째 연구문제이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통합교육 장면은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통합교육 장면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적 관점에서 통합교육의 주 장면인 특수학급의 효율성을 장애영역 및 교육내용별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설문지를 통한 교사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접근하였으며, 특수학교 교사, 특수학급 교사, 일반학급 교사등의 교사집단별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첫째, 통합교육에 기여하는 요인들은 한국의 집합주의 문화, 법과권리, 혜택, 접근성, 차별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교육을 선택한 이유가 교과나 사회적기능 영역에서의 혜택이나 차별의 감소 등의 요인보다는 집합주의 한국문화 요인과 법과 권리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통합교육 장면인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에서, 사회적 적응기능과 교과 영역에서는 특수학급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고, 차별과 관련된 영역에서는 일반학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특수학급의 효율성과 관련해서, 특수학급은 정신지체,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영역이 지체장애 영역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세 가지 연구문제의 상당부분에서 재직형태별 교사집단에 따라 반응점수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facto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inclusive settings, and the efficiency of partial special class. We used questionnaire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and we analysed 324 teacher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received. Through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tions on facto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re different to the teachers’ groups such as special school, partial special class, and regular class. Second, there exist differences in teachers’ recognitions on partial special class and regular class as inclusive settings. Third, differences are teachers’ recognitions on the partial special class, according to disability fields, and to the teacher groups. And there exist differences in teachers’ recognitions on the efficiency of the content realm such as curriculum, discrimination, and benefit, to the teachers groups. Throug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explore parents’ recognition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lated inclusive education. Second, continuously we need to improve curriculum and environment to meet uniquenes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초등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학생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엄미애,방명애 한국통합교육학회 2011 통합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교수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간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었다. 우리나라 10개 시도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총 35개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통합학급 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편의군집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학생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Gibson과 Dembo(1984)의 척도에 기초하여 김주혜(2002)가 우리나라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정한 18문항을 사용하였다.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을 측정하기 위하여 경민주(2007)의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회귀분석과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담당경력과 특수교사와의 협의빈도가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었다. 둘째, 통합학급 담당경력이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에 영향을 미치었다. 그러나, 교수적 수정의 각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변인은 각각 달랐다. 셋째,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 담당 경력이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교수적 수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일반교사가 자기효능감과 교수적 수정에 대한 준비를 갖춘 후에 통합학급을 담당하기 보다는 특수교사와 학교 관리자의 지원을 받으며 통합학급애서 직접 교수하는 경험을 가지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variables influencing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instructional adaptation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One hundred ninety fiv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who were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classes responded to the survey composed of three sections: background information,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adaptations. Multiple regression and Pearson product correlation was implemented for data analyse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Teaching experiences in integrated classes and frequencies of collabo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fluenced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2) Teaching experiences in integrated classes influenced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3)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structional adaptation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요건

        박상민,이대식 한국통합교육학회 2010 통합교육연구 Vol.5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 배정 시 고려되는 요인을 알아보고,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요건에 대해 초등학교의 관리자, 통합학급 담임교사, 학부모 집단이 각각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설문자료 분석 결과, 첫째, 이상적인 통합학급 담임교사 요건으로 학교 관리자는 교육경력을 가장 우선시한 반면, 통합학급 담임교사와 장애학생 학부모는 학부모와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 유지를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지적했다. 둘째, 통합학급 담임교사를 배정할 때 학교 관리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한 요인은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와 태도, 교사의 열정과 통합교육 경력, 교사의 희망 등이었다. 셋째, 통합학급 담임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 관리자와 학부모 집단이 비슷했지만, 통합학급 담임교사 자신들의 만족도는 두 집단보다 낮았다. 넷째, 학교 관리자와 학부모들의 통합교사 역할에 대한 만족도는 통합교사들이 통합학급 배정을 자원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qualifications that school administrators consider when they assigne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parents, classroom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bout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roles.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school administrators indicated teaching experienc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le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pick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Second, the school administrators considered importantly teachers'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achers' passion and inclusive teaching experience when they assigne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ir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classroom teachers about their roles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the parents and the school administrators. Fourth, the degrees of satisfaction of the administrators and the parents on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roles were not different by whether the teachers volunteered their roles or not.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강윤아(Kang Yoon Ah),신현기(Shin Hyun Ki)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특수교육 비전공자인 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통합학급을 운영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학급 운영 과정에서 부딪히는 한계의 원인을 탐색함으로써 향후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통합학급 교사로서 자리매김하는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통합학급 교사로서 자리매김하는 과정 속에서 직면하는 경험은 무엇인가?’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문제의 결과,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무관심’,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애학생과 만남에 따른 막막함’, ‘일반학급 교사가 아닌 통합학급 교사가 되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면서 통합학급 담임교사로서 점차 자리매김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문제의 결과, 1) ‘통합학급 운영 준비가 된 담임교사에 비교한 통합학급 운영 준비 과정에 있는 담임교사로서의 경험’, 2) ‘특수교육 제공 필요성에 비교한 통합교육 제공의 필요성 이해 과정에서의 경험’, 3) ‘특수교육대상 학생 학부모의 특수교육 담임교사 인식에 비교한 통합학급 담임교사 인식 이해에서의 경험’, 4)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독립적 교육 수행에 비교한 협력적 교육 수행의 필요성 이해 과정에서의 경험’으로 유목화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가 통합학급 운영 경험 속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극복하여 원활한 통합교육을 구현해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should be considered for smooth inclusive education, by exploring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id not major in special education, through the lif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manages an inclusive class. I ask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inclusive class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experiences fac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inclusive class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the process of growth as an inclusive class teacher through the researcher s feelings. There was a gradual change to ‘indifference to the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es’ to ‘discomfort due to non-prepared meetings’ to ‘the responsibility of an inclusive class teacher instead of a teacher’. Second, the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 ‘In contrast with teacher who is prepared to manage an inclusive classroom, experiences as a teacher who is in preparation for an inclusive classroom teacher’, 2) ‘In contrast with need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experiences in understanding the need to provide inclusive education’, 3) ‘In contrast with the perception of special classroom homeroom teacher, experiences in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of inclusive classroom homeroom teacher’, 4) ‘In contrast with independent education of special classroom teacher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 experiences in understanding the need for co-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ed way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experiences of managing inclusive classrooms and to realize smooth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허영석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혁신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간의 갈등 속에 드러난 갈등 양상과 갈등 구조를 파악하 기 위해 장애학생 2명과 일반학생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 에 초점을 맞추어 심층면담, 참여관찰, 연구자 메모를 통해 갈등 경험을 수집하여 질적 연구 분석 프로그램 인 NVivo 10을 통해 입력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중학교 통합학급 학생간의 갈등 양상을 살펴보면, 통합학급 학생간 주요 갈등 양상으로는 첫째, 일 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편견과 차별에 의한 갈등 양상인 나는 너희랑 같아 VS 넌 우리와 달라, 둘째, 장애학생의 자기중심적 태도와 일반학생의 낮은 공감 수준으로 인한 갈등 양상인 나를 위한 학급 VS 우리 들의 학급, 셋째, 일반학생의 만만한 행동과 장애학생의 특이한 행동에 의한 갈등 양상, 넷째, 소수의 약자 로서 장애학생이 겪는 침묵과 인내의 고통과 일반학생의 도움과 배려의 의무에서 오는 갈등 양상, 다섯째, 장애학생을 사이에 두고 벌어지는 일반학생간 갈등 양상인 막 대하지마 VS 뭐 참견 하지마, 마지막으로 갈 등을 통해 공감수준이 높아지고 통합학급의 가치를 발견해 가는 긍정적 갈등 양상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겪는 갈등의 구조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통합 학급 학생의 갈등 촉발 요인으로는 신체적, 언어적, 행동적, 심리적, 인지적 요인을 토대로 표면구조와 심층 심리구조로 갈등 층위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통합학급 학생의 갈등 관계도에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이질성에서 오는 반복적 대립과 갈등의 악순환으로 인한 중심 갈등이 나타났다. 더불어 갈등 당사자인 일 반학생과 장애학생을 옹호하는 일반학생간의 파생적 갈등이 나타났으며, 교사의 개입에 의한 영향도 중요 한 변인으로 드러났다. 또한 통합학급의 갈등 참여 형태로는 방화군(放火群), 소화군(消火群), 기자군(記者 群), 행인군(行人群)으로 갈등에 참여하여 통합학급의 갈등 조정과 재통합의 역할을 수행하여 갈등 해결능 력을 습득하고 통합학급의 안정성과 조화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structures of conflict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mmon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with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four common students as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collected data on conflict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researcher's memos to examine the patterns and structures of various conflicts that the subjects experienced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Collected data were entered and analyzed with a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program called NVivo 10. The data entered in the program were encoded through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conceptualized as nodes in the analysis system, and categorized into the upper and lower category of similar concepts. First,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patterns of conflicts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was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six major patterns of conflicts between them: the first one was “I am like you” vs. “You are different from us,” a conflict pattern derived from common students'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again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econd one was “the class for me” vs. “Our class,” a conflict pattern caused by the self-centered attitud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low sympathy level of common students; the third conflict pattern stemmed from the soft behavior of common students and the unique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ourth conflict pattern was caused by the suffering of silence and patience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the weak minority and the duties of assistance and consideration among common students; the fifth one was “Don't treat them badly” vs. “Don't meddle,” a conflict pattern ov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mong common students; and the final one was a positive conflict pattern to raise the sympathy level and discover the values of inclusive classes through conflicts. The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structures of conflict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mmon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was examined. The factors to trigger conflicts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in inclusive classes were physical, verbal,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ones in a conflict hierarchy of superficial and deep psychological structure. The diagram of conflict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in inclusive classes highlighted central conflicts caused by repetitive confrontations due to heterogeneity between them and the vicious cycle of conflicts. There were also derivative conflicts between common students that were involved in the concerned conflicts and common students that advoca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nfluence of teacher interference turned out to be an important variable. They participated in conflicts in the forms of the arson, extinction, reporter, and passerby group, acquiring the abilities of solving conflicts and making a contribution to the stability and harmony of inclusive classes by regulating conflicts and promoting reintegration in those classes.

      • KCI등재

        중등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역할에 대한 요구도 분석

        정정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eds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in the context of inclusived secondary school education, and to find out the needs of teacher roles recognized by each group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20 teachers, including 127 general teachers and 93 special teachers working in G-do,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pons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Borich needs analysis,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education requirement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orich needs of all teachers in the inclusive education situation,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results in the positive and social areas’ for the general teacher role and the ‘career education’ for the special teacher role showed high deman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of Borich for the teacher role perceived by general teachers, the role of the general teacher was ‘Co-teaching with special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special teacher was ‘Career education for admission and employment guidance’, ‘Support for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IEP)’, ‘Instructions for daily living skills for independent living’, and ‘Counseling for students and parents in special education’ showed high demand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Borich's needs for the teacher role recognized by teachers in special classes, the role of general teachers was ‘identification of family structure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diagnosis and evaluation results of affective and social domains’, ‘Curriculum reorganiz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Co-teaching with special teachers’, ‘Adjustment of schedule for special class activities’, and the role of special teachers are ‘Integrity Classroom Teacher’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with students’ and ‘coordination of timetables for special classes’ showed high demand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should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and that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between teach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an inclusive educa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역할의 요구도를 살펴보고, 통합학급 교사 집단과 특수학급 교사 각 집단에서 인식하는 교사 역할의 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G도에 근무하고 있는 통합학급 교사 127명과 특수학급 교사 93명, 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응답을 토대로 기술통계분석,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을 실시하여 교육 요구도를알아보았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교사 역할에 대한 전체 교사의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합학급교사는 ‘정의적⋅사회적 영역의 진단⋅평가 결과’ 항목이, 특수학급 교사는 ‘진학 및 취업 지도를 위한 진로교육’ 항목이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역할에 대한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합학급 교사는 ‘특수교사와의협력교수’ 항목이, 특수학급 교사는 ‘진학 및 취업 지도를 위한 진로교육’, ‘통합교육 활동 지원(IEP)’, ‘자립생활을 위한 일상생활기술지도’, ‘특수교육대상학생 및 학부모 상담’ 항목이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역할에 대한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합학급 교사는 ‘가족구조 및 사회⋅문화적 배경 파악’, ‘정의적⋅사회적 영역의 진단⋅평가결과’,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특수교사와의 협력교수’, ‘특수학급 활동 시간표 조율’ 항목이, 특수학급 교사는 ‘특수학급에서의 교수활동(IEP)’, ‘통합학급 교사와의 소통과 협의’, ‘특수학급 시간표 조율’ 항목이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 교사는 학생에 대한 이해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며, 교사간의 소통과 협의가 통합교육을 이루는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경험 및 기피요인 수준 연구

        이진일,김광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교육논총 Vol.35 No.2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experience and factors of teachers avoiding being placed in inclusive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avoiding, in-depth interviews with 6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schools under G Office of Education in Gyeonggi Province were conducted while the questionnaires of 369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analyzed to study the factors of avoiding.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llenges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face were classified into 66 terms under 21 heads in 5 categories. Second, levels of the factors of teachers avoiding being placed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recognized like that on the top level was 'Teaching and learning' followed by 'Educational guidance', 'Teacher's mental health', 'administration and finance', and 'Human relations'. Third, the level of avoiding by group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training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in every category. In the category of Teacher's mental health, it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while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inclusive classrooms in Teaching and learning category. For successful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needs for ‘the arrangement of experienced teacher in inclusive classroom’, ‘cultivating experts in inclusive class, such as head teachers and master teachers’, ‘providing with opportunities for ongoing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area of inclusive education’, ‘cooperation with regular teachers or main groups in education with their active interest for educational guid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searches on mental health of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and policy supports’ we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경험 및 기피요인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기피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면담 연구에서는 경기도 G교육지원청 소속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통합학급 담임교사 6명을 심층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기피요인 수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에서는 경기도 G교육지원청 소속 초등학교 통합학급 경험교사 369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경험은 5개 영역, 21개 범주, 66개 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요인 수준은 교수·학습 요인이 가장 높은 기피수준을 나타냈으며, 생활지도, 교사의 정신건강, 행·재정, 인간관계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기피요인 수준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특수교육 관련 연수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의 정신건강 요인에서는 성별에 따라, 교수·학습 요인에서는 통합학급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를 토대로 성공적인 통합학급 운영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경력교사의 통합학급 배치, 통합학급전문 부장교사나 수석교사 등의 통합교육 전문가 양성, 통합교육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학습기회 제공 및 실질적 혜택과 지원, 장애학생 생활지도를 위한 일반교육 주체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 통합학급 담임교사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와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