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우리 전기통신법의 법체계적인 개정방향

        吉俊圭 한국공법학회 2003 公法硏究 Vol.31 No.5

        Durch die rasante Entwicklung von Informations- und Telekommunikationstechnik wurde die Post-Industriegesellschaft im letzten Jahrhundert als eine neue Informationsgesellschaft sehr schnell gea¨ndert. Aber ist unseres Telekommunikationsrecht in dieser Gesellschaft trotz der Charakter als dem Schattengesetz nicht dazu erreicht, wa¨hrend europa¨ische und deutsche Telekommunikationsrecht entsprechend der IT-Technik angemessend gea¨ndert und systematisiert sind. Aus diesem Grund soll das unseres traditionelles Kommunikationsrecht entwickelt werden. Ferner sollen die Hauptpunkte dieses Rechts auch von Unternehmer der eletronischen Kommunikation zum Nutzerschutz umgerichtet werden. Deshald wird in dieser betrachtung der gea¨nderte Begeriff und die Systematik des Telekommunikationsrechts, die Rechtsfrage seit und von der Liberalisierung des Telekommunikationsmarkts und das deutsches Telekommunikationsrecht dargestellt und skizziert. Schließlich werden die zur heutigen IT-Technik gema¨ßigen und rechtssystematischen A¨nderungsrichtungen unseres Elektronische Kommunikationsgesetzes in kurz vorgeschlagt.

      • KCI등재

        우리 정보통신법제의 과제와 전망

        김준규(Kil, Joon Kyu)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3 No.1

        Seit 1948 wird Republik Korea aufgrund der Koreanischen Verfassung schneller entwickelt und als ein Industriestaat modernisiert. Zur Zeit ist sie als eine starker der IT-Staaten weltweit bezeichnet. Neben der Entwicklung der Technik durch die verschiedenen starken Unterstützungen des Staates im R&D Bereich wird Telekommunikations- und Informationsrecht auch zunehmend als ein Schattengesetz täglich erlasst und geändert. Aus diesem Grunde ist sie im mehren Bereichen als ein gesetzliches Vorbild der IT-Welt zugrunde liegt. Aber wird diese koreanische Informationsgesellschaft durch die Regierungswechselung 2008 ganz geändert. Zuerstens ist der Ministerium für Information und Telekommunikation (MIC) mit dem Komitee für Rundfunk (KBC) durch das Komitee für Rundfunk und Telekommunikation (BCC or KCC) geändert. Nach der Änderung des Ministerium wird zweitens zuständige Gesetze auch 3 Ministerien dividiert; Ministerium für Wissenschaft und Wirtschaft, Komitee für Rundfunk und Telekommunikation, Ministerium für Verwaltung und Sicherheit, Ministerium für Kultur und Turisten. Foglich ist es sehr ironisch, weil ein Gesetz zur 3 Ministerien zuständig ist. Aufgrund der gesetzlichen Übergangzeit sind 3 Ministerien neue Gesetze vorbereitet und haben das Vorhaben der Gesetzesänderung. Aus diesem Grunde wird in vorliegenden Arbeit diese heutige Situation und Stand des koreanischen IT-Gesetzes untersucht, die Aufgaben des unseren Informations- und Telekommunikationsrechts dargestellt und die Zukunft und Richtung der Informationsgesellschaft ausblickt.

      • KCI등재

        방송ㆍ통신분야에서의 이용자보호법제 : 독일의 법제와 시사점

        장경원(Chang Kyung Won)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10 경제규제와 법 Vol.3 No.2

        오늘날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방송과 통신분야에 있어서 이용자(수용자)는 선택의 여지가 크지 않으며, 설령 이용자가 만족하지 못하거나 불이익을 받는다 하더라도 그것에 대항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국가는 이용자인 국민이 공익산업으로서의 방송과 통신의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할 책임을 지고 있으며, 이용자보호를 위한 법제도를 정비할 의무를 진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방송과 통신 분야에 있어서 국가는 과연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어떠한 법제를 갖추어야 하는지, 또한 그것이 오늘날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지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이 분야에 관한 지금까지의 비교 연구가 다른 주요 외국과는 달리 깊이 있게 잘 다루어지지 않은 독일의 법제를 중심으로 살펴 봄으로써 방송과 통신의 의미, 그와 관련된 법제에 대한 큰 틀을 이해하고, 그 중독일의 이용자보호에 관한 법제가 우리의 법제개선에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지와 오늘날 방송과 통신의 융합환경하에서 이용자보호법제가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오늘날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이 가속화되는 현실에서 이용자보호법제의 또 하나의 과제는 융합환경하에서의 이용자보호의 영역도 역시 통합적인 규율체계를 갖추어야 하는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방송과 통신사업의 융합현상은 기술과 매체의 융합으로 인한 것이고 방송의 일방성과 통신의 쌍방성이라는 본질적 내용(속성)이 융합된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한다면, 방송ㆍ통신분야에서 경제적, 기술적 측면을 제외한 내용적 측면에서의 융합법제의 방향은 방송과 통신의 본질에 기초하여 공급(제공)자 위주가 아닌 이용자(수용자) 중심으로 분리 운용되어야 할 것이며, 이것이 융합법제하에서 이용자보호를 위한 중요한 고려요소가 되어야 할 것이다. Today, the fields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are rapidly changing and the users (consumers) have not a few choices to react, even if they are not satisfied with services and even if it is inconvineint to them. So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their peopl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as public services to be supplied appropriately and is responsible to protect users by designing the legal system. This paper shows, how th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sectors in the country should be equipped with any legislation to protect users and also shows, how it should be improved in those sectors. Especially in the fields of comparative research, unlike other major countries, german law and system in those sectors are not handled well so far. Here focusing on the german law, the meaning of broadcasting, communications and its legislation related to the larger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the users are researched.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nherent implications in the protection of users in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an cause some problems in the protection of the users. So, do the users also have to be equipped with an integrated system under the circumstances of convergence?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is related mainly to the technologies and media. It is not the matter of convergence of natures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So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on the protection of users, that th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are focused not on the side of offers, but on the side of users.

      • KCI등재

        미국 통신법 제310조의 특징 및 시사점

        이한영 법무부 2006 통상법률 Vol.- No.70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nature and implication of the Section 310 of the US Communication Act in the context of fact-finding for KORUS FTA negotiations, so that we may accurately capture the foreign ownership regulation in US telecommunications services sector. It is a general perception to date that the Section 310 is characterized by the complete market access guarantee to wire-line telecommunications segment and partial guarantee to wireless. Namely, only in the latter, US preserves 20 percent limit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no limitation on indirect. And foreign indirect investment beyond a certain quantitative benchmark is approved, on the proviso that it justifies US public interests. However, this paper finds that there exists a serious discrepancy between the general perception and the true nature of the Section 310, which seem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Korea's negotiating power. In fact, the restric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applies to US telecommunications carriers almost in common, regardless of wire-line or wireless.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foreign ownership cannot be directly up to 20 percent under the current US regulation. As long as the public interest test is concerned, it has some elements to infringe the principle of national treatment, and its activation is basically determined by the very qualitative fact that foreign persons control a US telecommunications carrier, not by the quantitative benchmark. 본고는 한미 FTA협상의 상대국인 미국의 통신서비스 분야 외국인 지분소유 규제에 대한 사실 확인 차원에서 미국 '통신법 제310조'의 내용 및 의미를 심층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동 조항은 유선통신에 대한 전면개방과 무선통신에 대한 부분개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미국이 무선통신에 국한하여 20%의 외국인 직접투자 한도와 100% 허용된 외국인 간접투자관련 정량적 기준에 의한 공익성심사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본고의 분석결과는 미국의 실질적인 개방수준이 일반적 인식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우리나라의 협상력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외국인 직접투자 한도는 유·무선통신 구분 없이 미국 통신사업자 일반에 적용되며, 실현 가능한 지분취득 가능한도는 20%에 미달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국의 공익성심사 제도는 내국민대우 위반 요소를 내재하고 있으며, 정량적 기준보다는 '외국인의 자국 통신사업자에 대한 지배력획득'이라는 정성적 기준에 의해 발동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 연구논문 : 독일의 주파수체계의 발전과정에 관한 고찰 -2012년의 통신법 개정을 계기로 하여-

        김진우 ( Jin Woo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2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Vol.3 No.2

        본고는 독일통신법상의 주파수질서가 유럽 차원의 주파수질서에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해온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그를 통해 주파수질서가 자유화 내지 시장친화적 방향으로 전환되고 추세임을 파악하였다. 주파수거래제, 주파수 공동이용과 같은 수단을 통해 희소한 자원인 주파수의 이용을 효율화하는 것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2년의 독일통신법이 제62조의개정을 통해 주파수의 공동이용을 위한 법률적 근거규정을 마련한 것은 선구적인 의의를 가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차제에 한국전파법의 개정에 있어서도 유의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하겠다. Der uberarbeitete EG-Rechtsrahmen fur die elektronische Kommunikation trat Ende Dezember 2009 in Kraft. Ein Schwerpunkt der Reform liegt in der Harmonisierung und Flexibilisierung der Frequenzverwaltung, wobei es maBgeblich um die Frequenzzuweisung und die effizientere Nutzung von frei werdendem Frequenzspektrum auf Grund der Digitalen Dividende geht. Auf nationaler Ebene erfolgt die Frequenzverwaltung fur den Bereich der Telekommunikation auf Grundlage der §§ 52-65 TKG sowie der auf Grund dieser Vorschriften erlassenen bzw. noch zu erlassenden Verordnungen. Die Vorschriften zur Frequenzordnung wurden an die Vorgaben des EU-Rechts angepasst, die vorrangig eine flexible und effiziente, insbesondere dienst-und technologieneutrale Frequenznutzung gewahrleisten sollen.

      • KCI등재후보

        공사법구별의 관점에서 본 경쟁법과 통신법

        김대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法學論集 Vol.13 No.1

        When we see competition law & telecommunication law in public law/private law distinction’s context, we can learn following lessons. First, competition law is viewed as having both public law element and private law element in each jurisdiction. This is evidenced in implementation of both private enforcement & public enforcement in each jurisdiction’s competition law system. Rather than ask “is competition law public law or private law?”, it is more appropriate to ask “how should public & private accountability be taken into account in competition law?” In Korea, strengthening of private enforcement is more emphasized recently. However,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regulatory function of public law, enhancing transparency & efficiency of public enforcement should be also dealt with in detail. Second, wider application of competition law can be found in each jurisdiction. Application of competition law to public entities shows this phenomenon. In this context, ‘efficiency’ is now understood not only private law principle but also public law principle. However, efficiency which is in narrow meaning(economic efficiency), can contradict with other constitutional principles, such as principle of democracy and ‘Sozialstaatsprinzip’ (Social State Principle). In Korea’s constitution, these principles should be harmonized and efficiency should not be understood to take priority. Third, France’s ‘Service Public’(Public Service) regime influences English Law through European Law. This shows that there are still efforts to preserve public law element based on social solidarity despite of wide spread of competition. “Universal service’ in telecommunication law is typical example which is related ‘Service Public’ regime. ‘Service Public’ as a open-ended legal concept contrasts with more limited concept of universal service. However this gap is minimizing now. The main idea of French style ‘Service Public’ regime can be adopted through ‘Sozialstaatsprinzip’ in Korean Constitional Law, hence we should see universal service in ‘Sozialstaatsprinzip’ perspective. 공사법구별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프랑스, 영국의 경쟁법과 통신법을 검토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경쟁법을 공법이나 사법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없고, 동법이 양자의 요소를 모두 갖고 있다는 점은 각국 법제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양 법제에서 경쟁법집행이 공법적인 방식과 사법적인 방식 모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연결된다. ‘경쟁법이 공법과 사법 중 어디에 속하는가’라는 질문 보다는 ‘책임성의 원리를 공사법의 관점에서 어떻게 종합적으로 반영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우리나라에서 공적 집행과 사적 집행의 관계에 관한 논의를 보면 사적 집행을 활성화하는 데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예방적인 조종’의 필요성을 생각하면 공적 집행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도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둘째, 경쟁법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를 각국 법제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다. 행정주체에게도 경쟁법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이는 ‘효율성’이 사법상의 원리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공법상의 원리로도 이해되고 있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의 ‘효율성’을 ‘경제적 효율성’으로 좁게 이해할 경우에는, 민주주의, 사회국가원리와 같은 헌법적인 가치질서와 상충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효율성의 원리는 민주주의, 사회국가원리 등의 헌법적인 원리와 조화되어야 하며 효율성을 다른 헌법적 가치에 비해 우월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셋째, 프랑스의 대표적인 공법제도인 공역무제도가 유럽법을 매개로 하여 영국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경쟁질서가 확산되는 추세 가운데에서도 사회적 연대성을 기반으로 한 공법적인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공역무법제와 연관성이 있는 대표적인 제도로 통신법상의 보편적 서비스제도를 들 수 있다. 물론 공역무법제는 통상적으로 보편적 서비스 보다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어서 양자가 동일한 것으로 볼 수는 없으나, 양자의 간격은 점차로 좁혀지는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프랑스식의 공역무법제의 기본취지를 우리 헌법상 인정되고 있는 사회국가원리에 의해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편적 서비스 제도도 이러한 맥락에서 구체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유럽헌법과 통신법의 발전

        길준규(Kil, Joon-Kyu) 유럽헌법학회 2008 유럽헌법연구 Vol.4 No.-

        Traditionell gehört die Telekommunikation zum von dem Staat betriebenen Bereich, da der Staat seinem Bürger universale Dineste als eine Daseinsvorsorge vorbringen muß. Trotz der Monolpole der Telekommunikaionsdienste in Europa soll seit der 1980er Jahren durch die Entwicklung der Technik und des Handelsdrucks von Amerika neu gestaltet und lieralisiert werden. Aus diesem Grund hat die Europäische Kommission auf der Grundlagen ihres Günbuchs zur Konvergenz der Branchen Telekommunikation, Medien und Informationstechnologie und ihren ordnungpolitischen Auswirkung. Im Bereich der Telekommunikations hat sie europäischen Telekommunikationsmarkt stufenweise privatisiert und liberalisiert. Danach hat sie auch den Telekommunikationsmarkt in 4. Stufen entwickelt. In vorliegender Arbeit wird es erstens betrachtet, ob diese Entwicklung jedoch der Grundsätzen des Europäischen Vertrags bzw. Europäischen Verfassung im allgemeinen entspricht. Aus diesem Grund wird sie von deren Vorschriften analysiert und kommentiert. In Europa hat auch in 2002 neues EU-Telekommunikationsreformspaket von einer Verordnung und 5 Richtlinien verabschiedet und wird das traditionelle Telekommunikationsrecht im Bereich der elektronische Kommunikationsrecht umgesetzt. Es handelt sich um die Rahmenrichtlinie (RRL), die Genemigungsrichtlinie (GRL), die Zugangsrichtlinie (ZRL), die Univeraldienstrichtlinie (URL) sowie die Datenschutzrichtlinie (DRL). Diese fünf Richtlinie bilden den Kern des RU-Richtlinienpaket und damit zugleich den Kern der TKG-Novelle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Deshalb sollen Mitgliederstaaten der Europäischen Gemeinschaft sein staatliches Recht aufgrund der neuen Richtlinien der Gemeischaft bis zur 24. 7. 2003. abgelaufene Umsetzungsfrist des Richtliniepakets umsetzet werden. Jedoch haben England, Frankreich, Deutschland ihres Telekomminkationsgesetzes erneuert geändert. Dabei werden in Deutschland inbesondere die Rahmenrichtlinie und die Univeraldienstrichtlinie häufig im TKG unmittelbar zitiert. Daneben zu beachten sind die konsoldierte Wettbewersrichtlinie, die Frequenzentscheidung sowie die weiterhin geltende Verordnung über den entbündenelten Zugang zum Teilnehmeranschluss (TAL-Verordnung). Vor allem wird die Regilierungsbehörde für Post und Telekommunikations aufgrund des Geimschaftsrechts als die Bundesnetzagentur geändert eingerichtet.

      • KCI등재후보

        기간통신사업자의 비차별 의무와 미국 통신법상 기간통신사업자 규제 변천의 시사점

        김윤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경제규제와 법 Vol.5 No.2

        As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has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to be affected by a public interest,the Telecommunications Acts of every nation stipulate the non-discrimination obligations of the common carriers. However, the recent competition in the communications industry and the advent of diverse communication services du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make it the trend to ease the regulation against the common carriers. In particular, as US Communications Act similar to Korean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consisting of the anti-discrimination regulations against the common carriers withholds the regulation on the market where is effective competition, Korean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needs to withhold the regulation in the same way in order to promote competition among carriers. But there remain the areas where the regulation against the common carriers should be still maintained, and it may be the regulation which is necessary in order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telecommunications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interest. On the other hand, where there are effective competition in the market and where the users' freedom of choice are assured, the anti-discrimination regulations on the discrimination in the economic aspects should be withhel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ompetition law. 통신산업은 전통적으로 공익적 특성을 가진다고 여겨져 왔으므로 각국 통신법은 이러한 근거에서 기간통신사업자의 비차별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통신산업에 경쟁이 도입되고 기술혁신으로 다양한 통신서비스가 등장하면서 기간통신사업자에 대하여 규제가 완화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우리 전기통신사업법과 마찬가지로 기간통신사업자에 대한 비차별적 규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미국 통신법은 경쟁이 활발한 시장에 대해서는 규제를 유보하고 있는데, 전기통신사업법에서도 사업자간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방식을 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규제완화의 추세 속에서도 여전히 기간통신사업자에 대한 규제가 유지되어야 할 영역이 남아있는데, 이는 공익적 관점에서 통신서비스의 안정적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규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시장에 경쟁이 활발하고 이용자의 선택권이 보장되어 있는 상황에서 경제적 측면의 차별이 발생한 경우에는 경쟁법적 원리를 도입하여 비차별 규제는 유보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