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중과 지상에서의 태극권 운동수행이 노인 여성들의 활동 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광래(Kim Kwang Lae),김지혁(Kim Ji Hyeok),김태욱(Kim Tae Wook),Richard B Kreider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4

        태극권 운동은 노인 여성들의 활동 체력을 향상시켜 주는 운동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중에서 태극권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아니면 지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과 지상에서 태극권 운동을 수행한 후 노인 여성들의 활동 체력을 비교ㆍ분석하여 태극권의 효과적인 운동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서울시 소재 N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노인 여성들 중 태극권 운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신체적ㆍ정신적으로 문제가 없는 26명의 노인 여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수중 태극권 운동집단(n=13)과 지상 태극권 운동 집단(n=13)으로 분류하여 손식 태극권을 50-65분, 주당 2회, 32주간을 실시하여 활동 체력을 태극권 운동전, 태극권 운동16주후, 태극권 운동32주후에 측정하여 비교ㆍ분석 하였으며, 활동 체력검사 항목들 중 6분 걷기, 덤벨들기,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나기, 등뒤에서 손잡기,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 3m 왕복걷기는 senior fitness test(SFT) 방법을 적용하여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눈감고 외발서기는 체육과학연구원의 방법을 적용 하여 검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6분 걷기(p<.007), 덤벨들기(p<.043), 의자에서 앉았다가 일어나기(p<.000), 3m 왕복 걷기(p<.003)에서 운동처치 방법과 상관없이 운동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뒤에서 손잡기는 운동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 집단과 기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6). 눈감고 외발서기는 집단간(p<.045), 운동 기간(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과 기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태극권 운동은 운동 처치 방법에 상관없이 노인 여성들의 심폐지구력, 상지근력, 하지근력, 민첩성(동적 평형성)에 유의한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깨 유연성과 평형성은 수중 태극권 운동 집단이 지상태극권 운동 집단 보다 운동 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ai chi exercise is recommended for elderly women, but it is not clear whether aqua tai chi or land tai chi produces a greater functional physical fitnes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aqua tai chi and land tai chi on variables for functional physical fitness. We carried ou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udy with 26 elderly women who were clinically healthy and divided into the aqua tai chi exercise group (ATCE, n=13) and land tai chi exercise group (LTCE, n=13). Both groups is performed 12 forms of sun-style tai chi for 50-65min, 2 times per week for 32 weeks and test of functional physical fitnes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16 week, 32 week trial. Regardless of tai chi exercise group, 6 min walk (p<.007), Dumbbell lift (p<.043), Sit to stand (p<.000), Up and go (p<.00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ercise period. Back scrat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 according to exercise period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teraction effect (p<.006). Balancing on one le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4) according to exercise period, significant differences (p<.045) between exercise group,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p<.005). It conclusion that regardless of tai chi exercise group, tai chi exercise is improve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gility, dynamic balance in elderly women. And in shoulder flexibility, balance, aqua tai chi exercise group showed a higher trend than land tai chi according to the exercise period.

      • KCI등재

        중국 태극권의 현황 및 발전방안

        단빙,김승재,김지훈 대한무도학회 2018 대한무도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oblems of the current tai-chi chuan in Chinese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n to suggest alternative plans. The problems found were; first, too many new schools and their own modification of tai-chi, second, inaccurate use of the name of tai-chi in many different books, third, motion and form-oriented education, fourth, standardized tai-chi as sports. We suggest alternative plan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s follows. First, to request systematic support and management from government. Second, to enforce registration system in opening new school, Third, to include tai-chi in the regular academic curriculum, Fourth, to develop rules of playing tai-chi with emphasizing the traditionality. To carry out these plans successfully, each traditional school needs to collaborate closely. Chinese government also needs to take the lead in actions for conservation,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inheritance of tai-chi chuan. 본 연구는 중국 태극권의 현황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태극권의 현황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은 첫째, 신생 유파들의 난립과 무분별한 태극권 변형, 둘째, 태극권의 명칭이 혼용된 서적의 증가, 셋째, 동작과 자세 위주가 된 대학의 태극권교육, 넷째, 획일화 된 경기 태극권이다. 이러한 태극권의 문제를 극복하고, 발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 태극권이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태극권 등록제를 시행하여 신생 태극권의 부문별한 확장을 억제하고, 명칭의 혼용을 막아야 한다. 셋째, 태극권 교육을 정규교육과정 속에 포함하여 문화유산으로써 보전과 전승에 대한 인식의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전통성을 강화한 태극권 경기방식으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전통 태극권 유파들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중국 정부는 태극권 문화의 보전, 계승,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 태극권 내경(內勁)의 분석

        노동호(Tong Ho Noh)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2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2 No.-

        전통태극권은 당대 대중화와 경기화 과정을 겪으면서 외형 위주의 형식화된 동작방식과 화려한 기교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추세는 태극권 본질의 상실이라는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태극권 운동의 핵심인 내경(內勁) 의 실체를 분석하고 수련방법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론 선대의 성공적인 경험을 얻기 위하여 태극권의 고전권보의 연구 성과를 참고하였으며, 또한 연구자의 오랜 수련경험을 고전이론과 접목시켜 태극권 내경의 실체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고전 이론서로는 왕종악(王宗岳)의 태극권론(太極拳論), 십삼세가(十三勢歌), 무우양(武禹襄)의 태극권해(太極拳解) 등을 참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완과 입정(入靜)의 수련은 태극권 수련의 첫걸음으로, 자신의 몸 안에 잠재되어 있는 내경의 발견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터득되는 솜으로 강철을 감싼 '면리과철(棉裏寡鐵)'과 같은 침경(沈勁)과 기력이 들고나는 단전의 힘이 내경의 실질적인 내용이라고 종합할 수 었다. 침경은 자신에게 작용되는 중력의 이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효과적인 중력의 이용은, 곧 내경의 증강에 도움이 된다. 단전의 힘이라는 것은 인체중심점이 호흡을 통하여 효파적으로 인체사지의 움직임을 조정하는 힘 운용의 방식이다. 태극권 수련과정에서 보여 지는 무술적 힘의 형태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송정(松靜)'은 힘의 경계대기상태로 '유(柔)'는 힘의 완만한 움직임상태로 강(剛)은 힘의 폭발상태로 해석하여 정의할 수 있다.

      • KCI등재

        국내 태극권 논문에 대한 문헌분석: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김희섭 한국체육철학회 202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1 No.4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aichi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studies for the years from 2000 to 2021. Taijiquan (or Taichi) was established by individuals but later officially introduced to South Korea at the time of the Beijing Asian Games in 1990. Over time, the term Kungfu was replaced with the name, Wushu; contacts continued to happen on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s. Academic articles also, including referencing and quality, slowly improved.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on the trends and classifications of Taichi articles until now. This study divides articles according to references and quality. The reference researches were reviewed according to its purpose. They were classified broadly as researches dealing with the book of I-Ching or Tao-Te-Ching generally, or as particular ones dealing with Taichi rules, such as Taijiquan Theory(太極拳論).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Taichi style, their process, and management. Quantitative Taichi studies do not need to discuss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Taichi. The selection of style is important, and the quality of controlling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so that the will of researchers and coaches is reflected in the result of study. This is important in case the results of a similar topic between different researches show contradictions. In conclusion, an ideal reference article should sufficiently address general and particular issues, while an ideal quantitative paper should be composed with understanding about Taichi’s characteristic and a subtle plan for teaching and managing a control group. When a study is proceeding with a mechanical exercise and a plan of a quantitative study, the outcome cannot be expected to be different from a general exercise and Taijiquan.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1년간 국내의 다양한 학술지에서 태극권을 다룬 논문의 경향과 특색을 살피고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처음 태극권은 개인끼리의 접촉으로 전해졌지만, 1990년 아시안게임 이후 태극권은 공식적으로 국가 간의 교류로 국내에 전파된다. 그동안 쿵푸[功夫]는 우슈[武術]란 용어로 바뀌고, 개인과 국가 간 교류가 지속되면서 학술적 연구도 문헌과 양적연구 모두에서 성과를 보인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태극권에 대한 연구성과와 그 흐름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은 없었다. 본 연구는 크게 문헌연구와 양적연구로 나눈다. 문헌연구는 목적과 의도에 따른 내용을 분석하고 주역 과 도덕경 을 주로 인용하는 총론적인 연구인지, 태극권 가문에서 전해지는 「태극권론」과 같은 권론이 첨부된 각론의 연구인지 알아본다. 양적연구는 태극권의 철학이 아닌 어떤 태극권을 기본공법으로 사용하였고, 계획된 시기 동안 대상 실험군을 얼마나 목적에 맞게 잘 관리했는지가 중요하다. 그래야 태극권 연구자 또는 지도자의 의도가 실험에 잘 반영될 수 있다. 연구의 결과가 서로 갈리는 경우, 이런 점이 더욱 중요해진다. 결론적으로 문헌연구는 총론과 각론이 고루 잘 반영이 되어야 하고, 양적연구는 전통적인 태극권의 속성을 잘 이해함과 동시에 실험군의 관리에도 더 세밀한 지도가 있어야 이상적이다. 양적연구에서 기계적인 운동과 설계로는 다른 일반적인 운동과 차이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태권무와 대한태극권의 활용을 통한 “신태권무” 창작방안 연구

        정병화 ( Byeong Hwa Jeong ),이영희 ( Young Hee Lee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9 No.-

        한류화태권무는 배타적 관념에서 탈피하여 상호협조적 무예예술작품의 특성을 살릴 필요가 있다. 명작예술 탄생을 예고하는 실험적 연출작업의 효시가 될 수 있다. 신태권무는 태권동작과 태극권의 기본동작을 접목하여 현대무예예술작품으로 외국에 소개한다면 새로운 무예작품의 한류화작품으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태권도의 기본동작 퍼포먼스를 하는 경우에 단순하게 기술적 동작만 하는 것이아니고 태권도의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무예성과 철학성까지도 표출할 수 있어야 한다. 태권무도 이러한 형태를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태권무는 태권도의 기본적인 동작과 기술적인 높은 테크닉을 가지고 퍼포먼스를 하면서 예술적인 미적가치을 실행할수 있다면 좀 더 효과적인 무예작품이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태극권은 이미 우리들에게 친근한 운동으로 개선하고 연출하여 동호인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는 대한태극권의 본류와 미학적 유연성을 확인하고 실제로 활용하면서 국민들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이는 곧 신태권무형태의 예술작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태극권의 동작중에서 신체활동면에서 편리하고 용이하며 효과적인 동작들을 선별하여 태권무와 접목할 필요가 있다. 대한태극권의 동작들은 매우 효과적으로 관객들에게 어필되고 있는 운동현장을 흔하게 확인할 수 있다. 태권무를 예술적인 무예작품으로 연출, 제작하여 일반인들이 실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외국인들에게도 공개하고 전수하여 한류화 예술작품으로 길이 남을수 있도록 세계각국에 홍보하여야 한다. 민간단체의 일반적인 태권무에서 진일보하여 현대적감각과 무예성이 동시에 포함된 신태권무를 안무하고 연출, 제작하여 세계무대에 신상품으로 진출시켜야 한다. 재즈댄스나 밸리댄스, 그리고 B-보이 퍼포먼스를 활용하여 태권무를 시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대한태극권의 유연한 동작과 태권동작, 재즈댄스를 동시에 접목한다면 년령층이 젊은 관객들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태권도의 강렬함과 무용예술의 미학성 및 예술성이 동시에 표출될 때 진가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태권도의 강렬한 이미지에 대한태극권의 유연함과 강인한 이미지를 동시에 접목하여 현대적 감각의 재즈댄스동작을 활용한다면 예술적가치가 있는 작품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한태극권의 동작을 전면적으로 도입할 필요는 없다. 재즈댄스와 재즈음악의 형식을 활용하고 대한태극권의 기본정신을 살려서 강약약의 조화를 효과적으로 응용한다면 전국민과 전세계인이 사랑하고 애용할 수 있는 태권무가 창작될 수 있으며 외국인들에게도 환영받을 수 있는 ‘신태권무’가 탄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n Taekwondance need to taking mutual cooperative characteristic of stage work by breaking exclusive notion. It could be a precursor to experimental directing for foretelling birth to New Taekwondance If introduce new korean Taekwondance as modern martial art works to foreign shores by applying Taekwondo movements and the basis of Tai chi chuan movements, it is expect a significant effect as korea model of new martial arts. In the case of performance basic Taekwondo movements, not only simple technical movements, it must express thoughtful softness and aesthetic of martial art that included in Taekwondo. Taekwondance can not be completely free of this situation. By performing with basic Taekwondo movements technical skills, Taekwondance must be able to conduct artistic value, aesthetic movements. Hope Tai chi chuan to help national health promotion by verifying and utilizing aesthetic flexibility of korean Tai chi chuan which improved familiar practice to us. It could be a cornerstone of korean art works. It necessary to select and apply convenient and effective movements of "Dae Han ―Tai chi chuan". We can confirm scene of practice where Tai chi chuan movements effectively appeal to people. It have to make Taekwondance to be able to be conducted and utilized by people by producing aesthetic martial art work and promote to the world for get the history as korean art works by disseminate foreign.

      • KCI등재

        태극권(太極拳)의 느림과 부드러움

        김희섭,한동일,권오륜,游添燈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3

        Taijiquan, a traditional Chinese Martial Arts, represents features of slowness and softness while the other Chinese Martial Arts are inclined to focus on speed and strength. Slowness and softness are awkward and unusual, but attractive in contrast to speed and strength. The Lao-zi’s word “Softness would beat strength” seems reasonable but shows no consistency in factual combative results. The process of Taijiquan's development has been blended with its movement's rules and its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The process of its growth spanned generations that have been certified in Taijiquan theory documentation and books. The slowness of Taijiquan is perused and implemented due to its useful practicum. Slowness makes the body move harmoniously. During slow movements, we can focus through the circulation of Chi energy internally and externally. It sets your mental and physical states at peace in harmonious balance. Softness is an essential concept of Taijiquan. Practicing Taijiquan means learning to soften your body. Softness is not just utilized against strength, but softness without any borders or limits in body and mind. This practice of slowness and softness links to philosophies of Tao, including Taoism, Confucianism, and Zen Buddhism. 중국의 전통무술 태극권(太極拳: Taijiquan)은 ‘빠름과 강맹함’을 추구하는 이미지의 다른 무술에 비하여 ‘느림과 부드러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일면 상식을 벗어나는 성향이라서 오해를 낳기도 하지만 오히려 매력적이기도 하다. 이 역설적 매력은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柔之勝剛]’는 老子의 주장과 통하기에 주목을 받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태극권의 느림[慢]과 부드러움[鬆]은 일반인이 생각할 수 있는 빠름의 반대인 단순한 느림이거나 강함의 반대개념인 나약한 부드러움은 아니다. 태극권의 발전과정을 알아보면 단순한 무술동작기술의 발전에 그치는 게 아니라 『주역』의 철리인 변화의 이치가 동작을 운용하는 시스템에 결합되어 가는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랜 세월 생존했던 많은 태극권의 선각자들이 남긴 여러 권보(拳譜)들에는 『주역』은 물론 황로학(黃老學)의 사상적 흐름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태극권의 느림은 효율적 몸의 수행을 위한 방편으로 기(氣)를 전신으로 잘 흐르게 하고 신체의 각 부위들의 균형을 이룰 수 있게 한다. 부드러움은 태극권이 추구하는 핵심적인 개념으로 단순히 강함의 반대인 부드러움이 아니라 오랜 수련으로 강함과 약함이란 근력에 근거한 개념이 사라져서 기로 ‘중화(中和)된 부드러움’을 말한다. 이는 수련으로 승화된 몸의 부드러움이며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고 걸리지 않는 자유로움의 상태이기에 상대에게 휘둘리지도 상대를 배척하지도 않는 사기종인(捨己從人)의 경지로 가는 관문이 된다. 이런 경지에 이르게 되어야 비로소 권(拳)과 도(道)가 합해지는 것이고 권술(拳術)의 도를 말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道德經』의 태극권 拳理와 養生적 가치

        고영근(高英根)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道敎文化硏究 Vol.36 No.-

        과거 태극권은 자연권으로 호칭되었던 바처럼, 태극권은 도가사상의 영향하에 창안되고 발전되었다. 특히 태극권 수련에서 중시하는 柔?靜?陰陽등 주요개념들은 ?도덕경?의 내용중에서 상당부분 보여지고 있다. 전통 무술중 특별한 권법과 권리를 지닌 태극권은 시대흐름에 따라 그 특징과 수련목적도 진화하고 변천해왔다. 현대에는 상대방을 제압하는 기격술이란 무술적 가치 외에도, 각종질병의 치유 및 예방의학 및 대체 의학적 효과 즉, 양생적 가치가 더욱 중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통치자의 통치철학과 인간의 처세관을 다룬 도가경전인 ?도덕경?을 태극권의 무술적 권리와 양생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도가사상이 태극권의 권리와 양생에 미친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태극권(太極拳)으로 보는 무(武)의 정의

        김희섭,권오륜,한동일 한국체육철학회 201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7 No.1

        This paper is intend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aijiquan and to define a Martial Art from the perspective of Taijiquan. Taijiquan is not just a technique to develop your body, but a body-mind discipline. Taijiquan, which tends to make your body and mind changed with Qi, keeps pace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ie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Taijiquan can take us to succeed to the studies of Martial Arts. Korean scholars have interest in making a desirable Korean term of Martial arts compared with Chinese and Japanese one. However they have rarely treated a Chinese Martial Art. This study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traditional Martial Art Taijiquan could be meaningful. It is certain that the attitude of Martial Art study should be open-minded so the future of it is extensible. Thus an international seminar like Chongju World Martial Arts Conference would be prosperous and the industry of Martial Arts also promising. It is difficult to unify Martial Arts in order due to its diversity. In this respect it is essential for us to distinguish traditional Martial Arts from sports Martial Arts. The classification makes the studies of Martial Arts developed. The argument that Taijiquan is not a tip of Martial-art craft but a body-mind self-discipline like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修己治人) in Confucianism is possible with the concept of traditional Martial Arts.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무술인 태극권(太極拳)의 속성을 알아보고 이 연장선에서 무(武)에 대한 정의를 해보려는 것이다. 태극권은 단순한 기교나 술법에 머무는 무술이 아니라 몸과 마음의 관계를 다루는 수행법이다. 태극권은 기(氣)의 중화(中和)작용으로 몸과 마음을 변화시키는 무술로써 불가의 선(禪), 유가의 수기치인(修己治人), 그리고 도가의 수행법과 그 흐름을 같이한다. 이런 태극권은 무(武)에 대한 많은 담론으로 이어갈 수 있다. 우리 학계는 그동안 중국의 무술, 일본은 무도, 한국은 무예란 용어로 구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실제 중국의 무술에 대해서는 잘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중국전통무술인 태극권의 관점으로 무에 대한 담론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여긴다. 무(武)의 담론은 닫혀있기보다 열려있어야 확장성이 생긴다. 그럴 수 있어야 충주무술대회와 같은 국제교류는 더욱 활발해지고 보다 밝은 미래 스포츠의 한 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다. 그러나 무의 종류과 방법이 다양한 만큼 무의 개념은 획일화시키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 최소한 전통의 무술(예)과 경기용 무술스포츠에 대한 구별이 있어야 무의 철학적 담론은 더 분명해지고 확장될 수 있다. 태극권이 기예의 말단이 아니라 유가의 수기치인과 같은 몸의 수행법이라는 사실은 전통무술의 관점이어야 가능하다.

      • KCI등재

        타이치(태극권) 수행과 한국무용 승무 염불동작 수행에 따른 근 활성도 비교분석

        백정희 ( Jung Hee Baek ) 한국무용과학회 201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한국무용 전공자(5년 이상의 승무 수련자) 3인을 대상으로 중국에 위치한 전통 타이치(태극권) 숙련자(국가공인師父)에게 소정(師父인정)의 수련을 통한 자로 하였으며, 태극권 진가권법 동작과 승무 염불동작에 대한 운동역학적 근 활성도를 비교 분석하여 운동효과를 규명하고, 승무의 우월성과 신체훈련의 적합성 및 대중화를 이끌어 내는데 목적을 두고 Noraxon 무선 근전도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태극권과 승무 염불 동작 간 비교 분석을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대응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태극권 진가권법과 승무 염불 동작간의 평균 근 활성도 비교는 태극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태극권 진가권법과 승무 염불 동작 실행 시 오른쪽 대둔근을 제외한 모든 근육의 총 근 활성도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로 태극권 진가권법과 승무 염불 동작 간 총 근 활성도가 동일하다는 결과로 승무의 염불 동작이 태극권과 동일한 운동량을 제공하고 있다는 근거로 제시될 수 있겠다.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with the objective of investigating the exercise effec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otor mechanical muscular activity about Chen-style Taijichuan movements and Buddhist dance prayer movements and promoting the superiority of the Buddhist dance and suitability and popularization of the physical training against the 3 people majoring in Korean dance (Buddhist dance trainees of over 5 years of training), those who have undergone a prescribed (Acknowledged by the master) training from traditional Taichi expert(State registered) located in China and was performed using the Noraxon radio electromyogram system. A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aijichuan and Buddhist dance prayer movements and the conclusion has been deducted by performing the paire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average muscular activity was higher when the Chen-style Taijichun was exercised than when the Buddhist dance prayer movements were exercise. The secondly, the total muscular activities of all the muscles except for the right glutaeus maximus were the same when the Chen-style Taijichun was exercised and when the Buddhist dance prayer movements were exercis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total muscular activities between the Chen-style Taijichen and Buddhist dance prayer movements which allows the ground that the Buddhist dance prayer movements are providing the same exercise amount as the Taijichen.

      • KCI등재

        간화선과 태극권의 비교연구

        김희섭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Ta-hui(大慧宗杲: 1089-1163) said, “Chan(禪) is not in a quiet or noisy place and not in a distinguished or Nidana place. It is just in the place of yours when you open the door of it.” The fact that Taijiquan is called ‘Chan through moving’might be based on his word. Taijiquan representing Slow and Soft moving is not such a martial art as just is learned techniques of its arts and then applied for a fight, but it is the one to connect its outer motion with its inner energy making it united one. So Taijiquan is composed of two parts of which the first is a basic one making body be proper condition for Taijiquan and the second is kind of tou-shou practicing. The two parts can be called ‘Chan through moving’. This process can be explained by the terms of Kan-hua Chan(看話禪). First, the first part of Taijiquan’s body training course needs a concrete belief and inner-direction of Ta-hui’s. Because essentially this process costs any practicer a life of long exercise and endurance. Second, Taijiquan cannot be understood by any words or letters just as Chan can’t be passed on to anyone like that. Just as the enlightenment of Kan-hua Chan can be attained after losing a way of word and thinking by a means of having Hua-tou(화두) with a great doubt, Taijiquan also can’t be achieved just by hard training or a way of explaining or letters. Thirdly, Taijiquan is finished in the conversation between a master and a student just like Ducan(獨參) training in Kan-hua Chan. In the point of their intersection of two hands, the student can identify his own standard and find out the mind of Ta-hui and Hui-neng(慧能). 대혜종고(大慧宗杲: 1089-1163)는 “선(禪)은 고요한 곳에 있지도 않고 시끄러운 곳에 있지도 않고 생각하여 분별하는 곳에 있지도 않고 일상생활의 인연에 응하는 곳에 있지도 않다. 문득 눈이 열리면 전부 자기 집 속의 일이다.”라고 하였다. 태극권(太極拳)이 ‘움직이는 선[動禪]’이란 얘기는 기본적으로 이런 가르침에 합당한 선 수행의 하나란 얘기다. 느림과 부드러움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권은 단순히 외형적인 동작을 익히고 외워서 상대와 대련을 통한 적응력을 기르는 무술이 아니라 한 번의 움직임으로 신체 각 부분과 내기가 함께 움직이는 기의 합일을 중시하는 무술이다. 따라서 태극권은 몸의 조건을 만드는 기본과정과 그 과정 후 이어지는 갈수 과정으로 나눌 수 있고 이 두 과정이 모두 선수행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간화선 수행의 용어로 정리하자면, 첫째, 몸의 내부와 외부의 합을 이뤄내는 태극권의 기본 과정은 대혜가 공부하는 이들에게 강조한 믿음과 주체의식이 그대로 적용된다. 이 과정은 인고의 시간과 수련이 필요하기에 흔들리는 않는 믿음과 주체의식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둘째, 선(禪)을 불립문자(不立文字)의 공부라 하듯이 태극권도 말이나 글로 전달할 수 없는 공부이다. 의문을 가지고 화두를 들고서 말길이 없어지고 생각이 없어진 뒤에 깨침을 얻게 하는 간화선처럼 태극권의 성취도 몸의 고행만으로 얻을 수 없고, 생각과 문자로도 도달할 수 없는 ‘붕리제안채열주고’의 공부인 것이다. 셋째, 간화선의 독참(獨參)처럼 태극권의 갈수는 정문정안(頂門正眼)의 스승과 제자가 전통의 법수(法手)를 나누는 공부 과정이다. 서로 마주하여 교접(交接)을 이룬 양손의 그 접점에서 제자는 자신의 견처(見處)를 보이고 스승이 이를 이끌어 이윽고 혜능의 견성을 보고 대혜의 마음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