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태극권의 현황 및 발전방안

        단빙,김승재,김지훈 대한무도학회 2018 대한무도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oblems of the current tai-chi chuan in Chinese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n to suggest alternative plans. The problems found were; first, too many new schools and their own modification of tai-chi, second, inaccurate use of the name of tai-chi in many different books, third, motion and form-oriented education, fourth, standardized tai-chi as sports. We suggest alternative plan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s follows. First, to request systematic support and management from government. Second, to enforce registration system in opening new school, Third, to include tai-chi in the regular academic curriculum, Fourth, to develop rules of playing tai-chi with emphasizing the traditionality. To carry out these plans successfully, each traditional school needs to collaborate closely. Chinese government also needs to take the lead in actions for conservation,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inheritance of tai-chi chuan. 본 연구는 중국 태극권의 현황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태극권의 현황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은 첫째, 신생 유파들의 난립과 무분별한 태극권 변형, 둘째, 태극권의 명칭이 혼용된 서적의 증가, 셋째, 동작과 자세 위주가 된 대학의 태극권교육, 넷째, 획일화 된 경기 태극권이다. 이러한 태극권의 문제를 극복하고, 발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 태극권이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태극권 등록제를 시행하여 신생 태극권의 부문별한 확장을 억제하고, 명칭의 혼용을 막아야 한다. 셋째, 태극권 교육을 정규교육과정 속에 포함하여 문화유산으로써 보전과 전승에 대한 인식의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전통성을 강화한 태극권 경기방식으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전통 태극권 유파들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중국 정부는 태극권 문화의 보전, 계승,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 KCI등재

        수중과 지상에서의 태극권 운동수행이 노인 여성들의 활동 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광래,김지혁,김태욱,Richard B Kreider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4

        Tai chi exercise is recommended for elderly women, but it is not clear whether aqua tai chi or land tai chi produces a greater functional physical fitnes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aqua tai chi and land tai chi on variables for functional physical fitness. We carried ou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udy with 26 elderly women who were clinically healthy and divided into the aqua tai chi exercise group (ATCE, n=13) and land tai chi exercise group (LTCE, n=13). Both groups is performed 12 forms of sun-style tai chi for 50-65min, 2 times per week for 32 weeks and test of functional physical fitnes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16 week, 32 week trial. Regardless of tai chi exercise group, 6 min walk (p<.007), Dumbbell lift (p<.043), Sit to stand (p<.000), Up and go (p<.00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ercise period. Back scrat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 according to exercise period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teraction effect (p<.006). Balancing on one le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4) according to exercise period, significant differences (p<.045) between exercise group,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p<.005). It conclusion that regardless of tai chi exercise group, tai chi exercise is improve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gility, dynamic balance in elderly women. And in shoulder flexibility, balance, aqua tai chi exercise group showed a higher trend than land tai chi according to the exercise period. 태극권 운동은 노인 여성들의 활동 체력을 향상시켜 주는 운동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중에서 태극권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아니면 지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과 지상에서 태극권 운동을 수행한 후 노인 여성들의 활동 체력을 비교․분석하여 태극권의 효과적인 운동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서울시 소재 N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노인 여성들 중 태극권 운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신체적․정신적으로 문제가 없는 26명의 노인 여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수중 태극권 운동 집단(n=13)과 지상 태극권 운동 집단(n=13)으로 분류하여 손식 태극권을 50-65분, 주당 2회, 32주간을 실시하여 활동 체력을 태극권 운동전, 태극권 운동16주후, 태극권 운동32주후에 측정하여 비교․분석 하였으며, 활동 체력 검사 항목들 중 6분 걷기, 덤벨들기,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나기, 등뒤에서 손잡기,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 3m 왕복걷기는 senior fitness test(SFT) 방법을 적용하여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눈감고 외발서기는 체육과학연구원의 방법을 적용 하여 검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6분 걷기(p<.007), 덤벨들기(p<.043), 의자에서 앉았다가 일어나기(p<.000), 3m 왕복 걷기(p<.003)에서 운동처치 방법과 상관없이 운동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뒤에서 손잡기는 운동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 집단과 기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6). 눈감고 외발서기는 집단간(p<.045), 운동 기간(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과 기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태극권 운동은 운동 처치 방법에 상관없이 노인 여성들의 심폐지구력, 상지근력, 하지근력, 민첩성(동적 평형성)에 유의한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깨 유연성과 평형성은 수중 태극권 운동 집단이 지상 태극권 운동 집단 보다 운동 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태극권 내경(內勁)의 분석

        노동호(Tong Ho Noh)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2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2 No.-

        전통태극권은 당대 대중화와 경기화 과정을 겪으면서 외형 위주의 형식화된 동작방식과 화려한 기교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추세는 태극권 본질의 상실이라는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태극권 운동의 핵심인 내경(內勁) 의 실체를 분석하고 수련방법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론 선대의 성공적인 경험을 얻기 위하여 태극권의 고전권보의 연구 성과를 참고하였으며, 또한 연구자의 오랜 수련경험을 고전이론과 접목시켜 태극권 내경의 실체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고전 이론서로는 왕종악(王宗岳)의 태극권론(太極拳論), 십삼세가(十三勢歌), 무우양(武禹襄)의 태극권해(太極拳解) 등을 참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완과 입정(入靜)의 수련은 태극권 수련의 첫걸음으로, 자신의 몸 안에 잠재되어 있는 내경의 발견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터득되는 솜으로 강철을 감싼 '면리과철(棉裏寡鐵)'과 같은 침경(沈勁)과 기력이 들고나는 단전의 힘이 내경의 실질적인 내용이라고 종합할 수 었다. 침경은 자신에게 작용되는 중력의 이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효과적인 중력의 이용은, 곧 내경의 증강에 도움이 된다. 단전의 힘이라는 것은 인체중심점이 호흡을 통하여 효파적으로 인체사지의 움직임을 조정하는 힘 운용의 방식이다. 태극권 수련과정에서 보여 지는 무술적 힘의 형태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송정(松靜)'은 힘의 경계대기상태로 '유(柔)'는 힘의 완만한 움직임상태로 강(剛)은 힘의 폭발상태로 해석하여 정의할 수 있다.

      • KCI등재

        국내 태극권 논문에 대한 문헌분석: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김희섭 한국체육철학회 202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1 No.4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aichi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studies for the years from 2000 to 2021. Taijiquan (or Taichi) was established by individuals but later officially introduced to South Korea at the time of the Beijing Asian Games in 1990. Over time, the term Kungfu was replaced with the name, Wushu; contacts continued to happen on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s. Academic articles also, including referencing and quality, slowly improved.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on the trends and classifications of Taichi articles until now. This study divides articles according to references and quality. The reference researches were reviewed according to its purpose. They were classified broadly as researches dealing with the book of I-Ching or Tao-Te-Ching generally, or as particular ones dealing with Taichi rules, such as Taijiquan Theory(太極拳論).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Taichi style, their process, and management. Quantitative Taichi studies do not need to discuss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Taichi. The selection of style is important, and the quality of controlling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so that the will of researchers and coaches is reflected in the result of study. This is important in case the results of a similar topic between different researches show contradictions. In conclusion, an ideal reference article should sufficiently address general and particular issues, while an ideal quantitative paper should be composed with understanding about Taichi’s characteristic and a subtle plan for teaching and managing a control group. When a study is proceeding with a mechanical exercise and a plan of a quantitative study, the outcome cannot be expected to be different from a general exercise and Taijiquan.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1년간 국내의 다양한 학술지에서 태극권을 다룬 논문의 경향과 특색을 살피고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처음 태극권은 개인끼리의 접촉으로 전해졌지만, 1990년 아시안게임 이후 태극권은 공식적으로 국가 간의 교류로 국내에 전파된다. 그동안 쿵푸[功夫]는 우슈[武術]란 용어로 바뀌고, 개인과 국가 간 교류가 지속되면서 학술적 연구도 문헌과 양적연구 모두에서 성과를 보인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태극권에 대한 연구성과와 그 흐름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은 없었다. 본 연구는 크게 문헌연구와 양적연구로 나눈다. 문헌연구는 목적과 의도에 따른 내용을 분석하고 주역 과 도덕경 을 주로 인용하는 총론적인 연구인지, 태극권 가문에서 전해지는 「태극권론」과 같은 권론이 첨부된 각론의 연구인지 알아본다. 양적연구는 태극권의 철학이 아닌 어떤 태극권을 기본공법으로 사용하였고, 계획된 시기 동안 대상 실험군을 얼마나 목적에 맞게 잘 관리했는지가 중요하다. 그래야 태극권 연구자 또는 지도자의 의도가 실험에 잘 반영될 수 있다. 연구의 결과가 서로 갈리는 경우, 이런 점이 더욱 중요해진다. 결론적으로 문헌연구는 총론과 각론이 고루 잘 반영이 되어야 하고, 양적연구는 전통적인 태극권의 속성을 잘 이해함과 동시에 실험군의 관리에도 더 세밀한 지도가 있어야 이상적이다. 양적연구에서 기계적인 운동과 설계로는 다른 일반적인 운동과 차이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태극권(太極拳)의 느림과 부드러움

        김희섭,한동일,권오륜,游添燈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3

        Taijiquan, a traditional Chinese Martial Arts, represents features of slowness and softness while the other Chinese Martial Arts are inclined to focus on speed and strength. Slowness and softness are awkward and unusual, but attractive in contrast to speed and strength. The Lao-zi’s word “Softness would beat strength” seems reasonable but shows no consistency in factual combative results. The process of Taijiquan's development has been blended with its movement's rules and its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The process of its growth spanned generations that have been certified in Taijiquan theory documentation and books. The slowness of Taijiquan is perused and implemented due to its useful practicum. Slowness makes the body move harmoniously. During slow movements, we can focus through the circulation of Chi energy internally and externally. It sets your mental and physical states at peace in harmonious balance. Softness is an essential concept of Taijiquan. Practicing Taijiquan means learning to soften your body. Softness is not just utilized against strength, but softness without any borders or limits in body and mind. This practice of slowness and softness links to philosophies of Tao, including Taoism, Confucianism, and Zen Buddhism. 중국의 전통무술 태극권(太極拳: Taijiquan)은 ‘빠름과 강맹함’을 추구하는 이미지의 다른 무술에 비하여 ‘느림과 부드러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일면 상식을 벗어나는 성향이라서 오해를 낳기도 하지만 오히려 매력적이기도 하다. 이 역설적 매력은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柔之勝剛]’는 老子의 주장과 통하기에 주목을 받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태극권의 느림[慢]과 부드러움[鬆]은 일반인이 생각할 수 있는 빠름의 반대인 단순한 느림이거나 강함의 반대개념인 나약한 부드러움은 아니다. 태극권의 발전과정을 알아보면 단순한 무술동작기술의 발전에 그치는 게 아니라 『주역』의 철리인 변화의 이치가 동작을 운용하는 시스템에 결합되어 가는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랜 세월 생존했던 많은 태극권의 선각자들이 남긴 여러 권보(拳譜)들에는 『주역』은 물론 황로학(黃老學)의 사상적 흐름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태극권의 느림은 효율적 몸의 수행을 위한 방편으로 기(氣)를 전신으로 잘 흐르게 하고 신체의 각 부위들의 균형을 이룰 수 있게 한다. 부드러움은 태극권이 추구하는 핵심적인 개념으로 단순히 강함의 반대인 부드러움이 아니라 오랜 수련으로 강함과 약함이란 근력에 근거한 개념이 사라져서 기로 ‘중화(中和)된 부드러움’을 말한다. 이는 수련으로 승화된 몸의 부드러움이며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고 걸리지 않는 자유로움의 상태이기에 상대에게 휘둘리지도 상대를 배척하지도 않는 사기종인(捨己從人)의 경지로 가는 관문이 된다. 이런 경지에 이르게 되어야 비로소 권(拳)과 도(道)가 합해지는 것이고 권술(拳術)의 도를 말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태극권(太極拳)으로 보는 무(武)의 정의

        김희섭,권오륜,한동일 한국체육철학회 201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7 No.1

        This paper is intend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aijiquan and to define a Martial Art from the perspective of Taijiquan. Taijiquan is not just a technique to develop your body, but a body-mind discipline. Taijiquan, which tends to make your body and mind changed with Qi, keeps pace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ie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Taijiquan can take us to succeed to the studies of Martial Arts. Korean scholars have interest in making a desirable Korean term of Martial arts compared with Chinese and Japanese one. However they have rarely treated a Chinese Martial Art. This study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traditional Martial Art Taijiquan could be meaningful. It is certain that the attitude of Martial Art study should be open-minded so the future of it is extensible. Thus an international seminar like Chongju World Martial Arts Conference would be prosperous and the industry of Martial Arts also promising. It is difficult to unify Martial Arts in order due to its diversity. In this respect it is essential for us to distinguish traditional Martial Arts from sports Martial Arts. The classification makes the studies of Martial Arts developed. The argument that Taijiquan is not a tip of Martial-art craft but a body-mind self-discipline like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修己治人) in Confucianism is possible with the concept of traditional Martial Arts.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무술인 태극권(太極拳)의 속성을 알아보고 이 연장선에서 무(武)에 대한 정의를 해보려는 것이다. 태극권은 단순한 기교나 술법에 머무는 무술이 아니라 몸과 마음의 관계를 다루는 수행법이다. 태극권은 기(氣)의 중화(中和)작용으로 몸과 마음을 변화시키는 무술로써 불가의 선(禪), 유가의 수기치인(修己治人), 그리고 도가의 수행법과 그 흐름을 같이한다. 이런 태극권은 무(武)에 대한 많은 담론으로 이어갈 수 있다. 우리 학계는 그동안 중국의 무술, 일본은 무도, 한국은 무예란 용어로 구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실제 중국의 무술에 대해서는 잘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중국전통무술인 태극권의 관점으로 무에 대한 담론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여긴다. 무(武)의 담론은 닫혀있기보다 열려있어야 확장성이 생긴다. 그럴 수 있어야 충주무술대회와 같은 국제교류는 더욱 활발해지고 보다 밝은 미래 스포츠의 한 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다. 그러나 무의 종류과 방법이 다양한 만큼 무의 개념은 획일화시키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 최소한 전통의 무술(예)과 경기용 무술스포츠에 대한 구별이 있어야 무의 철학적 담론은 더 분명해지고 확장될 수 있다. 태극권이 기예의 말단이 아니라 유가의 수기치인과 같은 몸의 수행법이라는 사실은 전통무술의 관점이어야 가능하다.

      • KCI등재

        『道德經』의 태극권 拳理와 養生적 가치

        고영근(高英根)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道敎文化硏究 Vol.36 No.-

        과거 태극권은 자연권으로 호칭되었던 바처럼, 태극권은 도가사상의 영향하에 창안되고 발전되었다. 특히 태극권 수련에서 중시하는 柔?靜?陰陽등 주요개념들은 ?도덕경?의 내용중에서 상당부분 보여지고 있다. 전통 무술중 특별한 권법과 권리를 지닌 태극권은 시대흐름에 따라 그 특징과 수련목적도 진화하고 변천해왔다. 현대에는 상대방을 제압하는 기격술이란 무술적 가치 외에도, 각종질병의 치유 및 예방의학 및 대체 의학적 효과 즉, 양생적 가치가 더욱 중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통치자의 통치철학과 인간의 처세관을 다룬 도가경전인 ?도덕경?을 태극권의 무술적 권리와 양생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도가사상이 태극권의 권리와 양생에 미친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태극권 융복합 예술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에 관한 고찰- 태극권 융복합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유비,진승현 한국예술교육학회 2024 예술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태극권 융복합 예술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태극권 융복합 퍼포먼스를 중심으로하여 태극권의 전통적인 원리와 기술을 다른 예술 형태와 융합시키는 창작 활동에 대해 탐구하고분석한다. 이 연구는 태극권 융복합 예술이 문화 콘텐츠 산업에서 어떠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문화적인 가치를 어떻게 제공하며 문화 교류와 이해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또한, 본 연구는 태극권융복합 퍼포먼스의 다양한 예술 요소들이 어떻게 조화롭게 결합되어 관객들에게 예술적인 경험과 감동을 전달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는 태극권 융복합 예술의 문화 콘텐츠적 가치를 강조하고, 예술적 창작과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제시한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cultural content value of Taekwondo fusion art, focusing intently on the synergy between Taekwondo fusion performance and a spectrum of art forms. It scrutinizes the amal gamation of traditional Taekwondo principles and techniques with contemporary artistic expressions, dissecting the creative endeavors that converge these elements to forge innovative cultural content. The research evaluates the value proposition of Taekwondo fusion art within the cultural content in dustry, assessing its capacity to enrich cultural value, catalyze cultural exchange, and deepen mutual understanding. By examining the integration of Taekwondo’s philosophical underpinnings with mod ern art forms, the study uncovers how this fusion transcends conventional norms and paves the way for new creative explorations. The study offers an exhaustive analysis of the harmonious blend of diverse artistic elements within Taekwondo fusion performance, illustrating how this union yields a synergy that engenders profound artistic experiences and emotional resonance among audiences. It posits that the unique amalga mation of physical movement, rhythm, and narrative in Taekwondo fusion art presents a fresh per spective on cultural expression, one that is steeped in tradition yet brimming with innovation. The study argues that this fusion art not only preserves the essence of Taekwondo but also infuses it with a dynamic contemporary relevance, making it a potent medium for cultural dialogue and artistic evolution. Ultimately, the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t cultural content value of Taekwondo fusion art, highlighting its potential to substantially contribute to artistic creation and cultural development. It advocates for a broader recognition and integration of Taekwondo fusion art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suggesting that such an approach could yield a rich tapestry of artistic innovation and cul tural exchange.

      • KCI등재

        간화선과 태극권의 비교연구

        김희섭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Ta-hui(大慧宗杲: 1089-1163) said, “Chan(禪) is not in a quiet or noisy place and not in a distinguished or Nidana place. It is just in the place of yours when you open the door of it.” The fact that Taijiquan is called ‘Chan through moving’might be based on his word. Taijiquan representing Slow and Soft moving is not such a martial art as just is learned techniques of its arts and then applied for a fight, but it is the one to connect its outer motion with its inner energy making it united one. So Taijiquan is composed of two parts of which the first is a basic one making body be proper condition for Taijiquan and the second is kind of tou-shou practicing. The two parts can be called ‘Chan through moving’. This process can be explained by the terms of Kan-hua Chan(看話禪). First, the first part of Taijiquan’s body training course needs a concrete belief and inner-direction of Ta-hui’s. Because essentially this process costs any practicer a life of long exercise and endurance. Second, Taijiquan cannot be understood by any words or letters just as Chan can’t be passed on to anyone like that. Just as the enlightenment of Kan-hua Chan can be attained after losing a way of word and thinking by a means of having Hua-tou(화두) with a great doubt, Taijiquan also can’t be achieved just by hard training or a way of explaining or letters. Thirdly, Taijiquan is finished in the conversation between a master and a student just like Ducan(獨參) training in Kan-hua Chan. In the point of their intersection of two hands, the student can identify his own standard and find out the mind of Ta-hui and Hui-neng(慧能). 대혜종고(大慧宗杲: 1089-1163)는 “선(禪)은 고요한 곳에 있지도 않고 시끄러운 곳에 있지도 않고 생각하여 분별하는 곳에 있지도 않고 일상생활의 인연에 응하는 곳에 있지도 않다. 문득 눈이 열리면 전부 자기 집 속의 일이다.”라고 하였다. 태극권(太極拳)이 ‘움직이는 선[動禪]’이란 얘기는 기본적으로 이런 가르침에 합당한 선 수행의 하나란 얘기다. 느림과 부드러움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권은 단순히 외형적인 동작을 익히고 외워서 상대와 대련을 통한 적응력을 기르는 무술이 아니라 한 번의 움직임으로 신체 각 부분과 내기가 함께 움직이는 기의 합일을 중시하는 무술이다. 따라서 태극권은 몸의 조건을 만드는 기본과정과 그 과정 후 이어지는 갈수 과정으로 나눌 수 있고 이 두 과정이 모두 선수행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간화선 수행의 용어로 정리하자면, 첫째, 몸의 내부와 외부의 합을 이뤄내는 태극권의 기본 과정은 대혜가 공부하는 이들에게 강조한 믿음과 주체의식이 그대로 적용된다. 이 과정은 인고의 시간과 수련이 필요하기에 흔들리는 않는 믿음과 주체의식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둘째, 선(禪)을 불립문자(不立文字)의 공부라 하듯이 태극권도 말이나 글로 전달할 수 없는 공부이다. 의문을 가지고 화두를 들고서 말길이 없어지고 생각이 없어진 뒤에 깨침을 얻게 하는 간화선처럼 태극권의 성취도 몸의 고행만으로 얻을 수 없고, 생각과 문자로도 도달할 수 없는 ‘붕리제안채열주고’의 공부인 것이다. 셋째, 간화선의 독참(獨參)처럼 태극권의 갈수는 정문정안(頂門正眼)의 스승과 제자가 전통의 법수(法手)를 나누는 공부 과정이다. 서로 마주하여 교접(交接)을 이룬 양손의 그 접점에서 제자는 자신의 견처(見處)를 보이고 스승이 이를 이끌어 이윽고 혜능의 견성을 보고 대혜의 마음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명상으로서 태극권

        김희섭(Kim, Hee-Sub) 한국체육철학회 202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태극권이 가진 명상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태극권은 동북아시아 문화의 여러 속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무술, 둘째는 건강을 위한 운동법, 셋째는 주역의 변화와 노자의 무위를 실현하는 몸 철학, 네 번째는 명상으로서의 특징이다. 국내의 여러 연구는 앞의 세 가지 속성에 대해서 어느 정도 다뤘지만 네 번째 명상의 속성에 대해 다룬 적은 거의 없다. 그래서 명상의 속성을 먼저 살피고 그에 대비해 태극권 명상의 특성을 다룬다. 본래 불교 수행법을 기반으로 한 근대 명상은 서양의 심리학자들이 임상실험으로 몸과 마음의 문제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면서 심신의 치료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 연장선에 있는 것이 움직임 명상[Meditation in movement] 태극권이다. 느림과 부드러움의 움직임을 특성으로 하는 태극권은 무술로 전해져 왔으므로 문헌에는 명상이라고 직접 표현하지 않지만, 명상적 속성임을 알 수 있는 심법(心法)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명상은 호흡과 관련한 신체 일부에 집중하지만, 태극권은 신체 전체 움직임과 그 내면의 부분에 집중한다. 같은 명상이라고 하지만 그 행위의 과정에서 접점이 되는 부분과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다. 거칠게 말하면 둘의 공통점은 자신을 객관화하고 관조하는 ‘알아차림’이고 다른 점은 몸의 감각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Taijiquan or Taichi meditation. Taijiquan has some cultural significance in East Asia. The first is as a martial art, the second as an exercise for health, the third as the realization of the philosophy of I-ching and Lao-tzu, and the fourth as meditation. Many Korean academic papers on these first three parts have been studied, but the fourth part has not been covered. So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editation and specifically Taijiquan meditation. Meditation, which has been practiced in Asian religious and spiritual traditions, is recognized for it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benefits by Western clinical professionals’ attention. This meditation in the movement of Taichi is also similarly supported. Taichi is a traditional martial art of slowness and softness. However, we cannot find it used as the term ‘Meditation’ on any page of traditional Taichi text. But the rules or theory of Taichi teach meditative movement. Meditation focuses on specific parts of the body like breathing, but Taichi focuses on the whole body and the inner body. Each has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Generally speaking, their common point is ‘awareness’ in objective and meditative attitude, but their difference is in the way they use the body and se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