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泰國의 漢子敎育

        암파이 암롱쌉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3 No.-

        태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자교육은 현대한자를 그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중국어'라는 외국어의 일환으로서, 한자쓰기의 기능을 장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자 교육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한자 과목을 따로 개설하여 한자 교육을 단독으로 실시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한자를 중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처리하여 중국어 교육과정 속에 포함시키는 경우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태국에서는 후자의 경우가 더 보편적이다. 태국의 각 학교에서는 한자 해석, 필획과 그림 등을 이용한 방법으로 한자 교육을 전개하고 있다. 태국 학생들이 한자를 학습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주로 모국어인 태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다. 在泰國的漢字敎學是指以現代漢字爲主要內容的, 用外語敎學方法進行的, 目的在讓學生掌握漢字書寫運用技能的敎學活動, 主要分爲兩類: 一類是漢字敎學單獨設課, 專門開設爲“漢語文字課”; 男一類是漢字敎學放在課文敎學之中, 主要放在<初級漢語>課課程內. 泰國各學校大多采用解釋漢字. 講解筆畵和看圖識字等方法開展漢字敎學. 泰國學生在學習漢字時出現的問題主要是受母語的影響.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연구

        타나폰빠리깜신 ( Tanatporn Parikumsi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9 한국어와 문화 Vol.25 No.-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실현 양상을 분석한 연구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양상이 한국어 모어 화자, 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했을 때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변인에 따른 불만스러운 상황을 설정하여 세 집단 간의 불만 평가, 반응 방식, 불평화행 유형 사용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 태국어 모어 화자 30명,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30명 총 90명으로 대상으로 서면 담화 완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사회적 변인인 사적 상황과 공적 상황, 사회적 거리, 권력에 따라 한국어 모어화자, 태국어 모어 화자,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세 집단이 불만 평가, 반응 방식, 불평 화행 유형 사용 양상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더 가까운 지 아니면 태국어 모어 화자에 더 가까운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세 집단 모두 불만 평가, 반응 방식, 불평 화형의 사용 양상 이 조금씩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 대상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사회적 변인에 따른 반응 방식이 모국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지만, 불평 화행 실현 양상 대부분은 한국어 모어 화자처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유형 빈도는 항상 한국인과 태국인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불만을 표현해야 할 상황에 처했을 때 한국인에게 예의를 지키는 선에서 적절하게 불평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성이 있으며, 불필요한 갈등 방지하기 위해 한국인이 불평을 할 때 어떤 의도를 함의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ree groups on dissatisfaction assessments, response methods and complaint speech act type patterns and analyze them by setting up unsatisfactory situations according to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to see how the complaint speech acts are different when comparing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ai native speakers. This study has conducted DCT test of a total of 90 people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the groups on dissatisfaction assessments, response methods, and complaint speech act usage patterns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Thai native speakers, and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depending on social factors such as private and public situations, social distance and power, and see if Thai Korean-language learners are closer to Korean native speakers or Thai native speakers.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all three groups were a bit different in their dissatisfaction assessments, respond methods and complaint speech act usage patterns.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that their response methods according to social factors were affected by their native language, but showed that they use most of their complaint speech act realization patterns similar to Koreans.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can see that in many cases it i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complaint speech act patterns for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was in between Koreans and Tha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to appropriately express their complaints while still being polite to Koreans when they face a situation where one needs to express dissatisfaction, and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conflicts, it is necessary to have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that what intensions speakers have when Koreans complain.

      • KCI등재

        태국 전력/에너지 체제의 경로 형성과 지속가능성 평가

        엄은희,신동혁 한국동남아학회 2017 동남아시아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메콩 유역 내 최대의 전력/에너지 소비 국가인 태국의 전력/에너지 체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태국의 전력/에너지 인프라 정책은 국경 내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메콩유역국가들 간, 더 나아가 아세안의 전력교류 및 경제통합과도 긴밀한 연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태국의 국내적 차원(national level)뿐만 아니라 대륙부 메콩을 아우르는 지역적 차원(sub-regional level)에서 태국의 전력/에너지 체제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현재까지 변화되어 왔는지까지 검토하였다. 한편, 2015년 파리협정을 기점으로 출범하게 될 신(新)기후체제 하에서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도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자발적 책임과 감축의 의무가 주어진 만큼 태국도 기존의 전력/에너지 정책의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따라서 우리는 태국의 최근 에너지 정책을 검토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에너지 체제로의 전환 가능성을 평가해보았다. 또한 태국의 시민사회가 국가의 전력/에너지 계획 설정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태국의 에너지와 기후변화 분야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태국의 전력/에너지 체제는 냉전 시대 하에서 미국 등 서방세계의 지원으로 급속 성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태국전력공사(EGAT)는 태국 에너지 정책에 있어 핵심적인 행위자로 작용하였다. 또한, 태국의 지리적 위치와 주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 수준은 향후 지역 내 전력망 구축에 있어서도 그 중요성이 계속 부각될 전망이다. 다른 한편, 2015년에 수립된 태국통합에너지청사진을 에너지 트릴레마의 분석틀로 검토한 결과 태국은 여전히 환경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어 지역적 차원의 환경적 고려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태국의 시민사회는 지금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국가의 전력/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 정책에 영향을 미쳐왔으나, 2014년 쿠데타 이후 그 움직임이 많이 둔화된 상태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태국 뿐 아니라 메콩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을 위하여, 태국의 현 전력/에너지 체제와 정책 방향에 대한 지속적 관찰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 태국 및 메콩지역의 정부 뿐 아니라 시민사회 진영과 다양한 노력에 협조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태국 화인화문 시문학의 트랜스내셔널리즘과 문화적 정체성 연구

        박남용 ( Park Namyong ) 세계문학비교학회 202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0 No.-

        본 연구는 태국의 화인화문(華人華文) 시문학을 대상으로 태국의 화인 시인들과 그 작품세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이들의 시 속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리즘과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해 보고자 한다. 태국의 화인은 태국 총인구에서 약 14% 정도를 차지하며 정치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들어 중국의 일대일로 대외정책 속에서 태국과의 긴밀한 외교관계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태국의 화인화문 시문학의 세계를 검토하며 동남아 화인 사회의 형성과 발전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는 태국 화인화문시의 형성원인과 발전과정을 살펴보며, 주요한 시인들과 작품들의 세계를 분석하고 있다. 무엇보다 태국의 화인화문 시문학은 근대 중국의 혁명과 5ㆍ4 신문화 운동, 그리고 항일 전쟁의 영향 속에서 발전하며 많은 신문 잡지가 창간되고 시와 소설, 산문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이 글에서는 특히 화인화문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쯔판(子帆), 리사오루(李少儒), 링란런(嶺南人), 쩡신(曾心) 등의 시인들을 작품세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태국의 주요 시가단체로서 소시를 창작하고 있는 ‘소시 방앗간(小詩磨坊)’의 작품세계도 연구하였다. 이들의 작품세계를 연구하며 고향과 조국을 떠나 태국으로 이주한 디아스포라의 삶과 문화, 그리고 그들의 의식세계에 놓여 있는 고향과 조국에 상상 문제를 검토하였다. 또한 태국으로 이주하여 고향과 조국과 거리를 두고 살면서 초국가적인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화인문화와 토착문화가 상호 융합되는 현상들을 볼 수 있었다. 이들의 작품은 무엇보다 고향과 조국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표현하였으며, 태국 현지 사회 속에서의 중화민족의 전통문화를 수용하며 현대 도시문화에 대한 감각과 시적 정서를 표현하였다. 이러한 태국의 화인화문시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세계화문문학(사이노폰) 문학을 총체적으로 연구하며, 독자적인 학문 영역 세계를 새롭게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inese poets of Thailand and their world of work by analyzing the Chinese poetry literature in Thailand to understand their poems’ transnationalism and cultural identity. The Thai Chinese community accounts for about 14% of the total population of Thailand and occupies a significant political and economic position. China’s One Belt, One Road foreign policy calls for a clos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ailand in recent years. In this respect, examining the world of Chinese poetry in Thailand and the development of Chinese society in Southeast Asia is necessary.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 of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Chinese poetry in Thailand and analyzes the world of significant poets and works. Above all, the contemporary Chinese revolution, the May 4th New Culture Movement, the anti-Japanese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numerous newspapers and magazines all impacted the development of Thai Chinese poetry, literature, prose, and novel works. In particular, this analyzed the world of works of poets such as Zi Fan, Li Xiaoru, Ling Nanren, and Zeng Xin. They occupy a significant position in Chinese poetry. In addition, possessing knowledge about the art world of ‘XiaoShiMofang,’ an influential poetry group in Thailand that creates XiaoShi, is beneficial to fulfill this study. The study of life and culture of the diaspora in Thailand could see the phenomenon of the fusion of Chinese culture and indigenous culture with a transnational cultural identity by moving to Thailand and living far from their hometown and motherland. Their works, above all, express the feeling of longing for hometown and homeland. Hopefully, this study of Chinese poetry will help to establish a new world in the independent academic field by studying global Chinese literature (Sinophone) literature as a whole.

      • KCI등재후보

        태국 음식을 통해 본 한국 속 ‘동남아 현상’

        윤진표(Jinpyo Yoon)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1 국가와 정치 Vol.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에 관한 초국가주의적 시각을 바탕으로, 태국의 음식문화가 국경을 넘어 한국에 확산되고 있는 현상을 한국 속 ‘동남아 현상’이라는 개념설정 아래 태국 음식의 근원과 경로를 살펴보는 것이다. 다채로운 태국 문화의 근원을 이루는 태국음식의 특징을 알아보고, 태국 음식이 국경을 넘어 확산되는 유인과 세계화 전략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한국 내 태국 음식의 현황을 태국 음식점의 개설 상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200여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 사람들이 태국 음식에 대해 갖는 인식과 반응을 알아보았다. 한국과 태국을 오가는 상호방문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태국음식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며 확산되고 있는 현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의 입맛에 태국음식은 아직 생소하고, 잘 맞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남아의 특징이 강하게 배어있는 태국음식은 짧은 기간에 한국 사회에 상당히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고, 한국인들의 입맛에 맞추어 나가는 노력을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태국 음식이 한국에서 초국가적인 문화현상으로 자리 잡는 것과 관련하여, 한국 속 ‘동남아 현상’으로서 태국음식은 익숙해짐과 현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인의 문화적 다양성을 키우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rigin and channel of the Thai food using the conception of 'Southeast Asian Phenomenon' in Korea which expands beyond the border on the basis of transnationalism. This study stipul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ai food which consists of dynamic Thai culture. It also focuses on the incentives of the Thai food and its global strategy beyond the border.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hai restaurants in Korea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Thai food in Korea, the recognition and response of Korean people to the Thai food are examined through the survey with over 200 people. Despite of the rapid increase of mutu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Thailand and the global popularity of the Thai food, the Thai food may be still new and less attractive to Korean people. But as one of the symbols of Southeast Asian culture, the Thai food has been penetrating into the Korean society for the short period and has been making every effort to adapt to the tastes of Korean people. Finally, with the connection of settling down the Thai food in Korea as a transnational cultural phenomenon,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looks forward to the Thai food's contribution to developing Korean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e familiarization and localization of the Thai food in Korea as a 'Southeast Asian Phenomenon' in Korea.

      • 태국의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발전현황과 우리나라와의 기술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배종태,한석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1 정책연구 Vol.- No.-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1) 태국의 과학기술정책 및 장기발전계획태국은 제 5 차 경제사회개발 5 개년계획(1 982-1986 년)에서부터 과학기술부문에 대한 계획을 수립해왔고, 특히 제 7차 경제사회개발 5 개년 계획(1 992-1996 년)에서는 과학기술발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과학기술투자 및 기술인력이 전반적으로 매우 부족하고 기술축적노력 및 수용시스탬이 미흡하여 태국의 기술발전을 가로막고 었다.2) 태국의 기술발전 현황 및 기술수준 분석태국은 생명공학 관련산업, 소재/기계 관련산업, 전자/컴퓨터 관련산업을 전략산업군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과학기술투자 및 외국인투자 촉진을 추구하고 있으나 전반적 기술능력은 아직 매우 낮은 형편이다. 그러나 일부산업의 생산조업기술 등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국의 6 개 중소기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기술능력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제시하였다.3) 과학기술과 관련된 태국 주요기관들의 역할 및 기능분석태국은 과학기술에너지성 (MOSTE) 을 중심으로 과학기술과 관련된 여러 부처 ? 기관이 있으나, 구체적인 과학기술 발전전략이 명확하지 않고 이들 부처간의 정보유통 및 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과제계획서를 여러 정부 부처에 제출하여, 여러 곳에서 연구비를 받아오는 상황도 생겨나고 있다. 또한 태국 과학기술연구소 (TISTR) 와 대학, 정부내 3 개 연구센터들의 연구기능도 아직 매우 미약하며, 연구수행 및 연구지원기능을 MOSTE 산하로 집중할 것인가 아니면 여러 부처로 분산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일고 있다.4) 우리나라와 태국과의 기술협력 방안우리나라는 우선 태국에 대한 경제협력을 강화하여 합작기업이나 자회사설립, 또는 지사설치 풍을 통해 잠재성이 큰 동남아 시장에 교두보를 마련해야 하며, 점차적으로 기술의 공여 및 이전,공동연구수행 둥을 통해 활발한 기술판매와 기술 협력을 강화해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잠재성이 큰 기술협력 분야로는 식품가공, 전자, 통신, 자동차, 석유화학, 섬유, 제약산업 둥을 들 수 있다.제2 절 연구의 정책적 의미태국과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5 개년계획 추진과정을 비교해 보면,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에 있어서 국가정책 방향 및 정치가의 의지와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었다. 즉 경제개발 5 개년계획을 시작할 당시 우리나라는 농업국가이었지만 공업중심 정책을 추진하는 둥 미래지향적인 도약적 발전전략을 채택한 반면, 태국은 농업국가라는 주어진 당시 상황에 집착하여 농업충심의 검진적 발전전략올 채택하였으며, 그 결과 산업발전이 크게 낙후되었다.한편 태국이 지난 4-5년간 높은 경제성장율올 보여주고는 었으나 자체기술능력으로 뒷받첨 되지못해 현재의 과학기술체제가 계속되는 경우 향후의 지속적 산업 및 기술발전 가능성은 매우 작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기술발전 없는 경제발전은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외국에서 도입된 기술의 소화개량이 매우 충요함을 말해준다.또 한가지 이 연구가 주는 정책척 시사점은 개발도상국의 발전전략 선택은 매우 복합적인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이다. 즉 개발도상국 발전전략의 선택은 해당국가의 경제상황이나 과학기술수준 둥에 의해서만 아니라, 문화척/역사척 요언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우리나라는 유교척 전통 때문에 교육열이 매우 높았고, 이는 인력양성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외국기술을 배워 우리기술로 만들려는 남다른 학습의욕 (Learning Motivation) 은기술의 내재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반면 태국은 역사적으로 다른나라의 식민지가 된 경험이 없어서 외국에 대해 매우 호의척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여러 영향으로 인해 민족주의나 기술내재화 의욕이 약하고 외국인 합작투자 풍올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었다. 다른 각도로 보면 선견력이 있는 정치가의 리더쉽이 없는 한, 태국의 정치 ? 경제 ? 사회 ? 기술 ? 문화롤 고려해 볼때 태국이 취할 수 있는 정책은 현재와 같은 기술종속형 발전전략이 유일한 선태이 아니었을까 하고 생각해 볼 수도 있는 것이다.한편 본 연구에서는 태국의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발전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려고 노력하였는데,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태국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나아가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각종자료를 수집 ?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업들의 대 동남아 전략수립 및 정부의 과학기술협력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또한 학문적으로는 태국에 관련된 자료수집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발전에 관한 비교연구가 가능해진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상황에 맞는 바람직한 개발도상국 모형을 개발하는데 창고자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며, 나아가 향후 동남아 여러나라들의 기술발전동향 및 과학기술정책을 분석하는데도 유용하리라고 생각된다.제 3 절 향후 연구방향본 연구는 태국의 경제 및 과학기술에 대한 분석만을 다루고 있으나, 향후 태국 뿐만 아니라 아시아 각국(특히 ASEAN 국가들)에 대한 유사한 연구를 통해 자료를 체계적으로 축적하면 우리나라 정부 및 기업의 아시아 진출전략 수럽의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ASEAN국가들의 경제정책 및 기술발전전략 분석, ASEAN 국가들과 우리나라의 협력전략연구 등이 향후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 또한 향후 연구를 통해 각국의 경제적 특성 및 산업구조를 파악하고 각국의 문화, 사회규범,제도 풍을 분석하여 아시아에 적합한 개발도상국 겸제발전모형 및 기술발전모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발전전략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애서는 자료수집의 어려움 및 시간 및 예산상의 제약 등으로 인해 태국의 각 산업에 대한 섬층분석을 하지 못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개발도상국간의 구체적인 기술협력분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발도상국 각국의 주요산업에 대한 심충분석을 통해 각국의 필요기술 목록을 파악하고, 아울러 우리나라가 줄 수 있는 기술 목록을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동 동남아 국가들은 세계시장에서 우리의 경쟁대상국으로, 또 세계시장의 블럭 (Bloc)화 추세속에서 아시아경제권 구축의 협력대상국으로 점차 우리에게 중요한 국가들로 부상하고 있으며, 세계시장에서의 위상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미국, 일본, 유렵 일변도에서 벗어나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풍 개발도상국 지역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져야하며, 본 연구가 이러한 노력에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태국의 한류 - 문화의 초국적 소비와 재생산

        이미지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아시아문화연구 Vol.53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look back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Wave in Thailand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ave and the forms of its acceptance in the country today. Based on these efforts,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Korean Wave in Thailand for the last 15 years and have contemplation over its future directions. The study first examined how much the popular culture of South Korea was consumed in Thailand. There was a recent rapid decrease to the exports of South Korean broadcasting programs to Thailand, but the number of South Korean broadcasting programs that aired in the nation made an increase in recent years. In Thailand, a demand market was created for overseas dramas even in the early days of broadcasting stations. In 2014, rapid changes started to happen to the nation's broadcast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digitalization and multi channelization of terrestrial broadcasting. This media situation of Thailand is promoting demand for South Korean dramas in the nation. The study examined the forms of Thailand accepting South Korean dramas and found that they were adding South Korean elements to the content they produced and purchased the formats of South Korean broadcasting for their dramatization into the Thai style. They were localizing the Korean Wave voluntarily and actively beyond simple import and consumption. Thai dramas and shows with South Korean elements reproduced in the nation inherent in them were transmitted to China and neighboring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consumed in those countries beyond Thailand. The Korean Wave in Thailand shows the possibilities of cultural exchanges in two or more directions among Asian nations and further those of a pan Asian cultural zone. By analyzing the Thai cases, the present study reconfirmed the roles and importance of users in the transnational movement of culture and emphasized that South Korea's viewpoint of the Korean Wave should move from its focus on South Korea to its focus on countries accepting the Korean Wave according to this flow.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국 한류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돌아보고, 현재 태국에서 보이는 한류의 특징과 수용의 형태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태국 한류의 15년을 평가하고 한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찰했다. 본고에서는 먼저 태국에서 한국 대중문화가 얼마만큼 소비되고 있는지 객관적인 수치를 통해 확인했다. 한국의 대 태국 방송프로그램의 수출액은 최근 급격한 감소 추세에 있었지만, 실제로 태국 내에서의 방영편수는 최근 오히려 증가했다. 태국에서는 방송국 개국 초기부터 해외드라마의 수요 시장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2014년부터 지상파의 디지털화, 다채널화가 진행되는 등 방송환경이 급변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지의 미디어 상황이 한국드라마의 수요를 촉진하고 있었다. 태국에서의 한국드라마 수용 형태를 보면 단순한 수입과 소비를 넘어서, 자국에서 제작하는 콘텐츠에 한국적인 요소를 삽입하거나, 한국방송의 포맷을 구입하여 태국판으로 각색하는 등 한류의 자발적인 현지화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었다. 이렇게 태국에서 재생산된 한국적인 요소를 내재한 태국드라마 등은 태국 내에서의 소비에 그치지 않고, 다시금 중국과 주변 동남아시아로 송출되어 소비되고 있었다. 이처럼 태국의 한류는 아시아 국가 간 쌍방향・다방향 문화교류의 가능성, 나아가 아시아 문화 권역의 형성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태국 사례 분석을 통해 초국가적 문화 이동에 있어서의 수용자의 역할과 중요성이 재확인되었으며, 우리의 한류를 보는 시각 또한 이러한 흐름을 고려하여 자국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한류 수용국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 KCI등재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쓰기 지도 제안 연구 : 학습자 요구 조사를 기반으로

        Wanvaja Suketsa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수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태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해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태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과 졸업생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 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태국의 쓰기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3장에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수업에 대해 몇 가지를 제안하였으며, 그 제안을 토대로 쓰기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학생들이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초급 쓰기 주제는 일상생활과 연관된 주제이다. 이는 학습자가 쓰기를 어렵게 느끼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관심을 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쓰기주제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해서 정해야 하며,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초급의 주제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주제부터 시작하여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학문적인 글쓰기로 이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쓰기 수업은 한국인-태국인 교수가 모두 협동하여 이루어지는 수업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다. 특히 초급반에서는 도입과 글에 대한 설명은 태국인 교수에 의해서 진행되고 실제 쓰기 과정과 숙제 점검은 한국인 교수의 지도 아래에서 운영하는 것이다. 쓰기 교재는 삽화가 들어있는 교재로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쓰기 교수 학습방법은 학습자 중심이고 과정 중심 그리고 문형 활용이 아닌 텍스트의 구성과 흐름 등을 중요시하는 텍스트 중심 교수 방식이 활용되어야 한다. 쓰기 수업 진행 시 반드시 모범 텍스트를 제공 해 주어야 하며, 아이디어 창출 과정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끼리 오류를 교정해 줄 수 있도록 하면서 마지막으로 교사가 오류 교정을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교수는 반드시 오류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해 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eaching methods in Korean writing for beginner Thai learners. In order to progress, the researcher first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writing in universities in Thailand and, in the second chapter, conducted a survey regarding the demand of learners about Korean writing. Next, the writing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odel are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First, to help the learn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writing, the class should start with a topic related to daily life to educate them that actual writing is not only for examination purposes but it can also be used in our general life. Second, beginner writing classes should be taught by both Korean and Thai teachers together because beginners need to understand the language’s structure and all of its components; these should be described to them in their mother tongu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ird, it is suggested that the learners use writing textbooks that focus on Thai learners, and that include many pictures, to encourage their learning motivation. The topics of writing should be considered to be at the learners’ level, which should start with those related to everyday life. Last, during the writing class, before giving an assignment, the teachers should present an example text and provide enough time so that the learners are able to gather their ideas for writing. Afterward, the teachers should give individual feedback on assignments and give as many explanations as possible about the discovered errors to help the learners clarify error corrections.

      • KCI등재

        태국의 국경경제특구와 메콩지역의 경제통합

        엄은희(Eunhui Eo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9 아시아리뷰 Vol.8 No.2

        2000년대 이후 태국은 반복된 정치적 혼란에 더하여 소위 ‘중진국의 덫’에 빠져 경제성장도 정체된 상태이다. 그러함에도 태국은 메콩 유역의 선도국으로 이 지역의 경제통합과 혁신을 선도할 잠재력이 매우 크다. 본 연구는 태국의 경제 및 산업정책이 태국의 국내정책을 넘어 메콩유역을 포괄하는 경제통합의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태국에서 수도인 방콕과 그 인근 지역을 넘어 국경 지역에 경제특구를 개발하겠다는 이른바 국경경제특구(SBEZ) 구상은 2000년대 이후 나타났다. 이 구상은 장기지속된 정치·경제적 혼란과 지방자치단체의 저항으로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다가 2014년 이후 2단계로 추진 중이다. 국경경제특구의 구체화에는 태국의 최대투자국인 일본의 ‘태국+1’ 모델과의 상호작용이 주효하였다. 연구 결과 태국의 국경경제특구는 태국의 국내 요인과 인접국인 CML(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의 정치·경제적 변화로 인해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는데, 본문에서는 이를 밀어내기 효과와 잡아당김 효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향후 한국의 대메콩협력은 우리 기업이 비교 우위를 가질 수 있는 틈새산업을 발굴하여 태국국경경제특구에 전략적인 진출을 모색함으로써, 태국뿐 아니라 메콩 경제권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동반 성장 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ailand has undergone repeated episodes of political turmoil in its history and has even experienced the so-called “trap of a middle-income country” since 2000s. Yet, Thailand is the most advanced country in the Mekong basin and has the potential to lead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innovation. This study argues for the need to revisit Thailand’s economic and industrial policy not only at the domestic level but also from a viewpoint that encompasses the Mekong sub-region. Here, the aim is to examine the policy of the ‘Special Border Economic Zones of Thailand’ (SBEZ) in relation to the Thailand +1 business model by Japanese investors. The concept of SBEZ could be realized by creating productions bases along border zones between Thai and CLM (Cambodia, Laos, Myanmar) as well as enhancing both inter-regional and intra-regional connectivity in the Mekong region. Thailand’s SBEZs was firstly initiated by the Thaksin administration since 2003, however it encountered strong resistance from local authorities and subsequently generated wide conflicts on pros and cons of the SBEZ within Thai society. Currently SBEZ policies are advancing towards rapid implementation of pilot locations under the Prayuth government and he also firmly committed in formulating favorable integrated policies supporting SBEZ. Toward development of futur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 Mekong reg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ailand’s strategic position in the Mekong region and we should identify the niche points through which Korean companies can gain comparative advantages.

      • KCI등재

        태국음식을 통해 본 한국에서의 동남아현상

        윤진표 ( Jin Pyo Yoon ) 부산외국어대학교 아세안연구원 2013 Suvannabhumi Vol.5 No.1

        본 연구는 초국가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동남아현상’ 중의 하나로 태국음식의 한국 내 전파와 적응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논문은 태국문화의 다양성을 구성하는 태국음식의 기원과 특징 및 태국음식이 국경을 넘어 확대되는 동기와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태국음식의 위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한국내 태국식당의 현황을 조사하고, 한국인들의 태국음식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태국음식의 세계적인 인기와 한국과 태국간의 인적교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태국음식이 아직은 한국인들에게 낯설고 크게 매력적으로 다가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렇지만 한국내 동남아 현상의 확산을 나타내는 주요상징으로서 태국음식은 단기간에 한국사회에 비교적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있고, 한국인들의 입맛에 맞추어 나가려는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초국가적 문화의 확산으로서 한국내 태국음식이 ‘동남아현상’으로 친숙해지고 현지화 하는 단계를 통해 태국음식이 한국의 문화적 다양성을 발전시키는 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