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차성 인공 고관절 치환술 후 고관절 탈구 발생의 위험성

        손원용 ( Won Yong Son ),문준규 ( Joon Kyu Moon ),한상환 ( Sang Wwhan Han ),양재혁 ( Jea Hyuk Yang ),유순용 ( Soon Yong Yoo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4

        목적: 후외방 도달법 및 후방 관절낭 봉합술을 시행한 일차성 인공 고관절 치환술 후 고관절 탈구 발생률과 그 위험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본원에서 시행한 후외방 도달법 및 관절낭 봉합술을 이용한 일차성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술 후 1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211예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탈구의 위험요인 분석으로서 수술 전 환자의 상태와, 수술적 요소로 나누어 탈구군 6예와 비탈구군 120예를 임의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수술 전 요인은 환자의 연령, 성별, 고관절의 기저 질환, 전신 질환, 음주병력 등을 조사하였고, 수술적 요인으로 인공삽입물의 요소에 대해 비교하였다. 인공 삽입물은 수술 직후의 방사선 사진상의 비구 컵의 전염각 및 경사각, 술 후 하지 부동, 대퇴 스템의 전염각 및 전염각의 합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통계학적인 검정은 Fisher`s Exact 테스트 및 T 테스트를 이용하였다. 결과: 탈구는 총 211예 중 6예(2.8%)에서 발생하였고 전방 탈구 4예(1.9%) 후방 탈구 2예(0.9%)였다. 탈구 발생시기는 술 후 평균 6.1일이었고, 5예에서는 보존적 치료, 1예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탈구군과 비탈구군과의 비교에서는 수술 전 환자로 인한 탈구 인자로 설정 했던 연령, 성별, 기저질환, 전신질환, 음주력, 수술 첫날의 Hemo Vac의 양, 수술 전 하지 부동 중 음주력 및 신경학적인 질환을 제외하고 모두에서 수술 후 탈구발생과 통계적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방 탈구군에서 비구 전염각과 대퇴 스템의 전염각의 합은 비탈구군과 비교 시 19도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후외방 도달법 후 시행한 후방 관절낭 봉합술은 술 후 탈구 발생률을 줄일 수 있고, 인공 고관절 치환술후 비구 컵 및 대퇴부품의 전염각의 합이 탈구 발생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Dislocation is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of failure, after implant loosening, in revisional THA (Total hip arthroplasty), and its evaluation and treatment still remain controversial issu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fter THA using the posterolateral approach and posterior soft tissue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8 and May 2003, 211 consecutive primary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ies using the posterolateral approach and posterior soft tissue repair were performed by the same surgeon. To compare the dislocation groups (6 cases) with the non-dislocation groups (205 cases), we randomized 120 of the non-dislocation cases. The risk factors for hip dislocation were categorized into patient factors and surgical factors. Patient factors included gender, age, preoperative diagnosis, underlying systemic disease, and alcoholic history. Surgical factors included position of the component (acetabular version and inclination, femoral anteversion), leg length discrepancy, and sum of anteversions of the cup and stem. Their parameters were measured on postoperative radiographs. Statistics were performed with Fishe`s Exact test and T test. Results: Dislocations occurred at an overall incidence rate of 2.8% (6/211cases). There were 4 (1.9%) cases of anterior dislocations and 2 (0.9%) cases of posterior dislocations. Dislocations occurred on average at postoperative day 6.1 and all dislocated hips were reduced with the closed method, except for one case that was treated surgically.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tient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neurologic disease and alcoholic history. However, the sum of the acetabular and femoral anteversions in the anterior dislocation group was larger than that of the non-dislocation group by approximately 19 degrees.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by using the posterior approach and repair of soft tissue, the posterior dislocation rate after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can be reduced and the sum of the acetabular and femoral anteversions had more influence on dislocations after THAs than did either anteversion alone.

      • KCI등재

        배측 접근을 이용한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

        한수홍 ( Soo Hong Han ),단진명 ( Jin Myoung Dan ),이동훈 ( Dong Hoon Lee ),김영웅 ( Young Woong Kim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4

        목적: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에 있어 배측 접근법만으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골간 인대 복원술 등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그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로 배측 접근법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인대 복원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중 탈구된 월상골이 손목관절을 넘어서 근위부까지 전위된 경우는 제외하였다. 임상적 결과 분석은 설문지를 통한 DASH 점수와 Mayo 손목점수를 이용하였다. 또한 방사선 사진에 의한 주상-월상골간각과 주상골 경유 탈구에서는 골절의 유합 여부를 파악하여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의 DASH 점수는 평균 16.3점 (범위, 10.8~26.7)이었고, Mayo 손목점수는 평균 79점 (범위, 65~90)으로 매우 우수 2예, 우수 7예, 양호 4예였고, 65점 미만의 불량한 결과를 보인 예는 없었다. 방사선 사진상 주상-월상골간각이 평균 49.0° (범위, 35~55°)로 전례에서 정상 범위 내로 유지되었으며, 7예의 주상골 골절도 모두 골유합되었다. 결론: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탈구된 월상골이 손목관절을 넘어 근위부로 전위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의 치료 시 배측 접근법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of the perilunate dislocation and the lunate dislocation which were managed surgically through a dorsal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reviews of the 13 patients who had minimum 1-year follow-up after surgical treatment through isolated dorsal approach for their perilunate dislocations or the lunate dislocations were performed. The case that dislocated lunate migrated proximally through the wrist was excluded in this series. We evaluated the DASH score in questionnaire method and Mayo wrist score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Radiologic results were investigated by measurement of the scapho-lunate angle, and fracture union was also evaluated in the case of trans-scaphoid dislocation. Results: The mean DASH Score was 16.3 points (range, 10.8~26.7 points) and the mean Mayo wrist score was 79 points (range, 65~90 points)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ere 2 cases of excellent, 7 cases of good and 4 cases of fair in the Mayo wrist score. On the radiologic analysis, the mean scapho-lunate angle was 49.0° (range, 35~55°) and all cas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ll cases of the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achieved bone union. Conclusion: Author`s cases showed satisfactory outcomes in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Isolated dorsal approach could give anatomical reduction and appropriate internal fixation in treatment of the perilunate dislocations and the lunate dislocations except the rare case of proximal migration of the lunate through the wrist.

      • 수부의 외상성 중수지 관절 탈구의 치료

        이승구,송석환,이주엽,문창윤,오재찬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적 : 수부의 중수지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이 필요했던 예에서는 정복을 방해하는 구조물에 대해 분석하고 도수 정복이 가능했던 예에서는 성별 및 탈구 형태에 따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총 27예의 수부 중수지 관절 탁구 환자 (무지 11예, 이지 14예, 소지 2예)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탈구된 중수지 관절의 정복을 방해하는 해부학적 구조는 수술시에 확인을 하였으며,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던 예들에서도 연령과 손상된 구조물, 그리고 최종적인 임상 결과를 평균 7개월간 추시 관찰하였다. 결과 : 무지 중수지 관절의 탈구 11예 중 파열된 전방 관절낭, 수장판과 단무지 굴건의 파열을 동반한 복합 탈구가 8예 있어 관혈 정복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만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다. 관절염이 있던 1예는 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수지의 중수지 관절의 탈구는 Kaplan의 개념에 따라 탈구를 수술 정복하였고 파열된 수장판을 복원하였으며, 1예에서 수술시 표재 중수 횡인대만의 절개와 이완으로 정복할 수 있었다. 소지 중수지 관절 탈구의 2예에서 파열된 요측 측부인대가 수술시 관찰되었고 이를 복원하여 수지의 불안정성을 예방하였다. 이들의 최종 결과는 특별한 운동 제한이나 불안정성 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적절한 국소 마취하에 도수 정복을 1~2회 시행할 수 있지만 단순 정복이 가능한 탈구가 부적절한 견인으로 정복이 불가능한 복합 탈구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탈구는 대부분 관혈적 정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복 방해 구조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Purpose : To analyse the obstacles to prevent the reduction for dislocation of the metacarpophalangeal (MP) joints of the hand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 and dislocation type in closed reduction case.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27 cases of MP joint dislocation of the hand (11 cases of thumb, and 14 index and 2 little finge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anatomical structures to prevent the reduction were confirmed at operation and the cases which were reduced immediately were also analysed for their ages and differences of damaged structures, and finally their complications or outcome were reviewed for average 7 months after reduction. Results : In 11 cases of thumb MP joint dislocations, the complex dorsal dislocations in which the protruded metacarpal neck was caught by buttonhole of torn anterior joint capsule, volar plate and FPB were reduced by open method in 8 cases, and closed reduction was done in 2 cases but one old case required arthrodesis. In other finger MP joint dislocations, the Kaplan's concept to prevent the reduction was confirmed. But reduction of torn volar plate and incision of transverse metacarpal ligament were sufficient to reduce the dislocation with gentle longitudinal traction during the operation. In two cases of little finger MP joint dislocation, the ruptured radial collateral ligaments were noted after open reduction and it must the repaired to prevent the finger instability later. Their overall end results were good without any significant restriction of MP joints motions and finger instabilities. Conclusion : One or two times of closed reduction with proper local anesthesia could be tried, but simple reducible dislocation can be converted to complex irreducible ones by the inappropriate traction method, and so proper reduction technique by closed or even in open way is important with the knowledge of anatomical obstacles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s.

      • KCI등재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후 인공 삽입물의 위치가 탈구에 미치는 영향

        김신윤(Shin-Yoon Kim),이지호(Ji-H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목적: 고관절 전치환술 후 탈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중 인공 삽입물의 위치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3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그리고 1998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동일한 술자에 의해 시행한 1,171예의 고관절 전치환술(초치환술) 중, 41예의 탈구가 발생하였다. 이 중 컴퓨터 단층촬영이 가능하였던 탈구군 20예와 비탈구군 20예를 대상으로 하여 방사선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비구컵 전염각, 스템 전염각, 비구 경간각, 대퇴 off-set, 수직 off-set을 측정하였다. 양 군은 탈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술 시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 수술 도달법, 관절낭 복원술, 원인 질환 등을 동일하도록 선정하였다. 결과: 비구컵 전경각은 탈구군에서 평균 14.6°, 대조군에서는 평균 41.6°로 탈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스템 전경각은 탈구군에서 평균 19.7°, 대조군에서는 평균 25.0°이었으며 비구 경사각은 탈구군에서 평균 33.2°, 대조군에서는 평균 39.1°, 수평 off-set은 탈구군에서 평균 32.3 ㎜, 대조군에서는 평균 34.9 ㎜, 수직 off-set은 탈구군에서 평균 31.64 ㎜, 대조군에서는 평균 35.49 ㎜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인공 삽입물의 위치는 고관절 전치환술 후 탈구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였으며, 특히 비구컵의 전경각이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he implant position on a postoperative dislocation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THA) using computed tom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1171 THAS were performed by one surgeon from March 1993 to September 1996, and from May 1998 to October 2004. Tgere were 41 postoperative dislocations. Of these, 20 cases of the dislocated group and 20 cases of the control group were available for CT to check the acetabular and femoral anteversion of the implanted prostheses. Both groups were matched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prosthesis, patient factors, and the surgical approach in order to eliminate the possible effect of these factors on a dislocation. All dislocations involved in this study occurred posteriorly. The cup anteversion, stem anteversion, acetabular inclination, vertical off-set, horizontal off-set and leg length discrepancy were measured using the CT and conventional radiographs on the PACS system. Results: The cup antever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slocated group than in the non-dis-located group (p < 0.001, Chi-square test) respectively. The other variable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among the variables of the implant positions, cup ante-version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a posterior dislocation after THA.

      • KCI등재후보

        양측으로 대퇴골두 골절을 동반한 외상성 양측 고관절 전후방 탈구

        문경호(Kyoung-Ho Moon),이동주(Tong-ju Lee),박영하(Young-Ha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고관절 탈구는 전체 관절 탈구의 2-5% 정도를 차지하며 외상에 의해 양측 고관절이 동시에 발생된 달구는 매우 드물게 보고되어, 그 발생 빈도는 모든 관절 탈구의 0.025에서 0.050%이다. 양측성 고관절 탈구가 한쪽은 전방으로 한쪽은 후방으로 발생한 경우는 더욱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교통사고로 양측 고관절에 동시에 탈구가 발생한 23세의 여자환자로 우측 고관절은 전방 탈구, 좌측 고관절은 후방탈구되어 있었으며 양측 모두 대퇴골두 골절이 발생되었다. 환자의 우측 고관절 탈구 방향은 우측 비구의 전하방이었고, 좌측 고관절 탈구는 후상방이었으며, 양측 대퇴골두 골절이 골두 중심와 상방에 동반되었다. 치료로 즉각적인 비관혈적 도수정복 후 피부견인을 하였다. 6주 침상 안정 후에 부분적으로 체중부하를 시작하였고, 10주째에 완전한 체중부하를 하였다. 추시 중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및 외상 후 관절염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Hip dislocation represents 2 to 5% of all joint dislocation whereas bilateral hip dislocation occurring as a result of trauma is rarely reported, accounting for 0.025 to 0.050% of hip dislocation cases. It is known that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traumatic dislocation with one anterior and the other posterior is even rarer. The case described showed a bilateral hip dislocation which occurred anteriorly at the right hip and posteriorly at the left with both femoral heads fractured as a result of a traffic accident. The right hip of the patient was dislocated in the anteroinferior direction of the right acetabulum, and the left hip in the posterosuperior direction of the left acetabulum. Both hip fractures were accompanied by fragments above the fovea centralis. The patient was treated by immediate reduction followed by skin traction. Partial weight bearing was performed after 6 weeks of bed rest and full weight bearing began on the 10th week. No complications such as avascular femoral head necrosis or traumatic arthritis occured.

      • KCI등재

        흉골 골절과 동반된 외상성 흉쇄관절 전방 탈구의 치료

        최성(Sung Choi),신동주(Dong-Ju Shin),황성문(Seong-Mun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1

        흉쇄관절의 외상성 탈구는 드문 손상으로 전방 탈구가 후방 탈구에 비하여 흔하다. 후방 탈구는 종격동 구조물을 압박하여 잠재적 위험성이 있다고 잘 알려져 있지만 전방 탈구는 그러한 위험성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 전방 탈구라도 흉골 골절의 전방 각형성과 동반된 경우에 후방 탈구와 마찬가지로 종격동 압박이 발생 가능하며 그로인한 위험성이 있다. 본 저자들은 종격동 압박 증상이 있는 흉골 골절과 동반된 외상성 흉쇄관절 전방 탈구에 대하여 금속판을 이용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국내외에서 매우 드물게 보고되는 사례로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 traumatic dislocation of the sternoclavicular joint is a rare injury, and among them, anterior dislocation is more common than a posterior dislocation. Posterior dislocation is a potential risk by compressing the mediastinal structures, but an anterior dislocation has not been considered a risk. Traumatic sternoclavicular joint anterior dislocation associated with anterior angulation of a sternal fracture can develop mediastinal compression and have a risk in the same way as a posterior dislocation. This case report is about a traumatic sternoclavicular joint anterior dislocation with a sternal fracture accompanied by mediastinal compression that was treated surgically using a plate and showed relatively good clinical results. This rare case is reported along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후보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재발성 슬관절 탈구

        조세현 ( Se Hyun Cho ),황선철 ( Sun Chul Hwang ),손강민 ( Kang Min Sohn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2

        고정식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인공슬관절 전치환술은 술 후 탈구의 빈도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공 슬관절 치환물의 탈구 원인은 삽입물의 위치 이상, 술전 외반 변형, 신전근 결손, 과도 이완된 굴곡 간격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 저자들이 경험한 3예 모두는 동일한 디자인인 고정식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인공슬관절(TC-PLUS(R), Plus Orthopedics, Rotkreuz, Swizerland)이었으며, 탈구는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 중 슬관절의 완전 굴곡 시 발생하였다. 3예 모두 슬관절의 후방 탈구였고, 응급실 방문 당시 근 이완제 투여 후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다. 세 증례 모두 2번 탈구와 도수 정복 후 신전근력 강화운동과 보행운동으로 더 이상의 탈구는 없었으나 동일한 모델의 인공 슬관절에서 탈구가 발생한 만큼 폴리에틸렌 삽입물의 형태 개선, 특히 지주를 높임으로써 탈구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islocation of fixed bearing posterior stabilized total knee arthroplasty is very rare. There are several causes of postoperative dislocation such as malposition of the prosthesis, preoperative valgus deformity, a defect of the extensor mechanism and overwidening of the flexion gap. All of the three posterior dislocations of total knee arthroplasty occurred for the same design, which was the fixed bearing posterior stabilized type (TC-PLUS(R), Plus Orthopedics, Rotkreuz, Switzerland). The dislocations happened during full flexion with muscle relaxation and they could be manually reduced with the patient being given muscle relaxant. Each case showed two episodes of dislocation and there was no more dislocation in each case after quadriceps strengthening and walking exercise. In conclusion, this model requires modification of the design, including remodeling of the polyethylene spacer by heightening of the post.

      • KCI등재

        상악 전치부에 발생한 여러 유형의 치아 외상 : CASE REPORT

        임혜정,최남기,양규호,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1

        외상으로 인해 완전 탈구와 함입성 및 정출성 탈구가 병합되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2003년 7월에 10세 2개월의 여아가 상악우측 측절치의 완전탈구와 상악우측 중절치의 함입성 탈구, 상악 좌측 중절치의 정출성 탈구로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일 외상치아를 외과적으로 재위치시켰으며 레진 강선 고정을 시행하였다. 외상 2주 후 완전탈구된 상악우측 측절치는 근관치료를 시행하였다. 외상 3개월 후 방사선사진 상에 상악 좌우측 중절치의 치근 외흡수가 관찰되었으며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근관치료를 시행한 후 치근 외흡수가 정지되었다. 1년 4개월 동안의 관찰기간 동안 병적인 변화없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추후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It is rare that the complete avulsion, intrusive luxation, and extrusive luxation occurred by trauma at the same time. In July, 2003, 10-year and 2 month-old-girl was referred t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e to complete avulsion of upper right lateral incisor, intrusive luxation of upper right cental incisor and extrusive luxation of upper left central incisor. Traumatized teeth were surgically repositioned and fixated with resin-wire splint at the same day. Endodontic treatment of avulsed tooth was performed 2 weeks after trauma. A radiograph was taken 3 months after trauma, which demonstrated root resorption of both upper central incisors. External root resorption was arrested by the root canal therapy with calcium hydroxide. It showed good results for 1 year and 4 month but further follow-up is needed to check root resorption and ankylosis.

      • KCI등재

        탈구된 후경골건에 의해 정복되지 않는 족관절 골절 탈구 - 증례 보고 -

        신승엽,김범수,이지원,윤의선 대한골절학회 2023 대한골절학회지 Vol.36 No.2

        An irreducible ankle dislocation is a rare injury. The cause is a dislocation of the distal fibula anteriorly or posteriorly or the insertion of soft tissue, such as the deltoid ligament or posteromedial tendon. The tibialis posterior tendon can be dislocated through distal tibiofibular diastasis and prevent reduction of the ankle joint. The authors experienced anterolateral ankle fracture dislocation with a diastasis of the distal tibiofibular joint, and reduction was impossible because of impingement of the tibialis posterior tendon dislocated anteriorly through the distal tibiofibular diastasis. This paper reports the treatment of this injury. 탈구된 족관절이 정복되지 않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으로는 원위 비골이 전방이나 후방으로 탈구된 경우, 삼각인대나 내과골 후내측으로 주행하는 건이 내측 관절 내로 삽입된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매우 드물게 후경골건이 내측이 아니라 외측의 원위 경비골 인대 결합 부위로 탈구된 뒤 족관절의 전방 부위를 지나 족부 내측으로 주행하여 족관절의 정복을 방해할 수 있다. 저자들은 족관절이 골절되며 전외측으로 탈구가 되면서 원위 경비골 관절 이개가 발생하였고 후방에 있던 후경골건이 원위 경비골 결합 부위를 지나 족관절 전방으로 탈구하여 족관절의 정복을 방해하였던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해체주의 관점의 탈구성적 표현 특성

        정혜민(Jeong Hye min),박소형(Park So hyo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3

        현대예술은 다양한 양식의 혼재 및 변화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에서도 열린 사고의 유연성을 반영한 탈구성적 표현이 새로운 디자인 발현 양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탈구성의 이론적 배경을 형성하고 있는 해체주의에 대해 고찰하고, 해체주의의 관점의 탈구성적 표현 특성을 해체주의의 대표 아티스트이자 디자이너인 론 아라드의 디자인 제품 사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분야에 다양한 모티브와 영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탈구성의 개념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전형적인 구성의 부정’, ‘정형화된 형태의 거부’, ‘내부의 근본적인 해체’, ‘소재의 선입견 탈피’ 총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표현 특성과 효과를 도출하였다. 론 아라드의 디자인 제품에 나타난 탈구성적 표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형적인 구성의 부정’ 에서는 불완전한 기하학적 형태의 왜곡과 과장된 표현양상으로 정해진 원칙 없이 자유롭고 독창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정형화된 형태의 거부’ 에서는 기본 형태에서 벗어나 비대칭적, 방향성을 무시한 반복되는 패턴으로 형태의 왜곡을 표현하였다. 셋째, ‘내부의 근본적인 해체’ 에서는 붕괴된 질감이나 얽매이지 않은 혼합과 대비의 시각이 양면성을 이룸으로써 변형 및 변위된 개념을 제시하였다. 넷째, ‘소재의 선입견 탈피’ 에서는 서로 다른 이질적인 결합과 극단적인 대비 표현양상을 통해 소재의 경계를 허물고 소재의 선택에 있어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해체주의 관점의 탈구성적 표현특성과 효과는 기존의 개념이 가진 한정적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실험적 시도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놓음으로써, 디자인 발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Contemporary art is forming a new paradigm through the process of mixture and change of various styles. In the field of design, the expression of decomposition which reflects the flexibility of open thoughts is appearing in the style of new design. Accordingly, this study would focus on deconstruction which form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ecomposition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composition which forms the deconstruction through the Ron Arad’s design products, thereby suggesting various motives and inspirations in the field of desig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research classified the concept of the decomposition into 4 types such as “negativity of the typical composition”, “rejection of the typified form”, “fundamental decomposition of the inside” and “escape from prejudice” and from them, the four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expression were ob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decomposition from the view of Deconstruction focusing on the Ron Arad’s design produc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negativity of the typical composition” leads to an incomplete geometrical distortion and overemphasized expression style, thus resulting in a free and creative effect without any specified principle. Second, the type of “rejection of the typified form” showed a pattern which is free from the basic forms, and which is asymmetrical and repetitive ignoring any direction, thus resulting in the distortion of the shape. Third, the “fundamental decomposition of the inside” showed duality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ollapsed texture or the non-bound mixture, thus suggesting the concept of modification and displacement. Fourth, the “escape from prejudice” showed the destruction of the boundary of materials and endless possibilities in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the combination of mutually different foreign things and extremely comparative expressions. As such,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the decomposition expression from the view of deconstruction have the implications that they enable the design to get out of the limited framework of the conventional concept and then make experimental trials using various media, thus providing the data for the design id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