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크로아티아 민족 정체성의 기원과 실체:

        권혁재(Hyok Jae 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1

        크로아티아 민족은 3세기부터 발칸지역으로 이주를 시작하고, 7세기 대규모 민족이동을 통해 현재 거주지에 정착을 한다. 크로아티아 민족이 이동한 지역은고대 로마의 발칸 일리리쿰 지역이었고 이 지역 원주민은 다양한 민족기원에도불구하고 하나의 일리리아인으로 살아가고 있었다. 다양한 사회․정치적 원인으로 7세기 이후 발칸지역의 일리리아 정체성은 새로운 슬라브 정체성으로 변화했고. 9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크로아티아 정체성이 등장한다. 크로아티아 지역에서 나타났던 정체성 변동을 단순히 대규모 민족이동으로 인한 인구교체나 문화교체로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남는다. 발칸지역 원주민과 슬라브인이 융합하면서 발생한 인종 및 지역 정체성의 문제는 다양한 주변적 환경 분석을 통해 명확해 질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대규모 슬라브 민족이동이 시작되는 중세 시대의 발칸 일리리쿰의 상황과 정체성 형성과정을 다양한 가설을 비교하여 분석해보았다. 9세기에 등장하는 크로아티아 정체성은 로마제국의 발칸 일리리쿰 지역에서 발생하였던 단계적인 정체성 전환을 통해 만들어진 최종결과물이 아닌 새로운 정체성의 출현이었다. 크로아티아 정체성이 확립된 이후 에도 일리리쿰과 일리리아 개념은 남슬라브주의, 유고슬라비아주의로 그 이름을 바꾸어 가며 오랫동안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핵심 이데올로기로 재탄생한다. 그리고 현대 크로아티아인에게도 일리리아라는 개념은 크로아티아인이 가졌던 가장 우월한 문명에 대한 동경으로, 자랑스러운 민족의 뿌리로 지속되고 있다. From the 3rd century, Croatian people had started to move to Balkans and settled down in the current area through mass migration in the 7th century. The area Croatian people migrated was the Balkan Illyricum of ancient Roman and the indigenous people of this area had lived as a single Illyrian despite their diverse ethnic origins. Due to the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reasons, Illyrian identity in Balkans changed to new Slavic identity after the 7th century, and shifted to Croatian identity since the 9th century. It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identity-shift taken place in Croatian area with simple population or cultural changes caused by the mass migration. The racial and regional identity issues occurred with the blend of the natives of Balkans and Slavs can be clarified through analyzing the various surrounding environments. In this study,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circumstances and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the Balkan Illyricum of the middle ages when the mass migration of Slavs started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ng various hypotheses. The appearance of the Croatian identity in the 9th century was the final result of the gradual identity-shift taken place in the Balkan Illyricum area after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But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roatian identity, Illyricum and Illyrian identity had been reborn for a long time as the key ideology of the nationalist movement changing its name to South Slavism and Yogoslavism. And until now, the Illyrian identity still remains in the heart of modern Croatian as the adoration for the western culture.

      • KCI등재

        크로아티아 ‘언어 순수주의’에 나타나는 인종적 우스타샤 언어 이데올로기

        권혁재(Hyok Jae 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4 동유럽발칸연구 Vol.48 No.1

        크로아티아어는 현재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단일 ‘국가어(national language)’다. 또한, 크로아티아 민족을 대표하는 민족어이고, 상징이다. 1991년 독립과 함께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세르비아어와 차별되는 순수한 크로아티아어의 완성을 최우선 국가과제 중 하나로 설정한다. 이 시기 크로아티아 언어정책을 일반적으로 ‘크로아티아 순수주의’라 설명한다. 크로아티아 초대 대통령 투지만(Franjo Tuđman)이 주도했던 ‘크로아티아 순수주의’는 민족주의 기반 언어정책이었고 원칙적으로 크로아티아어 순수성을 훼손하는 모든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었다. 이전의 역사에서 크로아티아 민족의 순수성을 극단적으로 강조한 시기는 ‘크로아티아 독립국(NDH)’이었다. 우스타샤 이데올로기의 현실적인 국가 모델이었던 NDH는 ‘혈통과 언어’의 원칙에 따른 인종 정책과 언어정책을 시행한다. 두 시기 언어정책의 배경과 전개 방식은 외형적으로는 다르다, 그러나 투지만의 민족주의 기반 ‘크로아티아 순수주의’에는 NDH의 ‘혈통과 언어’ 이데올로기의 기본 원칙이 숨어져 있다. 이 연구는 인류언어학(anthropological linguistics) 기반 파벨리치(Ante Pavelić)의 언어 순수주의와 ‘하나의 언어=하나의 민족=하나의 영토’라는 낭만주의 민족주의 기반 투지만의 ‘크로아티아 순수주의’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Croatian is the common language of the Republic of Croatia, the national language representing the Croatian people, and the core national symbol. After independence in 1991, Croatia sets priorities to complete the identity of pure Croatian people, which is different from Serbian, and to recreate the Croatian language for this purpose. The core of Croatian language policy is generally described as ‘Croatian purism’. Croatian purism, led by only fighting spirit, is, in principle, to remove all elements that undermine Croatian purity. The ideology that extremely emphasized the purity of the Croatian people in Croatian history comes from Ustasia. The Croatian Independent State (Nezavista Država Hrvatska: NDH), which was a practical aspect of Ustasia, implements ‘language purism’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blood and language’. The situation and development method of the two-lingual purism are very different, but in ‘Croatian purism’ unique to fighting spirit, some aspects of NDH's ‘blood and language’ ideology appear. This study studies NDH's linguistic purism based on Ustasia’s racial ideology and ‘Croatian purism’ based on the romantic nationalism of ‘one language = one territory’ from an ethnolingustic perspective.

      • 크로아티아 계몽주의문학과 낭만주의문학의 구비시가 전통계승 양상

        김상헌(Kim, Sang-H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1

        본고에서는 크로아티아의 구비문학을 갈래와 내용, 표현방식, 율격에 이르기까지 근․현대문학에 있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원천으로 전제하고, 그러한 다양한 측면들 가운데 모티프와 주제라는 의미적 측면에서 구비시가와 크로아티아 근대 시문학의 관계를 고찰했다. 이는 크로아티아의 근․현대문학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구비문학적 전통이 내재적 혹은 외재적으로 어떠한 영향관계를 형성했는가 하는 점을 살핌으로써, 세계문학사 전개양상에 있어 구비문학과 근ㆍ현대문학이라는 문학사적 조류가 갖는 성격과 특징에 대해 일반적인 이론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 다고 할 수 있다. 크로아티아를 포함한 구(舊) 유고슬라비아 지역의 중세문학뿐만 아니라 중세문화 전반은 이 지역 민족들이 처해 있었던 역사적·사회적 상황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는데, 이는 중세의 봉건체제가 농업과 목축업에 기반을 두고 있는 구비전승의 주체인 민중들의 삶자체를 완전하게 바꿔놓지 못했다는 사실과도 관련되어져 있다. 즉 부분적인 변형이 전혀 배제된 것은 아니지만, 고대로부터 중세시대를 거치는 동안 민중들 사이에서 단절됨 없이 전승되어 오던 가부 장적 문화와 구비문학의 전통은 이 지역 민족들의 문학적 원류를 가장 극명하게 표현하는 수단으로 받아들여진다. 18세기는 크로아티아 민족과 그 역사에 있어 서로 다른 성격의 두 시대가 엇갈리는 교차와 변화의 시기였다. 즉 이는 고대·중세의 관념과 새로운 근대의 관념이 맞부딪힌 시기였으며, 또한 고대·중세의 문화와 근대라는 새로운 문화의 흐름이 충돌한 시기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러한 문화의 변혁이 갑작스럽게 이루어져 커다란 혼란을 야기한 것은 아니었다. 이 시기에 크로아티아 민족은 여전히 자신들이 당시까지 영위해 온 문화를 지속하는 한편, 정치적·사회적변혁과 함께 찾아온 새로운 문화조류의 태동과 발전을 얼마간 예견하기도 했었기 때문이다. 민족적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크로아티아 문학가들의 노력에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은 외세에 의한 영향과 그러한 상황을 여전히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었다. 그러한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문학가들의 현실인식은 문학작품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민족이라는 개념에 대한 강조’, ‘민족정신의 고취’, ‘외세에 대한 저항과 투쟁’, 궁극적으로는 ‘외세로부터의 독립 쟁취’라는 모티프와 주제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민족적(집단적)인 의미에 있어서의 독립과 자유라는 주제가 개인으로 확대됨으로써, 보편적 의미에 있어서의 ‘자유의 획득’이라는 주제로 옮아가기도 했다. 즉 현실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보편적인 인간의 욕구와 열망이 자유로운 상상과 공상을 통해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문학에 반영된 것이다. 크로아티아 지역의 구비문학은 고대문학과 근․현대문학 사이에서 이들을 매개해 주는 중간자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고대문학 전개에 있어서 가장 활발한 역할 수행을 담당하던 구비문학은 이후 중세문학기를 거치며 보편종교의 그늘에 가려 형식과 내용에 있어 많은 변화를 겪었으며, 민족정체성 확립에 대한 높은 사회적 관심과 더불어 근대에 들어서면서 다시금 문학계의 화두로 떠오르게 되었다. 그러한 일련의 변화들은 근대뿐만 아니라 현대에 들어서도 지속성을 유지하며 현대문학작품들이 구비문학을 수용하는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On the assumption that the croatian oral literature is the source which had influenced on croatian literatures of modern ages in the category of contents, methods of expression, and rhythms, in this paper investigated relations between the oral poetry and poetic literary works of modern times from a semantic point of view. In that way, we can prepare the well-grounded theory with which could be explained the universal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poetry and poetic literary works of modern times at the development of history of world literature. To a history of Croats, the 18th century was the period of crossing and change in which two different eras had crossed each other on the way. Namely, it was a period of collision between the concept of ancient/medieval times and modern times. And also, it was a period of collision between the cultural trend of ancient/medieval times and modern times. But such cultural reformation had not caused a enormous confusion. In this period, Croats kept up their culture of the past as it was before. Because they somewhat foresaw the quickening and development of new cultural trend. The oral literature of Croats played a role of medium between the literature of ancient times and modern times. The oral literature that had lively performed on the development of ancient literature, and after that period, passing through the period of medieval literature had changed forms and contents by the influence of the universal religion. With an interest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the oral literature became a subject of conversation in the croatian literary world of modern times once again. Such a chain of changes continued in the 20th century, and showed the aspect in which the modern literary works accept a specific character of the oral literature.

      • 크로아티아의 ‘세르보크로아티즘’ 청산문제 연구

        권혁재(Kwon, Hyok-Ja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8 동유럽발칸학 Vol.10 No.2

        크로아티아어는 1990년 이후 가장 많은 인위적인 언어변화를 경험한 남슬라브어이다.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와 함께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서로의 언어적 차별성을 목표로 하는 후계언어들을 만들어 냈다. 19세기 세르비아어와의 통합을 통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축을 이루고 있던 크로아티아어는 독립이후 연방시절 독자적인 언어위상을 가지지 못했던 보스니아어나 몬테네그로어보다 고민스러운 언어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독립 크로아티아 공화국은 즉각적으로 자신들의 언어가 세르비아어와 다른 크로아티아 민족만의 독자적인 언어라는 차별성을 부여했다. 순수한 크로아티아 어의 복원을 위해 세르보크로아티즘을 새로운 체제에 어울리지 않는 구시대적 상징이었고 반드시 정리되어야할 사회주의 잔재로 정의하였다. 역사적으로 크로아티아는 서구지향적인 성향이 강했으며, 이런 민족성향을 감안하면, 서구에 적대적인 세르비아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중심 이데올로기 중에 하나인 세르보크로아티즘의 흔적은 서유럽 민주사회의 일원이 되기 위해 감추고 싶은 역사적 오점이었을 것이다. 세르보크로아티즘의 청산을 위해 크로아티아 지식인들은 그 어느 시기보다 한 목소를 냈으며 이론적으로 가장 왕성한 연구와 논쟁이 시작되었다. 크로아티아의 언어적 순수주의나 세르보크로아티즘의 청산의 목표는 크로아티아어만의 독자성이 유지되었던 1918년 이전의 언어 상태로 돌리는 것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세르보크로아티즘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이에 대한 크로아티아 언어학계의 저항을 정리하고 1990년 이후 진행되었던 크로아티아어의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청산 문제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s to describe . Language policy in any state or society is a part of the state's general politics and consequently expresses the ideology of the dominant social group. Croatian politic seek to construct a strong national identity that accentuate the difference between Us and Them. Applying this general rule to the domain of language policy, it tends to symbolically assemble all the Croat, and at the same time to exclude from the symbolic space all the Serbs. Croatian language policy obviously acts on standardization, autonomy, istoricity, and vitality, but the stress is put on autonomy and standardization. To estimate the efficacy of the journey form Serbocroatian to Croatian, it is necessary to pose the fundamental linguistic problem of the identity of language. After 1990 the croatian philologist focuses on solution proposed to the problem of language identity. The aim of croatian language policy is to draw on the riches of one's own language tradition and use it in the elaboration and intellectualisation of the vocabulary of the standard language in standard language instead of Serbocroatism. Another goal is the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Croatian legal, military and administrative terminology that had beeb used in Croatia before it entered the common state of Yugoslavia, and was then replace under pressure from Belgrad. In this article some of debate on the development of Serbocroatism and the linguistic Liquidation of 'Serbocroatism' in Croatia is shown. As well the methode of the linguistic Liquidation of 'Serbocroatism' and 'Croatian purism' proposed standard for new croatian language is analyzed.

      • 크로아티아인의 발칸유럽 정착과 중세 왕국의 발전사 연구

        김 철 민(Kim, Chul-M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1

        중세 시기 수용된 기독교에 대한 신앙심 그리고 중세 왕국 건설 경험과 문화적 발전은 현재까지도 크로아티아인들에게 매우 커다란 의미로 다가오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독립 국가의 이상을 향한 주요한 원동력이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크로아티아인의 발칸유럽 정착과 기독교 수용 그리고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 각 시기별로 그 특징을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글은 제 2장에서 고대 크로아티아에 대한 역사적 고증 내용과 크로아티아인들의 발칸유럽 정착과정, 그리고 크로아티아가 현재 강력한 가톨릭 국가가 된 배경인 9세기 기독교 수용 과정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제 3장에서는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시기를 각 시기별 특징에 따라 나누어 크로아티아 중세시기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에따라 왕국 성립 초기인 11세기는 문언과 문화의 출발로서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의 성립과 발전을 바라보고자 했으며, 12세기부터 13세기까지는 헝가리 아르파드(Arpad) 왕조 하에서 수립된 봉건제도의 성숙 과정을, 14세기는 문화적 융성 시기라는 소주제로 특히 아드리아해의 두브로브니크(Dubrovnik)의 문화적 발전상에 대해 설명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15세기는 오스만 터키와 베니스 공국간의 전쟁과 혼란의 시기로 규정하고 당시의 시대상을 소개하게 될 것이다. After Croats settled in the Balkan about 5-6C, South Slav in Croatia has been influenced a lot by the Christian religion and faith(especially Catholic). And, with the experiences of establishing the Croatian Medieval Kingdom and a cultural development at that time, it have influenced on the nations in Croatia until now. From this point of view, I analyze the Croatian settlement in the Balkan and the reception of Christian religion, and the establishment, development, and crisis, of the Croatian Medieval Kingdom with the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ury. In the chapter II, I analyze what is the historical demonstrations about the ancient Croats, and how Croats settled in the Balkan, and what is the meaning of reception of Christian religion. In the chapter III, I study the mai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roatia at the medieval times, especially focusing on from 11C to 15C; 11C - a starting of the literary language and the culture of Croatian Medieval Kingdom; 12C, 13C - a puberty of feudalism under Hungarian Arpad's dynasty; 14C - a cultural prosperity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Dubrovnik's duchy; 15C - the time of wars and confusion between Ottoman Turkey and Venice. Finally, in the chapter IV, I summarize how much the reception of Christian religion and the experiences of the independent Medieval Kingdom in South Slav in Croatia had influenced on the nations in Croatia and the meaning of it in the history of Croatia.

      • KCI등재

        20세기 크로아티아 언어 계획의 유형과 쟁점 연구

        권혁재(Hyok Jae 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4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붕괴 이후, 신생 크로아티아 공화국은 연방의 국가 언어였던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축을 이루었던 크로아티아어가 세르비아어와는 완전히 별개의 언어임을 선언하며, 언어 문제를 정치화하기 시작한다. 이 연구는 우선, 언어를 정치화하는 실제 정책과 계획인,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의 개념과 유형을 일반적인 논의를 통해 정리하고 실제 이것들이 20세기 크로아티아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고,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1년 이후 국가주도로 진행되어온 크로아티아 언어 계획을 ‘지위 계획(status planning)’, ‘자료계획(corpus planning)’, ‘습득 계획(acquisition planning)’으로 분류하여 크로아티아어의 변화 과정, 새로운 크로아티아어 규범화 과정과 쟁점, 현재의 언어상황을 크로아티아 민족 정체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크로아티아 언어 계획 연구는 시대적으로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국가 설립 이후의 기간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그 결과로 나타나는 현재의 언어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포괄적인 발전과정을 포함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민족 = 언어 = 영토 = 국가’를 동일시하는 유고슬라비아 지역의 언어와 민족 정체성에 대한 복잡한 역사와 크로아티아 언어 계획 사례는 언어 정체성, 언어 정책 및 언어 계획 문제 전반에 대한 광범위한 부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ollowing the collapse of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Croatian administration was declared to be a separate language, distinct from Serbian, and linguistic issues became highly politicized. This study first summarizes the concepts and types of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planning’, which are the actual policies and plans for language politics, and discusses how these develop in the 20th century in Croatia. Then, the Croatian language plan, which has been led by the state since 1991, is divided into ‘status planning’, ‘corpus planning’ and ‘acquisition planning’.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process of change of Croatian, the process of new normatization of Croatian language and issues, and current language situation a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Croatian ‘national identity’. It focuses on the period following the creation of an independent Croatian state in 1991, but encompasses broader historical developments to provide a context for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linguistic situation. The complex history of language standardization in the Yugoslav lands and the emphasis on language planning in Croatia make this an especially interesting case study that offers insight into wider debates about linguistic identity,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planning issues in general.

      • KCI등재

        파리 2월 혁명(1848)과 크로아티아:

        김철민(Chul Mi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파리 2월 혁명 당시 크로아티아 민족이 혁명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또한 혁명의 시기 동안 크로아티아인들에게 다가 선 혁명의 역사적 의미는 무엇이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글의 구성을 보면 제 2장에서는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의 의미와 동유럽에 미친 역사적 역할과 그 여파는 어떠했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다. 제3장에서는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와 ‘파리 2월 혁명’을 맞이하던 크로아티아인들은 혁명을 바라보며 어떠한 현실적 선택을 택해야만 했는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이 장에서는 19세기 당시 독립을 꿈꾸던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의 특징들을 소개하며, 이를 상호 비교 설명해할 것이다. 제 4장에서는 ‘파리 2월혁명’의 여파로 전개 된 헝가리 혁명(1848~1849) 과정 속에 크로아티아의 민족지도자였던 옐라취치의 전략적 선택과 당시 크로아티아 민족의 현실적 대안이었던 자치권을 향한 투쟁의 모습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옐라취치와 당시 크로아티아의 선택에 대해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파리 2월 혁명’이 크로아티아의 민족의식과 민족주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설명함으로써 결론을 마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analyze about the historical situation of Croatia and it s meaning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of 1848, especially with focused on activity of Ban Jelačić and his strategic choice. And I study, during that s time, how Croatian peoples accepted the French Revolution of 1848, and developed historical meaning of Revolution In the chapter II, I analyze the meaning of the French Revolution of 1848, and study historical role of revolution and it’s aftermath in Eastern Europe. In the chapter III, I study which selected Croatian peoples like as an realistic alternative plan during the era of the 19C’ Nationalism and the French Revolution of 1848. Especially, in this chapter, I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Croatian nationalism which dreamed national independence, and explain to compare each of them. In the chapter IV, I analyze the strategic choice of Ban Jelačić who was the national leader of Croatia, in the period of the Hungarian Revolution(1848~1849)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French Revolution of 1848, and introduce a forms of struggle for national autonomy which was realistic alternative to the Croatian peoples. Finally, in the chapter V, I summarize once more how much had an effect the French Revolution of 1848 in the formation of Croatian national identity, and which meaning have this study about history of the Croatia.

      • 크로아티아 전통의상에 나타난 민족적 다양성 연구

        권혁재(Kwon, Hyok-Ja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

        전통 의상은 그 지역의 역사, 지리 및 의식주의 교차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민속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주는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한 지역의 전통 의상 속에는 타 지역 혹은 민족과의 문화적 교류의 양상을 찾아볼 수 있는 의미까지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개별 민족의 전통적인 의상 문화는 오랜 기간 동안 각 민족이 처해 있는 자연적인 환경과 사회적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변화되며, 그러한 다양한 주변 요인들에 의한 변화를 통해 민족 생활의 전반적인 사정에 가장 적합한 의상의 형태와 기능이 갖추어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통 의상은 단순한 의상의 개념이나 물질의 개념이 아니라, 민족의 고유한 생활 감정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고 그 민족이 영위하는 생활 전반의 요소들과 융합하게 되며 동일한 복식 체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 간의 유대를 형성하게 하는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1991 년 구(헬)유고연방으로부터 독립한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의상 문화를 파노니아 (Panonia) 크로아티아인, 디나르(Dinar) 크로아티아인, 아드리아 (Adria) 크로아티아인의 그것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각각의 지역들에서 전통 의상을 짓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들은 해당 지역에서 풍부하게 산출되는 재료들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민족적 기원과 침략의 역사는 의상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파노니아 크로아티아인의 의상 문화는 인접하고 있는 헝가리, 세르비아의 의상 문화와의 복합적인 성격을 드러내고 있으며, 디나르 크로아티아인의 의상 문화는 보스니아-헤르쩨고비나, 몬테네그로의 그것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아드리아 크로아티아인의 의상 문화는 지중해 문화권에 속하면서 , 기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Since traditional dress reflects the interchange of history. geography. and life necessities ‘ it offers a window for understanding folk customs of a region Traditional clothing also makes a good vantage point for analyzing one region' s cultural exchanges with other regions or ethnic groups because traditional clothing style of an ethnic group is shaped based on its surrounded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for a long period of time. each ethnic group makes adjustments to its clothing style so that it develops the most suitable garment design and functions that meet its natural and social needs. Therefore. traditional clothes mean more than just textiles or materials they are made from. They reflects unique lifestyle of an ethnic group. combines all the aspects of its life. and builds bonds among people sharing the same clothing style. This study divides clothing culture of the Republic of Croatia. which seceded from the Yugoslavia Federation in 1991. into that of Panonia Croatians. Dinar Croatians. and Adria Croatians. It was found out that each region uses locally abundant materials to make traditional clothes and ethnic origins and history of invasions significantly affect clothing culture of the three regions. Panonia Croatian clothing style is the fusion of the clothes of Croatian and those of neighboring Hungary and Serbia while Dinar Croatian clothing culture share similarities with that of Bosnia-Herzegovina and Montenegro. Adria Croatian clothing style belongs to the Mediterranean Culture and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gion' s climatic conditions.

      • KCI등재

        EU 신입국의 민족 문화 정체성 연구 - 크로아티아 역사 논쟁을 중심으로 -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4 EU연구 Vol.- No.36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on the national-cultural identity of the EU's new member focused on the historical debates of Croatia, from the settlement of the Croats in the region of Adrian Sea to the early 12th century which the Croatian Medieval Kingdom was under the control of the Hungary. In particular, I will study how much croatian historians are trying to make a establishment of their own national identity, and how to be discussed on the historical reinterpretation with these 3 main historical events: first is the settlement of the Croats and the expans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second is, the acceptance of latin characters and the transition to the Catholic under the independent medieval kingdom, and third is the debates on the hungarian domination.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the chapter II, I will introduce how to make debating between serbian and croatian historians on a settlement of the Croats in the Balkan, and how much expans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had an influence on the Croats. In the chapter III, I will analyze what was the historical selection of the Croats who were located on crossroad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Church, and what did the adoption of Catholic and latin characters mean in the Croatia's history. In the chapter IV, I will explain what were the reinterpretations of croatian historians on the collapse of their own medieval kingdom. 2013년 7월 크로아티아의 EU 가입은 유럽내 비(非)EU권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는 ‘서부발칸(Western Balkan)’ 국가들의 EU 가입을 향한 첫 신호탄이 되었다. 하지만, 크로아티아인들은 오랜 외세 지배로 인해 ‘주권의 맛(a taste of sovereignty)’을 충분히 향유하지 못하여 왔고, 또한 그 역사 속에서 지배 민족들의 방해로 인해 자신들만의 독자적 민족, 문화 정체성 수립에도 어려움을 겪어야만 했었다. 따라서 크로아티아인들은 고유한 민족, 문화 정체성이 수립되지 못하고 주권의 맛을 만끽하기 이전에 진행된 EU 가입 논의와 국민투표에 일련의 거부감을 지녔다고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역사가들이 제기해왔던 독자적 민족 정체성 수립 및 역사 재해석에 있어 가장 큰 논쟁의 중심에 서 있는 세 가지 역사적 사건들을 중심으로, 이를 둘러싼 논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제 2장에선 크로아티아인들의 발칸유럽 정착을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는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양국 역사가들 간의 논쟁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가톨릭 전신인 로마 교회의 영향력 확대가 크로아티아 민족에게 어떻게 다가왔는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제 3장에서는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수립을 둘러싸고 전개된 동·서 교회 간의 갈등 속에서, 양대 교회의 최전선에 자리한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역사적 선택은 어떠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전환된 라틴문자 수용과 가톨릭 선택은 훗날 역사 속에서 크로아티아 민족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게 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는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몰락과 헝가리의 지배 시작을 둘러싸고, 이에 대한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재해석 노력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현대 크로아티아어의 정체성과 현 상황

        권혁재(Kwon, Hyok-J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5 No.1

        민족갈등으로 인한 구유고연방의 붕괴는 유고슬라비아지역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뿐만 아니라 이지역의 언어상황에도 새로운 변화를 초래했다. 연방의 최대 공용어(common language) 였던‘세르보크로아티아어(srpskohrvatskil serbocroatian) ’의 종말과 함께 개별 공화국들은 자신들의 지역 방언에 기초한 새로운 표준어확립을 위한 ‘인위적인’언어개혁(language planning)을 시작한다. 이들 공화국중 자신들의 오랜 어문전통 포기하고 남슬라브민족의 통일이라는 명분하에 신슈토방언(Neo-Stokavian)을 표준어로 선택한 크로아티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후계언어중 가장 어려운 언어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현 언어상황이 크로아티아에게 있어서는 자신들의 언어사를 바로 세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지만 현대크로아티아어와 포기했던 이전의 어문전통의 복원을 통한 세르비아어와의 차별화와 현대크로아티아어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찾아야 o}는 과제가 남아있다. 이 연구는 현대 크로아티아어의 표준화와 관련된 논쟁에서 출발하여 현대크로아티아의 발전과정과 현 상황을 정체성 문제와 관련지어 개관적인 입장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some of the debate on the developments of croatian standard language and the “new Croatian". In the summer of 1991 the croatian and serbian government officially declared the end of “Serbocroatian" which is the common language of the former Yugoslavia. Although it is true that “Serbocroatian" was threatened form the time of "knjizevni dogovor(literary Agreement, 1850)" never gained a stable single norm, the language nevertheless had attained the status of an important southslavic literary language and was the most important language in the unified Yugoslav state. After the official break up of Serbocroatian linguistic unity, the language policy of two nations, specially croatian language planners, focuses on the extent of their differentiation under the impact of nationalism. The main question posed in this article is: what has really happened in Croatia regarding the language and linguistic circumstance in the last ten years? Obviously, the attitudes of Croatian twards their language have changed in some measure under the influence of language policy. A brief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s of contemporary croatian standard language and of the language policy demonstrates that its theoretical construction is based upon the intrinsic contradiction between the organic and contractual theory of language. Thus, the recent path of the language from ‘Serbocroatian" to ‘new Croatian" is not accompanied by real scholarly and linguistic explanation; its direction is above all determined politically and ideolog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