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팬데믹이 러시아어에 미친 영향 - 코로나 신조어를 중심으로 -

        손현익 ( Hyunik Son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1 슬라브연구 Vol.37 No.3

        인류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의 고통 속에서 신음한 지도 어느덧 2년 가까이 되어간다.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현상으로 끝나게 되길 간절한 바람에도 불구하고, 팬데믹으로까지 확산된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쓸면서 인류의 삶은 크게 달라지고 있다. 코로나-19가 발발하고 장기간 지속 되면서 우리의 삶에 가져온 변화로 언어생활의 변화를 꼽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코로나-19와 관련된 다수의 새로운 어휘들이 쏟아져 나왔는데, 이른바 ‘코로나-19 신조어(이하 코로나 신조어)’의 출현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이 러시아어에 미친 영향과 이에 따른 언어 변화 양상에 주목하여 러시아 언론매체에 나타난 코로나 신조어들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언어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러시아인의 삶에 나타난 다양한 현상을 표면적으로 관찰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러시아 사회의 모습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The new COVID-19 coronavirus infection, which has infected many people worldwide since December 2019, not only caused chaos in human life and collapse of social activity. It became a catalyst for drastic changes that can stay with us for a long time even after the creation of a medicine or vaccine.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influence of the coronavirus pandemic on Russian. Firstly the author collected and examined Russian neologisms related to COVID-19 and analyzed their usage patterns. This article is analyzing the life and social changes of Russian individuals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focusing only on the newly emerging neologisms in Russian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on the premise that COVID-19 brought about a tremendous revolution in human life.

      • KCI등재

        코로나 19 대응 관련 한국의 출입국 제한조치 및 국제법적 평가

        이재유(Jae-yoo LEE) 서울국제법연구원 2020 서울국제법연구 Vol.27 No.1

        2019년부터 코로나 19이라는 국제적 감염병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각국은 자국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입국금지 등 출입국 제한 조치를 앞 다투어 시행하였다. 더 나아가, 공중보건 역량이 충분하지 못한 개도국 국가들은, 먼저 코로나 19가 확산된 타국으로부터 입국하는 외국인에 대해 전면적인 입국제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하였다. 문제는 이러한 각국의 입국제한조치가 세계보건기구(WHO)와 같은 국제기구의 주도적인 조정 없이, 개별 국가들의 방역주권 차원에서 취해지고 있다는 데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어느 개별국가들에 의해 취해진 다른 국가 국민에 대한 입국제한은, 국제법상 상호주의 법리를 통해, 그에 상응하는 입국제한조치를 야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논문은 코로나 19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 출입국당국이 시행한 외국인에 대한 출입국 조치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국제적 감염병 전반을 다루는 ‘국제보건규칙(2005) 등 국제규범 차원의 평가와 향후 국제공조체제에서의 한국의 역할에 대한 모색을 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국제사회와 세계 언론들이 한국에 대해 코로나 19 사태에 가장 모범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가운데, 이러한 국제적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해 우리나라 출입국당국이 취하였던 출입국 제한조치 현황을 알아보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코로나 19 초기부터 전면적 입국금지 조치를 취하지 않고, 특별검역절차를 포함한 특별입국절차를 시행하면서, 실질적으로 코로나 19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데 성공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그러한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국내 입국이후, 체류하는 ‘격리의무 위반’외국인에 대하여는 고의적으로 중대한 위반인 경우, 코로나 확산의 방지를 위해 강제출국을 추진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우리나라의 출입국 제한조치에 대한 국제법적 평가를 논의하는 것이 매우 의미가 있다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국제규범으로는 WHO가 주도하여 채택된 ‘국제보건규칙(2005)’과 WHO의 권고 등이 있으며, 이러한 평가의 대상은 한국의 공 항만에서의 특별입국절차를 거부하는 외국인에 대한 입국불허, ‘격리의무 위반’ 체류외국인의 강제출국, 체류외국인에 대한 출국기간 연장조치 등이 포함된다. 무엇보다도,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국제공조체제의 수립이 시급한 데, 우리나라의 검역 및 보건체계 등과 연계된 출입국 조치를 담당하는 출입국당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본다. 국제보건규칙은 ‘인간의 존엄, 인권과 인간의 기본적 자유를 충분히 존중하면서, 국제교통과 운송에 대한 최소한의 간섭이라는 원칙들’을 천명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출입국당국이 이를 출입국업무 현장에서 실행하고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코로나 19와 같은 국제적 감염병에 대한 통제를 위해서, WHO 주도의 국제적 대응은 각국의 국내법적 예방 및 확산 방지 조치들과 긴밀히 연계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코로나 19에 모범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가 향후 국제보건규칙(2005)의 개정과 WHO 권고안 마련 시에, 각국이 시행할 ‘출입국 제한조치의 국제표준’을 마련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들 국제규범들이 실질적이면서 효과적으로 국제적 감염병을 통제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 19 사태를 통해 본 대한민국 위기관리의 문제점과 교훈

        박동균 한국치안행정학회 2020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7 No.3

        2020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2019년 처음 존재가 확인된 이후 현재 전세 계를 강타중인 코로나 19의 전세계적 대유행(pandemic)을 선언하였다. 지금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 넣고 있는 코로나 19는 전파력이 강하고 발생한지 4개월 밖에 되지 않아 아직 해결책이 없는 신종 감염병이다. 전문가들은 5개월에서 10개월 만에 종식되었던 사스나 메르스와 달리 코로나 19 사태는 길면 2년 후에나 종식될 것으로 분석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2020년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에 가장 잘 대응한 성공적인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세계적인 주간지 TIME은 한국이 도시봉쇄 등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일상을 유지하면서 코로나 19에 대응했던 이유를 한국정부의 경쟁력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했다. 하지만 코로 나 19 대응 상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코로나 19 사태는 초기에 중국발 입국통제 등 초동대응의 실패를 우리 정부 위기대응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른바 “창문 열어놓고 모기잡기 형국”이었다. 또한, 마스크를 사기 위해 긴 줄을 서고도 구하지 못했던 초 기의 마스크 대란, 가짜 뉴스로 인한 사회적 혼란 등 위기관리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이번 우리나라 코로나 19 사태는 지난 메르스 사태를 통해서 배운 ‘정보공개’의 원칙이 잘 작동했다. 매일 발표되는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공개 및 팩트 체크는 국민들의 신뢰확보는 물론 방역 성공의 큰 축이 되었다. 또한, 초기봉쇄 조치에는 실패한 우리나라가 2차 완화 대응조치에서 성공을 거두었는데, 이는 정부당국을 믿고 따라준 시민의식과 의료진의 희생정신과 높은 역량, 선진화된 의 료보험 체계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이는 코로나 19 대응에 실패한 미국과 이탈리아,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부러워할 위기관리 모델의 대상이 되었다. 코로나 19는 올겨울까지 바이러스 변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 있다. 지난 스페인 독 감의 데이터를 통해 코로나 19 역시 앞으로도 재유행이 계속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 코로나 19와 같은 위기상황은 현재 정부의 역량을 점검하고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된 다. 코로나 19로부터 얻은 많은 교훈을 통해 최고의 감염병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 아울러 보다 신뢰받는 정부의 구축, 국제사회의 공조 거버넌스 구축 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끝으로,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은 약자에게 더 고통을 준다. 재난은 결코 평등하지 않고 가난한 사 람들에게 더 가혹하다. 위태로운 이들의 삶을 지탱해줄 안전망을 확보하고 불평등을 개선해야 한다.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혜택 분배,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기업, 노조가 모두 참여하는 새 로운 형태의 거버넌스 구축이 요구된다. COVID-19, which is terrifying all around the world, is a new infectious and seriously epidemic disease and as it’s been only 4 months since it had been outbroken, it doesn’t have any vaccine. Experts say that unlike SARS and MERS which came to end from 5 months to 10 months, COVID-19 will last for at least 2 years. COVID-19 incident in Korea can be pointed out as the biggest problem of Korean government as the failure of initial response including entry control of China in the early stages. It was like catching mosquitoes with the window opened. In addition, people waited in a long line but could not get masks and there were social chaos due to the fake news and it is pointed out as problems of risk management. However, the principle of public information was well operated which is learned from the MERS situation. Daily disclosure of information and fact-checking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ave become not only a success of prevention of epidemics but the secure of the public as well. Moreover, although we had failed initial block of the virus, thanks to the public who believed and followed our government, the medical team who have high spirit of sacrifice and ability to handle, and the advanced medical insurance system, we could succeed at 2nd releasing action. It has become the target of a emergency management model from the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Italy, UK, and Japan who failed to deal with the COVID-19. There are interpretations that COVID-19 has high probability of virus variations until this winter. So even though the social distancing has been alleviated, we should follow precaution guidelines including wearing masks and washing our hands often. Also from the data of Spain flu, we should thoroughly prepare awaring the revival of the virus.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COVID-19 are a opportunity to examine the current government’s capability and leap forward. We should make the best infectious disease emergency management manuals from the lessons we had learned through COVID-19.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코로나-19에 관한 재난지원금과 세제지원제도의 합리화방안

        김남욱(Kim Nam Wook) 한국국가법학회 2021 국가법연구 Vol.17 No.1

        코로나-19 신종감염병은 2019.12. 중국에서 발병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를 1년이 넘게 강타하고, 사람의 신체와 생명, 재산에 중대한 위해를 가하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감염병의 백신개발 노력과 더불어 역학조사를 하여 코로나-19 방역조치를 하고 있다. 더욱이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정도에 따라 마스크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2m 거리두기, 영업제한 및 금지, 출입제한 및 금지 등의 행정명령을 발령하여 예방조치를 하고, 코로나-19확진자등에 강제조치를 함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고 있다. 소상공인 등은 코로나-19의 사회적 재난으로 장기간 동안 막대한 영업손실을 입고 있고, 경기침체 등으로 국민경제와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긴급재난지원금을 전 국민 또는 손실을 본 소상공인 등에게 지급하고 부가가치세, 소득세, 법인세의 세액공제, 조세감면 등을 하고 있다. 재난지원금의 의의와 법적 성격, 재난지원금 및 세제지원의 필요성을 검토한 후 코로나-19에 관한 재난지원금과 세제지원에 관한 법체계를 살펴본다.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페인. 독일의 재난지원금과 세제지원에 관한 입법례를 비교법적으로 고찰하여 시사점을 모색한다, 코로나-19의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국민의 신체, 생명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재난구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의 문제, 코로나-19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국민 간의 협력 강화문제, 재난기본소득의 도입 문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기업인을 위한 조세 지원제도 문제를 검토하여 그 방안을 합리적으로 제시한다. The COVID-19 new infectious disease is on Dec. 2019. The outbreak in China has hit the world including Korea for over a year due to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and is inflicting serious harm to human body, life, and property. The government is carrying out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along with efforts to develop a vaccine for corona-19 infectious diseases, and is taking measures to prevent COVID-19. Moreover,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 spread of Corona-19, the government issued administrative orders such as wearing masks, social distancing, 2m distance, business restrictions and prohibitions, access restrictions and prohibitions, and take precautionary measures, and compulsory measures against corona-19 patients. Despite doing so, Corona-19 is not ending. Small businesses and others have suffered enormous operating losses fo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the social disaster of Corona-19, and the national economy and local economy are adversely affected by the economic downturn. Accordingl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pay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s to the whole country or to small business owners who suffered losses, and provide tax credits for value-added tax, income tax, corporate tax, and tax reduction or exemption. After reviewing the significance and legal nature of the disaster subsidies, the need for disaster subsidies and tax support, we will look at the legal system for disaster subsidies and tax support related to COVID-19. USA, Canada, Finland and Spain. A comparative legal review of Germany s legislation on disaster subsidies and tax subsidies to seek implications, the issue of enacting the Disaster Rescue and Support Act to protect the body, life, and property of the people caused by the social disaster of COVID-19 , The issue of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people on Corona-19, the issue of the introduction of basic disaster income, and the issue of the tax support system for entrepreneurs, such as small business owners and self-employed persons, are reviewed and proposed in a reasonable way.

      • KCI등재

        코로나-19 신어와 코로나 뉴노멀

        강희숙 ( Kang Hui-su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0 No.61

        코로나-19는 인류의 삶에 엄청난 대변혁 또는 문명의 대전환을 가져온 사건임에 틀림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새로이 출현한 신어들 가운데 이른바 ‘코로나-뉴노멀’ 관련 신어에만 초점을 맞추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나타난 개인의 삶과 사회적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관심을 두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한 자료의 수집은 이수진·강현아·남길임(2020)에서 이루어진 코로나-19 신어 목록을 참조하되, 이 목록의 문제점을 보완하거나 실제 용례확인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빅카인즈(BIGKinds)의 뉴스 분석서비스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는 빅카인즈에서 제공하고 있는 대규모 말뭉치에서 코로나-19’의 발생 이후부터 2020년 한 해 동안 새롭게 출현한 코로나-19 관련 신어의 용례를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신어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코로나 뉴노멀’의 양상을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언택트/비대면 문화의 확산 둘째, 온택트 소통 방식의 확대 셋째, 거대 정부의 진격에 따른 각종 제도 및 경제적 지원의 다양화 넷째, 집콕 문화 및 대안적 생활방식 확산 주지하는 바와 같이 ‘코로나 뉴노멀’이란 코로나-19의 대확산으로 나타난 사회적 환경의 새로운 변화, 새로운 일상과 규범 혹은 표준이라는 뜻을 지닌 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새롭게 출현한 신어의 유형을 분석하는 작업에서 한 걸음 나아가, 그러한 신어에 반영된 ‘코로나 뉴노멀’의 모습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Like other pandemics that have historically emerged, such as the Black Death and the Spanish Flu, Corona-19 has shaken the world and the lives of mankind for just over a year. Corona-19 is still in progress, causing drastic changes in almost every area, including science, technology, social culture, art, and education, as well as politics and economy.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rested in analyzing the life and social changes of individuals under the influence of Corona-19 focusing only on the newly emerging neologisms after the outbreak of Corona-19 on the premise that Corona-19 brought about a tremendous revolution in human life. The collection of data for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utilized BIGKinds' news analysis service provided by the Korea Press Promotion Foundation. In other words, after the outbreak of 'Corona-19' in a large corpus provided by BIGKinds, it is analyzed in four major ways that 'Corona New Normal' can be found in these new words. First, the spread of untact/non-face-to-face culture Second, the expansion of on-tact communication. Third, diversification of various institutions and economic support following the advancement of the large government. Fourth, the spread of Jipkok culture and alternative lifestyle 'Corona New Normal' means a new change in the social environment, a new routine and norm or standard that emerged from the spread of Corona-19.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analyzes the types of neologism that have emerged since Corona-19, but also embodies the appearance of ‘Corona New Normal’ reflected in such neologisms.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코로나(COVID-19) 사태의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은 모든 소비자가 동일할 것인가? : 코로나 스트레스에 따른 소비자 세분시장에 관한 연구

        이희정(Lee, Hee-Jung),이한녕(Lee, Han-Yeong)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4

        최근 코로나 19사태의 장기화에 따라 기존의 감염병 유행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개인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 며, 전 국민의 생활 방식을 변화시킴에 따라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 위험 관련한 스트레스 및 긍 정/부정적 감정 등을 기준으로 소비자 시장을 세분화하여 이해하고,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소비자를 보다 깊게 이해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60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여 총 744명의 유효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SPSS 20.0을 활용하 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요인분석, 분산분석, 군집분석, 판별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총 네 집단으로 소비자를 분류하였다. 우리나라 소비자는 대면접촉과 관련된 스트레스, 코로나 예방시스템에 대한 불확신과 관련된 스트레스, 그리고 코로나 감염정보 를 비정상적으로 탐색하는 스트레스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된 네 집단은 ‘삶에 대한 불만 및 코로나 불안 높음’집단, ‘현재 행복형이나 코로나 불안감 높음’집단, ‘현재 행복형이며 코로나 불안감 가장 낮음 집단’, 그리고 ‘SNS 과다사용 및 코로나 스트레 스 가장 높음’집단 이다. 집단에 따라 코로나 사태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는 매우 다를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 수준 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 19사태의 장기화 및 향후 신종 감염병의 주기적 등장에 대비하여 기업의 소비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대응 체계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rona virus pandemic causes our everyday life to face difficulties every than before. Pandemic situation is driving customers to change the way they live, consume, and enjoy their life. Non-contacting service is preferred over fact-to-face contact. Thus, it is essential for a company to understand consumer behavior in this pandemic situation in order to satisfy each segment market. This study attempts to segment customers based on COVID-19 stress, positive/negative emotions, and social media usage. Online questionnaire was utilized and a total of 744 cases were analyzed. SPSS 20.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includ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COVID-19 stress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stress related to face-to-face contact, stress related to uncertainty in the corona prevention system, and stress related to searching obsession of COVID-19 information. Four segments are : Group 1 (N=133) <Unhappy and high stress about COVID-19>, Group 2 (N=210) <Happy but high stress about COVID-19>, Group 3(N=166) <Happy and low stress about COVID-19>, and Group 4(N=235) <Heavy SNS users and highest level of COVID-19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not only to help marketers understand various market segmentations based on the identifiable traits of four groups, but also to contribute to providing services and products that can satisfy customers.

      • 코로나 19 유행 대비 어린이집용 대응 지침 분석

        황니나(HWANG Nina) 한국마이너리티학회 2021 마이너리티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에서 9차례에 걸쳐 발간한「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 유행 대비 어린이집 대응 지침」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2020년 2월부터 12월까지 보건복지부가 발간한「코로나 19 유행대비 어린이집 대응 지침 제Ⅰ판부터 제Ⅶ-1판, 총 9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코로나 19 유행대비 어린이집 대응 지침」의 목적은 (1)어린이집 재원아동 및 보육교직원에 대한 코로나 19 예방 및 관리 대응절차 마련과, (2) 어린이집 대응지침을 상황에 맞게 개정하여 원장 및 보육교직원의 역할 등을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코로나 19 유행대비 어린이집 대응 지침」의 기본방향은 (1) 지역의 코로나19 발생 현황 등을 고려하여 휴원·재개원 및 단계별 조치와 건강 취약계층인 영유아가 이용하는 어린이집 원장은 “코로나 19 관리 체계” 구성 및 유관기관 협조체계 구성하고, (2) 어린이집 원장은 재원아동, 보육교직원 및 방문객 등의 코로나 19 감염예방 및 확산을 방지하고, (3)어린이집 내에서 코로나 19 환자 발생시 즉시 관할 보건소에 신고하고, 추가환자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시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코로나 19 유행대비 어린이집 대응 지침」의 내용은 (1) 코로나 19 관리체계 및 유관기관 협조체계 구축, (2) 감염 예방을 위한 관리, (3) 어린이집 등원 출입시 관리 강화, (4) 유증상자 발견시 조치, (5) 시설 휴원관련사항, (6) 재개원 전 조치사항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보건복지부의「코로나 19 유행대비 어린이집 대응 지침」은 시의적절하게 총 9회에 걸쳐서 발간되어 어린이집의 휴원・휴업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긴급돌봄체계가 가동됨에 따라, 감염확산 방지를 위한 대응이 단계별로 효율적으로 이루어 졌다. 그러나 「코로나 19 유행대비 어린이집 대응 지침」에는 취약아동과 장애아동에 대한 지침 내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약아동과 장애아동에 대한 별도의 지침과 지원체계의 부재라는 문제점이 있다. 개선점으로 코로나 19 팬데믹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취약아동과 장애아동 지원에 대한 별도의 지침과 지원체계 보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guidance for daycare cent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nine editions. The analysis was made in nine editions(IⅠ∼VII-1) which were published from February to December, 2020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uidance for daycare cent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ims to (1) prevent COVID-19 and prepare a control guidance for daycare center children and staff and (2) revise the guidance for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situations and suggest the roles of the principal and staff. The basic directions of “the guidance for daycare cent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re that the principals of daycare centers where health vulnerable infants and young children use shall (1) organize temporary closing and reopening and actions in different stages in consideration of local outbreak of COVID-19 and cooperative system with the organs concerned, (2) prevent the infection and spread of COVID-19 for children, staff, and visitors, and (3) immediately report to the competent public health center when there are COVID-19 patients in the daycare center and take necessary actions to prevent further patients. Second, “the guidance for daycare cent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cludes (1) building up the cooperative system with the organs concerned for COVID-19, (2) management for infection prevention, (3) stronger management in attending and visiting the daycare center, (4) taking actions when patients are found, (5) temporary closing-related matters of facilities, and (6) actions before reopening. Based on the analysis, “the guidance for daycare cent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as published timely nine times for the quick temporary closing of daycare centers. Moreover, emergent care service was operated and preventive actions for infection and spread were efficiently made in stages. However, there are no separate guidances and support systems for vulnerable and disable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the need to reinforce guidances and support systems for vulnerable and disabled children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VID-19 pandemic.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 전후외식 소비 변화에 관한 연구

        김영목(Kim, Young-Mok),김선철(Kim, Sun-Chul) 한국상품학회 2022 商品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이후 외식에 대한 소비 패턴의 가능성과 이러한 변화가 기업들에게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사용하여 온라인의 댓글과 SNS 등의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코로나 전후의 외식 소비 트랜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 이전에는 관광지의 방문 목적으로 현지 맛집 중심의 검색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가족 외식을 위한 정보 검색과 어버이 날과 같은 이벤트 성 가족 외식 모임을 위한 정보 검색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코로나 이전에 외식과 관련하여 검색이 주로 맛집 정보와 외식 산업 창업을 위한 정보 검색 등이었지만 코로나 이후에는 배달, 가내 수공업 등의 외식 배달 서비스 관련 키워드들이 상위에 랭크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코로나 이후에는 일반적인 맛집 정보보다는 구체적인 메뉴와 맛집 정보 등의 검색이 강화되었다. 토픽모델링 결과에서는 코로나 이후에 맛집 정보가 집 주변에서 벗어나 국내 주요 관광지의 맛집 정보로 확대되어 검색 범주의 변화가 있었다. 이는 코로나 이후 해외 여행 대신 국내 여행이 활성화되면서 맛집에 대한 정보 검색이 주요 관광지로 집중된 결과로 추정된다. 또한 코로나 이전에는 외식 소비자들이 매우 많은 맛집 정보와 장소 선택에 대한 다양성으로 인하여 주말에 가족 중심의 외식, 맛집 등의 일반적인 주제어들을 주로 검색한 반면에 코로나 이후에는 영업 제한 등으로 많은 맛집들이 사라지고 또한 배달 음식을 하는 새로운 맛집이 등장하면서 코로나 이후 구체적인 매장명과 메뉴 검색이 활성화되었다. 따라서 코로나 이후에는 주요 외식 수단이 배달 음식이고 온라인 외식 소비와 메뉴의 다양성이라는 소비 트랜드의 변화가 일어나서 코로나 이후 외식업체의 전략적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 the consumption patterns for eating out after COVID-19 and the impact of these changes on companies.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big data such as online comments and SNS using text mining and analyzed the consumption trend of eating out before and after COVID-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ior to COVID-19, local restaurant-oriented searches were mainl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isiting tourist attractions. In addition, information searches for eating out with family members and information searches for dining out meetings for events such as Parents Day were mainly conducted. Prior to COVID-19, search keywords related to eating out were mainly searched for restauran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or the start-up of the restaurant industry. However, after COVID-19, keywords related to restaurant delivery services such as delivery and domestic handicraft began to be ranked at the top. In addition, search for specific menus and restaurant information has been strengthened rather than general restaura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opic modeling, after COVID-19, information on restaurants has been expanded to information on restaurants in major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This result is because after COVID-19, domestic travel was activated instead of overseas travel, and information search on restaurants was mainly conducted around domestic tourist attractions. In addition, before COVID-19, many restaurant consumers searched for information on restaurants, and on weekends, various restaurant information was searched using general keywords such as family-centered restaurants and restaurants. After COVID-19, many restaurants disappeared due to business restrictions, and new restaurants that served delivery food appeared, and many specific store names and menus were searched. Therefore, after COVID-19, the main means of eating out are delivery food, and the consumption trend of online eating out consumption and diversity of menus has changed, and after COVID-19, strategic changes in restaurants are expected.

      • KCI등재

        코로나19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건강신념모델(HBM), 미디어/대인정보노출, 부정적 감정, 자기해석성향을 중심으로

        장우정,이선영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4

        코로나 19 감염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코로나 19에 대한 집단 면역이 실현되기까 지 시간이 걸리는 현 상황에서 코로나 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예방수칙을 계속해서 잘 지키는 것이 최선책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부터 안전해질 때까지 코 로나 19 예방행동(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개인위생 수칙 지키기 등)을 지속적으 로 행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건강신념모델(지각된 취약성, 심각성, 이익, 장 애, 자기효능감)을 기반으로 하면서 코로나 19에 대한 부정적 감정, 코로나 19에 대한 미디어와 대인 정보노출, 개인적 특성인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요인을 추가하여 확장된 건강신념모델을 제시하였고 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설문조사기관을 통 해 모집단의 성별, 나이, 거주지 구성비를 바탕으로 할당표집 하였고 총 299명을 연구대 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신념모델이 제시한 대로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 애, 자기효능감은 코로나19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코로나 19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코로나19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동에 대한 행위단서로서 미디어 정보노출과 대인 정보 노출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대인 정보노출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구체적으로, 코로나 19에 대해 지인 및 가족과 대화를 많이 할수록 코로나 19에 대 한 심각성 인식이 높고, 코로나 19에 대해 부정적 감정을 느끼며, 예방행동 지속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19에 대한 대인정보 노출은 예방행동 지속의 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지각된 심각성과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 로도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지각 된 심각성과 부정적 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심각성과 부정적 감정은 코로나 19 예방행동을 지속할 의도에 영향을 주어 이 두 요인은 상호의 존적 자기해석과 예방행동 지속의도 사이를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건강신 념모델을 확장하여 코로나 19라는 신종 감염병에 적용하여 설명력을 검증함으로써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확장하고 감염병 예방행동에 관한 후속연구 발전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 이론적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실용적으로는 전염성이 강한 감염병에 있어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 자기효능감, 부정적 감정, 대인정보 노출, 그리고 상 호의존적 자기성향이라는 개인적 특성이 감염병 예방행동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감염병에 대한 헬스커뮤니케이션 메시지 개발 및 방역 정책수립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t a time when COVID-19 infections are continually occur and it will take time for collective immunity to COVID-19 to be realized, it is best for individuals to continue to follow precautions to prevent COVID-19.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 barrier and self-efficacy), this study added negative feelings about COVID-19, media and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o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ested suggested model.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company using quota sampling by gender, age and residenc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99.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s suggested by the health belief model. Negative emotions toward COVID-19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media and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t was found that only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had a significant effect.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more conversations about COVID-19 with acquaintances and family members, the higher the perceived severity of COVID-19, negative feelings about COVID-19,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ontinue preventive ac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of COVID-19 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preventive behavior, and in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preventive behavior through perceived severity and negative emotion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and negative emotions. Perceived severity and negative emotions influenced the intention to continu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indicating that these two factors mediated betwee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prevention behavior.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health belief model and applied it to a new infectious disease called COVID-19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behavior. In practical terms,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results can help develop and devise campaigns for COVID-19 prevention and als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communication messages and quarantine policies for the emergence of new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 KCI우수등재

        코로나 시대의 공공도서관 대출 추이에 관한 연구 - A 공공도서관의 2019∼2021 대출 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

        박소연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4

        본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의 기간 동안 A 공공도서관의 대출 현황 및 대출 추이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코로나 전기와 코로나 시기 간, 코로나 시기와 코로나 회복기 간에는 대출 빈도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코로나 전기와 코로나 회복기 간에는 대출량 평균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을 통합해서 분석한 결과, 월별, 요일별, 시간대별 대출 빈도의 분포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세부 비교한 결과, 코로나 전기와 코로나 회복기의 월별. 시간대별 대출 분포가 유사하며, 코로나 시기의 월별, 시간대별 대출 분포는 코로나 전기 및 코로나 회복기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시대 장기간의 공공도서관 대출 추이에 대해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공도서관의 장서 개발, 서비스 운영 및 개선에 활용되고,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대출 행태와 정보 요구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circulation status and trends of a public library during three year periods from January 2019 to December 202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number of circulation between the pre-Covid-19 period and the Covid-19 period, and the Covid-19 period and the Covid-19 recovery period.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e-Covid-19 period and the Covid-19 recovery period. Across three yea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circulation per month. Circulation distribution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fferent days of the week and different hours of the day. Monthly circulation distribution and hourly circulation distribution during the pre-Covid-19 period was similar to those of the Covid-19 recovery period, whereas those of the Covid-19 period differed from the pre-Covid-19 period and the Covid-19 recovery perio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collection development, and the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prediction of circulation patterns and information needs of public library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