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과학 쇼를 통한 초등학생의 정보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한병래,Han, Byoungrae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2

        Recently SW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but many students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learn computer science. In this paper, I organized a computer science show to enhanc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computer science. The computer science show consisted of understanding binary systems, send a text message, parity bit magic, finding a number card, and collecting colors (orange games). I applied the computer science show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oked at the results.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mputer science shows did not have an "participation experience of computer science shows". As result of surveys, many students answered "I am interesting about computer science shows," "I am interested in computer science," and "I would recommend it to my friends nearby." Through research, I learned that computer science shows are a way for elementary students to draw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and to create curiosity and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I found from research that computer science shows are a way to reduce students' learning burdens and to increase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최근 SW교육이 강조되고 있으나 아직 많은 학생들이 컴퓨터과학을 접할 기회는 많지 않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컴퓨터과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증대시키기 위해 컴퓨터과학 쇼를 구성하였다. 컴퓨터과학 쇼는 이진체계의 이해, 문자 전달하기, 패리티비트 마술, 숫자 카드 찾기, 색깔 모으기(오렌지 게임)들로 구성하였다. 컴퓨터과학 쇼를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결과를 살펴보았다. 컴퓨터과학 쇼에 참여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컴퓨터과학 쇼에 대한 경험"이 없었다. 컴퓨터과학 쇼 후의 설문조사에서 많은 학생이 "쇼에 대해 재미있다", "컴퓨터과학에 관심이 생겼다", "주변 친구에게 추천 하겠다"라고 응답했다. 연구를 통해 컴퓨터과학 쇼는 초등학생들에게 컴퓨터과학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고, 컴퓨터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일으킬 수 있는 방법임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

        CS와 CS Unplugged의 비교연구

        전석주,조윤주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6

        Recent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 has naturally led to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Computer science is the study of theory and principle of computer and computational systems. This knowledge and concept of computer science is fundamental to software education. Recently, "Computer Science (CS) Unplugged", which is an educational method for introducing students to concepts of computer science without using a computer, has been widely used in classes around the world. CS Unplugged is a method for learning the basic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through diverse playing activitie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these CS unplugged activities take place in class without an analysis of how closely they relate to the core subjects learned in real computer sc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re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and the core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contained in the various activities of CS Unplugged.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늘어감에 따라 컴퓨터과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컴퓨터과학은 ᅟᅥᆷ퓨터와 컴퓨터시스템의 이론과 원리를 학습하는 학문으로서 이러한 컴퓨터과학의 지식과 개념은 소프트웨어 교육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컴퓨터과학 언플러그드라는 학습 방법이 전세계적으로 수업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CS 언플러그드는 다양한 놀이활동을 중심으로 컴퓨터과학의 원리를 배우도록 하는 학습 방법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CS 언플러그드 활동이 실제 컴퓨터과학에서 배우는 핵심교과와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 없이 수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과학의 핵심 내용과 CS 언플러그드의 다양한 활동에 들어있는 컴퓨터과학 핵심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과학 실험 교수 학습 전략 탐색

        김현수 국제과학영재학회 2020 국제과학영재학회지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활용 과학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과학영재들의 학습특성을 분석하여 컴퓨터 활용 과학실험수업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교육대학교 영재교육원에 속한 초등과학영재들 중 컴퓨터 활용 실험수업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8명을 대상 으로 4차시에 걸친 컴퓨터 활용 과학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을 마치고는 선행연구에서 언급하는 컴퓨터 활용 실험수업의 장점과 관련된 학습특성과, 변경되는 교수학습전략에 따라 나타나는 학습특성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화면에 비하여 실험기구, 실험상황 관찰을 비교적 적게 하며, 결과예측과 그래프 만들기 활동을 교사의 과제제시에 따라 더 빈번하게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설명시간이 길거나 교재에 지나치게 의존 하는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나타내는 장점 관련 담화의 빈도가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에서 탐색한 컴퓨터 활용 실험수업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교수학습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기구 관찰, 다른 모둠의 결과를 공유하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실험을 구성하는 것에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 둘째, 피드백, 개념이해, 데이터와 그래프 처리, 토론을 하도록 적절한 과제를 제시하고, 학생의 활동에 개입해야 한다. 셋째, 교사의 설명과 안내를 토의와 실험결과 공유시간으로 대체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관찰기회와 실험결과에 대한 해석의 기회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in computer based science experiment(CBE) class and explor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an effectively represent the advantages of computer based science experiment(CBE). In the research, CBE lesson with 4 classes were given to the eigh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Science Gifted Institute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At the end of the class,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at appeared in relation to the advantages of CBE mentioned in the preceding study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performed less monitoring of experiment conditions, more frequent result prediction and graph-making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assignm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of students' discourse decreases in classes where teachers' explanation time is long or relying heavily on textbooks.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explored in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ime to observation of laboratory instruments and share the results of other groups should be secured as much as possible and autonomy should be given to organizing experiments. Second, presenting appropriate tasks and intervening in student activities. for graph processing, feedback and discussion. Third, the teacher's explanation and guidance should be replaced with discussion and experiment result sharing time so that students have various observational opportunities and opportunities to interpret experimental results.

      • 한국의 정보 교육과정과 미국 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의 비교

        최현종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학교 정보 교과 교육과정과 미국 컴퓨터과학교사협회(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를 서로 비교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추후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을 얻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국내외 컴퓨터 과학 교육의 비교 논문을 찾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학교 정보 과목의 목표와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방법 등을 2016년에 제시된 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의 목표와 내용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두 개의 교육 목표와 내용은 컴퓨팅 사고력 교육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교육 내용은 다소 상이하게 진술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의 정보 교육과정과 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 비교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개발되어지는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정보 교육과정 개발에 좋은 사례 연구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of Informatics subject in Korea and CSTA’s computer science framework in the U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son study, the focus group interviews was conducted to obtain some suggestion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First of all,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ome literatures concerning about computer science education were studied and compared. After that, the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Informatics subject in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STA’s computer science framework that was published in 2016. Although the two educational objectives of Informatics curriculum and computer science framework for promoting computational thinking have in common, some of its contents and elements between them are found to be different.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results of comparison, some considerations were proposed for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of Infor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case that can be consulted on the new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to be developed further.

      • KCI등재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 국제 비교

        이재봉 ( Jaebo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5

        본 연구에서는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협회가 시행한 ICILS 2013의 교사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실태를 다른 나라와 비교하였다. ICILS 2013은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18개 참여국 중 컴퓨터 . 정보 소양 점수가 높은 호주, 체코, 노르웨이, 폴란드와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의 ICT 활용 실태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CILS 2013의 교사 설문지 중에서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분석할 수 있는 9문항을 선택하였는데, 문항들은 교사의 컴퓨터 이용 실태, 수업에서 ICT 활용 현황, 학교의 ICT 활용 지원 환경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컴퓨터 사용 실태를 보면, 컴퓨터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며 컴퓨터에 대한 자아효능감도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컴퓨터 활용은 잘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지만 교수학습과 관련된 컴퓨터 활용에서는 낮은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수업에서 활용에서도 비교적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프레젠테이션이나 그래픽 소프트웨어에 대한 활용의 비중이 높은 편이고 학습활동이나 교수활동에서도 교사주도의 정보 제공이나 과제 제시에 대한 활동의 비중은 높지만 협업이나 상호작용이 많은 활동에서는 낮은 응답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은 ICT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인 관점보다는 부정적인 관점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학교에서 컴퓨터 관련 자원을 지원하는 정도는 지원이 부족하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조사 항목 대부분에서 호주나 체코에 비해 지원 정도가 낮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충분한 ICT 기기나 컴퓨터가 구식 모델이고 디지털 학습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여기서 드러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ICT 교육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더불어 학생활동 중심의 ICT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by middle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utilizing the teacher survey data of the IEA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CILS) 2013. The ICILS target population consisted of all students in the eighth grade. We compared Korea with Australia, the Czech Republic, Norway, and Poland, which are nations showing the highest achievement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We selected nine questions from the teacher questionnaire and divided them into the categories of computer use, use of ICT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ICT support environment in school. In comparison to their counterparts in other countries,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used computers frequently and also had high ICT self-efficacy. They were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use computers for general tasks, but not in their ability to use compu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Korean teachers also had a high percentage of utilization of presentation and graphics software. Also, the proportion of activities concerning the information provided and teacher-led tasks was high, but the proportion of activities for student collaboration or peer interaction was low. In Korea,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had more negative than positive views of using ICT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teachers thought that computer-related resource support and digital learning materials were insufficient and that the computer model was outdated in schools. Therefore, we propose to build an ICT infrastructure and to develop and disseminate IC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tudent activities.

      • 북한의 주요 분야별 과학기술현황 조사

        홍성범,임기철,임덕순,이춘근,홍사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 정책연구 Vol.- No.-

        서 론 * 1980년대 말 남북한의 물자교류가 허용되면서 시작된 남북한간의 교류협력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됨으로써 그 정점을 이루었음. 그 동안의 남북교류는 주로 물자의 교역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90년대 초에 비하면 지금까지 상당한 진전을 보여 왔음. 교역규모나 성장속도가 미진하나마 3억 달러에 이르고 있으며, 비경제분야에서의 교류협력도 지속적으로 진전되고 있음. 과학기술교류에 있어서도 진전이 있었음. 농업과학분야에서는 인공씨감자, 슈퍼 옥수수 등 이미 실질적인 협력실적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 등 제 3국을 매개로 남북한이 직접 접촉하는 국제학회 등이 속속 개최되고 있음. * 최근 미국 부시행정부의 등장과 더불어 북한과 미국과의 관계가 냉각되기 시작하였고 남북관계도 경색되고 있음. 그러나 남북관계는 그동안에도 계속 경색되기도 하고 다시 화해하기도 하면서 진전되어 왔음. 최근의 추세가 언제까지고 계속되는 않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으며 다시 교류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음. 현재의 상황이 어떻든지 간에 장기적인 안목에서 우리는 계속되는 남북교류의 확대를 위해 대비해야 할 것임. * 그러나 협력에 앞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상대방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데이터임. 이러한 기본적인 사항이 충족되지 못한 채 협력이 진행됨에 따라 어려움이 가중된다고 볼 수 있음. 이러한 맥락에서 본 보고서는 북한의 주요 분야별 기술현황을 파악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가짐. 또한 이러한 작업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당위성을 가짐. 첨단기술분야 1. 북한의 소프트웨어분야 기술현황 * 북한의 컴퓨터 산업은 하드웨어 부문에서는 매우 낙후되어 있지만,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우수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으며, 점차 그 개발 분야를 확장해 나가고 있음. 특히 북한은 소프트웨어의 산업화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소프트웨어 산업은 앞으로 북한의 주요 수출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됨. 1990년 12월 17일부터 19일까지 평성에서 실시된 제1차 프로그람 경연 대회에서는 전국 각지 프로그램 개발 부문의 과학자, 기술자, 교원,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응용 프로그램과 봉사 프로그램, 체계 프로그램 분야에서 개발된 440여건의 프로그램이 경쟁했음. 이 프로그램 경연대회는 매년 실시되고 있으며 출품되는 작품의 질도 점차 향상되어가고 있음. 작년 8월 전국 대학생 컴퓨터 경연대회가 있었는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경연에 각각 2만 명이 참가하였다고 함. 현재 북한의 고급 IT인력은 10만 명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북한의 소프트웨어 산업에서 음성인식, 문자인식, 지문인식 등 각종 인식기술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 있으며, 각종 제어시스템과 자동화시스템, 의료관련 시스템에서도 국제적인 기술수준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또 북한은 워드프로세스 등 기본적인 기술은 물론이고 한의학 의료정보시스템, 자연어처리 시스템, 위성 등 우주항공 분야, 그리고 멀티미디어, 게임, 애니메이션, 시뮬레이션 등의 분야에서도 강점을 나타내고 있음. 북한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주요 특징은 인공지능, 퍼지 이론, 영상처리, 문자인식, 지문인식, 기계번역 등 첨단 정보기술을 활용한 것이 많다는 것임. 또 군사기술과 기초과학이 발달되어 있어, 이와 관련된 수치계산, 통계프로그램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장거리 유도무기의 개발 등 각종 군사 무기의 제어장치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는 북한이 직접 개발할 정도임. 민수용과 달리 군사용 통신 기술과 통신장비산업 역시 북한의 IT산업 가운데서도 비교적 발달되어 있는 분야로 평가됨. 북한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기술을 철도, 항만, 기상, 수문, 해상을 비롯하여 농공업, 무역 등 산업 전 분야와 교육, 의학, 체육, 문화 예술, 출판, 보도 등 사회 전 분야에 광범위하게 도입, 적용해 나가고 있음. * 국가과학원 프로그람종합연구실에서는 사무자동화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 부기 계산, 은행관리 및 수출입관리체계 개발, 조선어영어번역지원체계 개발 및 조선어 문자인식 프로그램 개발, 게임을 통해 지능을 개발하는 edutainment 프로그램 개발 등이 있음. * 평양정보쎈터는 우리말 정보처리와 워드프로세서 개발에 매우 앞서 있는 기관임. 그들이 개발한 `창덕`워드프로세서는 북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워드프로세서로 알려져 있음. 그 동안 이 센터에서는 워드프로세서 "창덕"과 영문 윈도우 95에서 한글 입출력이 가능한 한글처리프로그램 "단군",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인 "고향", 2차원 컴퓨터 보조설계 지원시스템인 "들", 3차원 컴퓨터보조 건축설계 지원시스템인 "산악", 한글과 영어, 일본어, 한자 병용의 전자출판체계, 한글 인식 프로그램인 "인식", 한-일 기계번역 프로그램인 "담징" 등을 개발하였음. * 조선컴퓨터센터는 그 위상이나 규모, 업무범위 등에서 북한 최고 수준의 종합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기관임. 조선컴퓨터센터(KCC)는 조총련의 지원을 받아 1990년 10월 24일에 설립되었음. 조선컴퓨터센터는 경제 각 부문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인력을 양성할 뿐 아니라,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심의, 등록, 발명권 보호와 전국적인 보급을 책임지고, 매년 1회 전국적인 프로그램콘테스트를 개최하며, 컴퓨터와 프로그램의 수입행정을 책임지는 등 컴퓨터기술 개발과 국가 컴퓨터화 실현에서 중앙센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따라서 개발한 프로그램도 일반산업 부문과 문자 및 음성인식, 의료, 사무자동화, 게임 등 거의 모든 분야를 포함하고 있음. 실질적으로 조선컴퓨터센터는 1990년 10월 창설한 이래 북한 컴퓨터 기술의 연구개발, 교육, 확산의 중심기지로 급속히 성장했음. 2. 북한의 통신분야 기술현황 * 북한의 통신망은 음성통신에서 정보통신으로,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으로 변화하는 세계적인 조류와는 상관없이 전화망 위주로 구성되어 있음. 현재 통신망은 경제성, 안정성을 무시하고, 정부의 행정 계위와 일치시킴으로써 관리의 편리성을 위주로 구성하였으며, 평양을 중심으로 한 성(Star)형 망으로 구성하고 있음. * 북한의 전송망은 국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매우 빈약하다 할 수 있음. 주요 전송로는 광케이블을 이용한다는 발표와는 달리 매우 열악한 것으로 분석됨. 특히 북한의 전송로는 장애에 대비한 우회 루트 등의 대체망이 없어서 전송로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보수기간에는 통신망이 불통됨. * 북한지역의 교환기는 중국의 Shanghai Bell에서 생산된 S1240계열의 교환기가 최근에 주로 도입되고 있음. S1240교환기는 S12계열의 각기 고유 기능을 가진 단말 모듈들이 연결된 형태로 분산된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완전 분산 제어 방식의 디지털 교환기로 가입자교환, 중계교환, ISDN교환의 기능을 수행하며, R1, R2, Socotel, ITU-T N7 등의 다중 Frequency를 수용할 수 있으며, No. 7 공통선 신호를 수용할 수 있음. S1240교환기는 국내에도 전전자 교환기 도입 초기부터 도입되어 현재 약 7%정도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 북한의 수동식 교환기는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의 주종 교환기로 소련의 모델을 북한에서 개량하여 생산하고 있으며, 100회선, 50회선, 28회선, 12회선 등이 주종을 이룸. 이러한 교환기는 교환원들이 3교대로 근무하면서 통신을 연결시켜주며, 각 도청소재지에서 협동농장까지 전 생산단위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음. * 현재 북한에는 시외구간에 대하여 광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음. 광케이블은 북한에서 자체 생산되고 있음. 그러나 이러한 광케이블은 평양을 중심으로 시외와 평양시내 일부구간에서만 사용되고 있고, 지방은 아직 동선이 주를 이루고 있음. * 북한에서 통신의 역할은 "사회주의적 이상 즉, 주체사상이나 혁명 이념을 전달하고 경제계획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기 때문에 일반 개인용 전화는 거의 없으며 초급당 비서 이상의 당·정 고위간부와 특급기업소 지배인 또는 재력이 있는 화교나 북송 일본인 동포 등 특정 계층에게 수동식 교환대로 연결되는 가정용 전화가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음. * 통신

      • KCI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컴퓨터과학의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 연구

        한선관,김경신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는 컴퓨터 과학의 내용을 보다 쉽게 초등학생에게 이해하여 논리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언플러그드 수업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컴퓨터 과학의 내용 중 자료구조의 수업내용을 재구성하여 실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사고력 검사지로 수업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언플러그드 학습을 적용하여 컴퓨터실이 아니라 일반 교실에서 아동의 구체적 경험과 실생활의 예를 토대로 학습을 하였으며 학습지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적용한 결과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알맞게 조직화된 컴퓨터과학의 학습방법을 제시했을 때 초등학생이 컴퓨터 과학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정보교육의 내용에 컴퓨터 과학을 적용할 수 있으며 초등학생들이 논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posed the unplugged learning strategy of computer science that makes more easily to understand learning contents and to improve logical thinking of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We reorganized the contents of data structure in computer science. The students write project papers from their own experiences and daily lives in the classroom, not in the computer room as applying unplugged learning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can better understand computer through a study method of computer science on their step of growth. Through this study, the learners can be the abilities of organizing digital data and increasing the logical thinking, based on information education.

      • KCI등재

        컴퓨터 사용시간 및 사용목적과 창의성간의 관계

        홍성용(SeongYong Hong),이문정(MoonJuung Lee),성은현(Eun-Hyu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컴퓨터 사용시간 및 사용목적과 창의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충남에 위치한 공학계열 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사용시간 및 사용목적에 관한 설문에 응답하게 하고, 창의적 효능감과 영역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컴퓨터 시간과 일상생활 창의성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는데 컴퓨터를 많이 할수록 일상생활창의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컴퓨터 사용시간이 1시간 이내인 사용자가 1시간 이상인 사용자보다 일상생활 창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사용 목적과 창의성과의 관계에서는 기계/과학 창의성만이 컴퓨터 사용목적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게임 등 여가활용 목적의 컴퓨터 사용자보다 정보검색목적의 사용자가 기계/과학 창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가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shows the relationship among computer hours, a use of a computer, and user's creativity. For the research, 119 students in engineering department participated in a survey designed to test their creative efficacy and domain of creativity. Throughout the research, it turns out to be that a computer hour is reversely proportional to creativity in a daily life. This means more computer hours results in less creativity. To give an example, a student, using a computer less than an hour per a day, is more creative than a student using a computer more than 2 hours per a day. On the contrary, a use of a computer is directly proportional to creativity. If a student uses a computer for web search to learn something rather than a game play, he or she shows higher creativity in engineering and science field. The last observation in this research is that a computer hour is irrelevant to a use of a compute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a computer can promote student's creativity if a main use of a computer is for learning

      • 알고리즘 구조 학습을 위한 언플로그드 수업 활동 개발

        김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 학술논문집 Vol.9 No.1

        컴퓨터과학 교육은 고차원적인 사고가 수반되어야 학습할 수 있으므로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추상적인 컴퓨터과학 개념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언플러그드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SW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알 고리즘을 분석한 후 그에 맞는 언플러그드 활동을 개발하였다. 컴퓨터과학교육을 학습하는 학생들이 초등학생임 을 감안하여 구체적 조작활동을 통한 학습으로 다가감으로써, 컴퓨터에 대한 호기심, 관심, 적극적인 참여 태도 로 컴퓨터과학 개념원리 습득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Sinc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an be learned only with high-level think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enable students to learn effectively. This study presents an unplugged activity that can understand abstract computer science concept more easily and enhanc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o do this, we analyzed the algorithms covered in SW curriculum and developed unplugged activities corresponding to them. Considering that the students who are learning computer science education a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ill approach to learning through concrete manipulation activities, so that they can help them to acquire the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concepts with curiosity,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attitude.

      • KCI등재

        컴퓨터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 적용에 관한 연구

        이지선(Ji Sun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테크놀로지가 발달하면서 모든 영역에서 테크놀로지의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컴퓨터 교육이 급속도로확산되면서 IT 강국인 국내에서도 컴퓨터 교육을 정규교과에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이 최근 시작되었으나 아직 그 교육 흐름이 기존의 정보 활용 교육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거나 단순한 소프트웨어 교육으로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 컴퓨터 교육과 관련된 전 세계적 흐름을 파악하고 국내 컴퓨터 교육이 당면해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규 교과로 제시된 영국과 미국의 컴퓨터 교육을 비교 연구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의 STEM 교육에 창의성의 더하기 위해 광의 의미의 Art를 더해 STEAM 융합교육을 시도하는 것처럼 컴퓨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에 창의성을 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과 융합하고 직접 만들면서 디자인 사고를 직접 실천하여 배우는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을 교육에 접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한 컴퓨터 교육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론을 토대로 컴퓨터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한 컴퓨터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세 가지 관점에서 초등학교에게 적용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초등학교컴퓨터 교육에 적합한 디자인 사고가 적용된 창의적 컴퓨터 융합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Ever since the technology has developed, its ability is suitably significant in almost every field. Even in Republic of Korea, a powerful country of the IT industry, the movement of adapting computer education into regular curriculum has recently started. However, yet the educational trends are still situated i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or limited in software education. Therefore, analysis of world-class computer education and problems in Korean computer education were implied. In addition, the study of comparing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computer education was to suggest direction in computer education. Especially it was aiming for method of computer education including Maker Movement, method of applying creativity to computational thinking over fusion of design thinking and direct practice of design thinking, like attempting Art to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n broad sense of meaning. Based on this method, it was implied the method of computer education applicate design thinking for expans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posed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creative computer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rom the analyzed conclusion drawn by three individual aspects of the appli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