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가상치과모형을 이용한 한국인 상악제이대구치마모도의 정량적 분석
김수현,김원희,박영석,이승표 대한구강해부학회 2015 대한구강해부학회지 Vol.36 No.1
치아마모(tooth wear)는 사람이 살아가며 피할 수 없는 노화과정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치아마모의 과정은 크게 마모(abrasion), 침식(erosion), 교모(attrition) 등으로 알려져있다. 마모는 치아 표면에 가해진 외부 물질과 치아와의 마찰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음식물이 대표적인 외부 물질이며 칫솔질 혹은 씹는 담배 등에 의해서도 마모가 일어난다. 침식은 바이오필름을 제외하고 일상 생활에서 섭취하는 음식물에 나오는 산에 의하여 치아 표면이 녹는 것을 의미한다1, 2). 교모는 음식 섭취와 관계없이 치아와 치아사이 마찰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주로 절단면과교합면에서 일어나며 인접면에서도 발생한다. 치아마모 는 매우 복합적 원인에 의하여 나타나는현상으로 위와 같은 세 가지 원인 이외에도 치아의 화학조성이나 식생활 습관, 전신적 및 구강 건강 상태, 저작 습관 및 거주지 주변 환경 등의 원인이 있다. 따라서 치아마모의 원인을 확인하는것은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을내려야 하며 이미 마모가 일어난 상황에서는 마모정도를 정확히 진단하고 병적 상태인 경우 더 이상마모가 진행되지 않도록 처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신 건강을 위한 구강 건강 유지는 필수적이다. 경제 발전, 의료 수준 향상 및 생활 환경 개선등으로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건전한 치아 건강 유지와 교합 상태 관리는심미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보다행복한 삶을 위해서도 검진 도중 비정상적 마모치아를 발견한다면 적절한 수복 치료와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지속적 관리를 위한 대비책을 세워야만 한다3). 이를 위해서는 정상적이라는 판단의 근거를 가져야만 한다. 10대 젊은이와 70대 노인의 치아마모 정도가 같을 수는 없다. 하지만 노인이라고 해서 과다한 치아마모 상태를 정상이라 할 수도 없다. 이러한 진단은 임상의 들이 관찰에 의한 정성검사법을 주로 사용한다. 임상가들 마다 자신들의목적에 맞는 다양한 치아마모지표들이 개발되어 검증되어 왔으며4-7) Smith와 Knight (1984)의tooth wear index가 대표적인 지표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 방법들은 관찰자의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주관적이며 상황에 따라 점수의 변동이 있을수밖에 없다. 따라서 관찰자 내 혹은 같은 연구에서의 관찰자 간 오차는 적을 수 있지만 완전히 다른 연구에서는 높은 오차 가능성이 있을 수밖에없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상치과모형을이용한 정량분석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한번 만들어진 가상치과모형은 인터넷을 통하여 전 세계 어디로도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며 모형에 계측점이인기되면 어떤 측정자가 측정을 하더라도 동일한측정값을 구할 수 있다9-11). 그리고 마모도 측정을위하여 가상치과모형에서만 가능한 가상벡터, 가상평면 등의 형성이 자유로우며 복잡한 수학적 계산도 가능하다12). 본 교실에서는 이미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치아마모도 정량 분석 지표 개발13) 및검증14-15)을 시행한 바 있다. 하지만 상악제일대구치에 대한 연구만 있었을 뿐 상악제이대구치에 대한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아 본 연구를 시행하여 상악제이대구치의 마모도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인류학적 관점에서 개발된 치아 마모도의 분석 방법 검토
전채린,우은진,박순영 대한체질인류학회 201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2 No.1
Tooth wear records valuable information ranging from diets to cultural behaviors such as using teeth as a tool. However, methods analyzing tooth wear in archaeological skeletal remains have been designed and developed with subjective standards and processes.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measuring range is different by each method and some have not specified it exactly. For this reason, there are limits to attempt a comparison between studies using different types of tooth wear methods even though data on tooth wear in ancient populations have been accumulated for many year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eded to establish a method that can objectively diagnose tooth wear. This study aims to examine systematically a variety of tooth wear methods which have been developed from an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and to consider limitations of each method. A total of 20 research papers which describe a new dental wear method or advanced one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nd then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measurement value, which mean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of dental wear. Qualitative wear method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wo subdivisions (① entire pattern on the occlusal surface, ② sum of quadrants on the occlusal surface). On the other hand, quantitative wear methods were divided into three classifications (① angle, ② height ③ area) and each category was reviewed. This approach enables to help understand the trend about methods for analyzing tooth wear, and w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objective tooth wear method by more standardized criteria in the near future. 치아 마모는 과거 사회의 사람들이 어떤 음식을 섭취했고, 어떤 문화적 관습을 행하며 살았는지에 관한 정 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치아 마모를 분석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법들은 마모를 측정하는 범위에 대한 정의가 매우 상이하며, 이를 측정하는 절차 또한 실험자의 주관적인 판단 하에 분류된 것들이 많아 치아 마모도를 나 타내는 객관적 지표라고 평가하기 어려운 점이 많았다. 또 고고학 유적지에서 출토된 사람 뼈를 가지고 치아 마모도 를 분석한 연구들은 많지만, 서로 다른 방법으로 마모도가 측정되어서 연구 결과를 비교할 수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치아 마모도 분석 방법들을 정량적 측정방법과 정성적 측정방법의 두 흐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 방법들 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마모도 분석 방법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치아 마모도 분석에 관한 연구가 어떤 방법과 절차에 따라 진행되어야 하는지 그 객관적 기준을 마련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과도한 치아 마모와 절단교합을 보이는 환자에서 최소한의 수직 고경 증가를 통한 구강회복 증례
김희영,김성아,이용상,이근우,방주혁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2
Although tooth wear is a normal process due to aging, severe tooth wear causes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increased tooth sensitivity, loss of tooth structure, and pulp complication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excessive tooth wear, the evaluation of loss of vertical occlusal dimension should be prioritized. If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vertical dimension to secure the restoration spac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treatment plan with the comprehensive analysis and determine the minimum vertical dimension elevation. In this case, 66-year-old male patient with severe worn dentition wanted to restore masticatory function and improve esthetic restor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vertical dimension of the patient, we evaluated oral examination,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diagnostic cast examination, and performed rehabilitation with minimum vertical dimension elevation. As a result of observation for 8 months, the definitive prosthesis was completed with contact of all teeth in centric occlusion, and proper anterior/posterior guidance. Through the above process, satisfactory aesthetic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obtained.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3;61:143-52) 치아의 마모는 노화로 인한 정상적인 과정이지만, 과도한 마모는 치아 구조물 상실, 치아 민감성 증가, 치수 합병증 등 여러 합병증을 야기한다.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치료는 수직교합고경 상실 여부의 평가가 우선되어야 하는데, 보철수복공간이 부족할 경우 수직교합고경 증가가 필요할 수 있고,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최소한의 증가량을 결정해야 한다. 본 증례는 66세 남환으로 심한 치아의 마모로 인한 저작기능 회복 및 심미적인 회복을 위해 내원하였다. 구강 검사, 방사선 검사, 진단 모형 검사 등을 통해 수직교합고경을 평가하고,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 증가를 동반한 보철수복을 계획하였다. 8개월 간의 관찰 결과 중심위에서 치아의 균일한 접촉, 적절한 전방 및 측방 유도를 부여하였고, 환자의 기능적 문제를 해결하고 심미적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3;61:143-52)
치아 상실과 심한 마모를 보이는 골다공증 환자에서의 완전구강회복 증례
김현탁,김명주,임영준,권호범 大韓齒科補綴學會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1
Teeth wear with loss of posterior support often leads to symptoms such as irregular occlusal plane and excessive wear of anterior teeth. In such environment, establishing proper posterior support and harmonious anterior guidance and occlusal plane is recommended. In this case, the patient had excessively worn dentition with loss of posterior support, while denying surgical treatment due to her(his) history of osteoporosis, ibandronate injection, and risk of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MRONJ). To recover the vertical space needed for prosthetic restoration,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dimension increase of remaining teeth was decided. Missing teeth in the posterior area were restored with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treatment plan was determined through careful diagnosis, and every step of procedures including tooth preparation, provisional phase with the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and definitive prosthetic phase were carried out accordingly. Once the treatment was completed, the patient was satisfied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Periodic examination of oral hygiene, occlusal stability was conducted. 구치부 치아 상실을 동반한 치아 마모는 불규칙한 교합평면, 과도한 전치부 마모와 같은 특징적인 양상을 보인다. 적절한 구치부 지지를 부여하고 조화로운 전방유도와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치료 방법이 추천된다. 본 증례 보고의 환자는 치아의 병적인 마모가 관찰되고 하악 구치부 치아가 상실되었다. 또한, 골다공증 병력과 Ibandronate 주사 치료와 관련된 골괴사증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마모된 잔존치를 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로 수복하고, 하악 무치악부는 양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로 수복하였다. 면밀한 진단을 통해 수복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대치 형성 후 임시 보철물 상태로 적응 기간을 거쳐 최종 보철물 제작하였다.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구강 위생관리 및 교합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내원하도록 하였다.
치아 마모 환자에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하여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로 완전구강회복을 시행한 증례
오경철,정문규,김지환,심준성 大韓齒科補綴學會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3
과도한 치아 마모는 교합면에 손상을 야기하고, 치수 병변, 교합 부조화, 기능장애,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다. 과도한 치아 마모를 갖고 있는 환자들을 치료하고자 할 때 수직교합고경(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VDO)의 상실 여부와 수복을 위한 악간 공간의 적절성 여부에 기반하여 분류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다수 치아들의 마모를 지닌 50세의 남성으로, 과도한 치아 마모가 있지만 수직교합고경의 상실은 없으며 수복을 위한 악간 공간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경우 수직교합고경을 증가시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필요한 범위 내에서 최소로 줄이고, 증가된 수직교합고경 상에서 안정화 기간을 거친 뒤 안정된 교합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면,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치료법은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남성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전치부와 구치부에서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을 하였다. 일련의 치료과정을 통하여 기능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Excessive occlusal wear results in unacceptable damage to the occluding surfaces, and can cause pulpal injury, occlusal disharmony, impaired function, and aesthetic deformity. Patients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need to be classified as several categories relative to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VDO) and the interocclusal distance for the prosthetic space. When treating patients classified as those who have excessive wear without loss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but with limited space, we could consider treating them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Treatments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may provide stability, given that the amount of its increase was minimal, and a perfected occlusion was achieved after enough stabilization period. A 50-year-old male visited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in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the chief complaint of worn teeth on lower anterior area. Reconstruction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was planned. After the compatibility of the new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had been confirmed under interim fixed restorations, definitive fixed restorations composed of full-contour monolithic zirconia prostheses were placed. This case presents that a satisfactory clinical result was achieved by restoring the worn dentition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with an improvement in esthetics and function.
디지털 안궁이전과 가상교합기를 이용한 광범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완전구강회복 증례
정진묵,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김형섭,권긍록,배아란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4
치아의 점진적인 마모는 노화에 따른 생리적 과정 중 하나이나 과도한 마모는 교합의 부조화, 치아 과민 및 치수 노출과 저작효율감소, 그리고 심미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75세 남환으로 전반적인 치아 마모로 인해 본원 보존과에서 의뢰되었고, 임상 검사 결과 전 치열에 걸친 심한 치아 마모와 구외 계측 값 기준 5 mm 가량의 수직 고경 소실이 관찰되었고, 예비 인상 채득 후 중심위 상태로 반조절성 교합기에 마운팅하여 진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역시 5 mm 가량의 수직 고경 소실이 관찰되어 심미적 문제와 저작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전악 수복치료를 계획하였다. 전악 왁스업한 모형을 스캔하여 CAD 프로그램 상에서 임시보철물을 디자인한 후 밀링하여 임시 보철물을 사전에 제작하였고, 전악 치아 삭제 후 임시 보철물 장착하였다. 임시 보철물 장착 후 경과 관찰한 결과 별다른 불편감 없어 전악 최종 인상 채득 및 교차 마운팅을 시행하였다. 안정된 기존 임시보철물의 형태 및 교합 관계를 참고하여 디지털상에서 최종보철물을 디자인하였다. The progressive wear of teeth is a physiologic process of aging, but excessive wear can lead to occlusal disharmony, tooth sensitivity and pulp exposure, decreased masticatory efficiency, and aesthetic problems. It should be treated by evaluating the cause of tooth wear and establishing a stable centric relation with appropriat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nd occlusal plane. The present case report successfully rehabilitated a full-mouth case of a severely worn dentition with the use of digital facebow transfer and virtual articulator.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에서 교합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 증례
이종석,심지석,류재준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3
Tooth wear refers to the loss of dental hard tissue caused by variou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auses, and excessive pathological wear can cause complications such as pathological changes in dimensions, occlusal disharmony, loss of function, and aesthetic problems. The cause of tooth wear can be caused by attrition, abrasion, corrosion and abfraction, and it is known to act in a multifactorial etiology in interocclusal activity. In patients with excessive pathological wear,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s reduced, and complete oral rehabilitation should be achieved with the adaptation of the neuromuscular and temporomandibular joint through accurate diagnosis and analysis. The patient in this case was a 63-year-old male patient, who presented discomfort to cold beverage due to severe tooth wear. After analysis of the patient’s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 full mouth rehabilitation was performed with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The goal of treatment was to improve the occlusal plane with the equal-intensity contact of all teeth, harmonious anterior guidance and immediate disclusion of all posterior contacts. After rehabilitation,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function and esthetic appearance. 치아 마모는 다양한 생리적, 병리적인 원인으로 일어나는 치아 경조직의 상실을 의미하며, 과도한 병적 마모는 치수의 병적 변화, 교합 부조화, 저작 기능 상실 및 심미적 문제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의 원인에 대해서는 교모, 마모, 부식, 굴곡파절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구강 내 교합하는 환경에서는 복합적으로 작용함이 알려져 있다. 과도한 병적 마모를 가진 환자의 경우 수복 전 수직 고경의 감소 유무에 대한 판단이 중요하며, 정확한 진단 및 분석과 예지성 있는 치료 계획 수립을 통해 근신경계와 악관절의 안정과 적응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63세 남환으로 치아들이 많이 닳아 있으며 전반적으로 시리다는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으며, 환자의 교합수직고경에 관한 면밀한 분석 이후 교합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을 시행하였다. 전체 치아의 균등한 접촉, 기능적 악운동과 조화를 이루는 전방 유도 및 측방 운동 시 구치부 이개와 교합 평면의 개선을 치료 목표로 하였으며, 만족스러운 심미 및 기능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3D 프린팅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한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김세영,신수연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3
Severe wear of the anterior teeth facilitates the loss of anterior guidance, which protects the posterior teeth from wear during excursive movement. Additionally, when treating patients with collapsed occlusion due to multiple tooth loss and tooth wear,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vertical dimension loss through accurate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and diagnostic wax-up. The patient of this case is a 44-year-old female patient who complained of overall tooth wear and loss of posterior teeth due to bruxism and clenching habits, visited the hospital with the address of restoring masticatory function and improving aesthetic appearance through prosthetic treatment. Through model analysis and diagnostic wax-up, an increase in vertical dimension was determined, and full mouth restoration with fixed prostheses was planned. The degree of adaptation to the vertical dimension was confirmed step by step using an occlusal splint designed with CAD (Computer aided design) software and 3-D (3-Dimensional) printed, and then restored with provisional restoration and after a 4-month adaptation period, the entire dentition was restored with metal ceramic crowns and implants. Through this procedure, satisfactory treatment results were obtained in terms of function and aesthetics. 전치부의 심한 교모는 측방운동 중 구치부를 교모로부터 보호하는 전방유도의 상실을 촉진하며, 구치부의 상실은 교합의 부조화 및 수직고경의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다수의 치아상실과 치아 마모로 인해 교합이 붕괴된 환자 치료시에는 정확한 임상 및 방사선 검사, 진단용 왁스업을 이용하여 수직고경 상실에 대한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44세 여성환자로 이갈이와 이악물기 습관으로 전체적인 치아 마모 및 구치부 상실로 저작기능 및 발음, 심미적 불편감을 호소하였으며, 보철적 치료를 통해 저작기능 회복 및 심미적 안모 개선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도한 치아 마모와 상, 하악 구치부의 결손으로 감소한 수직교합고경 및 전치부의 심한 수직피개를 보였다. 모형 분석과 진단납형을 통해 수직고경 증가를 결정하였으며,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수복을 계획하였다. 안정된 치료위로의 적응을 위해 CAD (Computer aided design)소프트웨어로 디자인한 3D (3-Dimensional) 프린팅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수직고경에 대한 적응도를 확인하였으며, 이 후 임시치아로 수복하여 4개월의 적응기간 후 전체 치열은 금속도재관 및 임플란트로 수복하여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전치부의 과개교합과 심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교정치료를 동반한 최소 침습적 수복 증례
남정현,장재승,표세욱,김선재 대한치과보철학회 202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3 No.2
Tooth wear is a physiologic process, but when accelerated by specific factors, it is considered pathologic wear, leading various issues that require prosthodontic intervention. Full-mouth prosthetic rehabilitation is often considered to restore adequate vertical dimension and esthetics for patients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However, a minimally invasive prosthodontic approach through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may be feasible for patients with localized anterior or posterior wear. This clinical case addressed the treatment for excessive anterior deep bites and pathologic wear of the anterior teeth, leading to deteriorated esthetics and function. Orthodontic extrusion was employed in the posterior teeth to increase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nd secure adequate space for the anterior restorations. A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was possible by limiting the scope of treatment to the anterior region. As a result, function and esthetics were improved by restoring only the teeth with pathologic wear without removing healthy tooth structure. 치아 마모는 생리적인 과정이지만 특정 요인에 의해 가속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생리적 범위를 벗어난 병적인 마모로 여겨지며,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므로 적절한 시기에 보철적 개입이 필요하다. 잔존 치열 전체에 발생한 심한 치아마모로 수직 고경의 감소와 심미성을 상실한 환자에서 흔히 전악 보철수복을 통해 수직 고경과 심미성을 회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전치부나 구치부에 국한된 마모의 경우에는 다학제간 협진을 통해 최소 침습적인 수복이 가능하다. 본 임상 증례는 상하악 전치부의 병적 마모를 동반한 과도한 전치부 과개교합으로 기능 및 심미성이 상실된 환자에서 교정과와 협진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교정력으로 구치 맹출을 통해 수직고경을 증가시켰으며, 안모의 개선과 상하악 전치부 보철수복 공간을 확보하였다. 결과적으로 건전한 치아의 치질삭제를 동반하는 전악 보철수복 대신, 병적 마모를 보이는 치아만을 수복하는 최소 침습적 접근으로 기능 및 심미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심한 이갈이 환자에서 functionally generated-path technique를 활용한 고정성 보철수복을 통한 재수복 증례
손용우,유진주,윤준호 대한치과보철학회 202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3 No.2
In general cases, tooth wear often requires no treatment, but severe wear exceeding physiological limits can lead to permanent occlusal disharmony and necessitate comprehensive restorative intervention. Patients with non-functional mandibular movements, such as bruxism, are at greater risk of early failure of restorations making careful management essential. In this case, a 50-year-old male patient with a history of severe nocturnal bruxism presented with significant tooth wear and an unstable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 and after centric relation guidance and diagnostic wax-up evaluation, full-mouth rehabilitation was performed. To restore the morphology of the worn teeth and reposition the displaced mandible to a centric relation, the patient had 12 weeks of provisional restoration usage and successfully adapted to the altered vertical dimension and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 before the final prostheses were fabricated. The functionally generated path (FGP) technique was used to create metal occlusal surfaces for the upper posterior teeth, ensuring precise group function during eccentric movements and preventing further failure. The patient experienced improved comfort, function, and aesthetics, with stable occlusion and no complications during the 4-month follow-up period. Regular follow-up and protective measures, such as night guards, are recommended to ensure long-term success. 치아 마모는 대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생리적 한계를 넘는 심한 마모는 영구적인 교합 부조화를 일으켜 포괄적인 수복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급속한 치아 마모의 잠재적 원인인 이갈이와 같은 비기능적 하악운동을 가진 환자들은 수복물의 조기 실패 위험이 더 크기 때문에 신중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증례에서는, 심한 야간 이갈이 병력이 있는 50세 남성 환자가 심각한 치아 마모와 불안정한 상하악 관계를 보였으며 이에 중심위 유도 및 진단 납형 평가 하 전악 재수복을 시행하였다. 비기능적 하악운동으로 마모된 치아의 외형을 회복하고 변위된 하악의 위치를 중심위로 재설정하고자 하였으며 약 12주간 임시치아를 사용하며 변화된 수직고경과 악간관계에 환자의 적응을 평가한 후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때 파절의 우려가 컸던 상악 구치부의 금속 교합면 제작에는 기능적 경로 형성법(Functionally generated path technique)을 사용하여 편심운동 시 정확한 군기능교합을 확보하고 추가적인 실패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환자는 치료 후 기능, 심미, 그리고 교합 안정성에서 만족하였으며, 4개월의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추가적인 합병증은 없었다.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 정기적인 추적 관찰과 야간 장치와 같은 보호 조치가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