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수압을 고려한 지진해일 최대침수예상구역 예측

        이진우,한세종,조용식,Lee. Jin Woo,Han. Sejong,Cho. Yong-Sik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동수압을 고려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임원항에서의 최대침수영역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대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최근 발생한 동일본 지진해일로 인하여 지진해일 방재대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치모형은 기존의 지진해일 전파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해안지역에서는 동수압을 고려한 범람모형을 사용하였다. 3개의 역사 지진해일과 11개의 가상 지진해일을 이용하여 임원항에서의 최대침수영역을 예측하였고, 예측된 최대침수영역을 이용하여 최대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최대침수예상도는 지진해일 방재와 관련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redicted maximum inundation area with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pressure model is developed in this study. Recently, the tsunami disaster is increasingly interested due to the East Japan Tsunami. The numerical model is composed of propagation model and inundation model. For the predicted inundation area, hydrodynamic pressure model is employed. Predicted maximum inundation area at Imwon port is calculated for 3 historical tsunamis and 11 virtual tsunamis. When dealing with tsunami disaster, the produced maximum inundation area can be utilized.

      • 내부수압이 작용하는 여수로터널의 안정성 검토

        박인준,박무종,김성인,곽창원,장서용,Park, Inn-Joon,Park, Moo-Jong,Kim, Sung-In,Kwak, Chang-Won,Jang, Seo-Yong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5 터널기술 Vol.7 No.1

        본 논문에서는 국내 ${\bigcirc}{\bigcirc}$ 댐 여수로 터널에서 가능최대홍수량 (PMF) 발생시 내부수압이 터널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유한차분해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내부수압을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도수터널에서의 1차원 수치모형을 적용한 HEC-R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능최대홍수량 발생시 터널측벽에 발생하는 최대하중을 산정하고, 이를 터널 내부에 하중으로 재하하였다. 여수로 터널은 쌍굴터널로서, 단계별 굴착 및 지보재 시공순서를 고려하였고, 왼쪽 터널에만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CASE-1), 오른쪽 터널에만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CASE-2) 및 동시에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CASE-3)으로 나누어 각각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각 터널에서 발생하는 최대인장응력 및 최대부재력을 허용치와 비교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응력집중구간 및 취약부를 파악하였다. The influence of internal water pressure under the Probable Maximum Flood (PMF) on tunnel spillway is analysed using 3D FDM analysis. HEC-RAS program including 1-D hydrologic numerical model was also implemented to estimate the maximum pressure on the lining under the PMF, thereafter determined rational internal water pressure. Tunnel spillway was designed as twin tunnel and excavation and supporting stage are fully considered.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the 3 cases; pressure is applied only to the left tunnel, only to right tunnel, and to both tunnels.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axial force in supporting materials induced by water flow were compared with the critical values to assess the stablilty of the tunnel and the locations of stress concentration parts were also examined.

      • KCI등재후보

        내부 수압이 작용하는 여수로 터널의 안정성 검토

        박인준,박무종,김성인,곽창원,장서용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5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7 No.1

        The influence of internal water pressure under the Probable Maximum Flood (PMF) on tunnel spillway is analysed using 3D FDM analysis. HEC-RAS program including 1-D hydrologic numerical model was also implemented to estimate the maximum pressure on the lining under the PMF, thereafter, determined rational internal water pressure. Tunnel spillway was designed as twin tunnel and excavation and supporting stages are fully considered.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the 3 cases; pressure is applied only to the left tunnel, only to right tunnel, and to both tunnels.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axial force in supporting materials induced by water flow were compared with the critical values to assess the stablilty of the tunnel and the locations of stress concentration parts were also examined.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댐 여수로 터널에서 가능최대홍수량 (PMF) 발생시 내부수압이 터널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유한차분해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내부수압을 합리적으로 결정하기위하여 도수터널에서의 1차원 수치모형을 적용한 HEC-R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능최대홍수량 발생시 터널측벽에 발생하는 최대하중을 산정하고, 이를 터널내부에 하중으로 재하하였다. 여수로 터널은 쌍굴터널로서, 단계별 굴착 및 지보재 시공순서를 고려하였고, 왼쪽 터널에만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CASE-1), 오른쪽 터널에만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CASE- 2) 및 동시에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CASE-3)으로 나누어 각각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각 터널에서 발생하는 최대인장응력 및 최대부재력을 허용치와 비교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응력집중구간 및 취약부를 파악하였다.

      • 통계 관리도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시간 예측

        장형수(張亨銖),김보람(金寶濫),서용석(徐庸碩)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2010 국가위기관리연구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모형시험을 통하여 측정된 지표변위와 간극수압 변화율을 관리도 이론에 적용하여 산사태 붕괴를 예측하였다. 산사태 발생 현장에서 채취한 화강암 풍화토를 대상으로 총 16개의 모델을 시험한 결과 간극수압 최대 변화량이 0.17KPa/10sec 이상일 때 모형사면은 붕괴 위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극수압의 최대변화량의 지점과 붕괴지점이 대체로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험에서는 붕괴시점 보다 약 147-222sec 전에 붕괴를 예측할 수 있었다. 산사태 예측에 유효한 간극수압변화의 추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관리도이론을 적용한 분석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간극수압 변화율을 이용하여 분석한 동일 모델에 적용한 결과 간극수압 최대 변화율을 이용한 방법보다 6-20sec 정도의 시간차를 보여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현장 초기응력 측정과 시추공 이미지 스캐닝 자료의 통합 분석을 통한 포항분지 제 3기 지층 내 수평응력 분포 특성

        배성호(SeongHo Bae),전석원(Seokwon Jeon),김장순(Jangsoon Kim),박권규(Kwongyu Park) 한국암반공학회 2016 터널과지하공간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포항 도움산 지역 내 시험공 3개소의 심도 75 m∼716 m 구간에서 획득된 원위치 암반초기응력 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포항분지 제3기 지층 내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응력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압파쇄법에 의한 대심도 초기응력 측정 결과, 조사 지역의 수평응력 성분 크기는 국내 여러 지역 자료에 대한 선형 회귀분석으로부터 계산된 평균값에 비해 매우 낮은 범위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시추공 스캐닝 조사에서 분포 암종의 낮은 강도 특성에 의해 유발된 다양한 규모의 시추공 파괴 현상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최대 수평응력의 방향성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폭넓은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수압파쇄시험과 시추공 스캐닝 자료에 대한 통합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상부 퇴적암층과 하부 화산암층에서 최대 수평응력 작용방향은 각각 진북 기준 80°∼100° (N80E∼N80W)와 120°∼140° (N60W∼N40W) 방위각에서 우세한 방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심도 증가로 지층이 변화함에 따라 최대 수평응력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urrent horizontal stress characteristics of the Tertiary rock formations in the Pohang Basin a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 in-situ rock stress measurements at depths from 75 m to 716 m of the 3 test boreholes in the Doumsan area, Pohang. The deep hydraulic fracturing stress measureme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horizontal stress components in the test site appear far lower than the average ones by the linear fit for the data set measured from the other domestic sites. But, borehole scanning revealed clearly that lots of small and large scale borehole failures occurred due to the low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rocks. To obtain more accurate and overall information on the horizontal stress direction, the integrated analysis combining the hydraulic fracturing stress measurement and borehole scanning data set were additionally carried ou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 the upper sedimentary and the lower volcanic rock formation, the dominant orientations of the current maximum horizontal stress components were appeared in the range of 80°∼100° (N80E∼N80W) and 120°∼140° (N60W∼N40W), respectively. From this study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horizontal stress directions have a tendency to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as the rock formation changes with depth in the test site.

      • 발파하중이 인접 댐에 미치는 진동영향에 대한 연계해석적 검토

        박인준,김성인,남기천,곽창원,Park, Inn-Joon,Kim, Sung-In,Nam, Kee-Chun,Kwak, Chang-Wo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4 터널기술 Vol.6 No.1

        The numerical investigation for the effects of blasting-induced vibration on adjacent dam and pore water pressure fluctuation was conducted through solid-water coupled analysis under dynamic loading. The stability of dam was examined by peak particle velocity of core. Pore water pressure distributions were calculated by steady state flow analysis using coupled analysis on ground water and blasting-induced vibration. The influence of pore water pressure and the effective stress distribution in the ground were also investigated. Furthermore, effective stress alteration was examined by applying Finn & Byrne Model to monitor the generation and dissipation of pore water pressure. 본 논문에서는 기존댐 인접지에 터널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발파시, 폭괴하중으로 인한 지반진통이 댐 제체와 간극수암에 마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댐의 안정성 검토는 발파시 발생하는 코어부의 최대입자속도 (Peak Particle Velocity)를 계산하여 수행하였다. 간극수와 지반진동간의 상호 연계해석을 위하여 댐 제체에 대한 정상상태 흐름해석을 수행하여 간극수압 분포를 파악하고, 유발된 과잉간극수암 및 유효응력분포로 발파하중이 인접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발파와 같은 급속하중 재하 후 과잉간극수압의 증가 및 소산현상 해석을 위하여 Finn & Byrne Model을 적용하여 하중재하 전후의 유효응력 변화양상을 검토하였다.

      • 서울 중심부 편마암 분포지역 저심도 구간의 암반 초기응력 분포특성 연구

        배성호,전석원,최용근,김재민,Bae, Seong-ho,Jeon, Seok-won,Choi, Yong-Kun,Kim, Jae-mi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3 터널기술 Vol.5 No.2

        90년대 이후 지하 암반 구조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요구되는 암반내 초기응력에 대한 정량적 정보를 얻기 위해 현장 초기 응력 측정이 광범위하게 수행되고 있다. 제안된 여러 측정법들 중 현장 적용성 면에서 큰 장점을 가진 수압파쇄법이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평탄한 지형조건으로 이루어진 서울 중심부 편마암 지역내 저심도 구간의 11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수압파쇄법에 의해 구해진 초기응력 측정자료와 수평응력의 크기, 방향성과 심도별 변화 그리고 측압계수 분포 등 과업구간 암반 내 초기응력장의 제반 분포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Since early in the 90's, as the need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rock structures has been largely increased, the in-situ rock stress measurement has been widely carried out to provide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initial stress state of test site at the design stage of underground rock structures. Among the diverse method developed for measuring rock stress, hydraulic fracturing method is most popularly used because it is applicable at pre-construction stage and has no limit in testing depth. In this paper a study on initial rock stress state at shallow depth of the plain gneiss region in the central part of Seoul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in-situ hydraulic fracturing stress measurement results from the 11 test boreholes. And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stress field of the study area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발파하중이 인접 댐에 미치는 진동영향에 대한 연계해석적 검토

        박인준,김성인,남기천,곽창원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4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6 No.1

        The numerical investigation for the effects of blasting-induced vibration on adjacent dam and pore water pressure fluctuation was conducted through solid-water coupled analysis under dynamic loading. The stability of dam was examined by peak particle velocity of core. Pore water pressure distributions were calculated by steady state flow analysis using coupled analysis on ground water and blasting-induced vibration. The influence of pore water pressure and the effective stress distribution in the ground were also investigated. Furthermore, effective stress alteration was examined by applying Finn & Byrne Model to monitor the generation and dissipation of pore water pressure. 본 논문에서는 기존댐 인접지에 터널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발파시, 폭괴하중으로 인한 지반진동이 댐 제체와 간극수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댐의 안정성 검토는 발파시 발생하는 코어부의 최대입자속도 (Peak Particle Velocity)를 계산하여 수행하였다. 간극수와 지반진동간의 상호 연계해석을 위하여 댐 제체에 대한 정상상태 흐름해석을 수행하여 간극수압 분포를 파악하고, 유발된 과잉간극수압 및 유효응력분포로 발파하중이 인접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발파와 같은 급속하중 재하 후 과잉간극수압의 증가 및 소산현상 해석을 위하여 Finn & Byrne Model을 적용하여 하중재하 전후의 유효응력 변화양상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서울 중심부 편마암 분포지역 저심도 구간의 암반 초기응력 분포특성 연구

        배성호,전석원,최용근,김재민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3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5 No.2

        Since early in the 90's, as the need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rock structures has been largely increased, the in-situ rock stress measurement has been widely carried out to provide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initial stress state of test site at the design stage of underground rock structures. Among the diverse method developed for measuring rock stress, hydraulic fracturing method is most popularly used because it is applicable at pre-construction stage and has no limit in testing depth. In this paper a study on initial rock stress state at shallow depth of the plain gneiss region in the central part of Seoul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in-situ hydraulic fracturing stress measurement results from the 11 test boreholes. And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stress field of the study area are discussed. 90년대 이후 지하 암반 구조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요구되는 암반내 초기응력에 대한 정량적 정보를 얻기 위해 현장 초기 응력 측정이 광범위하게 수행되고 있다. 제안된 여러 측정법들 중 현장 적용성 면에서 큰 장점을 가진 수압파쇄법이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평탄한 지형조건으로 이루어진 서울 중심부 편마암 지역내 저심도 구간의 11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수압파쇄법에 의해 구해진 초기응력 측정자료와 수평응력의 크기, 방향성과 심도별 변화 그리고 측압계수 분포 등 과업구간 암반 내 초기응력장의 제반 분포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The Diameter of Maximum Distended Urethra in Male Dogs

        변예은,이선태,권오경,김완희 한국임상수의학회 2009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26 No.4

        This paper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pensity of the diameter of maximum distended urethra from urethra to os penis in mature male dogs of 25 male dogs of different breeds. The measured sites of urethras were divided into 7 regions, i.e. prostate, membrane, isthmus, perineum, scrotum, prescrotum and os penis. By using the inflated balloon catheter filled with contrast medium, the maximum diameter of the distended urethras of each region was recorded and compared among regions. The mean diameter of the lumen from the prostatic urethra to the os penis urethra was gradually narrowed except for the isthmus portion, with a sense of resistance for retraction being noted at the level of ischiatic arch in 22 dogs. Proposed results from this should be utilized as a predictor of a treatment plan for the removal of urethroliths using an urohydropropul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