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cope of Work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for Ultrasound Examinations

        임창선(Chang Seon Lim),진계환(Gye Hwan Jin) 한국방사선학회 202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5 No.4

        한국에 초음파사 자격제도는 없다. 그러나「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방사선사가 초음파 진단기를 취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방사선사가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데 허용되는 업무 범위와 한계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이에 한국 보건복지부의 유권해석과 행정심판 재결, 법원의 판결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유권해석에서는 방사선사가 초음파영상검사를 수행할 때 의사가 방사선사의 촬영영상을 동시에 보면서 실시간으로 진단과 구체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물리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서 입회 또는 기타 의료기술을 활용한 “의사의 실시간 지도하에 방사선사의 초음파검사 및 촬영”은 가능하며, 이 경우 의사의 지도는 방사선사와 1:1로 이루어져야만 한다’고 풀이하고 있다. 행정심판에서는 초음파 관련 장비의 취급은 방사선사의 업무라고 재결하였다. 법원에서는 의사의 구체적인 지휘·감독 없이 방사선사가 단독으로 초음파검사를 시행하고, 방사선사가 초음파검사에 대하여 의학적 판단을 하는 것은 위법이라고 판결하였다. 그러나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에서는 초음파사(sonographer, 超音波検査士)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독자적으로 환자에 대한 초음파검사를 하고, 그 결과에 대한 예비소견을 작성하여 의사에게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도 미국 등과 같이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 방사선사가 실시간 지도를 받지 않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초음파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There is no qualification system for sonographers in Korea. But the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ETC. ACT stipulates that radiological technologists can handle ultrasound equipment.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about the scope of the work allowed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to perform ultrasound examinations. Accordingly,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the adjudication of administrative judgment, and the judgment of the cour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expresses that when a radiological technologist performs an ultrasound examination, a diagnosis and specific guidance should be made in real time while the doctor simultaneously watches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s images. In the adjudication of administrative judgment, it was decided that the handling of ultrasound-related equipment was the work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The court ruled that it was illegal for a radiological technologist to make a medical judgment on ultrasound exa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Canada, etc., the sonographer independently conducts ultrasound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doctor s prescription, prepares a summary of what they saw and this is passed on to the doctor. Therefore, in Korea, there is a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so that radiological technologists can perform ultrasound examinations according to doctors prescriptions without real-time guidance.

      • 건강검진에서 간 혈관종의 초음파 pattern 분류에 따른 정확도 연구

        김민정(Kim Min-Jeong),김연민(KIm Yun-Min),이현복(Lee Hyun-Bok)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2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3 No.1

        목적 : 간 혈관종은 간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의 일종으로서 임상적으로 의의가 큰 증상은 아니나, 간의 다른 병변과 구별이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정확한 감별이 필요하다. 간 혈관종에 대한 전형적인 초음파 소견은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으나, 지방간이 있는 경우, 비전형적인 초음파 검사 소견이 흔하게 관찰되어 감별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혈관종의 특성을 좀 더 이해하고 초음파에서 관찰되는 에코 패턴을 분류하여 진단에 있어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지방간 유무에 따른 간 혈관종의 초음파 소견을 분류 및 분석하고, 혈관종의 크기 및 에코 변화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10년 1월에서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에서 복부초음파 검사를 처음 시행하여 간 혈관종이 의심되는 459명 중 CT검사를 통해 확진을 받은 7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간질환, 간염치료 및 보균자는 echotexture의 변화를 야기하므로 대상군에서 제외하였다. 간 혈관종 크기에 따라 총 3개의 군으로 구분하였고, 기저 간 상태는 정상과 지방간으로 분류하였다. 혈관종의 초음파 소견은 내부에코와 가장자리에코의 조합 형태에 따라 총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CT 검사를 통한 확진 후 초음파 검사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확진 결과를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대상자 79명 중 105개의 병소를 보였으며, 초음파 소견 크기별로 분석한 결과, 지름이 15mm 이하인 것이 55예(52.4%)이었고, 16mm~30mm 이하는 42예(40%), 30mm보다 큰 것은 8예(7.6%)이었다. 기저 간 상태에 따라 분류한 결과, 정상간 81예(77.1%), 지방간 Ⅰ기가 9예(8.6%), 지방간 Ⅱ기가 6예(5.7%), 지방간 Ⅲ기가 7예(6.7%), 지방간 Ⅳ기가 2예(1.9%)였다. 정상간 81예 중 고에코 56예(53.3%), 혼합에코 11예(10.5%), 저에코 5예(4.8%), 고에코 테두리를 가진 9예(8.6%)가 관찰되었다. 지방간 Ⅰ, Ⅱ, Ⅲ, Ⅳ기의 24예 중 고에코 9예(37.5%), 혼합에코 0예(0.0%), 저에코 14예(58.3%), 고에코 테두리를 가진 1예(4.2%)가 관찰되었다. 초음파 소견을 통하여 간혈관종으로 의심되던 105개 병소에 대하여 CT 검사를 시행한 결과, 확진된 간혈관종이 85예(81.0%), 간혈관종이 아닌 다른 질환으로 확진된 병변이 10예(9.5%), 질환을 확진하지 못한 병변이 10예(9.5%)였다. 결론 : 병소의 크기가 클수록 비전형적인 초음파 소견이 증가하다는 기존의 보고대로, 실제로도 15mm 미만의 혈관종에서 균질한 고에코의 종괴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해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지방간에서의 혈관종은 저에코의 종괴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고에코 및 저에코에서도 균등하게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기저 간 상태에서도 서로 다른 에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는 종괴 내부의 변화에 따라 초음파 소견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Objective : Hepatic hemangioma is a kind of benign tumor appeared in liver. To make a diagnosis of hepatic hemangioma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hepatic hemangioma between other liver disease. Typical sonographic findings for hepatic hemangioma are well known but in case of fatty liver complication, accurate diagnosis is difficult because of non-typical sonographic findings. In this study, authors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by classifications of echo patterns in sonographic findings by size and fatty liver presence. Eventually, authors studied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factors and echo patterns and clinical meaning of diagnosis. Method : The study was performed for 79 people confirmed among 459 people who were suspected of hepatic hemangioma by abdominal sonography in Samsung Medical Center in 2010. People who had liver disease and hepatitis were excluded since these diseases could cause changes of echo textures. 3 groups were classified by size and normal and fatty acid group were classified by liver condition at baseline. Sonographic findings were classified to 4 groups by combination of internal echo and marginal echo. To analyse accuracy of sonography, confirmation results by CT were classified to 3 groups. Results : 105 cases of 79 people were suspected of hepatic hemangioma by sonographic findings. The number of cases for diameter x≤15mm, 16mm<x≤30mm and x>30mm by classification of size were 55 cases(52.4%), 42 cases(40%) and 8 cases(7.6%), respectively. The number of cases for normal, fatty liver I phase, II phase, III phase and IV phase by classification of liver condition were 81 cases(77.1%), 9 cases(8.6%), 6 cases(5.7%), 7 cases(6.7%) and 2 cases(1.9%), respectively. Among normal 81 cases, the number of cases for hyper, mixed, hypo, rim were 56 cases(69.1%), 11 cases(13.6%), 5 cases(6.2%), 9 cases(11.1%), respectively. Among fatty liver 24 cases, the number of cases for hyper, mixed, hypo, rim were 9 cases(37.5%), 0 cases(0.0%), 14 cases(58.3%), 1 cases(4.2%), respectively. By CT results of 105 cases, the number of cases for confirmations of hepatic hemangioma, confirmations of other liver disease and non-confirmation of any disease were 85 cases(81.0%), 10 cases(9.5%), 10 cases(9.5%), respectively. Conclusion : Like established reports that non-typical sonographic findings were increased when the size is large, authors could find hyper-echo masses were mainly observed in case of hepatic hemangioma with size ≤15mm and the CT results for these cases were quite accurate. Even many established reports demonstrate hypo-echo masses were observed in case of hepatic hemangioma with fatty liver, authors could find hyper-echo and hypo-echo masses were observed equally. Of course, in consideration of relative ratio, authors could find many hypo-echo in fatty liver than normal. Furthermore, authors found different echo patterns in same liver condition. Authors could presume sonographic findings could be changeable by mass internal changes.

      • KCI등재

        A Study on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of Ultrasound Examination Room

        In-Chul Im(임인철),Hyo-Yeong Lee(이효영),Hyun-An(안현) 한국방사선학회 2017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 검사실의 검사환경 설정에 있어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새로운 초음파 검사실의 검사환경을 설계함에 있어 검사실의 적정조도를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으로는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 6군데 48곳의 초음파 검사실을 대상으로 조도와 관련된 초음파실 환경을 조사하고 초음파 검사대상자에게 초음파 검사실 환경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로는 초음파 검사실 차폐체의 종류에서는 성별, 연령별, 검사부위에 따른 분석에서 모두 Door+Curtain에서, 광원의 종류에서는 LED, 광원조절기가 필요하다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초음파 검사실 환경조사에서는 초음파 검사실 조도 밝기는 평균 10 Lux로서 WHO와 CEC에서 권고하는 조도 밝기 범위에 포함되고 있었으며 초음파 검사 대기실 조도 밝기(초음파 검사 대기실, 복도)는 평균 300∼800 Lux 를 나타내어 KSA 3011에서 권고하는 병원의 조도환경인 300 Lux이상을 만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초음파 검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과 초음파 검사실 관련 환경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음파 검사실 환경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검사실을 설계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study is provide the basic data for set up proper illuminance of examination room that put purpose of an empirical study basic data about examination environment setting of the ultrasonic examination on design the examination environment of a new ultrasonic examination. As a method, to investigate the ultrasonic environment related to illumination to take a survey on the ultrasonic examination about test object to 48 parts of six units of general hospital in Busan. As a result, All Door + Curtain showed high scores in analyzing the gender, age, examination part in the case of ultrasonic examination room shielding and LED and light source control is required in the case of kind of light source. In the ultrasonic examination environment survey, the illuminance brightness is average 10 Lux which is included illuminance brightness range recommended the WHO and CEC and illuminance brightness of ultrasonic examination waiting room(ultrasonic examination waiting room, corridor) indicate average 300~800 Lux and it satisfied hospital illumination environment more than 300 Lux recommended by KSA 3011. In conclusion, Basic data suggested that improved future ultrasonic examination environment or designed new examination room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 of general background and ultrasonic examination related to environment factor.

      • KCI등재

        초음파 검사실의 조도 환경에 관한 연구

        임인철 ( In-chul Im ),이효영 ( Hyo-yeong Lee ),안현 ( Hyun-an ) 한국방사선학회 2017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 검사실의 검사환경 설정에 있어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새로운 초음파 검사실의 검사환경을 설계함에 있어 검사실의 적정조도를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으로는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 6군데 48곳의 초음파 검사실을 대상으로 조도와 관련된 초음파실 환경을 조사하고 초음파 검사대상자에게 초음파 검사실 환경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로는 초음파 검사실 차폐체의 종류에서는 성별, 연령별, 검사부위에 따른 분석에서 모두 Door+Curtain에서, 광원의 종류에서는 LED, 광원조절기가 필요하다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초음파 검사실 환경조사에서는 초음파 검사실 조도밝기는 평균 10 Lux로서 WHO와 CEC에서 권고하는 조도 밝기범위에 포함되고 있었으며 초음파 검사 대기실 조도 밝기(초음파 검사 대기실, 복도)는 평균 300∼800 Lux 를 나타내어 KSA 3011에서 권고하는 병원의 조도환경인 300 Lux이상을 만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초음파 검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과 초음파 검사실 관련 환경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음파 검사실 환경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검사실을 설계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study is provide the basic data for set up proper illuminance of examination room that put purpose of an empirical study basic data about examination environment setting of the ultrasonic examination on design the examination environment of a new ultrasonic examination. As a method, to investigate the ultrasonic environment related to illumination to take a survey on the ultrasonic examination about test object to 48 parts of six units of general hospital in Busan. As a result, All Door + Curtain showed high scores in analyzing the gender, age, examination part in the case of ultrasonic examination room shielding and LED and light source control is required in the case of kind of light source. In the ultrasonic examination environment survey, the illuminance brightness is average 10 Lux which is included illuminance brightness range recommended the WHO and CEC and illuminance brightness of ultrasonic examination waiting room(ultrasonic examination waiting room, corridor) indicate average 300~800 Lux and it satisfied hospital illumination environment more than 300 Lux recommended by KSA 3011. In conclusion, Basic data suggested that improved future ultrasonic examination environment or designed new examination room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 of general background and ultrasonic examination related to environment factor.

      • KCI등재

        초음파 영상의 원리 및 이해

        신상진(Sang-Jin Shin),정병진(Byoung-Jin Je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5

        초음파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이상의 음파를 말한다. 초음파 진단 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 정형외과 영역에서 적용범위와 사용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초음파는 압전 효과에 의해 발생하며 전파되기 위해서 매개체가 필요한데, 그 매개체의 특성에 따라 전달 속도에 차이가 난다. 또한 통과하는 물질과 반사, 굴절, 흡수, 산란, 투과, 및 감쇠 등의 상호 작용을 일으키며, 이런 특성들이 종합되어 초음파 영상으로 나타난다. 초음파의 가장 중요한 구조는 탐촉자이며 압전 물질의 배열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모양과 사용 방법 및 위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현재 대부분의 초음파는 B-모드의 영상 표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플러 초음파, 확장된 시야 이미징, 통합 이미징, 3차원 이미지 등 다양한 이미지의 발전을 통해 진단에 도움을 준다. 초음파 영상은 다양한 허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허상은 정확한 진단을 방해하기 때문에 그 종류와 원인을 이해하여야만 정확한 초음파 영상의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올바른 진단과 적절한 초음파 사용을 위하여 초음파의 정확한 이해 및 올바른 영상 해석 기술을 숙지하여야 한다. Ultrasound is a sound wave beyond the audible frequency. Owing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extent of use of ultrasound in orthopaedics is expanding. Ultrasound is produced by a piezoelectric effect and matter is requires for propag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ter, the velocity of propagation differs and the images are the overall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reflection, refraction, absorption, scattering, transmission, and attenuation. The most important device is the transducer, which differs according to the array of piezoelectric elements and shapes the way it used and where it is used. Mode B is currently the most common image and many images which help to make diagnosis easier, such as doppler flow imaging, extended field of view imaging, compound imaging and three-dimensional imaging, are under developments. Ultrasound produces variable artifacts and during interpretation of ultrasound images, artifacts could interfere with correct diagnosis. In order to avoid creation of artifacts, profound knowledge of each artifact is needed. Therefore, precis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ultrasound image is essential for proper diagnosis and use of ultrasound.

      • KCI등재

        확산초음파의 콘크리트 함수율에 대한 의존성

        안은종,신명수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콘크리트 재료 및 구조물의 균열 특성 평가에 활용되고 있는 확산초음파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 외부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콘크리트의 수분 함유량 변화를 묘사하여, 확산초음파 파라미터와 콘크리트 수분 함유량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실 환경에서 완전 건조된 실험체를 수중에서 포화시켜가며 콘크리트 함수율의 차이를 묘사하였으며, 콘크리트 내부에서 초음파의 산란 현상이 충분히 발생하는 500 kHz 주파수 대역대의 신호를 가진 및 분석하여 확산초음파 파라미터인 초음파 확산계수와 초음파 에너지 소산계수를 산정하였다. 콘크리트의 수분 함유량은 확산초음파 실험 시 실험체의 무게 변화를 통해 추정하였으며, 수분 함유량 증가에 따라 실험체에서 무게가 약 2.5 %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실험체의 포화정도에 따라 초음파 확산계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율은 확산초음파 기법의 계측 오차 범위 내에 있었다. 반면에, 초음파 에너지 소산계수는 완전 포화된 콘크리트에서 완전 건조된 콘크리트 대비 약 120 % 증가하여, 수분함유량에 대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확산초음파 기법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재료 및 구조물의 균열 특성 평가 시 함수율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moisture content on diffuse ultrasound to be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micro-structural damage in concrete subjected to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We monitored diffuse wave parameters for concrete samples in process of water saturation for 5 days. Dried samples were immersed in a water bath, and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in concrete were estimated by measuring the change of mass. For the diffuse wave analysis, a frequency range of 500 kHz, which represents a scattering regime of ultrasound in concrete, was selected. The test results reveal that the ultrasonic diffusivity slightly changed, and the ultrasonic dissip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by approximately 120% in the process of water saturation. Therefore, the moisture content in concret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of micro-structural damage using diffuse wave techniques.

      • KCI등재

        의료용 초음파 B-모드 영상을 위한 신호처리

        송태경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0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0 No.6

        초음파 영상은 의료진단을 위한 영상기기 중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으로 전자공학에 있어서 DSP 및 VLSI 분야의 기술발전에 힘입어 보다 효율적이고 복잡한 기법들이 적용이 가능하여져 90년대에 이르러 시스템의 성능이 매우 빠르게 발달되었다. 본 논문은 의료진단용 초음파 영상장치에서 사용되는 주요 디지털 신호처리 기법과 시스템 구현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초음파 영상장치의 구조 및 신호처리 기법을 소개하고, 90년대에 개발된 디지털 초음파 영상장치의 기술적인 내용을 그 기술 동향과 전망과 함께 다루었다. 특히 초음파 영상의 화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해상도를 증대하기 위한 모든 초음파 집속 기법을 표현할 수 있는 통합 합성 구경 모형을 제시하고,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초음파 영상을 위한 어레이 신호처리 기법들을 구분하고 각 방법들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된 신호처리 기법들은 초음파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 들이다. Ultrasonic imaging is the most widely used modality among modern imaging debices for medical diagnosis and the system performance has been improved dramatically since early 90's due to the rapid advances in DSP performance and VLSI technology that made it possible to employ more sophisticated algorithms. This paper describes "main stream" digital signal processing functions along with the associated implementation considerations in modrn medical ultrasound imaging systems. Topics covered include signal processing methods for resloution improvement. ultrasound imaging system architectures, rolse and necessity of the applications of DSP and VLSI technology in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ultrasound imaging systems, and array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for ultrasound focusing.

      • 슬관절 관절경 검사 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변기용,이광진,김경천,김동규,김보건,Byun, Ki-Yong,Rhee, Kwang-Jin,Kim, Kyung-Cheon,Kim, Dong-Kyu,Kim, Bo-Ku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1

        목적: 슬관절 이상 시 자기공명영상 촬영 등의 검사를 하지 않고,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 후 이상소견 발견 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여 초음파 검사 상 이상 소견과 실제 병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관절경 시술을 받았던 환자 중 류마티스 관절염 이나 패혈성 관절염과 인대 손상이 의심 되는 환자는 제외하고 시술 전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한 42명의 환자 4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이학적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와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 후 초음파 검사 상 이상소견이 있는 환자에 대해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시술 전 자기공명영상 촬영 검사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관절경 검사 상 이상소견 발견 시에는 이에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 시 전례에서 슬개상 주머니(Suprapatellar Pouch)에 삼출액(effusion)소견이 관찰되었으며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그 외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1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6례, 낭종소견 2례였다. 관절경 검사 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14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20례, 연골손상 15례였고, 내측 활액막 추벽 9례, 관절 내 유리체 2례, 연골 연화증 5례, 낭종 2례, 활액막염 2례였다. 초음파 검사상 슬개상 주머니에서 삼출액 소견이 있을 경우, 어떤 병변이든지 실제 슬관절 병변이 있을 확률은 100% 이었고, 초음파 검사상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90.9%,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 시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81.2% 이며 낭종 소견은 100%에서 정확도가 있었다. 결론: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는 관절경 시술을 시행하기 전에 관절 내 병변 의심 시 시행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사료 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pathology & abnormal finding found by ultrasonography. Without an MRI test being done beforehand, an arthroscopy is done after an ultrasonography to show abnormal lesions during a knee abnormality.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42 patients out of 49 cases, excluding those with rheumatoid arthritis, septic arthritis and patients suspected with a ligament tear, which were examined by ultrasonography alone before receiving a knee arthroscopy in our hospital from July 2007 to July 2008. In every case, a physical examination, simple X-ray and knee ultrasonography was done. An arthroscopy was performed when there was ultrasonographic abnormal finding. Before the procedure, a MRI test was not performed and when abnormal findings were found by an arthroscopy, an appropriate surgery was done. Results: During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ere were various sized effusions in the suprapatellar pouch. Also, in addition there were eleven cases of medial meniscus abnormalities, sixteen cases of lateral meniscus abnormalities, and two cases of cystic lesions. Throughout the arthroscopic examination, there were 14 cases of medial meniscus abnormalities, 20 cases of lateral meniscus abnormalities, 15 cases of cartilage damages, 9 cases of medial pathologic plica, 2 cases of intra-articular loose bodies, 5 cases of chondromalacia, 2 cases of cyst, and 2 cases of synovitis. When an effusion abnormality was found by the ultrasonography in a suprapatellar pouch, there was a 100% probability of knee pathology. When a medial meniscus abnormality was found with an ultrasonography, there was a 90.9% probability of a real pathology. When a lateral meniscus abnormality was found there was 81.2% probability of a real pathology. Ultrasonography was 100% accurate when it came to cystic lesions. Conclusion: Knee ultrasonography performed before an arthroscopy seems to be a very useful examination method when suspecting intra-articular lesions.

      • KCI등재

        세포 배양 가능한 커버슬립형 초음파 변환자

        이근형,박진형 한국음향학회 2023 韓國音響學會誌 Vol.42 No.5

        초음파 뇌 자극술을 통하여 뇌 심부의 국소 지역에 있는 뇌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저하된 뇌 기능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어 왔다. 반면, 초음파 자극의 종류에 따라 신경 변조의 효율과 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이 알려져 있어, 적절한 초음파 자극의 종류를 확립하는 연구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최적화 하기 위해 세포 배양시 사용되는 커버슬립 기반의 초음파 변환자를 제안하고자 한다. 균일한 초음파 자극을 전도하기 위해서 폴리머 압전소자(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ethylene, PVDF-TrFE)를 스핀 코팅하고 패를린 절연층을 상단에 적층시켜 음압 출력을 극대화 시켰다. 개발된 초음파 변환자 융합 커버슬립은 초음파자극기 표면에 배양된 수십개의 신경세포에 균일하고 정확한 초음파 자극을 전달 할 수 있고, 자극에 따른 세포의 반응을 형광 현미경으로 실시간 관찰 가능하다. 따라서, 동일한 초음파 자극에 대한 세포의 반응 신호를 최대 수십개 세포로부터 동시에 획득 가능하므로, 반응 신호를 평균 한다면 낮은 강도의 초음파 자극에 따른 뇌 세포의 미세한 반응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음파 변환자와 물의 표면 등에서 발생하는 정현파에 의한 자극의 왜곡 현상을 줄일 수 있어서사용자가 원하는 초음파 자극을 정확하게 세포로 전달 가능하다. 이렇게 개발된 초음파 변환자를 통해 변환자 표면에배양된 별세포에서 6 MHz, 0.2 MPa의 저강도 초음파 자극에 의해 유도된 칼슘 반응을 성공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Ultrasound brain stimulation is spot-lighted by its capability of inducing brain cell activation in a localized deep brain region and ultimately treating impaired brain function while the efficiency and directivity of neural modulation are highly dependent on types of stimulus waveforms. Therefore, to optimize the types of stimulation parameters, we propose a cell-cultivable ultrasonic transducer having a series stack of a spin-coated polymer piezoelectric element (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ethylene, PVDF-TrFE) and a parylene insulating layer enhancing output acoustic pressure on a glass-coverslip which is commonly used in culturing cells. Due to the uniformity and high accuracy of stimulus waveform, tens of neuronal cell responses located on the transducer surface can be recorded simultaneously with fluorescence microscopy. By averaging the cell response traces from tens of cells, small changes to the low intensity ultrasound stimulations can be identified.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stimulus distortions made by standing wave generated from reflections between the transducers and other strong reflectors can be achieved by placing acoustic absorbers. Through the proposed ultrasound transducer, we could successfully observe the calcium responses induced by low-intensity ultrasound stimulation of 6 MHz, 0.2 MPa in astrocytes cultured on the transducer su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