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말 청동용기에 적용된 제작기술의 다양성 연구 : 고양 더부골 고분군 출토 청동용기를 중심으로

        전익환,이재성,박장식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1

        본고에서는 더부골 고분군 출토 청동용기 27점에 대한 미세조직과 성분분석을 통해 고려 말 민간에 서 사용된 청동용기의 제작방법과 기술체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 청동용기는 합금조성과 제작공정을 고려하여 네 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1) 구리-주석(22% 정도) 합금을 이용한 주조 → 고온단조 → 담금질, 2) 구리-주석(10% 이하)-납 합금을 이용한 주조 → 서냉, 3) 구리-주석(10~20%)- 납 합금을 이용한 주조 → 담금질, 4) 구리-주석(10~20%)-납 합금을 이용한 주조 → 고온단조 → 담금질 이 있다. 청동용기의 제작방법과 기술체계의 연구에 있어서 합금조성과 제작공정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이 본고에서 확인되었다. 합금조성에 있어서 납의 첨가는 담금질 처리온도, 불순개재물의 차이, 청동 용기의 표면색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담금질 처리는 납을 첨가한 경우 586~520℃에서 실 시되었고, 납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799~586℃에서 수행되었다. 미세조직 내에 존재하는 불순개재물 에서도 합금재료로서 납의 첨가 유무에 따라 셀레늄의 존재 유무가 나타났는데 이는 구리-주석(22% 정 도) 합금의 경우 구리제련과정에서 이미 납이 포함되지 않은 구리광석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청동용기가 매장환경하에서 부식될 때 합금재료로서 납의 첨가 여부로 인해 표면색 차이가 나타나 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합금 조성에 따른 표면 색상분석에서 납이 첨가되면 청동용기의 표면색이 연녹 색 또는 암녹색을 띠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암갈색 또는 검은색을 띠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작공정에 있어서는 담금질 처리 유무에 따라 청동용기의 두께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조 후 서냉시 켜 만든 용기의 두께는 1mm 이상이었지만 담금질 과정이 포함된 용기의 두께는 대부분 1mm 이하였 다. 제작공정은 사회적 분위기도 반영하는데, 고려 말 동과 숙련된 장인이 부족했지만 청동용기의 수요 가 증가하면서 비싼 주석 대신 납을 사용하고, 고온에서 형태 가공을 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고려시대 장인들이 여러 가지 합금비율에 따른 다양한 제작기법을 사용한 기술혁신 으로 부족한 원료상황을 극복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근 들어 많은 양의 청동용기들이 발굴·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적절한 분석방법을 통해 관련 기술 특성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술체계가 확립될 수밖에 없었던 사회적 배경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Twenty-seven bronze bowls excavated from the Goryo burial complex at Deobu-gol were examined for their microstructure and chemical composition to characterize the bronze technology practiced by commoners at the time. Results showed that the objects examined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1) objects forged out of Cu-near 22%Sn alloys and then quenched; 2) objects cast from Cu-below 10% Sn alloys containing lead; 3) objects cast from Cu- 10%~20% Sn alloys containing lead and then quenched; 4) objects forged out of Cu-10~20% Sn alloys containing lead and then quenche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abrication technique as determined by alloy compositio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bronze technology. The use of lead was clearly associated with the selection of quenching temperatures, the character of inclusions and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bronze surfaces. It was found that the objects containing lead were quenched at temperatures of 520°~586°C while those without lead were quenched at the range of 586°~799°C. The presence of selenium in impurity inclusions was detected only in alloys containing lead, suggesting that the raw materials, Cu and Sn, used in making the lead-free alloys for the first group were carefully selected from those smelted using ores without lead contamination. Furthermore, the addition of lead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of bronze alloys when they are subjected to corrosion during interment. In leaded alloys, corrosion turns the surface light green or dark green while in unleaded alloys, corrosion turns the surface dark brown or black. It was found that in fabrication, the wall thickness of the bronze bowls vari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quenching; most of the quenched objects have walls 1mm thick or below while those without quenching have walls 1mm thick or above. Fabrication techniques in bronze making usually reflect social environments of a community. It is likely that in the late Goryo period, experiencing lack of skilled bronze workers, the increased demand for bronze was met in two ways; by the use of chief lead instead of expensive tin and by the use of casting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Goryo bronze workers tried to overcome such a resource-limited environment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s as apparent in the use of varying fabrication techniques for different alloys. Recently, numerous bronze objects are excavated and available for investigation. This study shows that with the use of proper analytical techniques they can serve as a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associated technology as well as the social environment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such technology.

      • KCI등재후보

        고려 전기 분묘 출토 청동용기의 등장과 전개

        허선영(Hur Sun-young) 한국중세고고학회 2019 한국중세고고학 Vol.- No.5

        이번 연구는 고려전기에 해당하는 분묘에서 출토되는 청동용기의 종류와 세부편년을 설정하고 그 변화의 의미와 고려전기 분묘의 유물 부장양상을 통해 청동용기의 사용계층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결과, 고려시대 전기 분묘에서 출토된 청동용기의 기종은 대부발, 발, 접시, 완등으로 일상생활기명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동반유물은 도기와 자기가 대부분이며 이외 청동숟가락과 장신구인 가랑비녀, 과대 등이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진안 수천리 5호에서는 기존에 완으로 분류되던 유물이 불교용구 중 하나인 경자일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청동용기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기종과 형식의 분류를 진행하였고 이후, 함께 동반되는 유물과의 비교를 통해 시기구분과 편년을 설정하였는데, 1기는 918년~11세기 초로, 청동용기는 통일신라시대의 영향을 받은 기형이 주로 출토되었고 동반유물 중 가장 많은 수량으로 확인된 도기는 4면편명이 다수이고 그 외 편구병, 주름무늬병도 확인되었다. 청동숟가락은 부여 부소산과 황해도 평산에서 출토된 숟가락과 유사성을 보였다. 2기는 11세기 초~11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며 청동용기는 리벳을 이용한 그릇의 제작이 두드러지고 1기에 비해 다양한 기종과 기형이 등장하게 된다. 동반되는 유물은 청자와 숟가락이 다수를 구성하는데 특히, 청자는 내저원각식 해무리굽과 광구병을 중심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 양상을 통해 1기는 고려라는 새로운 왕조가 성립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그릇과 관련된 문화는 여전히 통일신라시대의 영향이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실질적’ 청동용기의 상한 연대를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말에서 고려가 건국되는 10세기로 편년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11세기를 기점으로 고려왕조의 새로운 문화가 만들어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청동용기의 변화는 수공업의 발전을 의미하는데 그 변화의 배경은 국내의 제도 정비, 특히 장야서 등의 설치와 큰 관련이 있으며, 또한, 금속공예가 발달하였던 요와의 교류가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몇몇 사료를 통해 고려 전기에 동기가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고려전기에 나타나는 청동용기의 매납 현황과 분포양상, 제작의 연건 등을 살펴보았을 때 청동용기는 일부 계층이 향유하던 물품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kinds and chronology of bronze container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nd clarify user classes of bronze container by examining the meaning of a change and burial of remains in tombs. This study found that most bronze container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re household containers such as Daebubal, Bal, plate and Wan. Accompanied remains are mostly earthenware and porcelain and include bronze spoon and Garangbinyeo which is accessories and Gwadae. Remains which were classified as Wan unearthed in No. 5 Sucheonri, Jinan are likely to be Gyeongja, one of Buddhist utensils. Meanwhile, this study classified types and form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bronze container and set term and chronology by comparing accompanied remains. First term ranges from 918 to early 11<SUP>th</SUP> century. When it comes to first term, bronze containers affected by unified Silla were mostly unearthed and earthenware which account for greatest part of accompanied remains was Samyeonpyeonmyeong followed by Pyeongubyeong and Jureummunibyeong. Bronze spoon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re similar to that unearthed in Busosan, Buyeo and Pyeongsan, Hwanghaedo. Second term ranges from early 11th century to late 11<SUP>th</SUP> century. As far as bronze container is concerned, bronze container using rivet is remarkable and compared with first term, more various kinds and forms appear. Celadon and spoon account for a great part of accompanied remains and especially for celadon Naejeowongaksikhaemurigup and Gwangkubyeong dominate. When it comes to first term, even though new dynasty called Goryeo was established, container related culture is stilled under influence of unified Silla. This means that upper limit period of ‘actual’ bronze container can be estimated at the end of 9<SUP>th</SUP> century, the last period of unified Shilla through 10<SUP>th</SUP> century when Goryeo Dynasty was founded and new culture of Goryeo Dynasty began to be established from 11<SUP>th</SUP> century. Such change in bronze container means development in handcraft manufacturing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improvement in domestic system especially installation of Jangyaseo and so on and cultural exchange with Liao Dynasty that metal work developed.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some studies suggest that copper container was mostly used during early Goryeo Dynasty but it seems that bronze containers were used by some classes considering burial status, distribution and production condition of bronze container.

      • KCI등재

        신라고분 출토 청동용기 연구

        金 旼 柱(Kim, Minju) 부산고고학회 2015 고고광장 Vol.- No.17

        본고에서는 신라 내에서 일정한 변화와 발전을 보이는 신라고분 출토 청동용기의 변화 ․발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라고분 출토 청동용기 중에서도 시기에 따른 변화상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정(鼎), 초호(鐎壺), 초두(鐎斗), 울두(熨斗), 합(盒)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각 기종별 형식분류를 바탕으로 청동용기의 유구별 공반양상을 살펴 단계를 설정하고 이를 기존의 신라고분 편년안과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신라고분 출토 청동용기의 전개양상을 크게 2 단계로 구분 할 수 있었다. Ⅰ단계는 신라고분에서 처음 청동용기가 등장하는 시기로 황남대총 남분에서 시작된 청동용기 부장 양상이 황남대총 북분, 금관총 등의 주로 5세기 대의 고분에서 이어지며 6세기에도 일부 지속된다. Ⅱ단계는 청동용기의 형식과 부장양상에서 앞서 살펴본 Ⅰ단계와는 구분되는 변화를 보인다. 즉, Ⅰ 단계와는 다른 형식의 청동용기들이 Ⅱ단계에 들어서면서 나타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입과 생산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기 위해서 이입과 생산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을 설정하여 모식도로 나타내고 이를 신라고분 출토품에 대입하여 살펴보았다. 그결과, 크게 4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이입품이다. 외부(원산지)에서 동일한 형식이 확인되는 경우와 동일한 형식이 직접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지만 속성 ․일괄관계 ․명문 등의 분석을 통하여 외부(원산지)에서 이입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둘째, 전세를 거친 이입품이다. 외부(원산지)의 청동용기가 1세기 정도의 전세를 거친 후 신라고분에 부장되는 경우이다. 셋째, 모방생산품이다. 외부(원산지)의 영향을 받아서 출토지(신라)에서 모방하여 생산하는 경우이다. 형태는 외부(원산지)와 동일하지만 제작방식이 다른 것과 제작방식은 외부(원산지)와 같지만 형태가 다른 것이 있다. 넷째, 자체생산품이다. 출토지 (신라)에서 자체변화를 거친 후, 출토지(신라)만의 개성을 가지는 청동용기가 생산되는 경우이다. 이입품과 비교하였을 때 형태와 제작방식이 모두 차이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further examinations into any changes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bronze vessel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of Sill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certain bronze vessel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of Silla (e.g. jeong [鼎], choho [鐎壺], chodu (鐎斗), uldu (熨斗) and hab (盒). On the basis of such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phased characteristics and temporal changes of bronze vessel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of Silla. As a result, the bronze vessel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of Silla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phases: Phase is a period at which bronze vessels began to appear in ancient tombs of Silla for the first time. During Phase , bronze vessels began to appear in Q1, 6th century and were mostly discovered from ancient tombs established in Q2, 6th century. Finally, this study addressed questions about historical introduction and production of bronze vessels in ancient tomb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he following 4 cases of bronze vessels introduced or produced: First, some bronze vessels were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origins). These vessels can fall broadly into two types. Secondly, some bronze vessels were chartered from foreign countries (origins) for about 100 years before their burial in ancient tombs of Silla. Thirdly, some bronze vessels of ancient tombs in Silla were influenced by and modeled after those made in foreign countries (origins). Fourthly, some bronze vessels were produced with original characteristics of excavation site (Silla) after they were independently changed there. This case of vessels is different in form, detailed properties and making method from those introduced from foreign origins.

      • KCI등재

        요서지역 출토 상주(商周) 청동용기 연구 - 황하중류유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호현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3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is bronzewares from burial sites of the Shang and Zhou dynasty period, which have been discovered in the Liaoxi area. Bronzewares are typically called “ritual bronze vessels” as they are usually used for sacrifices and are the main component of the ritual vessels. During the Shang and Zhou period, bronzewares were found not just in the key regions like Anyang and Zhouyuan, but also in the surrounding areas, reflecting the local elements. In the Liaoxi area as well, quite a few bronzewares crafted either in the Zhongyuan or other regions under the impact of Zhongyuan have been unearthed. The first time that bronzewares ever appeared in the Liaoxi area was the early stage of late Shang and it was in the upper stream basin areas of the Liao River such as Tianbaotong, Xinniuboluo and Toupaizi burial sites. By contrast, most of the bronzewares from the basin of the Daxiaoling River are concentrated between late Shang and early Zhou and the first third of Western Zhou. Considering the shape and combination of the cultural artifacts from Western Zhou, they seem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Western Zhou culture, unlike those from the upper stream of the Liao River. Then, what led the bronzewares unearthed in the burial sites and tombs in the Liaoxi area to be buried in these places? Some previous literature based on various circumstances concluded that they were plundered from Yan and other vassal states. The bronzewares in the Liaoxi area, however, include not only a number of Zhongyuan bronzewares that could be explained by such conclusion, but also non- Zhongyuan bronzewares such as Toupaizi round ding and Huaerlou yan — vessels which seem to have been crafted in other regions imitating the central dynasty’s ritual bronze vessels — as well as bowl-shaped vessel from Beidong No. 2, duck-shaped zun, yan decorated with animal heads and hu with tubular ear from Machanggou, and rectangular ding from Shanwanzi. These non-Zhongyuan bronzewares suggest a possibility that at least some of them could have been made, not by master craftsmen from Zhongyuan, but by those who belonged to other cultures.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decisive evidence to confirm that they were crafted by artisans in the Liaoxi area. Furthermore, the bronzewares from the Liaoxi area themselves present regional differences by time. As such, it may warrant some caution in telling whether the three types of the bronzewares discussed in this study demonstrat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the bronze culture in the Liaoxi area. 대상으로 하였다. 청동용기는 주로 祭祀에 사용되는 용구이고 禮器의 주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청동예기라고 불린다. 상주시기에는 안양과 주원처럼 핵심지역 이외의 주변지역에서 현지의 요소를 반영하는 청동용기가 발견되었는데, 요서지역에서도 중원에서 제작된 혹은 중원의 영향을 받아 타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청동기가 적지 않게 확인된다. 지금까지 요서지역에서 청동용기가 가장 먼저 출현한 시기는 적어도 상 후기 이른 단계로, 天寶同, 西牛 波羅와 頭牌子 窖藏坑 등 요하상류유역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다. 반면 대소릉하유역 출토 청동용기는 대부분 상말주초에서 서주 전기에 집중되어 있고, 기물의 형태와 조합으로 볼 때 요하상류와 달리 서주문화의 영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요서지역 窖藏坑과 墓에서 출토되는 청동기들은 어떤 원인으로 이곳에 매장된 것일까? 기존 연구결과처럼 여러 정황상 당시 燕과 기타 方國으로부터 약탈해 얻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요서지역에서 출토된 청동용기에는 위樓 甗과 같이 중앙 왕조의 청동예기를 모방하여 타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기물과 北洞 2호 출토 鉢形器, 馬廠溝 출토 鴨形尊, 獸面紋甗, 貫耳壺와山灣子 출토 方鼎 등 비중원계 청동기가 포함된다. 이 같은 청동기의 경우 적어도 일부는 중원에서 숙련된 장인이 아닌 다른 문화에 소속된 장인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요서지역의 장인에 의해 제작되었다고 단정할 만한 증거 또한 발견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요서지역 내에서도 지역별로 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문에서 살펴본 세가지 유형의 청동기가 요서지역 청동문화 발전의 서로 다른 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히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기원전 13~11세기 중원계 청동기의 북상과 연산산맥 남북지역의 청동문화

        최호현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7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olve the longstanding academic question regarding the origin and influx route of central plains bronze vessels, which are found around underground storerooms and tombs in the Liaoxi region, as well as identifying their owners. To do this, the central plains bronze vessels from northern and southern Yanshan Mountains were sorted by era and region. Also,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duce the subject, that is, the owners of the bronze vessels from the Liaoxi. In addition, the patterns of change in the bronze culture around the Yanshan Mountains resulting from the northern expansion were examined. The period was limited to the 13th-11th centuries B.C., prior to the division of the Western Zhou's Yan, and focused on artifacts from the Shang Dynasty Line; these had been excavated from the regions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Yanshan Mountains.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hole of the Liaoxi corresponds to the earlier part of this paper. The bronze vessels from east of Mt. Nuluerhu are typical of the central plains. However, of the bronze vessels from west of Mt. Nuluerhu, some are typical of those from the central plains; other items are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elsewhere or by artisans not from the central plains, and seem to be related to the later Zhukaigou and Lijiaya cultures. Second, of the Shang dynasty ritual bronze vessels from southern Yanshan Mountains, the tombs of the Liujiahe and Houqianyi, which belong to the earlier part of this paper, were due to the direct influx of the Shang people. The Houqianyi and Zhangjiayuan tombs, which belong to the later part, are believ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influx of the pre-dynastic Zhou culture. Third, to secure a stable amount of raw materials for bronze-making, the abundant mining resources in the Yanshan Mountains would have been the main target of control during the Shang and Zhou periods. Representative of the earlier part of this paper are the Xiquegou type, and of the later part, the Houquanyi ruins and the Zhangjiayuan ruins from southern Yanshan Mountains. The indigenous culture is believed to have disappeared or been absorbed around the time of the Western Zhou's founding, or may have migrated to the Liaoning on the other side of the Yanshan Mountains. 본고는 요서(遼西)지역에서 교장과 무덤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상주(商周)시기 중원계 청동용기의기원과 유입경로, 주체인 작기자(作器者) 혹은 소유자 등에 대한 학계의 오랜 숙제를 해결해보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연산산맥 남북지역에서 중원계 청동기가 출토되는 유적을 시기별·지역별로 구분한 후 주변지역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요서지역 출토 청동용기의 주체를 추정하고, 이의 북상에 따른 연산산맥을 중심으로 한 중국 북방지역 청동문화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시기적으로 서주 연(燕)이 분봉되기 이전 즉 기원전 13세기에서 11세기로 한정하고, 연산산맥 남북지역에서 상계(商系) 청동용기가 출토된 유적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고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째, 요서지역은 모두 본고의 전기에 해당하며, 노로아호산 이서지역에서 출토된 상계 청동용기는 전형적인 중원계에 속하는 기물과 중원 이외의 지역 혹은 비주원계 장인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판단되는 기물이 공존하며, 주개구문화 후기 혹은 이가애문화와 관련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노로아호산이동지역 출토 청동용기는 전형적인 중원계에 속한다. 그러나 상문화의 직접적인 유입이라기 보다는일시적인 교류나 정착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 둘 째, 연산 이남지역에서 출토되는 상계 청동기 중 본고의 전기에 해당하는 평곡 유가하유적과 일부 천안 후천의유적의 무덤은 상인의 직접적으로 유입에 의한 것으로, 후기에 해당하는 후천의 동기묘와 장가원 무덤은 상대 선주(先周)문화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셋 째, 청동원료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 연산산맥 일대의 풍부한 광산자원은 상주시기 핵심지역의 주요 경락 대상이었을 것이다. 본고의 전기에는 희작구유형이, 후기에는 연산 이남의 후천의유적과 장가원유적이 대표적이며, 서주 건립을 전후하여 토착문화는 소멸·흡수되거나 연산산맥을 넘어요령지역으로 이동해간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청동용기에 사용된 리벳의 성분조성과 제작기술 연구

        김우현,최효령,조남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1

        To completely bond two or more metals, there is a method of applying heat or usinga nail. Most bronze containers use nails to bond and repair, which are called rivet techniques. Untilnow,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bronze ware has been conducted by many researchers, butresearch on rivets used in bronze ware is insuffici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nufacturingtechnology of bronze ware, research on not only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but also each partmust be conducted together. In the case of rivets,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made in considerationof the material, color, and economic feasibility suitable for the Bronze Age, and in this study, metallic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four rivets excavated. As a result of metal microscope andSEM-EDS analysis, it is judged that the Cu-Sn-Pb ternary alloy and Cu-Ag binary alloy weremanufactured using the general casting method.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rivets can be dividedinto (1) 100% pure copper (Cu) (2) Cu-Sn-Pb ternary alloys (Sn, Pb around 10%), and (3) Cu-Agbinary alloys, and this time the analyzed rivets correspond to types (2) and (3). If you study not onlyrivets but also containers in the future, it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manufacturing technologyprocess of bronze containers. 두 개이상의 금속을 완전하게 접합하기 위해서는 열을 가하거나 못을 사용하는 방법이있다. 대부분의 청동용기에는 못을 사용하여 접합(결합)⋅수리를 하는데 이를 리벳기법(Rivet)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청동기의 제작기술은 많은 연구자들에 진행되었으나 청동기에 사용되는 리벳과 같이 접합⋅수리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청동기의 제작기술을 이해하기위해서는 용기 등의 본체뿐만 아니라 각 부위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리벳의경우, 청동기에 맞는 소재, 색상,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출토된 리벳 4점을 중심으로 금속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금속현미경 및 SEM-EDS분석결과, Cu-Sn-Pb 삼원계 합금과 Cu-Ag 이원계 합금으로 일반적인 주조방식으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전 연구와 비교했을 때, 리벳은 (1) 100%에 가까운 순동(Cu) (2) Cu-Sn-Pb삼원계 합금(10% 내외의 Sn, Pb), (3) Cu-Ag 이원계 합금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번에 분석한리벳의 경우는 (2), (3) 유형에 해당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리벳뿐만 아니라 용기 등을 함께연구한다면 청동용기의 제작기술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몽골 도르릭나르스 흉노 무덤 2~4호분 출토 청동 및 금제 유물 분석

        유혜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2 보존과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몽골 도르릭나르스 유적 2호, 3호 및 4호분에서 출토된 청동제 및 금제 유물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로부터 각 유적 출토품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몽골의 흉노무덤인 도르릭나르스 유적 2호, 3호 및 4호분은 비교적 소형이고, 도굴 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물이 다양하게 출토되었다. 특히 출토 유물에는 중국계 유물과 북방계 유물이 공존하고 있어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먼저 청동 용기류의 경우 중국제인 한경이나 일산살꼭지의 성분 조성과는 달리 주석에 비하여 납의 함유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는데, 특히 2호의 청동쟁반, 청동등잔 그리고 4호의 청동솥의 경우는 주석이 1wt% 정도로 적게 함유되어 있어 Cu-Pb의 2원계 합금 조성을 보였다. 금제품의 경우는 2호분 장식품의 제작에 비교적 높은 순도의 금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금제 누금 장식의 금 알갱이의 접합에는 금과 구리를 합금한 금땜이 사용되었거나 확산접합(말라카이트나 산화구리 화합물 가루를 사용함)에 의하여 접합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향후 몽골지역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흉노 무덤 출토품에 대한 과학적 조사 및 분석이 더 많이 진행된다면 흉노 문화에 대한 더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 KCI등재

        진섬고원 출토 商代 청동기의 특징과 변화양상에 관한 고찰

        최호현 숭실사학회 2019 숭실사학 Vol.0 No.43

        The northern part of China formed its own culture by region in the Neolithic era, which started to divide as the Bronze Age began. It seems that in the process, ceaseless cultural changes and developments were made through continuous contacts and exchanges with not only the Shang culture of Zhongyuan and Guanzhong and the grassland culture of the northern area but also the neighboring areas. This can be clearly identified from the bronze weapons and tools as well as the bronze vessels of the Shang dynasty, on which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ill now.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Jin-shan(晉陝) plateau, which include the central and southern areas of Inner Mongolia, northern Shanxi(陝西), and the northwestern area in the Shanxi(山西) province and divided the bronze vessels of the Shang dynasty,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caches and tombs discovered in these areas,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atterns, and casting techniques into two periods, based on the 12th century BC. In addition,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vessels whose relative ages could be judged through the morphological comparison with the Zhongyuan-style bronze vessels of the Shang dynasty by region, it analyzed the changing patterns and relations with neighboring areas over tim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dentified that in the former period, both the areas had a strong tendency to unilaterally and mainly accept the Zhongyuan culture.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period, they had complicated relations with not only the Shang culture of Zhongyuan and Guanzhong areas and the grassland culture of the northern area but also the neighboring areas, such as Jinzhong, Jibei, and Liaoxi, centered on the basin of the Yellow River flowing sout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cornerstone, specifically, for discussing the origins of the bronze vessels of the Shang-Zhou period, which have been excavated in the Liaoxi area without context, and its relations with other neighboring areas. 중국의 북방지역은 신석기시대 이래로 지역별로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였고, 이는 청동기시대에 들어서면서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원과 관중의 상문화, 북방의 초원문화를 비롯한 주변지역과의 지속적인 접촉과 교류를 통해 끊임없는 문화 변동 및 발전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금까지 적지 않은 연구가 진행된 상대 청동 무기와 도구에서 뿐만 아니라 청동용기에서 더욱 뚜렷하게 확인된다. 이에 이 글은 지리적으로 내몽고 중남부지역과 섬서 북부, 산서 서북부지역의 진섬고원을 위주로 하여, 이 지역에서 발견된 교장과 묘 유적 출토 상대 청동용기를 그 형태적 특징과 문양 및 주조기법에 따라 기원전 12세기를 기준으로하여 크게 두 시기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지역별로 상대 중원계 청동기와의 형태적 비교를 통해 상대적인 연대 판단이 가능한 청동용기의 특징을 분석한 후, 시간적 추이에 따른 변화양상과 주변지역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지역 모두 전기에는 주로 중원문화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이 강하였고, 후기에는 남류하는 황하유역을 중심으로 중원과 관중지역의 상문화와 북방의 초원문화뿐만 아니라 진중, 기북, 요서 등 주변지역과의 복잡한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요서지역에서 맥락을 상실한 채 출토되는 상주시기 청동기의 연원 및 그와 기타 주변지역과의 관계 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