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검정콩 종피 색소추출액의 안정성

        손준호,정명근,최희진,장운빈,배종호,이희덕,최청,Son, Jun-Ho,Choung, Myoung-Gun,Choi, Hee-Jin,Jang, Un-Bin,Bae, Jong-Ho,Lee, Hee-Duck,Choi, Cheo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2 한국농화학회지 Vol.45 No.3

        한국산 검정콩 종피의 천연색소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도, 당류, 유기산류, 비타민 C 그리고 금속 이온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검정콩 색소의 열안정성은 다른 안토시아닌 계열의 색소와 비교할 때 유사하거나 더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류의 영향에서는 타 색소와는 달리 농색화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고 저장성에서는 모두 포도당에서 양호하였다. 유기산에서는 모든 첨가구에서 색의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비타민 C 첨가의 경우 안토시아닌 색소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고 금속이온의 영향에서는 $Cu^{2+}$와 $Zn^{2+}$ 이온에서 안정하였으며 $Mn^{2+}$에서는 불안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검정콩 종피색소는 pH 3에서 다른 색소와 비교하여 상당히 안정한 색소임을 알 수 있었다. To examine utilization of Korean black soybean as a natural pigment, the effects of temperature, carbohydrate, organic acid, vitamin C and metal ion were investigated.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was more stable than other anthocyanin pigments when temperature was abused. There was no darkness effect in carbohydrate. In organic acid, the color intensity was increased. The vitamin C addition negatively affected on color of anthocyanin. Among the metal ions tested, $Cu^{2+}$ and $Zn^{2+}$ was not affected but $Mn^{2+}$ makes it unstabl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was more stable than other anthocyanin pigment in various environment at pH 3.

      • KCI등재

        검정콩 종피 색소추출액의 안정성

        손준호,정명근,최희진,張云彬,배종호,이희덕,최청 한국농화학회 2002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5 No.3

        한국산 검정콩 종피의 천연색소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도, 당류, 유기산류, 비타민 C 그리고 금속 이온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검정콩 색소의 열안정성은 다른 안토시아닌 계열의 색소와 비교할 ?? 유사하거나 더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류의 영향에서는 타 색소와는 달리 농색화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고 저장성에서는 모두 포도당에서 양호하였다. 유기산에서는 모든 첨가구에서 색의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비타민 C 첨가의 경우 안토시아닌 색소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고 금속이온의 영향에서는 Cu^2+와 Zn^2+이온에서 안정하였으며 Mn^2+에서는 불안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검정콩 종피색소는 ph 3에서 다른 색소와 비교하여 상당히 안전한 색소임을 알 수 있었다. To examine utilization of Korean black soybean as a natural pigment, the effects of temperature, carbohydrate, organic acid, vitamin C and metal ion were investigated.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was more stable than other anthocyanin pigments when temperature was abused. There was no darkness effect in carbohydrate.In organic acid, the color intensity was increased. The vitamin C addition negatively affected on color of anthocyanin. Among the metal ions tested, Cu^2+ and Zn^2+ was nor affected but Mn^@+ makes it unstabl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was more stable than other anthocyanin pigment in various environment at pH 3.

      • KCI등재

        멍게 껍질(Ascidian shell)로부터 추출한 천연색소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

        박신호(Sin Ho Park),양재찬(Jae Chan Yang) 한국유화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멍게 껍질을 100.0% 에탄올 용매로 추출한 후 DMSO로 희석하여 색소안정성을 평가하였다. pH에 따른 흡광도와 색차계 값을 측정한 결과 pH 7.0에서 흡광도와 색도의 ±a값이 가장 안정하게 나타났다. pH 3.0에서 흡광도의 감소가 나타났고 색도의 ±a값이 감소하여 멍게 껍질 색소는 pH가 중성에 가까울수록 변색방지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제 첨가시 색소의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α-tocopherol과 Glutathione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Ascidian shell pigment was extracted, first using a 100.0% ethanol solvent, proceeding with the dilution of it with DMSO (Dimethyl sulfoxide). The extracted pigment was evaluated to verify the stability. The absorbance of light have been evaluated according to pH levels and using the color-difference meter.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absorbance and chromaticity ±a values were most stable at a pH level of 7.0 By keeping the sample at a pH level of 3.0,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 absorbance and the chromaticity ±a values were decreased. Based on this observation, it can be deduced that the discoloration of the pigment can be prevented if kept at a neutral pH level. When antioxidants were added, the absorbance of the pigment increased, and the best effects could be seen in the α-tocopherol and glutathione s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