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강행태에 따른 척추질환 발생 위험률

        박해용,박윤숙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7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4

        [ 연구배경 ] 최근 추간판질환 및 척추질환의 발병인자로 흡연, 음주, 비만, 운동 및 신체활동이 영향을 준다는 연구들이 많이 보고된다. 특히, 흡연은 요통과 추간판질환 발생에 밀접한 관련이 있 고, 수술결과에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합병증도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연구결과 중 흡연자도 금연을 하면 척추질환으로 인한 동통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고 보고된다. 비만 역시 요통과 척추 관절염, 퇴행성 추간판질환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요추간판탈출증 치료 결과에도 악영향을 준다는 여러 연구보고들이 있다. [ 연구목적 ]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를 이용하여 흡연, 음주, 운동습관에 따라 척추질환 발병 위험률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를 이용하였으며, 대상 질환은 척추질환(M43, M47, M48, M50, M51, M53, M54)으로 국제질병분류코드(ICD-10 code) 를 이용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척추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20,321명이였다. 생활행태에 따른 척추질환 발생률을 예측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 연구결과 ]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척추질환 발생률은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1.07배 증가하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확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그룹에 비해 비만인 그룹에서 척추질환 발생률이 1.05배(95% CI: 1.02-1.08) 높았다. 흡연을 하고 있는 사람 중 흡연량이 많을수록 흡연을 하지 않는 그룹보다 척추질환 발생률 이 증가하였다. 반갑미만, 한갑미만, 한갑이상인 그룹이 각각 1.16, 1.21, 1.26배 증가하였다. 비음주군에 비해 1주일에 한병반 이상 음주를 하는 그룹에서 척추질환 발생률이 약간 증가 하는 경향을 보였다(1.08배). 본 연구 결과 흡연과 체질량지수는 척추질환 발병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흡연량에 따라 척추질환 발병과의 연관성을 보였으며, 척추질환 발병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체중조절과 금연 및 절주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노인에서 척추후만증과 위식도역류질환과의 상관관계

        김성훈,이양균,홍성호,오미경,조주연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9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0 No.2

        연구배경: 위식도역류질환은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켜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유병률이 증가하는 질환이다. 척추후만증도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복강내 압력(intra-abdominal pressure)을 올리는 다른 질환들이 위식도역류질환과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척추후만증과 위식도역류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추측해볼 수 있다. 한편 노인들의 특성상 위식도역류질환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미약하여 정확한 진단을 위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가 요구되나 위식도역류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보다 비침습적인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에게서 척추후만증과 위식도역류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위식도역류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충주 늘푸른병원 및 강릉아산병원 가정의학과의 입원환자 및 건강검진 수검자중 갑상선 질환, 골대사성 질환, 위장관 수술의 과거력, 위나 식도에 악성신생물이 없으며, 검사 당시 골다공증 치료제(칼슘제나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에스트로겐 제제)를 복용하지 않고 있었던 65세 이상의 남자 34명, 여자 112명을 포함한 총 146명을 대상으로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 및 흉추(또는 흉부) 측면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역류성 식도염 및 식도열공 헤르니아 여부를 확인하고 척추후만증의 정도를 나타내는 Cobb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 146명 중 역류성 식도염 환자군과 식도열공 헤르니아 환자군 모두 비환자군에 비해 cobb각이 각각 유의하게 높았고(P<0.001, P=0.002), 식도열공 헤르니아 환자군에서는 연령도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6),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BMI), Cobb각, 흡연, 음주, 당뇨병, 척추골절에 대해 역류성 식도염과 식도열공 헤르니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Cobb각만 역류성식도염과 식도열공 헤르니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OR: 1.08 and 1.05, 95% CI: 1.04∼1.13 and 1.01∼1.09). 또 남녀를 나누어 분석한 결과 여자(112명)의 경우 Cobb각이 역류성 식도염과 식도열공 헤르니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OR 1.09 and 1.04, 95% CI: 1.04∼1.15 and 1.00∼1.09), 식도열공 헤르니아는 연령에 대해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OR: 1.10, 95% CI: 1.01∼1.20). 반면 남자(34명)의 경우에는 Cobb각이 식도열공 헤르니아에 대해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OR: 1.09, 95% CI: 1.00∼1.19). 결론: 65세 이상의 노인들에서 척추후만증은 역류성 식도염과 식도열공 헤르니아 발생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나, 남녀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Gastro-esophageal relux disease (GERD) deteriorates the quality of life by causing various complications. It is known that it gets worse as the patients are older, and its prevalence rate in Korea is increasing recently. Also, the prevalence rate of kyphosis increases with age. We believe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kyphosis and GERD from the fact that other diseases with increasing intra-abdominal pressure show correlation with GERD. Invasive methos of evalution such as gastroduodenoscopy is required in diagnosing GERD in the elderly, because often the symptoms are insignificant compare to the extent of the disease. For this reason, more non-invasive method of predicting GERD is necessary. Consequently, in this paper, author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yphosis and GERD (reflux esophagitis, hiatal hernia) in the elderly, and searched for other factors that affect GERD for the elderly. Methods: Gastroduodenoscopy and thoracic or chest lateral radiographs were carried out operated to check for reflux esophagitis (RE) and hiatal hernia (HH), and the Cobb angle which show the grade of kyphosis, have been measured. The subjects were a group of 34 men and 112 women over 65 years old, without a past history of thyroid disorder, bone metabolic disease, gastrointestinal operation, or malignancy of esophagus and stomach, and who was not taking drugs that influence bone metabolism, such as supplemental calcium, vitamin D, estrogen, bisphosphonate, at the time of investigation. The members of the group were selected among the inpatients and the examinees of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one convalescent hospital and one family medicine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from March of 2006 to August of 2008. Results: Among the entire 146 subjects, both the RE patient group and HH pati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Cobb angle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P<0.001, P=0.002), and the mean 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H patient group (P=0.016). However,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RE and HH as dependent variables in regard to age, sex, body mass index (BMI), Cobb angle, smoking, alcohol, diabetes mellitus (DM), and vertebral fracture showed that only the Cobb ang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 and HH (odds ratio (OR): 1.08 and 1.0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4∼1.13 and 1.01∼1.09). Moreover, when analyzed by dividing the group in two, male and female, the Cobb angl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 and HH (OR: 1.09 and 1.04, 95% CI: 1.04∼1.15 and 1.00∼1.09) in the female group (112 persons) and HH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OR: 1.10, 95% CI: 1.01∼1.20) also in the female group. Meanwhile, in the male group (34 persons) the Cobb angl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H only (OR: 1.09, 95% CI: 1.00∼1.19). Conclusion: Kyphosis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ccurrence of RE and HH, but there exists some difference depending on sex.

      • KCI등재

        퇴행성 척추 질환 환자에서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후방기기고정술 연구: 전향적, 단일군, 치료적 탐색시험

        신재원,박섭리,김순규,김학선 대한척추외과학회 202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7 No.4

        Study Design: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posterior interbody fusion with a new type of pedicle screws after posterior decompression for degenerative spinal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no reports of surgical treatment results using the new type of pedicle screw (LumFix™) analyzed herein. We report the results of posterior interbody fusion with this new type of pedicle screw.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degenerative spinal disease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 year. In all cases, fixation using pedicle screws and posterior interbody fusion were performed after posterior decompression.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cores were measured before surgery, at 3 months postoperatively, and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Bone union was investigated through simple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CT)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In addition, blood inflammation levels and basic vital signs were investigated preoperatively and at the last follow-up. Results: In all cases, preoperative symptoms improved, and the back pain VAS improved from 7.30±1.49 preoperatively to 2.70±1.64 at 3 months postoperatively and 1.80±1.40 at the final follow-up. Leg pain was 7.40±1.17 preoperatively and 2.60±2.17 at 3 months postoperatively. At the last follow-up, it improved to 2.40±1.96 (p<0.001). The ODI improved from 28.80±4.89 preoperatively to 15.60±5.04 at 3 months postoperatively and 16.90±6.61 (p=0.002) at the final follow-up. Bone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Inflammation levels and vital sign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both preoperatively and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Conclusions: The LumFix™ pedicle screws used in this study were fused in 100% of patients with degenerative spinal diseases. No complications were observed, and the VAS of back and leg pain and ODI of the lumbar spine significantly improved. 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s in blood tests or vital signs, demonstrating biocompatibility. Therefore, the type of new pedicle screw analyz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fusion surgery for degenerative spinal diseases. 연구 계획: 전향적 연구목적: 단일의 새로운 척추경 나사못을 사용하여 퇴행성 척추 질환에 대해 후방 감압술 후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한 척추경 나사못의 유용성 및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퇴행성 척추질환의 수술적 치료 방법은 많은 보고가 있으나 이번에 저자 들이 사용한 새로운 척추경 나사못 만을 이용한 수술적치료 결과 보고는 없다. 따라서 저자들은 새로운 척추경 나사못을 사용하여 후방 감압 후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정복 및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결과에 대한 보고를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 예에서 후방 감압 후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및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으로 허리 부위의 통증과 하지부의 방사통에 대해 시각통증점수(visual analogue scale, VAS) 및척추 장애 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점수를 수술 전과 술 후 3개월 및 술 후 12개월 추시 때 측정하여 증상의 호전 유무를 조사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는 요추부 단순 방사선 추시 사진 및 술 후 12개월에 요추부 컴퓨터 촬영(CT, computerizes tomography)을 통하여 최종 골유합 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새로운 기구의 생체 적합성을 알기 위하여 혈액 염증 수치 및 기본적인 활력 증후도 술 전 및 마지막 추시에서 조사하였다. 결과: 전 예에서 술 전 증상은 호전되었으며 VAS는 허리 통증은 술 전 7.30±1.49, 술 후 3 개월에 2.70±1.64 최종 추시 상 1.80±1.40로 호전되었으며, 다리 통증은 술 전 7.40±1.17, 술 후 3개월에 2.60±2.17 최종 추시 상 2.40±1.96로 호전되었다(p<0.001). ODI는 술 전 28.80±4.89, 술 후 3개월에15.60±5.04 최종 추시 상 16.90±6.61(p=0.002)로 호전되었으며 전례에서 9례에서 완전한 골유합 및 1례에서 부분유합으로 전체의 증례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혈액 검사에서 염증 수치와 활력 증후는 술 전 과 술 후 12개월에서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사용한 새로운 척추경 나사못은 퇴행성 척추 질환의 유합술 사용에서 합병증 없이 전체 100%에서 유합 되었고, 허리 및 다리 통증의VAS와 요추의 ODI는 의미 있게 호전 되었으며, 특별한 혈액학적 이상 소견도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사용한 새로운 척추경 나사못은 퇴행성 척추질환의 유합술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척추경 나사못으로 사료된다. 약칭 제목: 새로운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추체간 유합술의 수술 결과

      • KCI등재

        퇴행성 요추 질환의 수술 후 척추-골반 지표의 임상적 의미

        박수안,이주헌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3

        Study Design: A review of the literature. Objectives: To discuss how to evaluate, interpret, and utilize measurements of spino-pelvic alignment before and after spinal surgery in patients with lumbar degenerative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Various spino-pelvic parameters are currently utilized in the evaluation of spinal patients; however, interpretation of these parameters is not easy. Materials and Methods: Each spino-pelvic parameter and factors affecting its value, and how to interpret and utilize the spino-pelvic parameters before and after spinal surgery were discussed for patients with lumbar degenerative disease with and without sagittal spinal deformity. Results: Sagittal modifiers in the SRS-Schwab classification including pelvic incidence minus lumbar lordosis (PI-LL), sagittal vertical axis (SVA), and pelvic tilt (PT) are widely accepted in the evaluation of lumbar degenerative disease with sagittal deformity. Surgery for sagittal realignment is meant to restore both the SVA and PT by restoring the LL in reference to the PI. However, patients with an extremely high SVA and PT or those with a high SVA and low PT can end up with postoperative residual malalignment. In patients without deformity, PI-LL mismatch (> 10°) should be highlighted and should be actively corrected by restoring the lordosis of the pathologic segment. Conclusions: Sagittal modifiers are beneficial for their simplicity and comprehensibility; however, they are insufficient for evaluating sub-regional spinal deformity. Spino-pelvic parameters can be useful for evaluating spinal patients in a clinical setting, but the measurements are greatly affected by confounding factors such as poor patient posture, unqualified testers, and manual measurement techniques. 연구 계획: 종설. 목적: 시상면 척추 변형이 동반되었거나 동반되지 않은 요추 퇴행성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척추-골반 정열 관점에서 어떻게 환자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해석하여 임상에 적용할 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다양한 척추-골반 지표들이 척추 환자의 분석에 사용되고 있지만, 여러 임상 증례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고, 몇가지 교란 요인들에 의해서 측정값이 영향을 받는 등의 이유로, 척추-골반 지표는 해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상 및 방법: 각각의 척추-골반 지표와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요추 퇴행성 질환 환자중 척추 변형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어떻게 측정된 지표를 해석하고 치료에 활용할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각각의 주제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결과: SRS-Schwab 분류에서 사용되는 3개의 시상면 수정지표인 골반 입사각-요추 전만각(PI-LL), 시상면 수직축(SVA), 골반 경사각(PT)이 시상면 척추변형을 동반한 요추 퇴행성 질환을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시상면 재정열 수술은 PI를 참고하여 LL를 교정하므로써 수술 후 SVA와 PT 가 회복되도록 하는 것이지만, SVA와 PT가 과도하게 큰 환자나 SVA는 크지만 PT가 PI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환자들은 재정열을 목표로 수술 하더라도 수술 후 부정 정열이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척추 변형이 없는 요추 퇴행성 질환의 수술에서도 10도 이상의 PI-LL mismatch가 존재한다면 병소 분절의 전만각이 증가하도록 교정하는 것이 술 후 임상증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시키는 방법이다. 결론: SRS-Schwab 분류에서 사용하는 3개의 시상면 수정지표는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면은 장점이지만 척추 세부 지역의 변형을 평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척추-골반 지표는 임상에서 사용함에 있어 유용하지만, 환자의 자세, 관찰자, 측정 방법 등에 따라 오차 범위가 커지는 점을 기억해야한다.

      • KCI등재

        50세 이상의 퇴행성 요추 질환 환자에서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의 필요성-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의 비교 -

        김환정,박건영,성환일,구제윤,권원조,박창규,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2

        Study Design: Cross-sectional study. Objectives: Sagittal imbalance cannot be predic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lumbar lordosis. Thus, we tried to evaluate thenecessity of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through comparison of the spinal and pelvic parameter between supine lumbar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No studies in the literature compare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lateral radiograph. Materials and Methods: We randomly selected 50 males and 50 females among the patients over the age of 50 who visited ourhospital for outpatient due to degenerative lumbar disease. Lumbar lordosis (sLL/wLL), sacral slope (sSS/wSS), and pelvic tilt (sPT/wPT)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pectively by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Wecategorized as group AI (sLL<30˚) and group AII (sLL≥30˚) by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analyzed them. We also categorized asgroup BI (SVA≤5 cm) and group BII (SVA>5 cm) by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and analyzed them.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lumbar lordosis (sLL/wLL: 35.1˚/37.7˚) and pelvic parameter (sSS/wSS: 32˚/31.7˚, sPT/wPT: 24.3˚/24.2˚. sPI/wPI: 56.3˚/58.2˚) between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and therewere also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group AI & AII) in SVA, lumbar lordosis and pelvic parameter. Pelvic parametercompared by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based on sagittal balance was no significantdifference, but lumbar lordosis appeared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Sagittal imbalance appears quite a lot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d supine lateral radiograph can’treflect the whole sagittal imbalance. So,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should be performed routinely to analyze the sagittalalignment. Key Words: Degenerative lumbar disease,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Sagittal balance 연구 계획: 횡단 연구목적: 요추 전만각 정도에 따라 시상면 불균형을 예측할 수 없어,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의 척추 지표와 골반 지표를비교하여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을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외래로 내원한 50세 이상 환자에서 남자 50명과 여자 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 요추 전만각(sLL/wLL), 천추 경사(sSS/wSS), 골반 경사(sPT/wPT)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앙와위 요추부 측면사진 상에서 요추 전만각이 30도 미만인 Group AI과, 30도 이상인 Group AII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 시상수직축이 제 1천추의 후상연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전방 5 cm 미만인 Group BI과 5 cm 이상인 Group BII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왕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 요추 전만각(sLL/wLL: 35.1도/37.7도) 및 골반 지표(sSS/wSS: 32도/31.7도, sPT/wPT:24.3도/24.2도. sPI/wPI: 56.3도/58.2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AI과 AII에서 시상 수직축 및 요추 전만각, 골반 지표는 모두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시상면 균형 여부에 따라 앙와위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 상에서 비교한 골반 지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요추 전만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퇴행성 요추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시상면 불균형이 적지 않게 나타나고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으로는 전체적인 시상면 불균형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시상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을 일괄적으로 촬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퇴행성 요추질환,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 시상면 균형약칭 제목: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의 필요성

      • KCI등재

        퇴행성 요추 측만증에서 후방 기기 고정술과 유합술 후에 발생한 근위부 인접 분절 질환

        조규정(Kyu-Jung Cho),박승림(Seung-Lim Park),김명구(Myung-Gu Kim),윤영현(Yung-Hyun Yoon),이중선(Joong-Sun Lee),석세일(Se-Il Su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1

        목적: 척추 기기 고정술 후 발생하는 인접분절질환의 위험인자로 환자의 나이, 기기 고정술 사용, 유합술의 범위, 시상면상 불균형 등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퇴행성 요추 측만증 환자에 후방 기기 고정술을 시행한 후에 발생한 근위부 인접분절질환의 발생률과 위험인자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감압술과 척추경 나사못 기기 고정술로 치료한 72명(평균 연령 64.8)을 평가하였고 평균 4.7년 추적 조사하였다. 25명에서는 하위 요추부에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유합 구간은 평균 5.1구간이었다(범위 1-9구간). 상위고정척추는 제 9흉추에서 제 4 요추까지 다양하였으며, 원위고정척추는 제 5 요추 혹은 제 1 천추였다. 결과: 72명의 환자 중 17명(24%)에서 근위 분절에 인접분절질환이 발생하였다. 인접분절질환에는 압박골절(6명), 인접부 척추후만증(5명), 척추 협착증(4명), 통증을 동반한 추간판 간격 붕괴(2명)가 있었다. 수술전 요추측만각, 흉추 후만각, 관상면과 시상면의 수선은 인접분절질환의 발생과 연관성이 없었다. 근위부 인접분절질환의 발생은 유합 범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상위고정척추가 요추인 군에서는 발생률이 38.5%이었던데 비해 흉추인 군에서는 6.1%로 나타나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Oswestry 점수는 인접분절질환이 없는 군에서 많이 호전되었다. 결론: 퇴행성 요추 척추 측만증에서 후방 기기 고정술 후 발생한 증상을 동반한 근위부 인접분절질환의 발생률은 24%였다. 근위 인접분절질환 발생의 위험 인자는 근위부 유합 범위로, 측만 변형이 남아 있는 요추부에서 유합을 멈추었을 때 인접분절질환이 많이 발생하였고, 측만 변형 전체를 포함하여 흉추부까지 유합하였을 때 인접분절질환의 발생률이 낮았다. Purpose: Adjacent segment disease (ASD) is major complication following spinal instrumentation and fusio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roximal ASD following posterior instrumentation and fusion for 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two patients (mean age 64.8 years) who had undergone decompression and fusion with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were evaluated. The average follow-up was 4.7 years. Twenty-five patients had additional interbody fusion at the lower lumbar spine. The average number of levels fused was 5.1 segments (range 1-9). The upper instrumented vertebrae ranged from T9 to L4. The lower instrumented vertebrae were L5 and S1. Results: Proximal ASD developed in 17 (24%) of 72 patients, including compression fractures (n=6), junctional kyphosis (n=5), spinal stenosis (n=4), and symptomatic disc collapse (n=2). The preoperative scoliotic angle, lumbar lordosis, thoracic kyphosis, and coronal and sagittal C7 plumb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roximal ASD.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upper instrumented vertebrae and the development of ASD (p=0.001). When fusion did not extend beyond the lumbar vertebra, ASD occurred in 15 (38.5%) of 39 patients. In contrast, when fusion extended up to the thoracic vertebrae, ASD occurred in 2 (6.1%) of 33 patients. The improvement in the Oswestry score was superior to the group without ASD (p=0.001).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symptomatic ASD at the proximal segment was 24% after posterior instrumentation and fusion for 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The cephalad extent of fusion wa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proximal ASD.

      • KCI등재

        고령 척추 질환자의 치료: 중재적 비수술 치료

        박수안(Soo-A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1

        인구 구조의 고령화로 인하여 일반적인 척추 질환과는 구분되는 고령 환자에서 특징적인 척추 질환이 호발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고령의 척추 환자는 대부분 내과적 질환을 동반하기 때문에 전신 상태가 불량한 경우가 많고 골다공증을 동반하며 보다 넓은 범위에 걸친 심한 퇴행성 변화를 보이기도 하고 치료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어서 고령 척추 환자에 특화된 비수술 치료의 정립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노인성 척추 질환 중 문제가 될 만한 주제를 선별하고 각각의 경우에 적용 가능한 중재적 비수술 치료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Owing to the upward shift in age structure,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spinal diseases specific to elderly patients. Elderly spinal patients typically have a poor general condition with several medical comorbidities, low bone mineral density, more extensive and severe degeneration, and less effective treatment outcomes than young patients. This is why spinal physicians need to establish interventional nonsurgical treatment modalities for elderly patients with spinal dise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spinal disorders problematic to elderly patients and discuss the nonsurgical treatments for each subject.

      • KCI등재

        척추외과 의사의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최성우(Sung-Woo Choi),이재철(Jae Chul Lee),장해동(Hae-Dong Jang),전민철(Min-Chul Jeon),김중혁(Joong Hyuk Kim),김충현(Chung-Hyun Kim),박수연(Suyeon Park),신병준(Byung-Joon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6

        목적: 척추외과 의사들의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과 발생 위험요소를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수정된 discomfort survey를 사용한 설문지를 대한척추외과학회 회원들에게 e-mail로 발송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인류사회학적 요소, 수술 업무 관련 요소, 근골격계 질환 관련 요소로 이루어졌다. 근골격계 질환의 호발 부위와 발생 위험요소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총 대상자 420명 중 80명(19.0%)이 응답하였다. 78.8%에서 최근 1년 동안 수술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이 있었고, 흔히 발생하는 부위는 목(52.5%), 허리(46.3%), 어깨(18.8%)였다. 척추 수술 집도 개수가 많은 군(>200건/year)에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주관절/전완부 통증이 많았고(p=0.033), 대수술을 많이 시행하는 군(>10건/year)에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손목/손의 통증(p=0.008)과 허리의 통증이 더 많았다(p=0.042). 결론: 척추외과 의사들의 78.8%에서 최근 1년 동안 수술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이 있었고, 일반인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이런 현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척추외과 의사들의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에 대해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MSD) among spine surgeons. Materials and Methods: A modified version of discomfort survey was sent via e-mail to surgeons that belong to the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demographics, factors relating to spine surgery, and MSD. We investigated the common sites of occurrence of MSD and its risk factors. Results: The survey was sent to a total of 420 subjects; of which, 80 subjects (19.0%) responded. About 78.8% of the respondents had MSD for the past year. The common sites of occurrence included the neck (52.5%), back (46.3%), and shoulder (18.8%). The prevalence of pain in the elbow joint/forearm was higher in the group performing a higher frequency of spine surgeries (p=0.033). Moreover, the prevalence of pain in the wrist/hand (p=0.008) and in the back (p=0.042) was higher in those with greater frequency of major surgeries (>10 case/year) as compared with those with lower frequency of major surgeries. Conclusion: As shown, about 78.8% of spine surgeons experienced MSD for the past one year. Its prevalence was higher a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Thu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revention of MSD among spine surgeons.

      • KCI등재

        요추부 퇴행성 질환의 유합술 후 발생한 근위 인접 분절 질환- 한 분절 위와 두 분절 위에 발생한 경우의 비교 -

        최성우,안중현,이재철,구형모,신병준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 To compare patients who underwent spinal revision surgery of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with above one and above two vertebral segment preceded by initial spinal fusion surge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adjacent segment disease(ASD) occurs more frequently at the more proximal segment of the spinal fusion. Also, the preexisting degenerative segments (with discs or facet joints) not included in the fusion procedure, fusion segmental sagittal angle, fixed appliances method, gender, and age, have been accepted as the causes.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ients were watched over a year after the spinal revision operation followed by initial spinal fusion of single or multiple segments;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41 patients. The average age, entity of diseases, average duration between the initial spinal fusion and the revision surgery, multiple clinical and radiographic parameter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Results: Using the UCLA grade of intervertebral disc degeneration, the average grade of 1 level upper segment was 2.2 in group A and 1.9in group B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p=0.426). However, the average grade of 2-level upper segment was 1.8 in group A and 2.4 in group B with significant difference(p=0.021).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other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Patients with ASD of above two-vertebral segment after spinal fusion were more severe in disc degeneration than those with ASD of above one vertebral segment before initial spinal fusion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요추부 퇴행성 질환으로 시행한 요추 유합술 후 인접 분절 질환으로 인해 재수술을 시행했던 경우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접 분절 질환이 한 분절위와 두 분절 위에서 발생한 경우를 비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인접 분절 질환은 유합부의 근위일수록 잘 발생하고, 유합에 포함되지 않았던 분절에 존재하던 추간판 또는 후관절의 퇴행, 유합술후 요추 전만각과 유합 분절의 시상각, 기구 고정의 방법, 그리고 성별과 나이 등의 다양한 원인이 제기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부 질환으로 한 분절 또는 두 분절에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인접 분절 질환이 발생하여 재수술을 시행한 41명을 대상으로, 한 분절 위에서 발생한 경우를 A군, 두 분절 위에서 발생한 경우를 B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 대하여 나이, 성별, 진단명, 내과적 동반 질환 등의기초 정보와 통증 지수, 방사선적 요소들을 측정하였고, 방사선적 요소들로는 요추부전만각, 유합부 시상각, 한 분절/두 분절 위의 추간판 퇴행, 후관절퇴행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나이, 성별, 진단명, 요추부 전만각, 유합부 시상각, 유합 방법, 유합 분절, 후관절 퇴행 등은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한 분절 위의 추간판의 퇴행은 A군 2.2, B군 1.9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426), 두 분절 위의 추간판 퇴행은 A군 1.8, B군 2.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1). 결론: 요추부 유합술시 상위 인접 분절의 퇴행성 질환은 두 분절 위에서 발생한 경우 수술 전 이미 추간판 퇴행이 더 심하였던 경우가 많았다. 이는 인접분절 질환의 여러 요인 중에 기존의 퇴행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요추질환의 비수술적 치료에 대한 근거

        안동기,김학선,서형연,김창수,김명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6 No.4

        Study Design: Review article. Objectives: To assess the evidence for nonoperative treatment of various degenerative spinal degenerative diseas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No study has yet evaluated the evidence for preoperative nonoperative treatment of lumbar spinal diseases. Methods: The evidence regarding nonoperative treatment for each disease was reviewed through NASS guidelines, and the treatment effect compared to surgical treatment was reviewed through the SPORT series. The efficacy of nonoperative treatment according to disease severity and certain special conditions was investigated through corresponding individual articles. Results: No kind of nonoperative treatment could change the fundamental progression of degenerative spinal disease. The natural course of lumbar disc herniation is favorable regardless of treatment. More than 70% of routine cases improve within 6 weeks. However, it does not take a full 6 weeks to decide whether to perform surgery or not. The evidence for transforaminal epidural steroid injections for short-term pain control is grade A. There is grade B evidence for nonoperative treatment with the goal of mid- to long-term pain control. However, we cannot say that those outcomes are better than the natural course of the disease itself. In cases of radicular weakness, the degree of weakness is correlated with the final outcomes, but it is not evident whether the duration of weakness is correlated with surgical outcomes. Early surgery is usually necessary due to intolerable pain, rather than stable motor weakness. The social cost of herniated discs arises from the loss of patients’ productivity, rather than from direct medical expenses. The natural course of spinal stenosis involves provoked pain and the need for palliative care. Unlike disc herniation, rapid deterioration and marked improvement do not occur. The symptoms of mild to moderate lumbar stenosis are unchanged in 70% of cases, improve in 15%, and worsen in 15%. No study has compared nonoperative treatment with the natural course of the disease. There is no evidence for nonoperative treatment of severe stenosis. Epidural spinal injections are effective for controlling short-term pain. Spontaneous recovery of radicular weakness does not occur, and urgent surgery is necessary in such cases. There is no evidence regarding the natural course and nonoperative treatment of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The working group consensus recommends that it should follow the pattern of nonoperative treatment of spinal stenosis when radicular stenosis symptoms are predominant. Overall, 40%-66% of cases of adult bilateral isthmic spondylolysis progress to symptomatic spondylolisthesis.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nonoperative treatment except physical exercise. Conclusions: Although short-term symptom amelioration can be achieved by nonoperative treatment, the fundamental progression of the disease is not affected. For conditions excluded from most studies, such as prior spine surgery, cauda equina syndrome, progressive neurological deficit, and uncontrollable severe pain associated with instability, deformity, or vertebral fractures, there were not enough studies to reach informed conclusions. Our review found no evidence regarding nonoperative treatment for such conditions. Furthermore, the treatment methods for each disease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e techniques used for disc herniation have been applied to other diseases without any evidence. Key words: Lumbar spine, Degenerative spinal disease, Nonoperative treatment 연구 계획: 종설목적: 퇴행성 요추질환들에 대해 비수술적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수술전 비수술적 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 연구는 없었다. 대상 및 방법: 각질환 별 비수술적 치료의 근거는 NASS의 지침을, 수술 대비 상대적 효과는 SPORTs를 참조하였고 중증도와 특수 상황에 대한 근거는 각각의 해당 문헌을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비수술적 치료의 수단은 퇴행성 척추질환의 진행에 근본적인 변화를 주지 못한다. 요추 추간판탈출증의 자연경과는 치료 여부에 관계없이 양호하다. 보편적 증례는 6주 이내에 70% 가 호전된다. 그러나 수술의 필요를 결정하는데 6주간의 관찰이 다 필요한 것은 아니다. 경추간공 경막외스테로이드주사가 단기간 통증조절에 유효하다는 것에는 A등급의 근거가 있다. 전반적인 비수술적 치료가 중장기적으로 효과가 있다는 것에 B등급의 근거가 있으나 자연경과 보다 더 좋은가 에 대해서는 근거가 없다. 근력약화가 동반된 경우는 수술여부에 관계없이 마비의 정도가 예후와 관계 있다. 그러나 마비의 기간이 수술 결과와 관계 있는 가는 근거가 불충분하다.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은 치료비 보다 환자의 생산성이 감소하는 것에서 발생하고 조기수술은 마비의 정도보다 통증 때문에 필요하게 된다. 척추관 협착증은 자연 경과 상 호전과 악화를 반복한다. 추간판탈출증과 달리 많은 호전이 없지만 급격한 악화도 없다. 약 15%는 호전되고 70%는 변화가 없으며 15%는 점차 심해진다. 비수술적 치료가 자연경과에 비해 우수한가 에 대한 연구는 없다. 중증 이상의 협착에 대해서는 비수술적 치료 효과에 근거가 없다. 경에서 중까지의 협착에는 경막외스테로이드주사가 증상 호전에 단기적인 효과가 있다. 신경근 압박에 의한 근력 약화가 있는 경우는 자연회복은 기대할 수 없고 조속한 수술이 필요하다.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은 자연경과에 대한 연구는 없다. 비수술적 치료에 대한 효과는 별도의 연구가 없으며 전문가 의견은 협착에 의한 신경근 증상이 주 일 때에는 척추관협착증의 치료를 따르도록 권고하고 있다. 성인의 협부형 척추전방전위증은 자연 경과 상 양측성인 경우 40~66%가 증상을 유발하는 전방전위를 일으킨다. 물리치료와 운동치료에 불충분한 근거가 있는 것을 제외하고 비수술적 치료에 대한 연구가 없다. 결론: 비수술적 치료방법으로 단기간의 증상호전은 가능하나 근본적인 병의 진행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연구에서 제외된 조건들 즉, 이전 척추수술, 마미증후군, 진행성 신경증상, 조절되지 않는 통증, 불안정, 변형, 추체골절과 동반된 경우 등에 대해서는 비수술적 치료의 연구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동일한 원칙을 적용할 근거가 부족하고 사례별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각 질환별 비수술적 치료의 방법들은 서로 차별화되지 못하고 추간판 탈출증에서의 방법이 타 영역까지 확대 적용되고 있다. 약칭 제목: 비수술적 치료의 근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