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의적 질투가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박기완(Park, Kiwan),전성희(Jun, Sunghee) 한국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연구 Vol.31 No.3

        질투는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으로서 심리학, 사회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상대적으로 소비자 행동 분야에서의 질투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악의적 질투가 유순한 질투와 비교하여 소비자의 선택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적초점(mental orientation)이라는 조절변수를 도입하였다. 악의적 질투와 유순한 질투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질투의 대상이 받아 마땅한지(deservingness)의 정도이므로, 주로 질투의 대상인 결과물이 획득되는 과정이 얼마나 정당한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정 및 결과라는 심적 초점이 두 유형의 질투를 구분하는 실질적인 기준으로 작용하는지(실험 1), 그리고 심적 초점을 인위적으로 조작했을 때 소비자의 선택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실험 2)를 검증하였다. 실험 1에서는, 참가자들이 과거에 느꼈던 악의적 질투 혹은 유순한 질투를 회상했을 때 질투를 바라보는 심적 초점(과정 대 결과)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악의적 질투의 경우 유순한 질투에 비해, 질투가 일어난 결과보다는 전반적인 과정에 더 집중함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실험 2에서는 현실의 소비 상황에 보다 가까운 제품 선택 과업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과정과 결과라는 서로 다른 심적 초점을 인위적으로 조작할 경우, 다른 유형의 질투가 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유순한 질투는 심적 초점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악의적 질투는 과정 초점과는 달리 결과 초점 하에서만 질투의 대상이 되는 제품 선택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이로써, 악의적 질투와 결과 초점이 결합될 경우 기존 연구에서 주장한 악의적 질투의 차별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질투는 각 유형에 따라 그 원인과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 대한 효과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론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구분하여 다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Envy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widespread emotions in the modern society. It is shown that envy has two conceptually distinct dimensions, namely, benign and malicious envy (Van de Ven et al. 2009). The literature in consumer behavior has mostl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benign, rather than malicious, envy on product choice, showing that those who experience benign envy are more likely to pay more for an envied product (i.e., envy premium effect), while malicious envy motivates people to diverge to another product with an opposing brand identity (Van de Ven et al. 2011). However, the current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malicious envy on product choice. In doing so, we introduce mental orientation (process versus outcome focus) as a moderating variable because malicious envy, as compared to benign envy, is mostly determined by whether the process by which such envy is aroused is fair or not. Study 1 tests whether participants will orient their mental focus toward process (versus outcome) when they recall malicious (versus benign) env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listed more process- than outcome-related contents when they recalled malicious (versus benign) envy. Based on the findings of Study 1, Study 2 tests whether malicious envy, in combination with the manipulation of outcome (versus process) focus, exhibits the envy-premium effect that benign envy has produced in the extant literature. The findings illustrate that outcome-focused participants chose the envied product more even when they felt malicious envy, whereas process-focused participants exhibited the differentiation tendency demonstrated in the literature. In comparison, benign envy consistently increased the choice of the envied product regardless of mental orient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n outcome-focused mindset leads consumers to focus more on the envied product itself and increases their desire to obtain the envied product.

      • KCI등재

        성별과 애착유형이 연애 질투에 미치는 영향

        함진선,이장한 한국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연애관계에서 나타나는 질투와 질투에 의해 유발되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성별과 애착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성은 자기 짝의 성적 부정에 대해 질투를 더 많이 느끼는 반면, 여성은 정서적 부정에 질투를 더 많이 경험한다고 가정한 진화론적 질투기제(Evolved Jealousy Mechanism)를 반복검증하고, 성차 내 질투의 조절변인으로 애착유형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189명(남자 82명, 여자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원변량분석으로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화론적 관점의 질투기제 가설이 반복 검증되었으며, 질투와 질투 스트레스에 미치는 성별과 애착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이런 효과는 남성에게서만 지지되었다. 즉, 불안 애착유형의 남성이 안정 애착 남성보다 연인의 정서적 부정에 대한 질투와 질투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를 통해 애착유형이 질투와 질투 스트레스의 성차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a interaction effect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sex differences on jealousy and evoked distress by jealousy in romantic relationship. In this study, we replicated the Evolved Jealousy Mechanism (EJM) that men will be more upset and distressed by partner's sexual infidelity, whereas women will be more upset and distressed by emotional infidelity, and then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achment styles on within-sex differences. To test this purpose, 189 university students (82 males and 107 femal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nd two-way ANOVAs were used. As a result, we replicated the EJM and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sex differences on jealousy and evoked distress by jealousy, but only among men. Consequently, men with an anxious attachment style were more jealous and distressed by partner's emotional infidelity than those with secure style. The most important finding in the present study was that attachment styles would be moderators of within-sex differences in jealousy and evoked distress by jealousy.

      • KCI등재

        질투의 성차와 문화차: 한국과 미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함진선,이장한 한국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5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sex and culture differences in jealousy in romantic relationship. In this study, the assumption that men's jealousy is hypothesized to be particularly concerned with mate's sexual infidelity, whereas women's jealousy is hypothesized to be particularly concerned with mate's emotional infidelity based on the Evolved Jealousy Mechanism (EJM) perspective was proposed. We hypothesized that not only distinctive feature of the sex-specific evolved jealousy mechanism across the culture was replicated, but also the magnitude of the sex differences varies somewhat across cultures was predicted. To test this purpose, 221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U.S.A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nd two-way ANOVAs were used to test the data. Results showed that the sex differences in jealousy were robust across these cultures, providing support for the EJM. An interaction between sex and culture as well as main effects for both sex and culture in jealousy and distress for sexual infidelity were revealed. The magnitude of the sex differences varied in large for the United States but small for Koreans. Accordingly, As the men were belonging to the United States at the same time as indicated greater jealousy, and distress to a partner's sexual infidelity. These results might used to understand the sex and culture differences in jealousy in romantic relationship and other culture factors account for the differences should be discussed in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연애관계에서 나타나는 질투와 질투에 의해 유발되는 스트레스가 성별과 문화권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진화론적 질투기제(Evolved Jealousy Mechanism)에 근거하여 남성은 자기 짝의 성적 부정에 대해 질투를 더 많이 느끼는 반면, 여성은 정서적 부정에 질투를 더 많이 경험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화론적 질투기제가 문화권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반복 검증하는 동시에 문화권에 따라 성차의 크기가 상이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 문화권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221명(한국인 108명, 미국인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화론적 관점의 질투기제 가설이 반복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성별과 문화권이 질투와 질투로 유발되는 스트레스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뿐만 아니라 성별과 문화권의 주효과도 유의미하였다. 질투의 성차 크기는 문화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미국의 경우 성차가 큰 반면 한국은 적었다. 미국 문화권에 거주하는 남성일수록 성적 부정에 대한 질투가 강하였고, 이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도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과 문화권에 따라 질투의 양상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에 관한 정확한 이해를 제공해 주며, 질투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지도자의 상호소통방식이 선수의 질투심과 무동기에 미치는 효과

        송용관,최영준,황승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코칭능력개발지 Vol.22 No.1

        선수의 질투심은 사회적 환경 요소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스포츠 상황에서 질투심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도자의 상호소통방식이 선수의 질투심과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서울 소재 4개 대학에재학 중인 대학학생운동선수 275명을 대상으로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상호소통방식, 질투심과 무동기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검사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분석과 연구목적에 따라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방식은 선수들의 질투심과 무동기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의 통제적 방식은 선수들의 질투심과 무동기를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선수의 질투심은 무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첫째, 지도자의 자율성지지 방식은 선수들의 질투심을 예방 및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무동기를 예방하는 상호소통방식이다. 둘째, 지도자의 통제적 방식은 선수들의 질투심을 더욱 촉진 및 유발시키고 무동기로 이어지게 한다. 셋째, 선수들의 질투심이 높을수록 선수들의 동기는 저하되어 무동기로 이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지도자의 상호소통방식이 선수들의 질투심과 무동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선수들의 질투심과 무동기를 낮추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결과는 지도자 및 선수들에게 질투심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성별에 따라 성격차원과 사랑유형이 성적 부정의 질투에 미치는 영향

        함진선,이장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질투의 진화심리학적 관점과 심리·사회적 관점에 근거하여 연애관계에서 나타나는 질투의 성차를 검증하고, 성별에 따라 질투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차원 및 사랑유형의 효과와 질투의 성차를 중재하는데 기여하는 심리적 변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가상의 질투시나리오를 이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질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진화심리학적 관점에 근거한 질투의 성차가 반복 검증되어 남성이 여성보다 성적 부정에 대한 질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격차원과 사랑유형이 성적 부정의 질투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 남성의 경우 외향성-내향성 성격과 우애적 사랑유형이 성적 부정의 질투에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여성의 경우 소유적 사랑유형이 질투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질투의 성차를 조절하는데 기여하는 변인으로써 외향성-내향성 성격차원의 중재효과는 남성의 경우만 지지되어, 외향적 성격특성을 지닌 남성들이 내향적인 남성들보다 파트너의 성적 부정에 대한 질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격차원과 사랑유형이라는 개인차 변인이 성적 부정의 질투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녀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 것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etween-sex differenc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devoted to within-sex differences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ersonality dimensions and loving styles in romantic jealousy based on evolutionary and psycho-social perspective. 189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n imagined jealousy scenario and th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between sex-differences in jealousy was replicated by men reported greater sexual jealousy than women. Extraversion-introversion and storge were predicted of sexual jealousy for men whereas mania was most predicted for wome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xtraversion-introversion on within-sex differences in jealousy was supported, but primarily for men. Relative to men with introversion, men with extraversion reported greater jealousy about partner's sexual infidelit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personality and loving styles affect sexual jealousy for men and women in different ways.

      • KCI등재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성윤아,김윤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ealousy and jealousy of elderly women on relational aggression in 382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eater the jealousy and jealousy of the elderly women, the higher the relationship aggress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impacts of elderly woman's jealousy and envy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based on which to suggest the mediating measures for relational aggression visualized in the elderly woman and the measures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The specific subjects of inquiry are;first, does the jealousy and the envy of elderly woman have impact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the relation between the jealousy and the envy of elderly woman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To do tha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85. The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inclination of the relational aggression, jealousy, envy and anger in the elderly woman, the jealousy received 3.226 points showing the highest degree compared to other variables, the envy received and the trait anger scored 2.454 points in order. The score of the variables having internal inclination of individual similar to the jealousy and the envy was slightly higher or lower than the median value. In the anger toward other people or the relational aggression, since the trait anger was scored but other variables were scored low showing around 1 points, the anger and the aggression of the elderly woman can be considered to be low.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among the various variabl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not much.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compared to other variables. That is,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ctive aggression, proactive aggression, state anger and trait anger was found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and the anger in the elderly women having education level of middle school graduate or higher were lower compared to those in the elderly women who were not educated or graduated the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60세 이상 여성노인 3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노인의 질투,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여성노인의 질투와 시기심이 심할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질투,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여성노인의 가시화 되어지는 관계적 공격성의 조절 방안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여성노인의 질투 및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여성노인의 질투 및 시기심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는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이다. 주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질투, 시기심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결과, 질투는 다른 변인에 비해 그 정도가 가장 높으며, 시기심 순이다. 질투와 시기심과 같은 개인 내적인 성향이라 할 수 있는 변수의 점수는 중앙값보다 살짝 높거나 살짝 낮은 수준이다. 둘째, 여성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제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결과가 많지 않았다. 다른 변수에 비해 여성노인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 한 경우가 많았다. 즉 교육수준에 따라 반응적 공격성, 주도적 공격 성의 차이가 유의했는데, 중졸이상의 교육수준을 가진 여성노인의 관계적 공격성과 분노가 무학 혹은 초졸인 여성노인에 비해 낮았다. 셋째, 여성노인의 질투와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노인의 질투가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며, 시기심이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투가 시기심에 비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노인의 시기심이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지만 질투의 영향 력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노인의 질투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지되었다.

      • KCI등재

        장덕조 소설에 내재한 ‘질투’ 모티프 고찰 - 『激浪』을 중심으로 -

        김윤서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8

        ‘Jealousy’ in semiotics of human passion is a very common emotion regardless of gender, age, and country. It is a major motive in the literature. Hence,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a specific situation where ‘jealous’ passion shown in Dukjo Jang’s long novel 『Raging Waves』 in the 1950s formed an area of desire and incompleteness of ideology and ‘sex․love․ marriage’ focusing on post-war wome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tructive jealousy and madness represented by Chooryeon are caused by eagerness and anxiety of jealousy. She tried to make the object of her love dependent on her through negative affection to satisfy her desire. However, she could not feel completely satisfied. She made the object of her love end in death. Second, variant jealousy and play represented by Geumhee were characteristics of typical ‘Apres-girl’ in the 1950s. She tried to suppress the emotion internally or diffuse the emotion of jealousy that could not lie hidden in a type of being privy to other people’s plot. However, it resulted in a tragic end, similar to that of destructive jealousy. Third, Eunjoo’s moral culture-type moralization is a type speaking for the author. It tunes up the value of moral law by leading morals and ethics through moralization and moral culture of jealousy. Besides, the fact which jealousy of the male character around Eunjoo did not reveal wave height or right and wrong. It was captured as a situational factor worthy of notice.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work to understand author’s perception of reality and his traits in the magnetic field of various popular novels in the 1950s through investigating ‘jealousy’ motif in Dukjo Jang’s novel. 인간의 정념 기호학에 내재한 ‘질투’는 남녀의 성차, 동서양의 고금을 막론하고 지극히 보편적인 감정으로 문학의 주된 모티브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950년대 장덕조의 연애소설 『激浪』에서 나타난 ‘질투’의 정념이 전후파 여성을 중심으로 ‘성․사랑․결혼’과 이데올로기의 불완전성 및 욕망의 영역을 형성해 가는 구체적 상황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련으로 대표되는 파괴형 질투와 광기는 질투의 불안과 갈망에 기인하며 욕망의 충족을 위한 부정적인 애착을 통해 사랑의 대상을 자신에게 종속시키고자 하지만 결코 완전한 충족을 얻지 못하고 사랑의 대상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둘째, 금희로 대표되는 변이형 질투와 유희는 50년대 ‘아프레’의 전형으로 내부로 억압되거나 잠재되지 못한 질투의 감정을 타자의 음모에 가담하는 형태로 질투를 외부로 발산하려 하지만 파괴형 질투와 유사한 비극적 결말에 이르게 된다. 셋째, 은주의 수렴형 도덕화는 작가의식을 대변하는 유형으로 질투의 수렴과 도덕화를 통해 도덕과 윤리를 계도함으로써 대의적 가치를 조율한다. 본 연구는 장덕조 소설 속 ‘질투’ 모티프의 고찰을 통해 50년대의 다양한 대중소설의 자장 안에서 작가의 현실인식과 특성을 이해한 유의미한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조씨삼대록>에서 질투하는 남성 악인 ‘설강’ 연구

        정선희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49

        This paper examined and explored the trend and the meaning contained in it in <JoSsiSamDaeRok>, noting that Seol-Gang, a representative figure for "male villain" of <JoSsiSamDaeRok> which is one of the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he committes evil because of the feeling of jealousy. <JoSsiSamDaeRok> is one of the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believed to have been created around the 18th century, featuring the stories of the children of the twin brothers, Jo Moo and Jo Seong. The person who commits the most persistent and heinous misdeeds in this work is Seol-Gang, who is jealous of his friend, Yoo-Hyun, the son of Jo Seong. He is jealous of his friend's family, ability and marriage, and tries to kill his friend and plots to do harm to the friend's wife. However, the plan does not go as planned, and he just collapses, being punished and repented, and in the process, his friend's virtues are highlighted. By setting up such a jealous character, this novel describes the subtle psychology of jealousy, the emotion that ordinary people can feel, and expresses human nature to induce reflection on it. In addition, by setting the male villain as a jealous person, the narratives, characters, and spaces are extended to those outside the family and various interesting elements are created to add to the fun of the work. 이 글에서는 국문장편 고전소설 중 하나인 <조씨삼대록>의 대표적인 ‘남성 악인’ 설강이 ‘질투(嫉妬)’의 감정 때문에 악행을 저지르는 것에 주목하여 그 추이를 살피고 이에 담긴 의미를 탐구하였다. ‘질투’의 사전적 정의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부부 사이나 사랑하는 사이에서 상대 이성이 다른 이성을 좋아할 때에 심하게 시기하는 것’이다. 국문장편 고전소설들에서는 ‘투기(妬忌)’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또 하나는 ‘다른 사람이 잘되거나 좋은 상황에 있는 것 등을 괜히 미워하고 깎아내리려 하는 것’인데, 설강의 경우는 둘 다에 해당한다. <조씨삼대록>은 18세기 무렵에 창작되었으리라 추정되는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중 하나로, 쌍둥이 형제인 조무와 조성의 자녀들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가장 지속적이고 심한 악행을 하는 인물이 바로 ‘설강’인데 그런 행동의 원인이 친구인, 조성의 아들 유현에 대한 질투에 있었다. 친구의 가문과 능력, 혼인에 대해 질투를 하여, 친구를 죽이려 하고 친구의 아내를 모해하였다. 하지만 계획대로 되지 않아 자신만 몰락하여 벌을 받고 뉘우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오히려 친구의 덕행이 부각되었다. <조씨삼대록>은 이렇게 ‘질투’하는 인물을 설정함으로써 보통의 사람들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인 질투에 얽힌 미묘한 심리 즉, 분노와 복수심, 대항심, 선망 등을 묘사하고 인간의 본성을 표현해 내어 이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였다. 또한 ‘남성 악인’이 질투하는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여성 악인이 질투할 때보다 서사와 인물, 공간이 공적(公的)으로 확장되고 여러 가지 흥미요소들이 다양하게 만들어져 작품의 재미를 더하였다. 또 형제나 누이를 질투할 때에는 가문 내의 문제나 갈등이 더 부각되는 반면, 친구를 질투할 때에는 갈등이 사회적인 부분으로 확대되기에 감정의 면에서나 서사 기법 면에서 다른 의의와 효과가 있었다.

      • KCI우수등재

        <심문>의 ‘질투’ 고찰

        박종홍(Park, Jong-hong)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5

        본고에서는 최명익의 <심문>에 나타난 ‘질투’란 정념의 양상과 의미를 ‘형성화’, ‘장치화’, ‘정념화’, ‘정동화’, ‘도덕화’란 정념 도식의 다섯 단계에 따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여옥의 질투 시퀀스와 현일영의 질투 시퀀스를 정념 도식에 의거하여 차례로 검토해 볼 때에 현일영의 ‘질투’는 여옥보다 훨씬 강하다. 여옥에게는 연적이 죽은 혜숙이라 현실적인 경쟁자가 없다면, 현일영에게는 연적이 살아 있는 명일이라 현실적인 경쟁자가 있다. 그리하여 여옥은 경쟁자에 대해 특정 행동이 없는 ‘시기심’을 보여주고 있다면, 현일영은 자신의 비하하는 ‘경계심’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여옥과 현일영은 둘 다 질투 이후에 동일하게 대상을 떠나고 다른 대상으로 교체한다. 하지만 여옥은 능동적으로 떠나면서 대상을 사람인 현일영으로 교체하고 있다면, 현일영은 수동적으로 떠나면서 대상을 명일의 돈으로 교체하고 있다. 여옥은 생활비도 책임져야 했듯이 현일영에게 일방적인 돈의 시혜자라면, 명일에게는 떠날 때에 그의 돈을 여비로 가지고 갔듯이 일방적인 돈의 수혜자이다. 그러니까 주체와 대상의 역할을 교대로 맡았던 질투의 두 시퀀스에서 여옥이 명일과 현일영에게 교환가치의 존재였다는 점을 논리 이전의 불연속적 상태인 질투의 정념에 의거할 때에 뚜렷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옥은 현일영이 의심 속에서 과격한 신체적 발현으로 불쾌감을 강하게 나타내며 명일과 함께 그녀를 불신하자 오히려 그를 더욱 불신하게 된다. 그리하여 돈을 받고 그녀를 명일에게 넘겨주는 현일영의 행동을 마약중독자의 파렴치로 여기며 부정적으로 도덕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태도를 여옥에 대한 사랑 때문으로 보기는 어렵다. 논리적 인식으로는 잘 파악되지 않는 맹점에 대해서는 잉여의 부분, 즉 정념이란 향기를 감응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This paper has touched on the sequence of jealousy of Yeo-Ok and Hyun Il-Young in turn. Hyun Il-Young’s jealousy was much stronger than Yeo-Ok’s. As opposed to Yeo-Ok, whose rival was late Hye-Suk, leaving her without an actual rival, Hyun Il-Young has an real life rival Myung-Il. Both were same in the sense that they left their target after their passionate scheme. However, they differ in that Yeo-Ok leaves actively, compared to Hyun Il-Young leaving passively. In addition, Yeo-Ok’s target had been changed to Hyun Il-Young, an actual human being while Hyun Il-Young’s target had turned to Myung-Il’s money. Yeo-Ok used to be a one-way beneficent of money in that she had charge of Hyun Il-Young’s living expenses. But when Yeo-Ok left Myung-Il, she took his money and the gift from him, an expensive ring, and paid her ransom with the money she got from selling the ring. That would also define her as a one-way beneficiary of money in her relationship with Myung-Il. She was always depicted as a value in exchange. In turn, Yeo-Ok cannot follow Myung-Il for rehabilitation, but also cannot keep staying with Hyun Il-Young, who will sell her to other people. She tried to retain her dignity by choosing death. In conclusion <Simmum> has gone through the two sequence of jealousy, in order to respond to the negativity of reality, in which Yeo-Ok, going through the role of a subject and an object and facing a tragic fate and in which values of exchange has started to dominate, in a continuos state before logic.

      • KCI등재

        질투와 존경의 이득 비교: 작업기억용량의 정서조절효과

        신홍임,김주영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해 질투와 존경의 이득을 자기향상의 동기화와 정보처리의 측면에서 비교하고, 작업기억용량의 개인차가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참가자(N=38)들의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한 후, 질투나 존경 중의 한 가지 조건에서 자신의 경험을 생생하게 머릿속에 떠올려보게 하였다. 그 결과 질투조건에서는 존경조건보다 타인의 우월성을 합당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질투조건에서는 작업기억용량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았으며, 불안이 증가할수록 자기향상을 위한 학습시간을 증가시키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존경조건에서는 작업기억용량과 정서, 학습시간과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2(N=43)에서는 참가자들의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한 후, 질투/존경/통제조건에서 질투시나리오에 대한 회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질투조건에서 존경/통제조건보다 시나리오 회상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질투조건에서는 참가자의 작업기억용량이 높을수록 불안을 더 적게 느꼈고, 정확회상율이 더 높았던 데 비해, 존경/통제조건에서는 작업기억용량, 불안 및 회상율과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질투가 정보처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보여주며, 작업기억용량이 정서조절능력과 관계있음을 시사한다. In two experiments, we compared envy with admiration in attentional and motivational benefits. In addition, we tested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WMC) have consequences for emotion regulation. In Study 1, following WMC tasks, the participants were primed either with envy or with admiration through a recall task, in which they had to recall their own experiences about envy or admiration. The participants in the envy condition considered it more undeserved that another person had an advantage over them, than in the admiration condition. Additionally, in the envy condition, WMC was related to happiness, and anxiety was related to the motivation to study more.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MC, emotion and study hours in the admiration condition. Study 2 (N=43) found greater memory for the envy scenario in the envy condition than in the admiration and in the control condition.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MC, anxiety and recall accuracy in the envy condition. However, these relations were not found in the admiration and in the control condition. Findings implicate that env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memory systems and that WMC is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