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세양(蘇世讓)의 사행경험(使行經驗)과 사행시(使行詩)

        이성형 ( Lee Soung-hyung ) 한국한문고전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3 No.1

        本稿는 陽谷 蘇世讓(1486~1562)의 使行經驗과 使行詩를 고찰하였다. 양곡의 사행록은 사행시와 「赴京日記」로 구성되었는데, 사행시는 날짜와 노정에 따라 순서대로 작품이 편차되었고, 後識가 첨부되어 別冊으로서의 완성도가 높다. 사행일기인 「赴京日記」는 중간본 _陽谷集_의 雜著에 편차되어 있고, 매일의 여정과 주요 사건을 간략히 기록하였다. 양곡의 사행시와 「부경일기」는 서로 상보적인 기록이자 작품이다. 양곡의 진하사행은 明 관리들의 비협조적인 태도, 㺚子들과의 갈등, 악천후 등 괴로운 여정의 연속이었다. 양곡은 황태자의 誕生을 축하하는 進賀 使命을 무사히 진달하고, ‘會同館 門禁 解除’와 ‘조선출신 현직 宦官 명단 파악’의 別命을 완수하였다. 양곡은 귀국 후에 禮部尙書 夏言에게 시문을 증서한 일로 비난을 받았지만, 외교상의 전대능력이 현안 문제의 해결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였다. 양곡 사행문학의 작품세계로 먼저 ‘見聞 所懷와 客愁의 露呈’에서는 東岳廟와 駐蹕山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여타 사행록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개성적인 견문의 소회를 남겼다. 또한 사행 중에 고르지 못한 날씨로 인한 고통, 㺚子의 위협, 會同館에서의 門禁으로 인한 자괴감 등의 困苦함 속에서 詩料를 찾는 문인으로서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嘉靖 治世에 대한 二重的 認識’에서 양곡은 기본적으로 사대의 대상인 명을 문명국으로서 존경과 선망의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그러나 관리들의 토색질이나 국자감 유생들의 탐욕스러움, 심한 기근으로 인육을 먹으며 연명하는 백성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서 가정 치세에 대한 이중적인 인식 양상을 보여 주었다. ‘外國 人事와의 多樣한 交遊’에 대한 고찰에서 양곡은 明의 禮部尙書, 提督主事, 序班 등 예부 관원들과 활발한 교섭과 교유를 나눴다. 또한 양곡은 琉球 사신들에 대해서는 호기심과 친근감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咸鏡道 鍾城 인근에서 왔던 女眞 사신들에 대해서는 대체로 경계와 조소의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양곡의 많은 사행시와 더불어 「부경일기」를 통해 자신의 사행 경험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조선 전기 사행문학 작품과 형식으로서 매우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기 때문에 대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plomatic experience and diplomatic poetry of Yanggok So Se-yang (1486~1562). Yanggok's diplomatic records consisted of diplomatic poems and 「Bukyung Ilgi」. Diplomatic Poems are listed in order according to date and course, and Fuji is attached, which makes it highly complete as a separate book. The diplomatic diary, 「Bukyung Ilgi」, is inconsistent with the miscellaneous articles of the intermediate version 『Yanggokjip』, and briefly records daily journeys and major events. Yanggok's diplomatic poems and 「Bukyung Ilgi」 are complementary records and works. Yanggok's diplomatic trip to Jinhasa was a series of painful journeys, including the uncooperative attitude of Ming officials, conflicts with the dignitaries, and bad weather. Yanggok delivered the diplomatic order to celebrate the birth of the Crown Prince safely, and completed separate orders for ‘removing the gates of the Hoedonggwan’ and ‘identifying the list of incumbent eunuchs from Joseon’. Yanggok was criticized for giving a poem to Yebu Sangseo Ha-eon after his return to Korea. However, it was a good example to show that the literary skills necessary for diplomacy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solution of diplomatic issues. As the world of works of Diplomatic Literature, we first looked at the ‘study of experience and the journey of the audience’.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Dongakmyo and Jupilsan, he did not follow the tradition of other diplomatic records, but left a unique experience of experience. In addition, you can see the figure as a writer looking for the subject of Chinese poetry amid difficulties such as pain due to uneven weather during diplomatic travel, threats from Dalja, and a sense of humiliation due to mungeum at the Hoedonggwan. In ‘Double Perception of Gajeong emperor's reign’, Yanggok viewed Myeong, who is basically the object of respect, as a civilized country with respect and envy. However, by vividly depicting the corruption of the officials, the greediness of the students, and the people living their lives by eating human meat due to severe hunger, it showed a dual aspect of Gajeong emperor's reign.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xchanges with foreign figures’, Yanggok shared active negotiation and fellowship with officials of the ceremonies such as Ming Yebusangseo, Jedogjusa, and Seoban. In addition, Yanggok seems to have felt curiosity and affinity for the envoys from the Yugu. On the other hand, the envoys from the Yeojin who came from the vicinity of Jongseong, Hamgyeong Province can generally feel wary and ridiculed. It seems that he tried to effectively reveal his diplomatic experience through 「Bukyung Ilgi」 along with many diplomatic poems in Yanggok.

      • KCI등재

        명청사학회창립이십주년기념특집호 : 논문 ; 명중기 조선의 입명사행 -소세량의 『부경일기』를 통하여-

        권인용 ( Kwon In Yong ) 명청사학회 2003 명청사연구 Vol.19 No.1

        嘉靖十二年, 朝鮮以蘇世讓爲進賀使, 派遣幷賀皇子的出生, 算是個最好選擇. 明皇室等到十二年才能得到皇子, 就對明朝以小事大的朝鮮而言, 進賀使的人選頗有重要意義. 因此, 蘇世讓無愧被選爲進賀使, 他旣有詩才又善于隨機應變, 果然, 他在明活動也基本上不負于任命意圖. 蘇世讓雖然儀禮上謁見過嘉靖帝, 但是不僅在王河館門禁的懸案問題上조到解決方法, 而且他所寫上的詩文傳給新的權臣禮部尙書夏言, 得到意外好評. 使行結束後, 他遇到對自己行爲的批評, 不過, 那些使行活動符合於朝廷所豫期的使臣職責. 與此同時, 是個値得認可的成果. 不過, 蘇世讓對廢后事件的不구理解還顯示出使行活動的限界. 當然, 廢后的實況及其背景原來屬于宮中內部問題, 作爲外國人不但以認知內幕, 而且不一定是個使臣所必需把握的事. 但是當時, 朝鮮每年數次派遣各種使節團, 對明朝積極表示`事大`, 換句話說, 他不能不凝神注視明朝的一切動態. 尤其是, 廢后事件不僅僅直接關係到明朝皇帝, 而且統治集團也熱誠關心其問題, 歸根結底, 問題的核心在于朝鮮使臣是否正確認知內外所注目的事件. 換言之, 當時使臣是否充足朝廷的期待구爲重要. 更何況, 那事件裏面還包括着皇帝與太后之間的膈애及政治鬪爭的因素. 總之, 蘇世讓不能把握實際情況, 錯誤地理解重大政治動態的縮影, 就象徵性地露出入明使臣的限界. 我們可以說, 作爲一個使臣不能承擔錯誤理解的一切責任. 因爲朝鮮使臣處于不太良好的主觀情況, 卽明廷嚴格規定他的滯留期間, 正式日程以及接觸人物等. 在這種情況之下, 使臣之間需要緊密協助. 不過, 一個使臣雖然在往返上有期會隋時接觸영一使臣, 旦是他們之間沒有充分協調幷辦理共同目標. 在這一點, 考慮到, 越不易于接近的難題, 使臣之間越需要共有信息和人際關係, 我們不能不對此感到遺憾. 不過, 這些使行的非效率和不구調主要責任歸咎于朝鮮政府.使行的派遣雖然有可能有機會使臣個人以非正式貿易發財, 而是對朝鮮帶來沈重的財政負擔. 朝鮮政府爲表示`事大`, 認受這種負擔, 堅決持續派遣使行, 其次回遠遠超過明使, 的確, 派遣使行從政治上得到名分, 以引進一些物品, 吸收先進文化. 盡管如此, 爲了獲得高級信息, 朝鮮必修以改變使行制度運用方式, 使得使行之間圓滿協調. 這就是由政府主導辦好的部分. 比如說, 該政府不應該以人選使臣爲文官升任的通過依例, 而應該試圖走向使臣的專任化, 或者人選主要基準也不僅僅重視作文能力, 以誇示`文化國家`爲目標, 而應該積極加以考慮多方面的基準. 說到底, 蘇世讓使行所露出的界限, 不是一個使行的, 而是當時全體朝鮮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