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양조 6박론에 대한 의문

        전인평 ( Chun In-pyong ) 한국음악사학회 2018 한국음악사학보 Vol.60 No.-

        진양조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하는 문헌은 1863년 간행으로 추정되는 『三竹琴譜』와 1921년 간행의 『東大律譜』이다. 이 악보는 매화점(梅花點)만으로 적혀 있지만, 24박이 한 장단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진양조 장단은 1990년대 중반 이전만 해도 모든 개론서에 모두 24박으로 소개하고 있었으나, 1995년 『전통음악개론』에 진양조 6박론을 소개한 후, 이제 여러 논문에서 인용하고 있고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 논문은 각종 국악 문헌에 나오는 진양조 장단의 24박론과 6박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진양조 6박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6박론보다는 24박론이 더 합리적이라는 의견을 개진하기 위하여 이 논문을 작성하였다. 진양조 6박설은 이보형(李輔亨)이 1977년 “판소리 고법 조사 보고서”에 소개한 이후 백대웅(白大雄) ㆍ김해숙(金海淑)ㆍ최태현(崔泰鉉) 등이 6박론을 지지하였다. 진양조 장단은 1990년대 중반 이전만 해도 모든 개론서에 모두 24박으로 소개하고 있었으나, 1995년 『전통음악개론』에 진양조 6박론을 소개한 후, 이제 여러 논문에서 6박으로 진양조를 분석하고 있다. 필자는 진양조 6박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첫째로, 6박의 진양조는 너무 짧아서 각(刻: accent)이 없다. 둘째로, 6박 진양조 장단은 다른 장단과 달리 오직 장구점(杖鼓點) 두 점으로 구성된다. 셋째로, 6박 진양조 장단은 아시아 장단 이론에서 보이는 이론에 어울리지 않는다. 필자는 중국음악, 베트남 음악, 인도네시아 음악의 세틀 형식에 나오는 장단 기법과 이론을 한국 산조 장단에 대입해 보면 자진모리와 중모리 그리고 진양조는 상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양조 한 장단은 24박으로 보는 것이 6박론 보다 논리적이라고 생각한다. The first document for the term ‘chinyangjo’ 진양조 is the Samjuk kumbo 『三竹琴譜』(1863) and Tongdae yulbo 『東大律譜』(1921). This musical notation is written only by special symbol note (mahwajon 梅花點 in Sino-Korean), but it suggests that chinyangjo is consist of 24 beats. Until the mid-1990s, chinyangjo rhythmic pattern was introduced to all the textbooks as 24 beats. However, after introducing the 6th beats chinyangjo theory in the Chont’ong umak kaeron 『전통음악개론』(Introductio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1995), it is now adopted for various articles and is becoming a general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inyangjo beats of the 24th and 6th beats the chinyangjo pattern theory. And I wrote this paper to suggest that chinyangjo 24 beats theory is more rational than 6th beats theory. The 6th beats chinyangjo theory was raised by Yi Po-hyong 李輔亨 and supported Paek Tae-ung 白大雄, Kim Hae-suk 金海淑, Ch'oi T'ae-hyon 崔泰鉉, etc. In the mid-1990s, chinyangjo was adapted to the various textbooks as 24 beats. The author raised the problem of the 6th beats chinyangjo theory. First, six beats of chinyangjo have no ‘kak’ 刻(accent) in the rhythmic pattern. Secondly, unlike the other rhythmic patterns, the 6th chinyangjo consists of only two percussion strokes. Third, the 6 beats theory is not suited to the theory in the perspective Asian rhythmic pattern theory. According to my opinion, the chajin mori 자진모리, chungmori 중모리, and chinyangjo have a mutual relationship when we apply the technique and the theory of Chinese music, Vietnamese music and Indonesian music to the Korean sanjo 散調 rhythm theory.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is more logical to look at the 24th beats than the 6th.

      • KCI등재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의 ‘이상화(理想化)’ 양상 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길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7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idealization aspect of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of Yussisamdaerok劉氏三代錄 in comparison with "Ms. Sa謝氏" of Sasinamjunggi謝氏南征記. The two figures are similar in that they embody the universal moral norms of human characters among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Korean full-length novel, and they experience similar conflict structures due to the hostility of the Concubine or second wife of husband. The creation of the works was similar in that it was created in a relatively early period of Korean full-length novel history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However, Unlike Ms. Sa謝氏 who is closely related to Buddhism and in the level to build a poetry,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has been strengthened in Confucianism and has emerged as a scholar-type person like saint or gentleman. Unlike Ms. Sa謝氏 who is obedient to her husband, in case of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the moral subjectivity is strengthened and the tolerance is maximized. Unlike Ms. Sa謝氏 who is confined company in the private domain,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orks in the public domain and at the same time returns the glory to the family of her husband. Unlike Ms. Sa謝氏 who is getting help from a patriarch or a deceased parents,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showed a difference in that she appeared as a solver of the Yee family with excellent foresight.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is a person who emphasizes moral and political autonomy compared to Ms. Sa謝氏 and poses a positive effect in that she is heighten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women by appearing as the most ideal humanoid form without the right of the director of the performance. In this context, it can be seen that the late Chosun Dynasty had a consciousness that women were equal subjects with men, mainly women with intellectuals, and the reality of the time when they tried to make political writings or to raise public speeches. However,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ho is idealized as an omnipotent and benevolent person like a saint, has a role as a solver that heals and manages the crack of patriarchy. The desire of men who desire absolute comfort or care from idealistic women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extremist turmoil is projected to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hich may be an example of overburdening women. In particular, even if patriarchy works for a corporation, it is a patriarchal system that only a husband exists in case of Ms. Sa謝氏, whereas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has father in law, mother-in-law and many brothers of his husband. 본고에서는 <사씨남정기>의 ‘사씨’와의 비교를 통해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의 이상화(理想化) 양상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사씨남정기>와 <유씨삼대록>은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의 비교적 이른 시기에 창작된 장편소설로, 두 작품의 여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사씨와 진양공주는 장편소설의 여성인물 중 남녀 보편의 도덕적 인간형의 표준을 구현하고, 남편의 첩 혹은 둘째부인 등의 적국의 모함으로 인해 흡사한 갈등을 겪는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런데, 불가와의 친연성이 높고 시문을 하는 정도의 사씨에 비해 진양공주는 유교 중심주의가 강화되고 성현군자와 같은 학자형 인물로 등장한다는 점, 남편에게 순종하는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도덕적 주체성이 강화되고 포용력이 극대화된다는 점, 사적 영역에 한정된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공적 영역에서 활약하면서 그 영광을 시가로 환원한다는 점, 돌아가신 시부모나 도승에게 도움 받는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뛰어난 예지력으로 시가의 해결사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진양공주는 사씨를 염두에 두고 고안된 인물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여성인물의 이상화라는 큰 궤적에서는 동궤에 있지만 여러 모로 사씨와 대척점을 지닌 인물로서 형상화되고 있었다. 특히 진양공주는 사씨에 비해 도덕적·정치적 자율성이 강조되는 인물로,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우의 없이도 가장 이상적인 인간형으로 등장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인식을 최고조로 고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의의를 갖는다. 여기에는 조선후기 사대부가 지식인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주체라는 자각과 더불어 정치적인 글을 짓거나 상소문을 올려 공적 발언권을 가지려 했던 당대의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 사씨에 비해 성녀와 같이 전지전능하고 자비로운 인물로 이상화된 진양공주는 결국 가부장제의 균열을 치유, 관리하는 해결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 성찰도 요구된다. 17∼18세기 당쟁으로 인해 극도로 혼란한 시기에 이상적인 여성으로부터 절대적인 위안을 받고 싶은 남성들의 욕망이 진양공주에게 투사되어 있으며, 이는 여성에 대한 과도한 짐 지우기의 한 양태일 수도 있다. 사씨에게는 가부장제가 작동한다고 해도 남편만이 존재하는 단출한 가부장제인 데 반해, 진양공주는 시부모를 비롯한 남편의 숱한 형제로 구성된 거대 가부장제에 포섭됨으로써 진양공주에게 주어진 권한이 시가를 위한 것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장편소설에서는 여성인물의 이상화에 큰 공을 들이며 <사씨남정기>의 사씨를 거쳐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에 이르면 그 극점에 도달하는데, 진양공주와 같이 극도로 이상화된 여성인물은 당대 여성들에게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

        <유씨삼대록>에 형상화된 ‘진양공주’의 서사적 기능과 의의

        김태영 ( Kim Tae Young ) 한국고소설학회 2021 古小說 硏究 Vol.51 No.-

        <유씨삼대록>에는 여러 여성인물들이 등장한다. 그중에서도 ‘진양공주’라는 인물은 매우 이상적인 인물로 형상화 되어 작품 전개에 중심부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지만 살아서도 죽어서도 정신적 지주로서 유씨 가문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지속적으로 서사에 등장하며 내외부적으로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진양공주의 양상을 살펴 인물을 통해 담아내고자 했던 작중기능 및 효과들을 확인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밝혀보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규율재조정의 방식’, ‘초월적 능력의 극대화’, ‘죽음의 과정과 가문의 응집’을 중심으로 진양공주가 <유씨삼대록>의 서사에 활용됨으로써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요소들임을 확인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활용되는 과정 속에서 보여지는 효과 및 기능을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씨삼대록>에서 보여주는 ‘규율재조정의 방식’은 사혼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양상을 가려주는 효과를 발생시키며 진양공주가 추구하는 삶의 지향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활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진양공주로 발생하게 된 사혼이라는 화소가 ‘규율재조정의 방식’이 대입된 진양공주의 서사와 결합하게 되면서 기존의 국문장편소설에서 그려내는 사혼관계 양상과는 구별되는 지점들을 만들어 낸 것이다. 다음으로 살펴볼 ‘극대화된 초월적 능력’의 경우 단순히 진양공주의 영웅적인 면모를 드러내기 위해 활용되기보다는 진양공주의 신격화와, 행위에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 면모가 두드러진다. 따라서 진양공주의 기능은 <유씨삼대록>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뛰어넘어 성별을 초월하는 존재로 그려져 시짓기, 바둑, 투호, 요순의 글솜씨, 춘추의 문장력, 병서통달, 혈맥상통, 미래예언, 신술활용 등 인물의 초월적인 능력에 활용될 수 있는 모든 요소에 신이함을 대입하여 일반적이지 않은 ‘진양공주’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씨삼대록>에서는 ‘진양공주’가 죽음을 맞는 과정을 보다 면밀하게 그려내고 죽음 이후의 추모하는 인물들을 진양공주의 죽음과 함께 서사 전반에 배치함으로써 요절한 ‘진양공주’가 최고의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훗날 ‘진양공주’가 추모 되고 여생을 살아가고 있는 인물들의 부족한 면모와 비교되면 비교될수록 유씨가문에서는 진양공주의 위상이 높아지고, 유씨가문 일원이 더욱 응집된다. 또한 ‘진양공주’는 남아있는 사람들에게 경계할 점이나 추구해야 하는 삶의 방향성을 제공하며 거울로서 기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서사적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존재의의를 갖는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더 심화하여 진양공주와 같이 국문장편소설 작품 안에서 다층성을 가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서사에서 기능하는 여성인물의 존재의의를 밝혀본다면 국문장편소설에 등장하는 다양한 여성 인물들의 개성적 측면을 밝혀보는 한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are many female characters in < YoossiSamdaerok(유씨삼대록) >. Among them, the character “Princess Jinyang” was portrayed as an ideal figure, taking the center stage in the development of the work. Although she passed away at an early age, she plays a role in supporting the Yoo family as a spiritual pillar and continues to appear in the narrative, influencing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t is to examine Princess Jinyang's aspects in < YoossiSamdaerok (유씨삼대록) > to identify the function and effects of the work that she wanted to capture through her character and to reveal the meaning of it. The purpose is to confirm that Princess Jinyang is characteristic of the elements used in the narrative of < YoossiSamdaerok(유씨삼대록) > and to reveal the effects and functions of these elements in the process of being used. The “Refinement of Discipline” shown in < YoossiSamdaerok(유씨삼대록) > has the effect of covering the negative aspects of the marriage and being used to reach the direction of Jinyang Princess' life. The next “extremeized transcendental ability” to be examined is not just used to reveal Princess Jinyang's heroic side, but rather to deify Princess Jinyang and give her justification to her actions. and It provided the effect of highlighting the existence of an unusual “Jinyang Princess” by including Godliness into all factors that could be used for the transcendent abilities of the character. Finally, < YoossiSamdaerok(유씨삼대록) > providesthe foundation for the late Princess Jinyang to be given the best qualifications by portraying more closely the process of Princess Jinyang's death and placing the memorial figures along with Princess Jinyang's death throughout the narrative. In addition, “Princess Jinyang” not only functions as an epic but also has a significance of existence in that it provides the remaining people with a warning point or a direction of life to pursue and functions as a mirror.

      • KCI등재

        진양조장단의 구현양상(具現樣相) -민간협률사 시절을 중심으로-

        박희순 ( Hee Sun Park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29 No.-

        진양조장단은 판소리의 장단명 가운데 하나이다. 『조선창극사』에 진양조장단의 생성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전하며, 신재효의 『광대가』, 심정순의 『심청가』, 이선유의 『오가전집』에 그것이 판소리장단 명칭으로 전한다. 그리고 진양조장단에 관한 판소리 연주자들의 증언과 문헌내용을 살펴보면 송흥록이 활동한 시대는 6박구조의 진양조장단이 통용되고, 그 후 민간협률사 시절부터는 24박구조의 진양조장단이 도입되어 구현양상이 변모하여서 현재의 형태를 이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진양조장단의 `박`단위가 두 가지로 나타나기 시작한 당시 진양조장단대목의 구현양상(具現樣相)을 파악하고, 그것이 출현한 이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양조장단대목의 한 장단 내 사설음절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리의 속도는 느려진다. 둘째, 5명창의 소리는 제Ⅰ유형(6박의 리듬주기인 제1박과 제3박에 사설이 붙으며, 선율선과 리듬형이 제1~2박과 제3~6박 등 두 형태가 집합되는 구조), 즉 대마디대장단의 구성으로 비교적 거뜬거뜬한 느낌을 준다. 김연수의 것은 제Ⅰ유형인 대마디대장단과 제Ⅱ유형인 엇붙임이 혼합된 구성으로 장단구조를 변화시켰다. 셋째, 5명창이 부른 악곡에 나타난 선율단락의 장단 집합 수는 주로 2배수이며, 내드름단락과 종지단락은 대부분 네 장단이 집합하며, 김연수 것의 선율단락은 대체로 네 개 장단이 집합한다. 이에 5명창의 형태는 박춘성이 전한 진양조장단의 12박 구조 고법과 상관되며, 김연수는 24박론과 일치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5명창이 부른 진양조장단대목의 음악요소는 6박의 리듬주기에 맞춰 구성되며, 김연수가 부른 것은 그 형태를 벗어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김연수가 부른 소리대목의 속도가 느려지고, 선율단락에 집합된 장단 수가 많아지면서 장단구조의 박 단위가 변화되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Jinyangjo is one of pansori(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rhythms. 『Joseon Changguksa』 says the first record about the creation ofjinyangjo and 『Gwangdaega』 by Shin Jae-hyo, 『Simcheongga』 by Sim Jeong-sun, and 『Oga Seonjip』 by Lee Seon-yu says it as the name of pansori rhythm. It is said that in Song Heung-rok`s days when goje pansori was prevalent, 6-bak jinyangjo was common and the private theater period was a transition period when 24-bak jinyangjo was introduced and changed.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jinyangjo at the time when the `bak` unit of jinyangjo appeared as two units and the reason of their emergence. First, as the number of narrative bar in one rhythm was increased in jinyangjo, sori speed became slow. Second, naedeureum of jinyangjo sung by five master singers and Kim Yeon-su was <I-1> of Type I where the 1st and 3rd bak has narrative and two types(the 1st and 2nd bak and the 3rd~6th bak) were combined for a melody line and rhythm. Generally, this formation was repeated three or four times. While Sori by five master singers was Type I which consists of daemadidae-jangdan and sounded easy and simple, sori by Kim Yeon-su was combined in daemadidae-jangdan(Type 1) and eotbutchim(Type II), which added some changes in a rhythm structure. Finally, the number of rhythm of melody section in music pieces sung by five master singers was mainly a multiple of 2 and naedeureum and an end section chiefly consisted of four rhythms. On the other hand, the melody section of Kim Yeon-su generally consisted of four rhythms and naedeureum and an end section also mostly consisted of four rhythms. It suggests that the formation of five master singers is correlated with the explanation of jinyangjo formation by Park Chun-seong mentioned earlier and that of Kim Yeon-su is agreed with a 24-bak method advocated by himself. Based on the findings of Chapter II, Kim Yeon-su who advocated a 24-bak structure increased the number of narrative bar in one rhythm and sometimes had narrative pass to a rhythm frame out of the rhythm cycle, although it should be bound by one unit in the level of syntactic structure. Based on this, the difference between 6-bak and 24-bak structure which appeared in jinyangjo seems to originate from the change in the unit of the number of narrative bar organized in 6-bak(i.e. the phrase unit of 6-bak narrative in a syntactic structure) because of the expansion of narrative. To find out the reason why jinyangjo is played by 6-bak and 24-bak structures, analysis was made between the soundsource of a pansori singer who advocated a 6-bak structure and the soundsource of jinyangjo recorded at the time when a 24-bak structure appeared.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jinyangjo was grasped and the changes in a musical structure were examined. It is finally suggested, upon finishing the analysis, that naedeureum and end sections of all musical pieces had similar frame elements, but detailed elements, especially in a narrative-related musical structure, had difference between musical pieces of a pansori singer who advocated a 24-bak structure and musical pieces of the rest pansori singers.

      • KCI등재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진양공주’의 성현(聖賢)화와 그 의미

        김태영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7 No.-

        <YoossiSamdaerok(유씨삼대록)> are a series of works from <Yoohyogong seonhaengrok(유효공선행록)>. From Yoo-baekkyung, Yoo-woosung, to Yoo-kwan, Yoo-hyun, the 3rd generation. It is a Korean literature full-length novel that contains various events and aspects of various characters in the Yoo family. The figures of saints and gentlemen who were sought at that time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a military figure in Korean novels. In <YoossiSamdaerok> there is a unique character-type ‘Princess Jinyang(진양공주)’ that uses the military figure to seal the gap between ideology and reality that existed within the Yoo family. Princess Jinyang is an overwhelmingly powerful lyricist who can easily be traced back to the dictionary in <YoossiSamdaerok>. Therefore, many of the studies have discussed the existence of 'Jinyang Princess' in its operations. However, it was often mentioned in terms of the case of marital conflict, or explained in a special type of case called Princess Marri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over the shape of the heroine ‘Jinyang Princess’ who is the center of the epic structure, and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novel.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Princess Jinyang becomes prominent, we will examine her works based on "Involvement into the Yoo-family." "The location of conflict and the location of the people who disappeared after the rite.", “an early death after (formal) deification.” Princess Jinyang has the gift of reading heaven and earth in the epic <YoossiSamdaerok> and appears as the only woman who can use her mysterious abilities. In the event of she’s absence, she prepared an official letter to rescue the Yoo-family from danger in advance and utilize she’s ability to save a person's life or measure his life by acupuncture. Princess Jinyang also keeps trying to rule out the emperor even though she has an imperial power during her lifetime, and maintains her teachings and posture to her royal family as well as her family members. She also maintains a balance in the character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concubine who served as the most important conflict factor in the book. It also exerts great virtue beyond Yo․Shun emperor. and not only does this change the cause of conflict from the beginning to the right, but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person who is watching the conflict will have a life force that causes sensitization. The location and shape of Princess Jinyang in <YoossiSamdaerok> can be understood through her life as a true manifestation of Princess Jinyang at each epic point. This effectively presents the form of saint and author thoughts on the topic of the narrative. Therefore, Princess Jinyang, which is depicted in <Yoossi Samdaerok> will also serve as a conduit to express the key elements that the work wanted to capture. The process of looking at the shape and function of Princess Jinyang of <YoossiSamdaerok> is an important work for various aspects of the work. <유씨삼대록>은 <유효공선행록>의 연작 작품으로 1대인 유백경, 유우성 부터 3대인 유관, 유현 형제에 이르기까지 유씨 가문에서 발생하는 여러 사건과 다양한 등장인물의 양상들을 담아내고 있는 국문장편소설 작품이다. 당시 추구되던 성인(聖人)이나 군자(君子)의 형상들은 국문장편소설에 등장하는 성현 및 군자형 인물유형의 형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유씨삼대록>에서도 최고 성인의 경지에 이른 성현(聖賢)을 전고로 활용하거나 인물에 군자형상을 대입함으로써 유교가 지향하는 바를 적극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성별을 뛰어 넘은 성현적 존재로 유씨 가문 내에 존재했던 유교적 이념과 현실사이의 괴리를 대효(大孝)로써 봉합시키는 ‘진양공주’라는 독특한 인물유형이 등장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진양공주’는 <유씨삼대록>에서 서사전체를 추동하여 끌고 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압도적인 서사의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이다. 때문에 그간의 연구들에서도 ‘진양공주’의 작중 존재감에 대해 지적하여 적지 않은 논의를 전개해 왔다. 하지만 부부갈등이라는 사건의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언급되거나, 공주혼이라는 특수유형으로 묶여서 설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서사구조의 중심이 되는 여주인공 ‘진양공주’의 성현화된 형상과 이에 따른 기능 및 의미를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진양공주가 두드러지게 형상화 되는 지점에 따라 ‘유씨 가문으로의 개입과 대효의 수행자’, ‘갈등의 발생과 소거자의 위치’, ‘요절이후의 신격화된 위치’를 중심으로 작품을 살펴보고자 한다. 진양공주는 성현중에서도 효와 우애등을 중시하며 제위 이후 가장 이상정인 정치 및 대효를 실천한 요순과 같은 황제들에 비견되며 <유씨삼대록> 서사 내에서 천기를 읽을 수 있는 재주와 신이한 능력을 사용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존재로 등장한다. 훗날 자신이 부재할 경우를 대비하여 유씨 가문을 위험에서 구출할 봉서를 미리 준비해 두고 세상을 떠난다던지 침술로서 사람의 목숨을 구하거나 수명을 가늠하기도 하는 특수한 능력을 적시적소에 활용한다. 유씨 가문에서 죽음을 맞은 이후에도 추가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은 진양공주 뿐이다. 또한 진양공주는 살아있는 동안 황권을 지니고 있음에도 의도적으로 황권을 배제하려는 노력을 지속하며 함께 지내는 가족 뿐 아니라 궁인들에게까지 몸소 성현의 가르침과 자세를 유지하는 면모를 보인다. 진양공주가 지닌 성현의 형상과 요소들은 유씨가문으로 의도치 않게 개입된 타인이자 한 나라의 공주라는 존재에서 더 나아가 성현보다 더 성현됨을 추구하는 대효의 존재로써 서사전반에 기능을 하게 된다. <유씨삼대록>에서 가장 핵심적인 갈등 요소로 작용했던 장소저와 유세형 사이의 인물관계에서도 균형을 잃지 않으며, 성현(聖賢)을 넘어서는 대덕을 발휘함으로써 갈등의 원인을 근본부터 바르게 바꾸어 놓을 뿐 아니라 갈등을 지켜보던 이들에게도 감화를 일으키는 인물로 생명력을 지니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요절 이후에도 공주는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을 회상할 때뿐만 아니라, 가문에 좋은 일이 있을 때, 가문에 문제가 생겼을 때 등 곁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가문의 남아있는 인물들을 통해 존재감을 지속적으로 드러내고 대대로 회상...

      • KCI등재

        『晉陽聯藁』의 문헌학적 연구 ―초간본을 중심으로―

        장연수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7 No.-

        이 논문은 晉陽河氏의 世稿 『晉陽聯藁』를 문헌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글이다. 『진양연고』는 松軒 河楫(1303~1380), 苦軒 河允源(1322~1376), 木翁 河自宗(1350~1433), 敬齋 河演(1376~1453), 蓮塘 河友明(1413~ 1493)의 遺文이 차례로 수록되어 있으며, 1609년에 해인사에서 목판으로 처음 간행되었다. 편찬자는 暮軒 河渾(1548~1620)이다. 『진양연고』는 보편적인 세고와 마찬가지로 선조의 유문이 일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편찬하였다. 다만 이른 시기에 간행된 세고라는 점, 왕실 인물, 경상도 관찰사, 경상도 도사, 동래 부사 등이 간행에 관여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진양연고』는 1859년, 1907년에도 중간되었지만 구성과 내용은 거의 동일하므로 본고에서는 초간본의 편찬상의 특징 및 간행 경위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초간본의 구성과 편찬 배경을 살펴 『晉陽河氏世譜』와 표리를 이루어 가문의 위상을 제고하려는 의도 하에 『진양연고』가 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가장되어 오던 시문 외에 다양한 문헌에서 조상의 흔적을 수집하였음을 밝혔다. 대표적으로 『晉山世藁』, 『筆苑雜記』, 『海東名迹』, 『東國輿地勝覺』 등이 있는데 특히 『진산세고』의 구성 방식을 차용하였으며 『해동명적』의 유묵을 번각해 수록한 것은 동시기 세고에서 발견할 수 없는 특징이다. 또한 간행에 참여한 각 인물과 편찬자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이러한 『진양연고』의 간행 방식이 일반적인 문집 간행의 사례와는 사뭇 다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해인사라는 장소성도 주목할 만한데, 『진양연고』가 간행된 사실을 통해 1609년 덕천서원이 사액되기 전에 남명학파의 출판 거점으로 해인사가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초간본이 몇 차례 교정되었음을 보여주는 단서를 찾아내어 완정한 세고를 만들기 위한 과정을 재구하였다. 이상의 사항들은 조선 중기 세고 편찬의 일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헌학적으로 일정한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is a philological review on Jinyangyeongo of Jinyang Ha family. Jinyangyeongo has been first published in woodblock print at Haeinsa in 1609, and, it is covering Songheon Ha Jeup(1303~1380), Koheon Ha Yoonwon(1322~1376), Mokong Ha Jajong(1350~1433), Kyungjae Ha Yeon(1376~1453) and Yeondang Ha Woomyung(1413~1493) in order. The complier of Jinyangyeongo is Ha Hon(1548~1620). Jinyangyeongo, like the general Sego, was compil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literary works of the ancestors. However, it is notable in that it was published in an early period, and that royal person, Gyeongsang-do provincial governors, Gyeongsang-do county governors, and Dongnae county governors were involved in its publication. Although Jinyangyeongo was revised in 1859 and 1907, the composition and content are almost the sam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and publication history of the first edition. First,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and compilation background of the first edition, it was confirmed that Jinyangyeongo was published with the intention of improving the status of the family by aligning with Jinyang- hassisebo. Next, it was confirmed that traces of ancestor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documents in addition to the poems which was mostly commended.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Jinsansego, Pilwonjapgi, Haedongmyeongjeok, and Donggukyeojiseungram. In particular, it adopted the composition method of Jinsansego, and collected the calligraphies in Haedongmyeongjeok, which is a feature that cannot be found in Sego of the same period. In addition,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erson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and the compil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ublication method of Jinyangyeongo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general case of publishing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lso, the location of Haeinsa is noteworthy, and the fact that Jinyangyeongo was published confirms that Haeinsa was used as a publishing base for the Nammyeong School before Deokcheonseowon was royally chartered in 1609. Lastly, this study includes review of the process to create a complete Sego, by founding clues showing that the first edition was revised several times. The above details have certain philolog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allow us to confirm in detail one aspect of the Sego in the mid-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특별논문(特別論文) : 진양(陳暘) 『악서(樂書)』 예악론(禮樂論)의 역리적(易理的) 연구(硏究)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陳暘은 『樂書』에서 공자, 맹자, 순경 양웅을 비롯하여 많은 학자의 언급 『論語』, 『孟子』, 『中庸』, 『周易』 등과 같은 유가의 경전을 통한 이해 뿐만 아니라 『列子』, 『老子』, 『莊子』 등 도가경전에서 여러 문구를 적용해 이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점은 진양이 『禮記』 「樂記」(이하 「樂記」로 함)의 내용을 단순히 유가적 차원에서만 해석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인데, 이런 이해 중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악기」의 대부분의 문구를 음양론 혹은 역리적 차원에서 해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진양은 「악기」를 이해함에 있어 ``以易言之``, ``以易求之`` 등의 표현과 함께 ``與易A同意``, ``在易...`` ``易言...同意`` 등과 같은 표현을 통해 이해한다. 악기에 대한 이해에서 주역의 諸卦를 적용하여 풀이하되, 특히 陰陽論을 적용하여 관련지어 풀이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하도와 낙서를 적용하여 이해하기도 한다. 본고는 일단 진양이 예악에 대한 음양론적 이해 및 河圖·洛書와 관련된 언급을 보되 『주역』의 諸卦를 응용하여 이해한 것 가운데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풀이한 것을 논한다. 진양이 예와 악을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이해하는 것은 「악기」에 이미 천지와 건곤 혹은 건곤의 易簡之理, 그리고 음양의 상관관계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이 태생적으로 간직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樂著太始, 禮居成物``, ``樂由天作, 禮以地制``, ``樂者, 天地之和, 禮者, 天地之序`` 등과 관련된 예악의 발생론적 측면 혹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공능성을 말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진양은 禮를 陰으로, 樂을 陽으로 보되, 그것들의 발생론적 측면으로는 ``樂由陽來``와 ``禮由陰作``이란 틀을 견지하면서 예악이 갖는 형이상학적 의미를 밝힌다. 특히 음양 對待의 交易적 측면과 음양 流行의 變易적 측면을 적용하여 풀이하고 있다. 아울러 하도낙수 혹은 선천후천적 측면 및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풀이하고 있다. 진양의 이런 이해를 통해 예와 악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A native of Minqing County in Fujian Province, Chen Yang was a jinshi (a palace graduate) in China`s North Song Dynasty, who later served in the Ministry of Rites. His Yue Shu, a scholarly work with a huge mass of valuable information on Song- and pre-Song-Dynasty music, is of great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Generally regarded as the earliest encyclopedic volumes of musicology in Chinese history, and perhaps even in world history, Yue Shu has been an important and indispensable work of reference in the study of Chinese music. The 200-volume masterpiece, noted for its early date of publication and wide coverageanging over a period between the Han-Tang Dynasties and the Ming-Qing Dynasties, is a rare collection in the treasure of Chinese musicology. This master of Chinese musicology and the academic value, historical statu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his Yue Shu, thus merit ampler attention. A survey of existing scholarship shows that since the 20th century most of the studies of Chen Yang and his Yue Shu, have been conducted from historical in the context of cultural and historical development. Based on genealogical information and historical accounts obtained from field work and drawing on relevant scholarship such as A History of the Song Dynast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ing Confucian art view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understanding of Li-Yueh Thought, verifying the ontological basis of Li-Yueh, and then Li-Yueh made on the model Tien-ti and the effect of its realization. The Book of Chang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classics. The Text of the Book of Changes is made up of 64 hexagrams and two explanatory texts under each hexagram. Yin and Yang is two important opposite concepts in Chinese philosophy and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products of the interactions of the two forces. The ancient Chinese music Dao,based on the basic domains of the ancient Chinese philosophy, namely Dao. Such as theme are effected Li-Yueh and Chen Yang`s Yue Shu.

      • KCI등재

        陳暘 『樂書』 禮樂論의 易理的 硏究

        조민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A native of Minqing County in Fujian Province, Chen Yang was a jinshi (a palace graduate) in China's North Song Dynasty, who later served in the Ministry of Rites. His Yue Shu, a scholarly work with a huge mass of valuable information on Song- and pre-Song-Dynasty music, is of great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Generally regarded as the earliest encyclopedic volumes of musicology in Chinese history, and perhaps even in world history, Yue Shu has been an important and indispensable work of reference in the study of Chinese music. The 200-volume masterpiece, noted for its early date of publication and wide coverageanging over a period between the Han-Tang Dynasties and the Ming-Qing Dynasties, is a rare collection in the treasure of Chinese musicology. This master of Chinese musicology and the academic value, historical statu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his Yue Shu, thus merit ampler attention. A survey of existing scholarship shows that since the 20th century most of the studies of Chen Yang and his Yue Shu, have been conducted from historical in the context of cultural and historical development. Based on genealogical information and historical accounts obtained from field work and drawing on relevant scholarship such as A History of the Song Dynast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ing Confucian art view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understanding of Li-Yueh Thought, verifying the ontological basis of Li-Yueh, and then Li-Yueh made on the model Tien-ti and the effect of its realization. The Book of Chang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classics. The Text of the Book of Changes is made up of 64 hexagrams and two explanatory texts under each hexagram. Yin and Yang is two important opposite concepts in Chinese philosophy and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products of the interactions of the two forces. The ancient Chinese music Dao,based on the basic domains of the ancient Chinese philosophy, namely Dao. Such as theme are effected Li-Yueh and Chen Yang's Yue Shu. 陳暘은 『樂書』에서 공자, 맹자, 순경 양웅을 비롯하여 많은 학자의 언급 『論語』, 『孟子』, 『中庸』, 『周易』 등과 같은 유가의 경전을 통한 이해 뿐만 아니라 『列子』, 『老子』, 『莊子』 등 도가경전에서 여러 문구를 적용해 이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점은 진양이 『禮記』 「樂記」(이하 「樂記」로 함)의 내용을 단순히 유가적 차원에서만 해석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인데, 이런 이해 중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악기」의 대부분의 문구를 음양론 혹은 역리적 차원에서 해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진양은 「악기」를 이해함에 있어 ‘以易言之’, ‘以易求之’ 등의 표현과 함께 ‘與易A同意’, ‘在易...’ ‘易言...同意’ 등과 같은 표현을 통해 이해한다. 악기에 대한 이해에서 주역의 諸卦를 적용하여 풀이하되, 특히 陰陽論을 적용하여 관련지어 풀이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하도와 낙서를 적용하여 이해하기도 한다. 본고는 일단 진양이 예악에 대한 음양론적 이해 및 河圖⋅洛書와 관련된 언급을 보되 『주역』의 諸卦를 응용하여 이해한 것 가운데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풀이한 것을 논한다. 진양이 예와 악을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이해하는 것은 「악기」에 이미 천지와 건곤 혹은 건곤의 易簡之理, 그리고 음양의 상관관계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이 태생적으로 간직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樂著太始, 禮居成物’, ‘樂由天作, 禮以地制’, ‘樂者, 天地之和, 禮者, 天地之序’ 등과 관련된 예악의 발생론적 측면 혹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공능성을 말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진양은 禮를 陰으로, 樂을 陽으로 보되, 그것들의 발생론적 측면으로는 ‘樂由陽來’와 ‘禮由陰作’이란 틀을 견지하면서 예악이 갖는 형이상학적 의미를 밝힌다. 특히 음양 對待의 交易적 측면과 음양 流行의 變易적 측면을 적용하여 풀이하고 있다. 아울러 하도낙수 혹은 선천후천적 측면 및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풀이하고 있다. 진양의 이런 이해를 통해 예와 악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

        『周易(주역)』의 諸卦(제괘)를 통해본 陳暘(진양) 『樂書(악서)』의 禮樂論(예악론)

        조민환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2 No.-

        陳暘의 『樂書』는 北宋 이전의 음악활동에 관한 總錄으로 고대음악의 발전 맥락 및 북송 음악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저서다. 『악서』에서 표현하는 음악사상은 대개 儒家에서 中和를 미로 삼는 전통과 易理를 근본으로 하는 형이상학적 음악미학이다. 『악서』는 앞 95권에서는 『三禮』, 『詩經』, 『尙書』, 『春秋』, 『周易』, 『孝經』, 『論語』, 『孟子』 등 유가경전 중에서 음악과 관련된 문자를 摘錄한 다음 그것에 대해 하나하나 訓義하고 있다. 뒤의 백오권은 「樂圖論」으로 十二律呂本義, 五聲, 八音(八種樂器), 역대 樂章, 樂舞, 雜樂, 百戱 및 吉禮, 凶禮, 賓禮, 軍禮, 嘉禮에서 사용한 樂을 논술하고, 앞선 시대와 송대의 雅樂, 俗樂, 胡樂 등을 고루 균등하게 비교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중국 고대 음악 이론의 각도에서부터 보면 역대 많은 음악이론서 가운데 『주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주역』을 원용하여 학설로 삼은 것은 『樂記』와 『악서』다. 중국 고대 악론에 끼친 『주역』의 영향은 크게 세가지 방면이다. 첫 번째 방면은 『주역』의 一陰一陽之謂道의 우주관이다. 이 우주관은 중국고대음악가들이 음악 本源 문제를 연구할 때 철학기초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방면은 易象이 담고 있는 예술사유의 精髓다. 고대 악론 중 樂象說의 기본사상과 이론은 대부분 易象과 상관관계가 있다. 즉 觀物取象으로써 방법을 삼고立象盡意로써 목적을 삼는 것이 그것이다. 세 번째 방면은 『주역』의 易簡之道가 중국고대 음악이론의 핵심이 된 것이 그것이다. 『주역』에서 말하는 음양학의 원리는 同聲相應과 同氣相求의 학설에서 출발하고, 律을 말한 것은 『주역』의 十二闢卦와 일정한 관계가 있다. 『악서』의 형이상학적 음악미학은 『주역』의 음양의 도와 『周易』의 諸卦를 통해본 陳暘 『樂書』의 禮樂論 7 역상이론 및 이간학설과 직접적인 연원 관계가 있는데, 특히 『악서』에서는 『주역』의 天地和諧의 설을 근본으로 하면서 음악의 본질을 논한다. 음양의 도는 우주의 근본이 되면서 음악의 근원이 된다는 것이다. 특히 진양은 『악서』에서 『禮記』 「樂記」의 禮樂을 음양론적 측면에서 논하고 또 『역』의 여러 괘를 통하여 이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면 禮의 가장 사유인 天地之序를 「謙卦」와 「履卦」와 적용하여 이해하고, 樂의 기본적인 사유인 天地之和를 「豫卦」와 「復卦」를 적용하여 풀기도 하고, 아울러 「坎卦」와 「離卦」 및 「復卦」와 「구卦」를 예악의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용하여 푸는것이 그것이다. 이밖에 유가가 지향하는 수신ㆍ제가ㆍ치국ㆍ평천하를 이루기 위한 도구로서의 政과 刑을 「比卦」와 「豊卦」에 적용하여 풀이하기도 한다. 이런 사유의 바탕에는 ``樂由中出``과 ``禮由外作``을 음양론을 적용하여 풀이하는 사유가 깔려 있다. 이처럼 진양이 『악서』에서 말하고 있는 예와 악에 대한 역리적 이해는 『예기』 「악기」에서 말한 예악의 형이상학적 사유틀을 보다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陳暘『樂書』是對北宋以前的音樂活動的總錄,타對硏究古代音樂的發展脈絡尤其是北宋音樂的狀況,是必不可少的文獻依據。此書表現的音樂思想,大抵不出儒家以中和爲美的傳統見解和以易理爲本的形而上學的音樂美學也。『樂書』前九十五卷,摘錄『三禮』「詩經』『尙書』『春秋』『周易』『孝經』『論語』『孟子』等儒家經典中有關音樂的文字,一一爲之訓義。後一百零五卷,爲樂圖論,論述十二律呂本義,五聲,八音(八種樂器),歷代樂章,樂舞,雜樂,百戱,以及吉禮,凶禮,賓禮,軍禮,嘉禮所用之樂,對前代和宋時的雅樂,俗樂,胡樂等均有比較詳盡的說明。從中國古代樂論的角度看,受『周易』影響最深,援『周易』以爲說最多的,則爲『樂記』和『樂書』.『周易』對中國古代樂論的影響主要表現在三個方面,一是『周易』一陰一陽之謂道的宇宙觀,爲中國古代樂論家探討音樂本源問題提供了哲學基礎。二是易象蘊含了藝術思維的精髓要義,古代樂論中樂象說的基本思想和理路多與易象相關聯,卽以觀物取象爲方法,以立象盡意爲目的。三是『周易』易簡原則植根於天地自然之性,著眼於王道敎化功能,這又使得타與樂簡理論發生了內在聯系。音響學的原理, 源出『周易』同聲相應,同氣相求之說.言律者和十二闢卦也有一定的聯系。『樂書』形而上學的音樂美學與『周易』陰陽之道, 易象理論和易簡學說有直接的淵源關系。『樂書』本易道天地諧和之說,論述音樂的本質。陰陽之道爲宇宙之本,同時也是音樂之根。『周易』陰陽之道的大義和謙卦履卦豫卦復卦坎卦離卦復卦구卦比卦豊卦等諸卦表現在宇宙生化與天地諧和兩方面,『樂書』正是循易道之跡,從這兩方面來論述音樂的起源與本質的。

      • KCI등재

        『論語』의 樂 관련 개념 재해석 - 진양의 『樂書 ・論語訓義』를 중심으로 -

        김수현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동방학 Vol.35 No.-

        이 논문은 『논어』에서 음악과 관련된 용어가 포함된 문장을 모아서 해석한 진양의『악서』 중 「論語訓義」를 분석하여 어떤 특색 있는 해석을 했는지 살펴 본 연구이다. 『樂書』는 북송 말 진양(陳暘)이 1103년에 휘종에게 헌정한 200권의 음악이론서로서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경서의 훈의(訓義)이고 다른 하나는 악도론(樂圖論)이다. 이 중 「논어훈의」는 『악서』의 권85에서 권90에 해당된다. 이는 전부 『논어』에서 음악과 관련된 문장만을 뽑아내어 훈의 한 것이다. 『논어』에서 음악 관련 문장의 비중이 높은 편은 <八佾>과 <先進> <陽貨> 편이고 『논어』 20편 중 11편에 있는 30여개의 구절이 넘는다. 『논어』의 악 관련 문장이라 함은 음악 자체나 장르를 말하기도 하고 춤을 말하는 것, 예악을 함께 말하는 것, 樂曲을 말하는 것, 樂器를 말하는 것, 樂人을 가리키는 것 등 다양하다. 이 논문에서는 『악서・논어훈의』에서 다룬 내용을 대상으로 주제별로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진양이 어떻게 해석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악곡 관련 용어가 들어있는 문장, 둘째 악기 관련 용어가 들어 있는 문장, 셋째 악인 관련 용어가 들어 있는 문장, 넷째 예악이란 용어가 들어 있는 문장이다. 이 논문을 통해 진양의 『악서・논어훈의』가 儒家적 해석만 아니라 老莊철학을 함께 해석하였을 뿐 아니라 철학적 해석에만 머무르지 않고 음악학적 해석을 함께 하여 『논어』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해석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on Noneohunui (論語訓義) in Jinyang's Akseo (樂書), which interpreted the sentences including terminology of music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investigates how Jinyang distinctively construed them. Akseo is a book on music theory which Jinyang dedicated to Hui-tsung at the end of the Song in 1103. Akseo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Hunui (訓義) of Kyeongseo (經書), and the other is Akdoron (樂圖論). Noneohunui applies to the volumes from 85 to 90, and concerns a translation of the selected sentences related to music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It covers Palil (八佾), Seonjin (先進) and Yanghwa (陽貨)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which highly deal with music, and the Analects of Confucius contains over thirty sentences about music in 11 chapters of all twenty. The sentences about music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re relevant to music itself, musical genre, dance, Yeak (禮樂), music pieces, musical instruments, musician and so on.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nts on Akseo Noneohunui through the classification by musicological thema: First, the sentences including terminology of music pieces, second, those of musical instruments, third, musicians, and fourth, Yeak. Through this paper I could comprehend that Jinyang's Akseo not only puts on both Confucian and Taoistic interpretation, but also the musicological interpretation not remaining th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Therefore Jinyang's Akseo made us deeply understand the Analects of Confuci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