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 여성근로자의 삶의 질에 관한 비교 연구: 여가 및 직장생활 수준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이효주(Lee, Hyo-Joo),오수연(Oh, Su-Yeon),박성민(Park, Sung-Min) 한국정부학회 2020 한국행정논집 Vol.32 No.3

        개인의 행복이 과거 어느 때 보다 중요해진 대한민국에서 직장생활과 가사, 육아를 병행하는 ‘워킹맘’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일·가정 양립을 위한 친가족 정책 확대, 주 52시간제 도입 등 노동생산성,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대한민국 기혼여성 근로자들의 직장생활, 여가생활,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개인(학력, 가구 총소득, 고용 안정성, 미성년 자녀), 배우자(도구적·정서적 지지), 직장 요인(성차별, 친가족 정책)이 여가생활과 직장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 관계와 여가생활의 질, 직장생활의 질, 삶의 질 인식 수준에 있어 공공·민간부문 근로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조절효과 분석과 독립표본 t-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미성년 자녀의 수가 작을수록,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와 성차별 인식이 높을수록 여가생활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총소득, 고용안정성, 배우자의 도구적·정서적 지지, 친가족 정책 제공수준이 높을수록, 성차별 인식이 낮을수록 직장생활의 질이 높으며, 직장생활의 질은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영향관계에 있어 공사부문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의적절한 연구주제를 이론적으로 조망할 뿐 아니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민간부문 인사관리 담당자들에게 정책적·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Apparently, the Korean government is currently making enormous efforts to enhance the level of labor productivity and quality of life (QOL) by expanding family-friendly policies and introducing a 52-hour weekly system to balance work-family/life in a effective way. Reflecting these important societal and policy-driven issue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life, work life (QWL), and leisure life (QLL)of married female workers in Korea. First,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effects of individuals (educational level, gross household income, employment stability, minor children), spouses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 and workplace factors (gender discrimination, family policy) on the QLL and QWL.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se two mediating variables on QOL were investigated.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in terms of QLL, QWL, and QOL, a moderation effect analysis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he empirical findings reveal that, the smaller the number of underaged children, and the higher the emotional support and gender discrimination awareness of the spouse, the higher QLL. The higher the level of household gross income, employment security, the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 of the spouse, and the provis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the lower the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the higher QWL. It also appears that the QW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QOL. We are assured that this study will not only provide in-depth theoretical lenses of timely research topics, but also provide a lot of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HR experts and manager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 KCI등재

        여성 근로자의 직장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연구 : 조직 내 다양성 관리 전략의 역할검증을 중심으로

        김선아,박성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여성연구 Vol.97 No.2

        본 연구는 여성 근로자의 직장 생활의 질 영향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어 핵심 조절 요인으로 다양성 관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성별 보편성의 관점에서 여성 근로자의 심리 특성, 직무특성, 전이 특성 등의 선행 요인과 직장 생활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성별 특수성의 관점에서선행 요인과 결과 요인인 직장 생활의 질 간의 관계서 조직 내 다양성 관리 전략의 조절 효과를검증하였다. 특히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 포괄적 시각에서 다양성 관리의 전략적 역할을 규명하고자조절 요인인 다양성 관리 정책을 소극적 다양성 관리 활동과 적극적 다양성 관리 활동으로 구분하여구성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구 대상을 공공조직 여성 근로자와 민간조직 여성 근로자로 이원화 하는등 선행연구와의 차별화된 접근을 바탕으로 연구의 내용적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여성 근로자의 직장 생활의 질 선행 요인을 검증한 결과 공공 조직의 경우 우울감(-), 직무 만족도(+), 직장-일상 긍정적 전이(+), 적극적 다양성 관리 중 친가족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임이 확인되었고 민간조직의 경우 스트레스(-), 직장-일상 부정적 전이(-), 직무 만족도(+), 적극적 다양성 관리 중 친가족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임이 확인되었다. 한편 여성근로자의 직장 생활의 질 결정에 있어 다양성 관리 정책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소극적 다양성관리는 공공조직의 경우 직무 적합성과 직무만족도가 여성 근로자의 직장 생활의 질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민간조직의 경우 직무 적합성이 직장생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적극적 다양성 관리는 일과 삶균형 정책 중 개인성장지원제도가 공공조직에서만 직무 적합성이 여성 근로자의 직장 생활의 질에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성 관리의 맥락에서 여성 근로자의 직장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족친화정책이 공무원 직장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노종호,한승주 한국인사행정학회 2014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3 No.1

        본 연구는 서울시 구청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가족친화정책이 공무원 직장생활의 질에 미 치는 영향 및 그러한 영향이 집단(성별, 혼인여부, 미취학 자녀유무, 배우자 취업유무) 간에 상대적 차 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가족친화정책의 측정 변수로서 가족친화정책에 대한 지식을 제외하고, 가족친화정책 이용횟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일-가 정 갈등수준이 모두 공무원 직장생활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가족친화정책 이용횟수와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긍정적인 영향을, 일-가정 갈등수준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공무원 직장생활의 질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셋째, 가족친화정책이 공무원 직장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 간 구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그러한 차이는 특히 미취학 자녀 미보유 집단과 보유 집단, 배우자 미취업(외벌이) 집단과 배우자 취업(맞벌이) 집단 간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기존의 가족친화정책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주로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 조직성과 등과 같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으나, 본 연구 는 가족친화정책이 공무원 직장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 진다. 또한 가족친화정책이 공무원 직장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이 일부 집단 간에 상대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호텔 식음료 종사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직장생활의 질(QWL)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임형철,이규민 한국외식경영학회 2016 외식경영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their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quality of work life between them. This study will help to give opportunities to hotel managers to improve their employees' competitiveness and customer-orientation by increasing the quality of employees’ work life. This research will be the basis for the further studies on the quality of work life among hotel employees and help expand the research in terms of employees’ attitude and behavior. Since the study has limitation of using only sample of employees working for hotel companies, follow-up studies should extend the range of targets. 본 연구는 호텔 식음료 종사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를 파악하고, 두 변수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직장생활의 질이라는 변수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피는데 있다. 실증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거래 심리적 계약위반과 관계 심리적 계약위반이 고객 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사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직장생활의 질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어 종사원의 거래 심리적 계약위반과 관계 심리적 계약위반이 높아질수록 직장생활의 질이 낮아진다는 결과로 검증되었다. 셋째, 종사원의 직장생활의 질이 고객지향성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어 종사원들의 직장생활의 질이 높아질수록 고객지향성이 높아진다는 결과로 검증되었다. 넷째, 심리적 계약위반과 고객지향성의 영향관계에서 직장생활의 질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는 연구이다. 분석결과 종사원의 심리적 계약위반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직장생활의 질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의 관계

        곽경민(Kyungmin Kwak),문미경(Mikyung M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착근도, 직장생활의 질과 이직의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은D시 소재의 100병상 이상의 6개의 종합병원에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16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it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Baron & Kenny(1986)의 절차에 의한 매개효과 증명과 더불어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착근도는 직장생활의 질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생활의 질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직장생활의 질은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으로 직무착근도 뿐아니라 직장생활의 질을 함께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The subjects were 161 nurses who had one or more years of working experiences in hospitals in D city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significance of medication effect was verified by Sobel test. Turnover inten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embeddedness and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To reduce nurses’ turnover, nursing organizations should focus on enhancing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as well as job embeddedness.

      • KCI등재

        외식산업 종사원의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장생활의 질,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호열(Jeong, Ho-Yeol),이규민(Lee Gyu-M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산업 종사원의 셀프리더십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장생활의 질,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시내에 위치한 외식업 종사원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식업 종사원의 셀프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셀프리더십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하부 요인 간의 관계에서, 3개의 관계를 제외한 다른 모든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직장생활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장생활의 질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외식산업 종사자들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통해 그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장생활의 질, 조직시만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A survey was obtained from 280 employees of a restaurant located in Seoul and analyz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elf-leadership of employees of restaurant industry has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Specific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he lower factor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ll other relationships except the three relationship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ubsequently,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work life, and the quality of work lif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improving the self-leadership of employees in the restaurant industry, they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empowerment, quality of work life, and organizational behavior.

      • KCI등재
      • KCI등재

        조직사회자본이 혁신행동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직장생활의 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명철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9 行政論叢 Vol.57 No.4

        Drawing on social exchange theory and spillover approache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OSC)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subjective wellbeing (SWB)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quality of work life (QWL). Using survey data obtained from Korean public employees, the results show that QWL fully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OSC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SC and SWB.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OSC as a collective asset that generates positive employee behavior and well-being. These findings practically imply that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subjective wellbeing can be fostered through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intended to enhance social interactions at work.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태도를 중심으로 조직사회자본의 효과성 규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선행연구를 확장시켜, 조직사회자본, 직장생활의 질, 혁신행동, 주관적 안녕감 간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과 전이이론(spillover theory)을 준거이론으로 활용해, 조직사회자본이 직장생활의 질을 매개로 혁신행동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조직사회자본은 직장생활의 질의 완전 매개효과를 통해 구성원들의 혁신행동과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사회자본이 구성원들의 행태뿐만 아니라 주관적 안녕감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는 집합자산임을 제시하는 것으로, 조직・인사관리를 통한 구성원들의 혁신행동 강화와 주관적 안녕감 증대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년남성의 직장생활과 배우자와의 관계가 성공적인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조성숙,서훈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4

        본 연구는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은퇴의 문으로 들어서고 있는 베이비 붐 세대를 포함한 우리나라 중년남성의 직장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사회적 교류의 정도가 성공적인 노후를 위한 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오랜 노후기간을 함께 보내야 하는 배우자와의 관계가 은퇴를 앞둔 중년 남성의 직장생활과 노후준비 간에 중요한 조절적 역할을 하는 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40∼5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그 결과 직장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사회적 교류가 많을수록 노후에 대한 계획을 더 많이 세우고 있으나, 반면 노후에 대한 기대나 기다림의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생활 특성과 성공적 노후준비와의 영향관계에서 배우자와의 관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또한 인구사회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배우자와의 관계가 원만하였고 학력이 높고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이 노후에 대한 계획과 기대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은퇴를 앞 둔 중년세대의 성공적인 노후준비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s of middle-aged men on their successful retirement planning.  It was found that a good relationship with a spouse is also important for happy retirement because conjugality has lengthened due to longer life expectancy. To prove the hypotheses, questionaries were taken from middle-aged men in metropolitan areas. The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anticipation for retirement was not high, although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social interactions led to better retirement planning.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emography, younger -aged group has had better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s, and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and/or professional occupations have had anticipation for retirement. With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alternatives for successful retirement of middle-aged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