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시나리오에 따른 남해안 지진해일 특성 연구

        신범식,김동석,김동환,이상엽,조시범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6 No.2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지진이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동아시아일대의 지각이 긴장상태에 있으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지진 활동에 대한 우려와 불확실성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동해안 지진해일에 대한 대책으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동해안을 대상으로 지진해일 수치모의를 통해 지진해일의 범람 특성 분석 및 침수예상도 작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그러나 남해안의 경우 동해안에 비해 지진해일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남해안의 경우 조차가 1~4 m로 조석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기때문에 조석의 영향이 지진해일 전파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남해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진해일 발생지는 해저의 단층운동이 활발한 유구열도(Ryukyu lsland)와 난카이트러프 단층대이다. 과거 남해안은 지진해일의 직접적인 피해가 없었으나, 지진해일 발생 가능성은 항시 존재하기 때문에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연구가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진해일 가상시나리오에 대한 지진해일 수치모의를 하였다. 아울러 조석과 지진해일의 상호작용으로 연안에서 나타나는 해일 전파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남해안 지진해일 위험성 평가를 통해 남해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해일 대비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Large-scale earthquakes are occurring globally, especially in the South Asian crust, which is experi encing a state of tension in the aftermath of the 2011 East Japan Earthquake. Uncertainty and fear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further seismic activity in the near future have been on the rise in the region.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has previously studied and analyzed the overflow characteristics of a tsunami and the rate of flood forecasting through tsunami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East Sea of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Southern Coast tsunamis compared to the East Coast. On the Southern Coast, the tidal difference is between 1~4 m, and the impact of the tides is hard to ign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tid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n the tsunami. Occurrence regions that may cradle tsunamis that affect the southern coast region are the Ryukyu Island and Nankai Trough, which are active seafloor fault zones. The Southern Coast has not experienced direct damage from tsunamis before, but since the possibility is always presen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prepare precautionary measures in the face of a potential event. Therefore, this study numerically simulated a hypothetical tsunami scenario that could impact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In addition, the tidal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that emerge at the shore due to tide and tsunami interactions will be analyzed. This study will be used to prepare for tsunamis that might occur on the southern coast through tsunami hazard and risk analysis.

      • 지진해일이 완도항 남해안 지역에 미치는 영향 검토

        이현하,조용식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국내 항만과 주변지역은 매년 자연재해가 반복되는 지역으로 최근 14년간 해일, 해수범람 등에 의한 해양재해로 피해규모가 늘어나고 있어 지진해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진해일은 대규모 자연재해로써 한번 발생하면 수많은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피해를 발생시킨다. 또한, 근래에 들어 세계적으로 해저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둘 필요성이 있다. 동해안에 비하여 남해안은 지진해일 기록이 미미하고 해저지진활동도 높지 않아 안전지대로 여겨왔지만 2005년 3월 20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하여 남해안에서의 지진해일 방재대책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이 발생시점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진해일 유발 가능 지진원이 있는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 사이의 섭입대 지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류큐열도 주변 및 류큐트렌치 단층대에 발생하는 지진에 의한 발생빈도별 규모를 산정하여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가능최대지진해일을 MW9.2의 단층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Mansinha and Smylie의 해석해로 구한 지진해일의 초기파형 수치모형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침수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 새만금 전면해역에서의 지진해일 출현가능성 연구

        송현구 ( Hyun-gu Song ),김종규 ( Jong-kyu Kim ),조권상 ( Kwon-sang Cho ),최인규 ( In-kyu Choi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2005년 3월 25일 후쿠오카 북서쪽 약 20km 해역에서 발생하여 응력 취약부인 대마도 주변 해저의 쓰시마-고토 단층대를 통해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친 후쿠오카 지진은 우리나라 사회에 쓰시마-고토라는 큰 활성 단층대의 존재를 처음으로 부각시켰다. 이 단층대는 한반도를 향하고 있으며 필리핀해판이 이 단층을 자극하는 경우 일본과 한반도가 동시에 큰 피해를 받을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최근 수마트라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은 인근 동남아시아 연안을 강타하여 기록적인 피해를 야기한 바 있다. 현재 이러한 침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진해일 예·경보 시스템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듯 보여진다. 그러나 우리나라 해안은 지근거리의 쓰시마-고토 단층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대피시간의 부족 등으로 인해지진해일 예경보 시스템만으로는 지진해일의 기습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이 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경우 연안 방재 시스템의 설계 기준은 지진해일의 습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재조사 되어야 하며, 필요하다면 적절히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대한해협에서의 지진해일 전파과정을 수치모의 하였다. 우리나라 근처에 존재하는 서해안의 추가령 단층계, 동해안의 양산 단층계, 대한해협과 인접한 쓰시마-고토 단층대 등이 존재하나 새만금 방조제 전면해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쓰시마-고토 단층대로 판단하여 지진해일은 쓰시마-고토 단층대에서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던 지진 중 비교적 생기빈도가 높은 리히터 규모 7.5의 지진발생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가장 강건한 지진해일모형인 비선형 천수방정식을 기본방정식으로 사용하였으며 경계조건으로는 개방경계의 경우 에너지 흡수 경계조건, 각 영역사이의 내부경계에서는 동적연계기법을 사용하였다 (Yoon, 2002). 기본방정식은 ADI 기법을 활용하여 차분하였으며, 지진해일의 초기 파형은 Manshinha와 Smylie (1971)의 Green function method에 의해 산출하였다. 진앙 깊이, 융기부의 폭과 길이, 융기고는 지진 규모와 융기부 면적, 융기고간의 경험적 관계식과 Aida (1984) 모형을 원용하여 각각 2km, 30km, 90km, 760cm로 선정하였으며 주향각 [strike angle], 단층경사각 [slip angle], dip angle은 각각 240°, 40°, 90°로 선정하였다. 지진해일발생 후 60여분 경과 후 선도파랑이 제주도 동해안에 도달하기 시작하며, 약 90분 경과 후 우리나라 남해안에 내습하기 시작하며 이는 대피시간 부족으로 인해 지진해일 예·경보 시스템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약 100분 경과 후 제주도 서측 해안에 북단과 남단에서 각각 회절되어 입사되는 파랑이 중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약 180분 경과 후 지진해일의 선도파랑은 회절되어 우리나라 서해안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새만금 전면해역의 지진해일고는 0.1m 이내로 새만금 방조제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지진해일 규모에 따른 동해안 범람특성 연구

        조시범,홍성진,박형성,김동석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1 No.-

        현재 지진해일 대응체계에서는 지역별로 얼마만큼의 지역이 침수되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피소 지정이나 대피계획 등의 지진해일 방재대책을 수립하기 어렵다. 실제 지진해일 발생시 신속하고 통합적인 대응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현재 강원도 및 경상도의 일부 지역에서 지자체별로 제작된 지진해일 침수예상도는 과거 이력에 대해서만 분석하여 향후 발생가능 지진해일에 대응에 불합리한 부분이 있어 중앙방재기관에서 일관성 있는 관리 및 자료 활용에 어려운 점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 전파 및 범람특성을 고려한 침수예상도 작성에 필요한 국립방재연구원의 연구결과로 수립된 지진해일가상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지역별 지진해일범람수치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본 서해안의 지진단층을 대상으로 가상 지진해일의 위치별 11개, 지진규모별 4개 등 총 44개의 시나리오에 따라 수치모의실험을 통해 지진해일 범람특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지진해일 초기수면변위에 따라 진앙지로부터 발생한 지진해일이 동해 중심부에 위치한 해저지형 대화퇴를 지나면서 굴절현상에 의해 전파속도 및 방향이 변화되며 지진해일의 발생위치에 따라 해저지형 변화에 의해 동해안에 에너지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국립방재연구원, 2011). 그러나 지진해일 규모가 커짐에 따라 지진해일 에너지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동해의 해저지형 특성보다는 지진해일 발생위치로부터 근접한 지역에서 최대파고가 산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대한해협에서의 지진해일 전파특성과 지진해일고의 확률적 기술

        조용준(Cho, Yong-Jun),이재일(Lee, Jae-Il)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6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강건한 지진해일모형인 비선형 천수 방정식에 기초하여 대한해협을 통과하는 지진해일의 전파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지진해일은 쓰시마-고토 단층대에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지진 중 비교적 출현 빈도가 높은 리히터 규모 7.5의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지진해일의 선도파랑이 대한해협을 횡단하는데 60분 정도가 소요되며 이는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이 대피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전 쓰시마-고토 단층대에서 동일한 생기빈도를 가지는 지진사상에 대해 Kajiura(1963)의 동수역학 모형과 간단한 지진학적 모형을 활용한 지진해일 재해 모형이 제시되었다. 제시된 지진해일 재해 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남해안 마산, 여수, 통영, 고흥 전면 해역에서의 각 수위별 지진해일고의 초과확률이 제시되었다. 이와 더불어 본고에서 제시한 지진해일 재해모형의 검증은 관측자료가 비교적 풍부한 동해 동연 오쿠시리 해령에서 1993년에 발생한 북해도 남서외해 지진해일과 Akita and Fukaura 두 곳에서 관측된 수위자료를 대상으로 수행되어 매우 고무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 결과들은 지진해일의 위험에 대한 연안방계 시스템의 설계기준의 수정을 위한 가치 있는 자료들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We numerically studied tsunami propag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Korean Straits based on nonlinear shallow water equation, a robust wave driver of the near field tsunamis. Tsunamis are presumed to be generated by the earthquake in Tsuhima-Koto fault line. The magnitude of earthquake is chosen to be 7.5 on Richter scale, which corresponds to most plausible one around Korean peninsula. It turns out that it takes only 60 minutes for leading waves to cross Korean straits, which supports recently raised concerns at warning system might be malfunctioned due to the lack of evacuation time. We also numerically obtained the probability of tsunami inundation of various levels, usually referred as tsunami hazard, along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simple seismological and Kajiura (1963)'s hydrodynamic model due to tsunami-generative earthquake in Tsuhima-Koto fault line. Using observed data at Akita and Fukaura during Okushiri tsunami in 1993, we verified probabilistic model of tsunami height proposed in this study. We believe this inundation probability of various levels to giv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amendment of current building code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to tame tsunami attack.

      • KCI등재후보

        지진해일에 의한 해수범람 예측 : 포항신항

        심주열,하태민,조용식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08 No.04

        During the last decades several devastating tsunamis have been occurred. Recently, there have been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sunami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2004 Sumatra Tsunami occurred on December 26, 2004. In general, the Korean Peninsula is not safe against potential tsunami attacks. The 1983 Central East Sea Tsunami and the 1993 Hokkaido Tsunami caused considerable damage to the Eastern Part of the Peninsula. Thus, a prediction of damage due to tsunamis must be required at the Eastern Part of the Peninsula.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 of tsunamis at Pohang New Port, one of the most important ports in the Eastern Part of Korea, is conducted for three different tsunami events. Numerical simulation is focused on inundation on the port and run-down around an intake structure which supplies cooling water to the porthinterland. The computed results show that Pohang New Port is damaged by the most dangerous tsunami which can be generated in the East Sea. Thus, it is required to set up a counter-measure against tsunami attacks at Pohang New Port. 지난 수십년간 전 세계적으로 지진해일로 인해 수많은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2004년 발생한 수마트라 지진해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지진해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과거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과 1993년 북해도 남서 외해 지진해일로 인해 동해안에 비교적 큰 피해를 입었으며, 앞으로도 동해안에는 지진해일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동해안에 위치해 있는 주요항에 대한 지진해일 피해 예측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의 주요항 중 하나인 포항신항에 대해서 지진해일 최대 처오름높이 및 최저 처내림높이를 계산하였으며, 모두 세 가지 지진해일에 대해 수치모의를 하였다. 포항신항에는 배후 공업단지가 발달해 있어 지진해일에 의한 범람이 발생하면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배후 공업단지에 필요한 냉각수를 취수하는 취수구에서 지진해일에 의한 처내림현상으로 인해 취수가 중단되면 공장 가동이 중단되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치모의는 처오름높이에 의한 범람여부 및 처내림높이에 의한 취수구에서의 취수 가능여부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였다. 검토 결과 포항신항은 전반적으로 지진해일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장 큰 규모의 지진해일에 대해서는 피해를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방재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가능최대지진해일에 의한 지진해일 침수피해특성 분석

        김건형,김태웅,신지예,윤성범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2011년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지진 및 지진해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최대지진해일에 의한 지진해일의 침수피해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분석 대상지역은 2012여수세계박람회가 개최되었던 여수시의 여수신항과 여수구항의 항만권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지진원 설정은 대상지역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칠 것이라 판단되는 류큐 트렌치로 하였다. 류큐 트렌치에서 발생 가능한 가능최대지진해일을 산정하기 위하여 역사지진자료와 가상지진자료를 활용하였다. 역사지진자료를 이용해 Tapered G-R 기법을 적용하여 회귀식을 산정하고 가능최대지진해일을 발생시키는 지진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상지진자료를 구성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최종 산정된 가능최대지진해일을 수치모의 하여 대상지역의 침수영역 및 침수심을 산정하였다. 또한, 지진해일로 발생하는 해안지역의 침수피해액 산정을 위하여 다차원침수피해액 산정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침수피해액 산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면적, 침수심, 침수피해액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의 침수특성을 비롯하여 해안지역의 지진해일로 인한 침수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진해일 대비 교육훈련에 관한 인식 연구

        권건주(權建周)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1

        본 논문은 지진해일 대비 교육훈련에 관한 인식을 연구하고자「2011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2011년 5월 4일 전국 동시에 실시한 지진해일 대피훈련에 참여한 삼척시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삼척시민들의 인식은 첫째, 지진해일에 대한 거주지역의 안전도는 낮으며, 지진해일의 발생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소 지진해일 대피요령에 대한 교육경험은 부족하지만 교육 시 참여의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진해일 대피훈련에 대한 사전 주민대상 교육이나 안내(홍보)가 충분하지 않았고, 지진해일 대피구역내 거주자의 참여율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지진해일 대피안내판(대피유도 표시판)의 시인성(視認性)은 좋은 것으로 보이며, 거주지역의 안전을 위해 지진해일 대피지도의 배부에 대한 찬성률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부 시민들은 지진해일 발생시 지진해일 대피경로를 모른다고 응답하므로 지진해일 대피요령에 대한 지속적인 주민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진해일에 의한 유사 이송 수치모의

        서정욱,조용식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지진해일은 발생 빈도는 낮으나 일단 발생하게 되면, 빠른 속도로 해안에 전파되어 심각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지진해일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진해일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원해 및 근해에서의 전파 양상, 해안가에서의 파고 및 처오름높이에 관해 이루어졌고, 지진해일에 의한 유사 이송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지진해일에 의한 유사 이송을 이용하여 역사 및 가상지진해일을 해석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Li 등(2012)은 퇴적물 평형농도에 의해 유도된 이송-확산 방정식(advection-diffusion equation)을 이용하여 2004년 수마트라 지진해일에 의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북서쪽 Lhok Nga 해안에서의 해저 지형 변화를 관측된 지진해일 파고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사이송모델은 유사가 발생하는 영역을 소류사에 의해 구성되는 소류층과 부유사의 거동이 주가되는 부유층으로 분리하여 고려하는 방법으로 유도되었다. 해안으로부터 먼 거리에서 발생하여 전파해오는 지진해일을 수치모의 할 경우에는 분산효과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선형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여 차분하였을 때 발생하는 수치분산항을 통해 보정하였고, 근해의 경우 비선형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다. 지진해일 전파와 유사이송을 결합해 울진 원자력발전소 취수구에 대하여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에 의한 해저지형의 변화를 수치모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재난관측법제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지진,지진해일,화산 관측을 중심으로-

        김두진 ( Doo Jin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硏究 Vol.22 No.3

        2011년 동일본대지진의 참상은 우리 국민들에게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인지와 안전에 대한 불안과 우려를 야기하였다. 전세계적으로 자연재난의 발생추세는 1975년부터 2005년까지 급격히 상승하다가 2005년을 정점으로 근년에는 1990년대 중반이후와 같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지진 및 지진해일로 인한 심각한 피해를 직접 당해 본 경험이 없을뿐더러 가까운 시일 내 그런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는 피해 인식도 매우 낮은 실정이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지진발생의 시계열분석에 의하면 약 2세기를 주기로 활발한 지진활동기와 지진활동감소기가 반복되었는데, 15~18세기에 빈도가 높았고, 현재는 정지기가 막바지에 이르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축적된 에너지가 방출되어 한국에 큰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또한 전세계에서 지진해일의 약 25%가 발생하는 일본의 인접국인 우리나라는 일본 열도 서쪽과 동해 연안에서 발생하는 지진해일에 의한 피해 가능성이 있기도 하다. 그밖에 폼페이를 매몰시킨 베스비우스 화산보다 큰 규모의 백두산이 활화산으로서 우리나라 영토안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기상·수상 및 지상 등의 기상현상의 관측 및 예보, 기후변화에 대한 대책수립 및 영향조사, 기후변화 감시 및 기후 예측을 중심으로 하는 기상업무를 소관하는 행정기관인 기상청의 소관법률에 지진·지진해일 관측 자체에 관한근거규정을 두고 운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방재관련법률의 하나인「지진재해대책법」에 들어있는 관련조항들과 「기상법」의 관련규정들을 이전하여 기상법의 특별법으로서 (가칭)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이하 “지진·해일·화산법”)을 제정하여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예보·통보에 관한 기상청의 업무를 통일적으로 규율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해당 업무의 전문성·진보성·효율성을 제고하고 지진기술개발·적용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진·해일·화산법의 입법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인식은 연구과정에서 실시한 여론조사를 통하여 확인된다. 또한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의하여 기대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편익은 대응속도를 10초 앞당길 때 최대 4,200억원에 달할 수 있다고 추산된다. 지진·해일·화산법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내용으로서는 현행 기상법에 있는 관련조항들의 통합외에 지진·지진해일·화산 관측망 구축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기 위한 규정, 지진 및 지진해일 조기경보체제의 구축·운영의 근거규정 등이 될것이고, 이와 함께 직제개편에 의하여 기상청의 조직체계에 있어 현행 관측기반국의 지진관리관 체제를 지진화산국 체제로 개편하고 필요한 인력을 확충하여야 할 것이며 그 집행 예산의 지속적이고 충실한 확보도 필요할 것이다. 우리는 자연재해를 피할 수는 없지만 그 영향을 최소화하고 경감하기 위하여 행위할 수 있다. 원치 않는 비상상황에서 최악의 피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비한 적절한 법제적 준비가 필요하다. 지진·해일·화산법을 입법하여 기상청의 관측망 확충 및 조기경보체계 수립과 함께 기상청의 조직·인력·예산 운용을 개선하는 것이 정부의 지진·지진해일·화산 재난에 대한 적절한 선제적 대응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part of the United Nations Secretariat, global reported natural disasters show rising trend from 1975 to 2005 and reached the peak in 2005. After that time, they have maintained the status quo as high as the mid-1990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urrent legislative system regarding the earthquake monitoring and warning services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 survey was conducted in the January of 2012. The survey revealed that most citizens recognize that earthquakes may pose great risks to the society and are concerned for their safety from natural disasters including earthquakes, tsunamis, and volcanoes. According to the survey, most people also agree that the government should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reduce the risks of life and property from future earthquakes, tsunamis, and volcanoes. One of the adequate measures is the legislation and operation of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by the KMA. This article confirms that providing earthquake monitoring services include observation, monitoring and warning is essential to the protection of life and property from disasters.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tentatively named the “The Earthquake, Tsunami and Volcanoes Monitoring and Warning Act” because current our legal system does not provide sufficient room for autonomous development of seismic research and monitoring network system. The earthquakes of March 11, 2011 in the east japanese area remind us of the devastating impact earthquakes can have on the lives and economic stability of people. Although hazards will always exist, whether they become disasters depends upon our disaster resilience-our capacity of observation, monitoring, responding, and speedy warning. Prepared nation can save people`s lives and reduce hazards of earthquakes, tsunamis and volcanoes. Adequate budget for the KMA should be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in order to establish the National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The KMA should develop a comprehensive plan for seismology research to effectively use existing observation stations and laboratories, upgrade facilities and equipment as needed for the NEEWS, and integrate innovative testing approaches to the research infrastructure in a systematic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