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식성 이리응애 4종의 담배가루이 알 포식능력 비교 평가

        김황용,이용휘,김정환,김용헌,Kim, Hwang-Yong,Lee, Yong-Hwi,Kim, Jeong-Hwan,Kim, Yong-H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On the leaf disc of fruit vegetables (cucumber, sweet pepper, tomato, egg plant, oriental melon), it has been evaluated that the capability of four predatory mites (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Neoseiulus barkeri (Hughes), N. cucumeris (Oudemans), N. californicus (McGregor)) to prey on the eggs of Bemisia tabaci (Gennadius) and to lay own eggs. The most aggressive mite was A. swirskii which had consumed about $9{\sim}12$ eggs in a day. The quantity of eggs consumed by N. barkeri, N. cucumeris and N. californicus was about $6{\sim}9,\;4{\sim}6$ and $1{\sim}4$, respectively. The most productive mite was also A. swirskii which had laid about $1.2{\sim}1.9$ eggs in a day. The others could not lay more than 0.5 eggs in a day. 시설과채류(오이, 착색단고추, 토마토, 가지, 참외)의 잎 절편에서 지중해이리응애, 나팔이리응애, 오이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를 대상으로 담배가루이 알에 대한 포식능력과 산란능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의 일평균 담배가루이 알 포식량이 $9{\sim}12$개로 가장 많았으며, 나팔이리응애, 오이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가 각각 $6{\sim}9$개, $4{\sim}6$개, $1{\sim}4$개로 뒤를 이었다. 일평균 산란수도 지중해이리응애가 $1.2{\sim}1.9$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른 포식응애들은 0.5개를 넘지 않았다.

      • 파프리카에서 천적을 이용한 해충밀도억제 효과

        김정환,김황용,변영웅,김용헌,이관석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시험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전북 김제시 순동 참샘영농(10,000㎡)과 2005년 경기 화성시 우정면 이화리 화성21(2,300㎡)의 유리온실 재배 파프리카 농가에서 실시하였다. 단위면적(㎡)당 천적 방사량과 대상해충의 밀도억제 효과는 총채벌레 천적인 오이이리응애(Amblyseius cucumeris) 436.2마리+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 7.2마리와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227.3마리+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 1.7마리 처리결과, 총채벌레 밀도를 꽃당 각각 0.2마리와 0.07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방사한 지중해이리응애와 미끌애꽃노린재의 주내 공간분포는 꽃에 미끌애꽃노린재의 밀도가 낮을 때는 지중해이리응애가 우점하지만, 미끌애꽃노린재 밀도가 증가하면 지중해이리응애는 미끌애꽃노린재에 의해 포식 당하거나 밀려나 모두 잎으로 이동한다. 잎응애 천적인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를 33.4마리 처리결과, 점박이응애를 엽당 1.3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진딧물 천적인 진디벌뱅커플랜트 5.6포트/660㎡+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 9.4마리 처리결과, 진딧물 밀도는 엽당 2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담배가루이 천적인 황온좀벌(Eretmocerus erimicus) 78.4마리+지중해이리응애 227.3마리 처리결과, 담배가루이 성충 밀도가 7월 상순까지 트랩당 10마리 이내로 억제 되었으나, 작기 후반 9월 중순 트랩당 250마리까지 증가하였지만 작물에는 피해가 없었다.

      • 여름작형 시설오이에서 총채가시응애와 지중해이리응애를 이용한 꽃노랑총채벌레의 방제

        김형환,조명래,전흥용,강택준,안승준,정재아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오이 작형중에서 6월 중순에서 하순에 정식하는 여름작형에 피해가 많은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는 잎, 꽃, 과실을 가해한다. 특히 무농약, 유기농 오이 재배지에서 피해가 많아 토양 중 번데기를 포식하는 총채가시응애(Hypoaspis aculeifer)와 지상부 약충과 성충을 포식하는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시험하였다. 총채가시응애는 6월 중순 오이 정식과 함께 ㎡당 15.2마리(15,000마리/300평/10a) 밀도로 방사하였다. 그리고 총채가시응애를 방사한 후 예찰을 통하여 꽃노랑총채벌레가 50엽당 15~20마리 사이에 발생하면 지중해이리응애를 ㎡당 19.9마리(18,760마리/300평/10a) 밀도로 12~14일 사이의 간격을 두고 2회 방사하면 85% 이상의 밀도감소 효과가 있었다. 한편 예찰을 통하여 지중해이리응애의 1차 방사시기를 지나쳐 꽃노랑총채벌레가 50엽당 20∼50마리 사이에 발생하였을 때는 총채가시응애를 ㎡당 15.2마리, 지중해이리응애를 ㎡당 19.9마리 밀도로 동시에 토양과 지상부에 각각 1회 방사하고, 이후 7일 간격으로 지중해이리응애를 ㎡당 19.9마리 밀도로 2회 방사하면 80% 이상의 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오이에서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적용 효과

        김황용,김정환,강승호,이용휘,최만영,Kim, Hwang-Yong,Kim, Jeong-Hwan,Kang, Seung-Ho,Lee, Yong-Hwi,Choi, Man-Yo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3

        꽃노랑총채벌레의 초기 밀도가 엽당 18.3마리에 이르는 $1,600m^2$ 규모의 오이 포장에서 지중해이리응애를 오이 한 주 당 25마리 정도 1회 방사한 결과, 경제적 피해 없이 꽃노랑총채벌레를 방제하는데 성공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는 방사 후 4주 만에 엽당 16.6마리까지 증가한 반면, 꽃노랑총채벌레는 엽당 2.1마리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의 초기 밀도가 엽당 34.3마리로 비교적 높았던 온실에서 수직분포의 변동을 관찰한 결과, 방사 초기에는 지중해이리응애가 오이 하엽에 주로 분포하다가, 후기에는 상위엽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By releasing predatory mite, 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with 25 individuals per cucumber plant in a commercial greenhouse (1,600 $m^2$), the population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was kept under the economic threshold level. The initial thrips population of 18.3 individuals per leaf decreased to 2.1 individuals per leaf after four weeks, while the number of A. swirskii reached to 16.6 individuals per leaf. It was also observed that at a point where the thrips occurred in high density of about 34.3 individuals per leaf, A. swirskii population built up on the lower part of cucumber plant first, but as time passed the predatory mites moved upward to the top of the plant and aggregated.

      •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Acari: Phytoseiidae))의 온도별 발육특성

        금은선,김호정,정철의,권기면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는 담배가루이와 총채벌레의 밀도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생물적 방제원으로서, 그 활용가치가 증가하고 있는 천적이다. 2007년 국내 도입된 후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생물적 특성은 명확히 구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온도별 발육 특성 연구를 통하여 대량생산 및 생물적 방제의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는 (주)나비스에서 분양받아, 설탕응애를 먹이로 하여 실내 사육 후 항온조건(15, 20, 25, 30, 35℃)에서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성비, 성충의 일평균산란수를 조사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를 추정하였다. 상대습도는 75% 내외, 광주기는 16L:8D로 고정하고, 조사는 12시간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육기간이 짧아지다가 35℃에서는 다시 증가하는 비선형 패턴을 보였다. 15℃에서 15.9±1.01일로 가장 길었고, 30℃에서 4.7±0.25일로 가장 짧았다. 15℃에서 30℃ 사이의 발육속도는 선형모델에 적합하였고(각각 r2>0.95), 발육영점온도는 유충이 8.6℃로 가장 낮고, 알이 12.8℃로 가장 높게 추정되었다. 성충까지의 유효적산온도는 7.7℃를 기준으로 123.9DD로 추정되었다. 성충의 성비는 암컷 비율이 0.65 (n=66)으로 나타나, 통상적인 포식성이리응애류의 암컷 비율과 비슷하였다. 조사한 일일 평균 산란수는 20℃에서 1.35±0.18, 25℃에서 1.64±0.99, 그리고 30℃에서 4.08±1.75, 35℃에서 0.70±0.47로 30℃에서 일일 산란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파프리카의 겨울작형 시설재배에서 천적을 이용한 해충 밀도억제 효과

        김정환,변영웅,김황용,박창규,최만영,한만종,Kim, Jeong-Hwan,Byeon, Young-Woong,Kim, Hwang-Yong,Park, Chang-Gyu,Choi, Man-Young,Han, Man-J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겨울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에 주로 발생하는 4종의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방제를 위해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2005년 11월과 2006년 2월에 2회에 걸쳐 $m^2$당 3.3마리를 방사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밀도를 트랩 당 2.0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방제를 위해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2007년 1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4 회에 걸쳐 $m^2$당 232.3마리를 방사하여 담배가루이 밀도가 7월 말까지 트랩 당 6.6마리 이내로 억제되었으며, 8월 하순부터 담배가루이 성충이 외부에서 온실내로 급격히 많은 수가 유입되었으나 작기종료로 피해는 없었다.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방제를 위해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를 2008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7회에 걸쳐 $m^2$당 44.5마리를 방사하여 차응애 밀도를 잎 당 1.7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는데, 이는 담배가루이 천적인 지중해이리응애도 차응애를 포식하였기 때문이다. 전딧물 방제를 위해 진디벌뱅커플랜트를 $660m^2$당 5.5포트와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윌까지 7회에 걸쳐 $m^2$당 9.5마리를 방사하여 진딧물 밀도를 잎 당 2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natural enemy application against four insect pests on greenhouse sweet pepper in winter cropping system. Orius laevigatus ($3.3/m^2$) was released at two different times (Nov. 2005 & Feb. 2006) to control Frankliniella occidentalis, western flower thrips (WFT). Throughout the cropping season, the lowest level recorded of WFT was less than 2.0 individuals per yellow sticky trap. Amblyseius swirskii ($232.3/m^2$) was released four times (Nov. 2007 ~ Aug. 2008) to control Bemisia tabaci, tobacco whitefly (TWF). Until July 2008, TWF population had been suppressed lower than 6.6/trap. Phytoseiulus persimilis ($44.5/m^2$) was released seven times (Apr. 2008 ~ Aug. 2008) to control Tetranychus kanzawai, tea red spider mite (TRSM). As a result, TRSM population was suppressed lower than 1.7/1eaf. To control aphids, Aphidius colemani ($9.5/m^2$) was released seven times (Oct. 2004 ~ Jan. 2005), with the transplantation of banker plants ($5.5pot/660m^2$). As a whole, aphid's population has been successfully reduced to less than 2.0/leaf.

      • 시설고추에서 천적을 이용한 해충밀도억제 효과

        김정환,변영웅,최만영,지창우,허수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시험은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전북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 소재의 비닐하우스 고추 농가에서 2개동(660㎡/동)을 임차하여 실시하였으며, 고추의 작형은 2월 하 순에서 3월 상순에 정식하는 촉성재배 형태이다. 단위면적(㎡)당 천적 방사량은 작물생육과 해충 발생시기에 따라 진딧물 천적 으로 콜레마니진딧벌(Aphidius colemani)을 2.3마리, 총채벌레 천적으로 미끌애 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3.8마리, 가루이 및 잎응애 천적으로 지중해이리응 애(Amblyseius swirskii)를 75.8마리 방사하였다. 해충 및 천적의 밀도는 진딧물의 경우 4월 29일 잎 당 0.2마리로 최고 밀도를 보였고, 콜레마니진디벌은 5월 14일 잎 당 0.3마리까지 증가하여 진딧물을 안전하게 억제 하였다. 총채벌레(대만총채 벌레+꽃노랑총채벌레)의 경우 6월 18일 꽃 당 0.6마리로 최고 밀도를 보였고, 미 끌애꽃노린재는 7월 1일 꽃 당 1.7마리까지 증가하여 총채벌레보다 오히려 천적의 밀도가 높았다. 차응애의 경우는 8월 13일 잎 당 0.4마리로 최고 밀도를 보였고, 지 중해이리응애는 9월 10일 잎 당 1.6마리로 작기 동안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담 배가루이의 경우는 9월 10일 황색트랩 당 219.1마리로 최고 밀도를 보였고, 천적 인 지중해이리응애 밀도는 차응애 천적밀도와 같다. 담배가루이 밀도가 황색트랩 에 1주일동안 접착된 수가 많게 보이나, 실제 작물에서의 밀도는 매우 낮은 수준이 다. 지중해이리응애는 잎응애류, 가루이류, 총채벌레류 등을 포식 광식성 천적으 로 포식량은 많지 않지만 해충발생 전에 방사하여 밀도증식을 시키면 잎응애류와 가루이류의 발생 초기에 억제하는 수단으로 이용가치가 높다.

      • KCI등재

        시설재배 고추에 발생하는 4종의 주요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

        김정환,변영웅,최만영,지창우,허수영,박은미,강은진,Kim, Jeong-Hwan,Byeon, Young-Woong,Choi, Man-Young,Ji, Chang-Woo,Heo, Su-Yeong,Park, Eun-Mi,Kang, Eun-J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2

        반촉성재배 시설고추에 발생하는 4종의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를 660 $m^2$의 면적에서 조사하였다. 진딧물은 3포트의 진디벌-뱅커플랜트와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m^2$당 4월16일 0.8 마리와 4월 23일 2.3 마리를 방사하여 진딧물을 성공적으로 방제할 수 있었다. 총채벌레 방제를 위해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5월 11일과 6월 12일 $m^2$당 총 3.0 마리를 방사하여 작기 동안 총채벌레 밀도를 꽃 당 0.3 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5월 11일과 5월 30일 $m^2$당 총 113.7 마리를 방사하여 작기동안 담배가루 이 밀도를 트랩 당 171.0마리 이내, 차응애 밀도는 잎 당 0.8 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차먼지응애는 지중해이리응애 방사 12일 후에 완전방제 되었다. 4종 해충의 방제에 소요된 천적사용 비용은 660 $m^2$당 42만원이었다. The effect of natural enemies on four major pests of hot pepper was tested in greenhouses. The aphids were successfully controlled by introducing three Aphidius colemani-banker plants, and releasing 23.3 wasps per $m^2$ on April 16 and 23 wasps per $m^2$ in a greenhouse of 660 $m^2$. To control thrips, Orius laevigatus was released twice, 3.0 bugs per $m^2$ at a time(May $11^{th}$ and June $12^{th}$). The thrips population was controlled within 0.3 thrips per flower during the growing season. To control two species of mites, Tetranychus kanzawai and Polyphagotarsonemus latus, and the silverleaf whitefly, Bemisia tabaci, a total of 113.7 individuals of Amblyseius swirskii were released twice(May $11^{th}$ and $30^{th}$). The densities of B. tabaci and T. kanzawai were kept within 171.0 individuals/trap and 0.8 individual/leaf, respectively. P. latus was suppressed completely twelve days after release. The cost of the released natural enemies to control the four arthropod pests in this study was 420,000 Won per 660 $m^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