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사회 주민의 성장을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김정한,황혜자,설기문,박영태 東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6 學生硏究 Vol.24 No.-

        최근에 상담은 내담자의 문제해결이라는 소극적인 변에서 탈피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내담자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지역사회 주민들의 성장과 발달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따라서 대학의 상담기관인 학생생활연구소도 그와 같은 상담의 철학을 반영하여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적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연구자들은 제 1 차연도에 지역사회 주민들의 교육적인 요구와 성장수준을 분석한 바 있다. 이 연구는 그와같은 제 1차연구의 결과에 바탕하여 이루어진 제 2차연구로서 지역사회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성장을 위한 심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제 1차연구의 설문조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관련된 문헌연구를 통하여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제 1 차연구의 결과에 기초할 때 지역사회 주민의 성장을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하위영역의 내용은 자아성장, 자녀교육, 가족관계로 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들 세가지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하는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개발된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직접 실시하고 적용하여 그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러니까 역시 제 1 차연구의 설문조사결과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교육실시 시기와 방법을 고려하여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그 결과를 평가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개발된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이 입증될 수 있도록 하였다.구체적으로 이 연구의 내용구성은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먼저 다음의 제 Ⅱ 장에서는 이 연구에서 개발될 지역사회주민의 성장을 위한 심리교육프로그램이 어떠한 큰거에 의해서 제작되었는지 그 근거를 밝히고 제 Ⅲ 장에서는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을 세가지 하위영역 즉 자아성장, 자녀교육, 가족관계에 따라서 살펴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프로그램의 실제로서 프로그램의 진행요령 및 개발된 실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 다루며 제 V 장에서는 프로그램의 평가절차를 다루었다. 제 VI 장에서는 평가결과를 제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논의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하위영역에 따라서 구분하여 평가와 결과제시가 이루어졌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고 진행된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주민의 성장을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은 참여인원수를 50 명 내외로하여 크게 자아성장, 자녀교육, 가족관계의 세가지 하위영역에서 도움줄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주민의 성장을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은 주민들의 자아성장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한다. 구체적으로 본 심리교육 프로그램은 그들의 삶의 의미를 고양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세째, 지역사회 주민의 성장을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도움을 준다. 본 프로그램은 부모들에게 자녀교육에 대한 새로운 마음가짐을 심어주는데 구체적으로 특히 부모로 하여금 자녀에게 친밀감을 가지게 하고, 자녀의 일상생활에 관심을 기울이게 만들고 섣부른 판단으로 인한 부모의 생각을 자녀에게 강요하지않는 마음의 자세를 갖게 하고 부모의 자녀에 대한 사랑을 바르게 심어주는데 효과적이다. 네째, 지역사회 주민의 성장을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은 가족관계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즉 본 프로그램은 가족관계에의 정서적 상태에 대한 효과가 크다. 특히 가족관계의 심리적 갈등, 즉 부부싸움과 역기능적 대화에 대한 문제에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환경이 여성의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민소영(Min, So-Young),이영순(Lee, Young-So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4 비판사회정책 Vol.- No.43

        이 연구는 여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복지 증진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는 지역사회참여 행위에 지역사회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원시 여성 388명을 대상으로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인수준변수를 수집하였다. 또한 여성이 거주하는 동단위의 사회지표를 바탕으로 지역수준변수를 수집하였다. 개인수준의 변수를 통제한 뒤, 여성의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지역 환경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저소득층 비율이 동에 거주하는 여성일수록 지역사회참여가 활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고 취업하지 않으며 공동체의식이 높은 여성일수록 지역사회참여가 활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지역사회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ributing factors of influencing community participation which facilitates community welfare. A total of 388 women in Suwon city was interviewed and their individual-level data were collected by the door-to-door survey. Community-level data were collected by the social indicators of residential district of the study participants. Controlling the individual-level variables,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employ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ommunity-level variables on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women. The study found that women who live in the community with a higher percentage of the low-class population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organizations. In addition, women who are older, not employed and have a higher level of sense of community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organizations. Suggestions addressed the strategies to facilitate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women.

      • KCI등재후보

        지역친화적 사회적 기업정책에 대한 발전방안

        최무현,조창현 한국공공사회학회 2015 공공사회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와 함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원도 지역의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을 심층면접하여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여, 지역개발과 연계된 지역친화적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심층면담결과, 사회적 기업의 운영 동기는 사상 및 이념 등의 실현,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등 지원, 지역경제 활성화, 당면한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과 지역봉사, 사회적 기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의 기대 등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기업의 주요 목적은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과 사회적 목적 실현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또한 지역친화적 사회적기업을 위한 장애요인으로 사회적 기업의 조직역량 문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지원 문제,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집행 문제가 언급되었고, 이들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 방안으로 정부의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의 재구조화, 사회적 기업의 내부 조직/인적 역량의 향상, 사회적 기업의 관리 및 평가 체계의 구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조사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먼저. 지역친화적 사회적기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과도한 시장화를 특징으로 하는 관(官)주도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 정책 탈피, 재원의 지나친 정부의존으로 인한 자주성 상실의 회복, 공급측면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조정, 지역과 연계되지 않은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화 구축 등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친화적 사회적기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은 조직의 역량 강화와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생태계를 회복시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지역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역량을 결집하는 로컬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 KCI등재

        청년 주도 지역사회역량강화 전략이 그들의 사회적 관계망, 지역사회 소속감,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박정민,이휘영,최성숙,이유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2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3 No.-

        청년들에 대한 제도적 지원은 주로 취업 및 소득지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에 보다 포괄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는 청년 당사자와 지역사회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전략의 효과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기반하여 청년들의 사회적 관계망을강화하고 자발적 조직화와 지역사회 내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3년간 진행된 사업이 청년의 사회적관계, 지역사회 소속감 그리고 주관적 안녕에 미친 영향을 혼합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은 2019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총 635개의 사례를이중차분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질적 분석은 주요 프로그램 참여자와 지역사회 활동가 등총 15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기반으로 하였다. 이중차분분석의 결과는 청년의 자발적조직화와 지역사회 기반 활동 참여가 그들의 지역사회 소속감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데기여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지역사회가 거주지인 집단에서 생활권인 집단보다 더욱두드러졌다. 심층인터뷰 분석 결과,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욕구는 지역사회에서의 거주기간에 무관하게 높았다. 또한 지역사회 기반 자발적 활동 참여는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와 애착을 증가시키며, 지속적인 지역사회 참여 역량을 강화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년지원정책과 지역사회 기반 사회복지실천에 함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 리질리언스 제고를 위한 공공마케팅에 대한 탐색적 고찰과 행정학적 제언

        하현상,이석환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2

        수많은 사회·경제적 위해요인과 재난에 노출되어 살아가고 있는 현대사회는 위험사회의 전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일상생활의 가장 실질적 공간인 지역사회에서 리질리언스를 구현할 수 있을까 ? 이 연구는 공공마케팅이 지역사회의 리질리언스를 구현하는데 실질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리질리언스 이론과 공공마케팅 이론을 체계적으로 접목시키고 지역사회의 리질리언스에 대한 공공마케팅을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정립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지역사회 리질리언스의 특성, 사회-환경시스템의 하부체계, 공공마케팅의 전략수립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인구속성체계, 환경적 여건, 행정서비스, 물리적 기반시설, 공동체 역량, 경제적 자원으로 구성된 지역사회 사회-환경시스템의 하부체계에서 리질리언스의 내구성, 자원부존성, 가외성, 신속성이 공공마케팅을 통하여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지역사회 리질리언스 제고를 위한 공공마케팅과 관련된 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행정학적 제언을 하였다. 사회-환경시스템 하부체계의 구조적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연구의 필요성, 공공마케팅을 지역사회 리질리언스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민 세분화, 믹스전략의 구체화, 감성적 포지션잉에서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와 사례연구의 필요성, 지역사회 리질리언스에 대한 공공마케팅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론적 다각화와 정교한 분석을 위한 변수와 척도 개발의 필요성, 네트워크 기법과 정책확산이론 접목의 필요성 등을 언급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향후, 더욱 발전되고 다양한 지역사회 리질리언스를 위한 공공마케팅 모델과 경험적 연구들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We have been exposed to numerous hazards and disasters, and so call a modern society a risk society. How can we come true resilience in communities where have lived everyday life ?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public marketing can play a pivotal role to realize community resilience, this study tries to integrate public marketing with community resilience, and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in order to apply public marketing to community resilience. This study first of all systematically explains the attributes of community resilience, sub-system of social-environmental system, strategies and stages to build public marketing. Next, the authors explain how 4Rs(robustness, resourcefulness, redundancy, rapidity) of community resilience can be optimally organized in the demographic system, environmental conditions,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physical infrastructure, community capability, and economic resources. Lastly,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and public administrative suggestions to activate public marketing for community resilience.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s necessity of theoretical study on structural interaction of social-environmental system, necessity of empirical and case studies to resolve several limitations caused at residents’ segmentation, mix strategies, and emotional positioning for public marketing of community resilience, methodological diversification and elaborate analysis for activation of public marketing study, and necessity of integrating network and policy diffusion.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provides useful theoretical foundation to future studies and many empirical studies can be come into action in order to advance and address public marketing for community resilience.

      • 지역사회 공동체의 이해와 현황분석

        김재경 ( Jae Kyung Kim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5 사회복지경영연구 Vol.2 No.2

        우리나라는 사회복지 욕구에 비해 한정된 복지 재정이 문제시 되고 있다. 작금의 시대는 중앙집권 시대에서 지방분권 시대로 전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고 사회 각 분야에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역적 특성에 맞는 경쟁 체제를 도입하고 있다. 특히 경쟁력이 취약한지방 도시들이 자생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공동체를 구성하는 등 다각적 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관심은 지역주민의 소속감과 지역주민과의 감정적 교류를 통해 정서적 유대감을 갖는데 있다. 정서적 유대감은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게 된다. 현재 지방자치단체별로 지역특성에 맞는 지역공동체를 운영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법률적 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할 요소가 많다. 국가는 지역사회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역공동체 구성관련 법안에 관심을 갖고 지역사회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South Korea faces the issue of limited social welfare budget compared to the growing social welfare needs. Current political environment has transformed into a decentralization system from a centralized one. As such,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to advance their competitive edge in various social domains by implementing competing structure that fit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provincial cities that lack competitive edge are putting forth a multilateral effort, such as creating local communities, into gaining autogenic power. The local community is interested in increasing sense of belonging and emotional connectedness among local residents through emotional exchange. Emotional connectedness relfects the relationships within a local community and simultaneously affects the community spirit. Currently, 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to run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are many leg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The nation should pay greater attention to bills related to building local communities, and promote institutional support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through facilitating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지역사회결속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점도(Yang, Jum Do),김춘택(Kim, Choon Taik),김녹현(Kim, Nok Hy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1

        이 글의 목적은 경북지역 다문화가족 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결속력을 파악하여 지역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경북지역 다문화 가족내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적 특성은 어떠한가 2. 그들의 지역사회결속력은 어떠한가 3. 그들의 지역사회결속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책적 함의는 무엇인가. 이 글에서 자료수집방법은 질문지를 통한 자기기입법을 활용했으며 자료분석은 spss를 통한 빈도, 차이, 상관, 회귀분석을 사용했다. 인구사회변인으로 인구수에 있어서 출신국가는 베트남이 63.7%로 가장 많았고, 중국 18.9%, 캄보디아 10.9%, 기타 4.0%, 필리핀 2.5%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결속력은 3.25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념지향에서는 동성중심자유민주주의가 55%로 가장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각 변인과 지역사회결속력의 회귀분석에서 지역사회결속력과 관련이 있는 것은 연령과 생활만족도였다. 연구의 결과 나타난 사회과학적 함의는 20대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여 생활만족을 향상하여 지역사회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the basis to solve community welfare problems by recognizing the community solidarity of marriage immigration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Kyungbuk Area. Kyungbuk Area has a high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homogeneity. Multiculturalfamily has many difficulties because of cultural heterogeneity. The ques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s. 1. What is the demo-social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tion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Kyungbuk? 2. What is the community solidarity of marriage immigration women in mullticulturalfamily in Kyungbuk? 3. What are the facters affecting the community solidarity of marriage immigration women in mullticultural family in Kyungbuk and what is the implication of welfare policy? In this paper, we collected the data by self writing through questionnaires and used frequency, Anova, correlation, regression method with sps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community solidarity in Kyungbuk are as follows. In the demo-socio factors, the number of Vietnamese is 63.7%, the number of Cambodian is 10.9%, the number of Chinese is 18.9%, the number of etc is 4.0%, Philippine is 2.5%, The score of community solidarity is 3.25 above average. The regression result of the factors and solidarity is as follows. The factors affecting the solidarity is age and life satisfaction. The agency to solve community welfare problems should recognize the factors affecting community solidarity of multicultural family in Kyungbuk Area.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result is that we should find the method which can increase community solidarity of marriage immigration women of twenties" through life satisfaction. to solve cultural difference.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연하장애 인식과 중재 필요성

        민경철,김은희,우희순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2 재활치료과학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연하재활 인식도, 교육 및 치료 경험과 현황을 설문을 통해 확인하여 지역사회 연하재활 중재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경기도 내 일개 보건소에 내소하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게 지역사회 연하장애 인식, 교육, 치료에 관한 직접 설문을 진행한 후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89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사회 노인들의 연하장애에 대한 인식도 및 교육, 치료 경험은 높지 않았으나, 중요성 및 참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하는 교육 주제로는 구강 건강 및 관리, 씹기 및 삼킴, 구강운동법으로 다양하였으며, 추후 보건소에 연하재활 프로그램이 생기면 참여한다고 응답하였다. 연하재활 교육 및 치료 참여가 어려운 이유는 정보 및 기회 부족을 꼽았다. 대부분의 연하장애 증상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연하재활은 일생에 걸친 주요 일상 활동인 먹기 및 삼킴 기능을 유지시키고 삶의 질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재활의 주요 영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연하재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사회 노인을 포함한 지역사회 대상자들에게 연하재활에 관련된 정확한 인식 제공과 체계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더불어 지역사회 노인들의 연하장애 증상 조기 발견과 중재 제공을 통해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community-based dysphagia therapy and related educa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 A total of 89 older adults were recruited from a public health center in Gyeonggi–do. Awareness, experience, and related education regarding community-based dysphagia therapy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 We analyzed 89 questionnaires. Awareness, treatment experience, and education regarding dysphagia were low; however, the importance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were high. Respondents wanted education about proper chewing and safe swallowing, oral health, oral motor exercise,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based dysphagia programs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reason for the lack of experience in dysphagia education and therapy is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The respondent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dysphagia symptoms. Conclusion : Dysphagia therapy maintains swallowing and eating functions as a life-long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is a very important area in community rehabili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mmunity-based dysphagia were identified. It is time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and develop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for community-based dysphagia therapy.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play an active rol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by early detection and providing proper intervention.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조직에서 사회복지사의 관계규범이 신뢰, 관계결속, 관계자산,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광호(Lee, Gwang-Ho),김정희(Kim, Jung-Hee)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 경영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조직의 지속적인 복지실천 의도가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관점에서, 이들간의 교환관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관계규범 요인을 도출한다. 또한 이들 간의 효과적인 관계강화 방안 도출을 위한 신뢰, 관계결속, 관계자산의 역할을 규명하며, 이들 요인들이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조직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조직성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경로모형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복지네트워크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조직 관리담당자인 사회복지사의 관계규범과 지각된 신뢰와의 관계에서, 유연성, 단결성의 관계규범요인들이 지각된 신뢰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조직의 관계결속은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조직의 관계자산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조직 간의 관계결속은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조직 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조직의 관계자산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환관계에 있는 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조직은 서로 상대방에 대한 이타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상호 균형적인 관계를 통해 지역복지의 지속성을 창출하고 이것의 조직성과 향상을 위한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ried to finding out that analyzing the main cause of relations between social workers and network organizations of community welfare to influence on improvement and coordination for rational management of network organization of community welfare.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was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social worker's factors of relationship norm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worker's trust. Second, it showed that the relational bond between the social workers and network organization of community welfare have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al assets of the network organization of community welfare each other. Third, it represented that the relational bond between the social workers and network organization of community welfare has a positive effect on outcomes of the latter. Forth, it is said that the relationship assets of the network organization of welfare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fth, it appeared the relationship norm the social workers recognize importantly would be the perlocutionary role by the social worker's faith recognized. Those results suggest that it need to research actively about the multidimensionally route relation like social, psychological, financial and so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workers and network organization of community welfare.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문제점에 관한 구조화분석

        박정미(Park, Jung-Mi),박성현(Park, Sung-Hyun),유동철(Yu, Dong-Chu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1

        본 연구는 구조모델(structural model)방법론의 하나인 DEMATEL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복지 현장에 존재하는 복잡한 문제(과제)의 전체 구조를 파악함으로, 문제발생의 메커니즘과 본질을 추적하기 위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지역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복지와 관련된 문제는 어떠한 것들이 존재하고 있는가? 둘째, 지역사회복지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어떠한 의식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계획수립, 예산배분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직공무원과 현장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 시민의 입장에서 비판하고 감시하는 시민운동가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관하여 어떠한 인식구조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지역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로 설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제1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이 수립된 해인 2005년부터 현재까지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의 주된 문제구조는 ‘복지예산 편성이 절차적으로 합리적이지 못함’, ‘구의 외곽지역이 빈민지역의 형태로 격리되고 있음’,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함’, ‘구의 장래 인구구조에 맞는 복지서비스 대응체계가 부족함’이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지역 내 사회적 자원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의 형태로 나타났다. 직종별 결과를 보면 사회복지직공무원은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함’ 사회복지사는 ‘구의 장래 인구 구조에 맞는 복지서비스 대응체계가 부족함’와 "지역내 사회적 자원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으로, 시민운동가는 ‘단기간의 욕구조사로 인해 다양한 복지수요 파악의 한계가 있음’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및 개별 프로그램 수립의 틀(framework)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chanism and essence of problems by understanding the whole structure of the complicated problems that exist in the social welfare field with DEMATEL method, one of structural models. This paper consists of (1) What kind of social welfare problems exist in the community that is related to welfare? (2) What kind of thoughts do people who work in social welfare field have related to these problem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ructure of thoughts among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who take charge of planning and dividing budgets for community welfare, social workers who provide services personally and civic activists who criticize and keep watch on behalf of civilia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in Busan Busanjingu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year of 2005 when community welfare plan was first established up to now. The major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mmunity welfare of the Pusan Jin-gu, Korea, are: 1) welfare budget allocation procedure is not logical, 2) the outskirts of the Pusan Jin-gu are isolated as poor areas, 3) geographic imbalance is severe among communities, and 4) the social welfare response system to support future population structure needs to be more developed. All of these problems are the fundamental origin to the social resource disparity within communities. The major problem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n Pusan Jin-gu, Korea were recognized by different perspective in terms of professional career such as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social workers, and civic activists. Majority of the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thought “severe geographic imbalance”; majority of the social workers believed “lack of the social welfare response system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in the future” and “disparity in social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ies”; and majority of the civic activists said “limitation for understanding various social welfare needs because of short term need assessments” as main issue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t seems that this paper is able to be used as a framework to establish community welfare plans and individual programs in Busan Busanjing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