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오버투어리즘 지역 주민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 형성 요인 연구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대상으로-

        김송이,강영은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7

        수용력을 넘어서는 수준의 관광객이 지역을 방문하고 이로 인해 지역주민의 생활 불편을 초래하는 오버투어리즘과, 오버투어리즘을 겪는 지역 주민의 반(反)관광객 태도는 관광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버투어리즘 지역 주민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해당 마을 주민 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주민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주요 요인은 관광개발사업 참여 정도, 마을에 대한 애착 정도, 관광개발사업의 긍정적 사회문화경제환경 영향에 대한 인지, 관광개발사업의 부정적 경제 영향에 대한 인지 등 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광개발사업 도입 이전부터 지역에 거주해오던 지역주민들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에는 관광개발사업 참여 정도와 긍정적 사회문화경제환경영향 인지 정도가 큰 영향을 미쳤으며, 관광개발사업 도입 이후부터 지역에 거주해오던 지역주민들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에는 마을에 대한 애착 정도와 부정적 경제영향 인지 정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버투어리즘 지역을 관리함에 있어 지역주민 참여가 중요하며, 반관광객 태도 개선에 있어 오랜 기간 거주한 주민들에 대해서는 사회문화경제 여건 개선에 주안점을 두되, 새로 이주한 주민들의 경제적 손실을 고려하는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 경기도 관광진흥을 위한 추진체계 구축방안

        이수진,김흥식,조성호 경기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2010 No.4

        다양한 관광 추진주체들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기도 관광산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발전ㆍ진흥시키기 위해서는 관광주체 공공부문(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 간의 명확한 역할분담과 유기적인 업무 추진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관광 추진체계의 현황 및 사례분석과 6인의 외부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경기도의 지역관광행정조직의 문제점들을 도출한 후 경기관광공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관광파트너십에 대한 국내ㆍ외 성공사례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경기도 지역관광진흥협의체 구성 및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경기도 지역관광 추진체계의 문제점 중 첫째는 지역관광행정기관(RTA)인 경기도 문화관광국과 지역관광기구(RTO)인 경기관광공사의 업무중복이다. 현재 해외사업과 관련한 업무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분야에서 경기관광공사와 경기도 관광진흥과의 업무가 중복되어 있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문제점은 경기도 내 다양한 관광 추진주체 간의 연계성 및 의사소통의 부족이다. 경기도의 RTA, RTO, LTA 들은 제각각 그들의 사업을 개별적으로 추진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지역관광행정기관(RTA)의 인력부족이다. 경기도는 1청과 2청 이원체제일 때 총 26명(2009년 말)이었으나, 일원화된 현재에는 17명으로 감소하였다. 경기도와 비교했을 때 관광관련 예산이나 지역면적이 협소한 서울(236명), 인천(28명), 부산(27명)에 비해 적은 인력으로 관광업무를 소화하고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도와 경기관광공사 간 업무중복이 경기도가 풀어야 할 문제점 중 하나로 지적되었다. 이에 타 지역관광기구(RTO의) 사례분석을 통해 경기관광공사는 관광진흥전략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으로는 해외마케팅 강화, 수준 높은 체험관광상품 개발, 지역여건의 적극적 활용, 경기관광공사 내 MICE 조직의 구성이다. 경기도 관광 추진주체 간 연계성 및 의사소통의 부족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특히 도와 시ㆍ군 간 또는 시ㆍ군 상호 간에 긴밀한 유대관계가 형성되어있지 않아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그로 인하여 관광상품의 중복 개발, 관광상품 차별화 및 연계상품 개발 부진 등이 발생하여 경기도의 외래 관광객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경기도 지역관광행정조직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광진흥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경기도 지역관광진흥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 경기도 지역관광진흥협의체 구성을 하기 위한 기본전제로는 파트너십개념의 명확화, 참여주체 간의 관계 정의, 참여주체의 역할 명확화, 경기도 정책추진 환경 고려 등을 들 수 있다. 지역관광진흥협의체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성하여 부문 간 가교역할을 담당하며 수평적 결합을 통한 파트너십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러한 협의체 추진을 위한 1단계로는 이해관계자 간 협력구조를 파악하고 협의체 구성준비단을 조직하는 것이다. 2단계로는 운영조례제정 등을 통한 제도적 기반 구축을 하여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인 3단계에서는 지역관광진흥협의체 정착 및 모니터링 실시로 협의체가 유명무실해지지 않도록 관리ㆍ감독하는 것이다. 지역관광발전을 위한 파트너십 조직체로서 경기도 지역관광 진흥협의체의 조기정착을 위해서는 조례제정 등 경기도 차원의 제도적 지원방안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관광자원은 하나의 점(點)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유사관광자원과 선(線)으로 연결하고 면(面)으로 파악하여 함께 발전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경기도 지역에만 극한하지 말고 경기도의 인접 시ㆍ군(기초자치단체) 또는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과 함께 광역적 차원의 통합협의체에 대한 논의를 병행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 지역개발과 관광정책에 관한 연구 - 아베정부의 관광정책과 ‘노 재팬’ 운동을 중심으로 -

        전소라(Jeon, So Ra),정봉현(Jeong, Bong Hy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9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활성화에 기여하는 ‘관광정책의 분석’으로, 일본의 경험과 대응을 통해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 관광이 지역개발에서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방향을 점검하는데 있다. ‘관광입국’에 기조를 둔 아베정부의 관광정책은, 지역으로 인바운드 관광객을 유치해 지역활성화를 도모하는 ‘아베노믹스 전략’의 일환이다. 아베정부의 적극적인 의지와 지원에 힘입어 방일관광객은 비약적으로 증가했고, 국가관광경쟁력 순위에서 4위(2019년 기준)를 달성했다. 그러나 일본은 ‘노 재팬(일본상품 불매)’ 운동이라는 위협요인으로 인해 한순간 위기에 직면했다. 지역개발의 맥락에서 일본의 사례는, 관광은 하나의 정책적 수단이며,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지역에 기회가 될 수도, 또는 위협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해, 첫째, 관광정책이 외부변수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전략을 국가 단위가 아닌 지역 중심으로 전환해야 하며, 거시적이고 통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위협으로부터 관광산업의 대응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정책목표를 양적수치가 아닌 지역관광의 수준(질), 만족도, 재방문율에 둬야한다. 셋째, 접근성은 지역이 관광목적지로서 선택되는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역의 관광진흥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등을 제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인 관광객은 일본의 지역관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이며, 기본시장을 잃고 대안시장을 모색하는 것은 아베정부의 개발목표에 타격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는 위협요인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논의와 차이가 있으며, 개별사례의 분석은 해당지역의 전략을 구성하거나 이를 참고하여 노하우를 구축하는데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가 지역축제에 미치는 영향

        유목화(You, Mok-Hwa)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이 글은 중앙정부의 축제 지원 정책 가운데 ‘문화관광축제’의 선정과 평가에 대해 주목하여 지역사회의 맥락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실천되는가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남원 춘향제의 사례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나아가 문화관광축제 선정을 위해 제시된 축제 모델이 지역사회에 어떠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지를 포착하여 그것이 지닌 문화적 함의에 대해서도 탐색해 보고자 했다. 오늘날 현대사회의 지역 축제는 관광을 빼놓고는 설명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지자체의 실시와 함께 최근에 새롭게 개최된 축제이든 오랜 역사를 지닌 축제이든 지역 문화를 ‘관광’과 접목시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는 현상은,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축제 관련 정책과 연동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필자가 주목하고 있는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는,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축제 양성을 목적으로 1995년부터 시작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99년부터는 본격적으로 평가체계 기준을 마련하여 각 지역에서 개최되고 있는 지역축제를 선별하여 차등지원하기 시작했고, 예산과 함께 국내외 홍보를 지원해주고 있다. 1999년 만들어진 평가체계 기준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오며 선정되고 있으며, 평가체계를 통해 정부가 의도하는 이상적인 축제의 모델을 한국사회에 제시해 왔다. 정부 주도의 축제정책은 지역사회와 축제에 크고 작은 영향을 주게 되며, 중앙 정부에서 제시하는 축제의 모델에 부응하기 위해 축제 기획 및 운영 등에 변화를 시도한다. 하지만 중앙 정부에서 제시하는 축제틀에 입각하여 일방적으로 변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지역사회의 맥락에서 선택적 수용 및 조정 등과 같은 상호작용의 과정을 거치며 실천되고 있다. 그간 정책입안자 및 학계에서는 문화관광축제 성과나 평가시스템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해 주로 논의되었지만, 그것이 지역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필자는 지역사회의 맥락에서 문화관광축제 선정 및 평가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고자 했다. This writing considered empirical examination on how “culture tourism festivals” are accepted and practiced in community context by taking notice of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festivals among festival support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e case of Namwon Chunhyang Festival. Furthermore, by seizing what sensation the festival models which were suggested for the selection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cause to communities, the cultural meaning was tried to search for. At present, there is a part not to explain local festivals of modern society without tourism.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regardless of whether festivals are held newly lately or had old history, a phenomenon to promote local activation by grafting local cultures onto “tourism” is not too much to say that it is connected with policies relevant to festival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the selection system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which I pay attention to was started from 1995 and has been up to the present time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our festivals representing Korea. From 1999, by preparing the assessment system standards in earnest and selecting local festivals held in each region, they began to be supported differentially. With budgets, the PR is supported domestically and abroad. The assessment system criteria which were made in 1999 have been updated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Through the evaluation system, models of ideal festivals that the government intended have been proposed to Korean society. Festival policy led by the government has great or small influence on communities and festivals. To cope with the festival models sugges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changes are tried i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the festivals. But, they are not changed unilaterally on the basis of festival frames sugges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n the contrary, the planning and operation are practiced passing through the course of correlation like selective acceptance and adjustment in the context of local societies. Meantime, among policy makers and in the academic circles, performances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problems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solution measures were discussed mostly. It is a situation that studies to examine what influence they have on local areas specifically are difficult to find. Therefore, I intended to take extra care on the effect that the selection and assessment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have on communities in the context of local societies.

      • KCI등재

        제주도 초등학생의 관광에 대한 인식과 지역사회 만족도가 방문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세진 ( Se Jin Seo ),서용건 ( Yong Kun Suh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50

        초등학생 대상 관광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연구는 미래 관광 산업의 주역이라는 중요성에 비해 국내.외로 극히 소수의 연구가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초등학생들이 현재 속한 지역 사회의 관광 영향에 대한 인식과 지역사회 만족도, 지역 관광객에 대한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그들이 지역의 중추적 구성원으로 성장해 나갈 미래의 제주도 관광 산업과 관광교육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 기존 성인대상 연구에서 도출되었던 경제적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 환경적 영향이라는 관광의 영향력이 사회.경제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이라는 두 가지 요인으로 축소되어 인식됨이 밝혀졌다. 지역 방문 관광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역 사회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 경제적 영향, 환경적 영향에 대한 인식, 그리고 미래 관광에 대한 기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 관광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사회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고려되어져야 하며 지역 관광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에 대한 교육 및 지역 구성원들의 지역 관광에 대한 중요성과 관련된 공감대 형성을 통해 다음 세대로 자연스러운 가치 전달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mpacts on the tourism and community satisfaction as well as their attitudes toward local tourists in Jeju Islan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parts of Jeju Island. One was conducted in Hallim, a rural community of Jeju city and the other was carried out in Jeju-si, the major city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research has confirmed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did not distinguish such economic impacts or the social. However, they clearly perceived the environmental impacts from tourism. The rural young residents’ highly regarded the economic benefits and the expectations of local tourism than the same age group young residents in the Jeju-si area. The attitudes towards local tourists were influenced by the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s, community satisfaction, and their expectations of local tourism.

      • KCI등재

        지역공동체 중심 낙후지역 개발의 필요성과 수행 가능성: 관광객의 지역관광지 개발에 대한 기대 및 지역관광콘텐츠 개발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김세현(Kim, Sehyun),김옥희(Kim, Ok-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논문은 지역공동체 중심의 낙후지역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윤리적 쟁점을 살펴보기위한 탐색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지역공동체 중심의 지역개발 방법들 중에서 본 연구에서살펴본 지역관광콘텐츠 개발은 지역공동체 중심의 지역개발 방안 도출을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공동체 중심의 관광개발 과정에서의 사회갈등적 쟁점을 살펴보고 실제 낙후지역 관광지 방문경험 여부와 낙후지역 관광지 개발에 대한 기대, 그리고 낙후지역 관광콘텐츠개발에 대한 태도 간 관계를 고찰했다. 분석결과 낙후지역 관광지 방문경험이라는 개인적 체험이낙후지역 관광지 개발에 대한 기대로 이어져 낙후지역 관광콘텐츠 개발에 대한 태도로 발전되는과정이 경험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관광자원을 활용한 지역공동체 중심 낙후지역 개발의 필요성을 추론할 수 있는 탐색적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낙후지역 내 다양한 관광자원이 해당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들에게 관광매력물로서 충분히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낙후지역으로의 일방적인 외부 자본 유입에서 벗어나지역공동체 중심의 낙후지역 개발을 통해 지역주민에로의 자본 재분배에서 발생하는 사회갈등문제를 고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This study explored ethical issues in local community-centered development in underdeveloped areas and identified implications for local community-centered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content. I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respondents’ experiences, expectations, and attitudes regarding local tourism development when visiting tourist sites in underdeveloped areas, focusing on social conflict in local community-centered tourism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experiences affected their expectations regarding tourist site development, in turn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 local tourism content development. This study is thus meaningful as an exploratory study,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community-centered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resources. The study also found that tourism resources in underdeveloped areas are acting enough as tourist attractions and suggests that local community-centered development can help resolve social conflict that may occur in the capital redistribution for local residents, rather than focusing on a unilateral external capital inflow.

      • KCI등재

        연구논문 : 정주형 생활유산에서의 지역주민 공정성 -지역주민과 관광객간 상호 인식을 중심으로-

        황희정 ( Hee Jeong Hwang ),윤현호 ( Hyun Ho Yoo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정주형 생활유산에서의 지역주민과 관광객간 상호 인식을 중심으로 공정성 문제를 분석하였다. 마을관광에서의 공정성 문제는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관계를 동등한 관계로 인식하고 마을에서 발생하는 편익을 공정한 과정과 절차로 분배하는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주형 생활유산인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지역주민과 관광객간 상호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비교하여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입장에서 지역주민 공정성 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진술내용에서 관광활동 과정에서의 공정성, 관광편익 분배의 공정성 모두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었으며 양동마을 관광이 지니고 있는 지역주민 공정성에 대하여서도 대부분의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불공정``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주민 공정성 제고를 위하여서는 각 마을이 지니고 있는 지역주민의 욕구에 대한 이해, 지역 및 지역주민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접근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지역에 대한 경제적 혜택 부여를 강조하고, 관광객의 ``책임``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지역주민 공정성 문제가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주민 공정성 제고를 위하여서는 각 마을이 지니고 있는 지역주민의 욕구에 대한 이해, 지역 및 지역주민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주민을 이해주체로서 인식하고 동등한 거래주체로서 지역주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념적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역주민 공정성에 대하여 양동마을이라는 정주형 생활유산에 적용하여 경험적으로 접근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정`` 개념을 국내 정주형 생활유산을 포함한 마을단위 관광에 적용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irness issue in the living heritage, the Yangdong village,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the local residents on tourists and the perspective of tourists on the residents. In studying the fairness issue, in an area of the village tourism, it is important for the researchers to be equipped with a fair view on residents and tourists. Also, it is necessary for them to have a viewpoint that the conveniences arising from the village tourism should be equally distributed and shared by residents and tourists. In this sense, this study analyzes the perspectives of residents on tourists and the perspectives of tourists on residents in Yangdong village. Likewise, the research compares the residents` views with the tourists` views so as to scrutinize the fairness issue based on the different perspectives. According to the statements of the residents and the tourists in Yangdong village, they perceive the tour activities and the distribution of conveniences as unfair. The result reflects the fact that the prevailing living heritage tourism does not fully consider residents` needs,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rather, it has built the notion of fairness by emphasizing the financial benefits from the industry and by imposing a great responsibility on tourists.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new approach, taking into account the residents` needs, desires,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embrac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recognize the residents as participants who will share not only the awareness of the living heritage but the fair trade. This study takes an empirical approach by mainly dealing with ``the Yangdong village`` where the living heritage has been established. At this poin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others that only incorporate conceptual and theoretical discussions. In addition, this study is likely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tourism because it applies the concept of the ``fairness`` into the village tourism including the living heritage.

      • KCI등재

        인천지역 다방의 정치문화사 연구를 통한 해양관광콘텐츠화 방안

        김은희,김용완,이웅규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3

        최근 지방자치단체마다 관광을 지역경제 활성화나 지역홍보 등의 만병통치약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특정 지역의 관광이 그 본래의 기능이나 역할을 하기 보다는 시대의 흐름이나 지역 지도자에 의해 이용되면서 파편화된 형태의 관광개발, 알맹이가 없거나 베끼기 식의 재탕 지역문화축제가 난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타 지역과 차별화되고 특색 있는 관광콘텐츠나 관광자원으로 관광스토리텔링화 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나라 최초·최고의 관광콘텐츠를 지니고 있는 인천지역의 관광자원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에 본 연구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커피라는 소재를 발굴하여 인천의 해양관광콘텐츠로 발굴하고자 한다. 인천지역에 파편적으로 떠돌고 있는 인천의 커피 관련 스토리(story)의 구체적인 모습들을 관광스토리텔링으로 잘 엮어준다면 개항장, 자장면과 차이나타운, 광신제면과 쫄면, 인천의 성냥공장 조선인촌회사, 영국 군함 플라잉스호에 의해 소개된 축구, 서구식 호텔 대불호텔, 서구식 공원 자유공원, 내리교회, 천일제염을 제조한 주안염전 등으로 정의되는 인천관광의 핵심 해양관광콘텐츠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인천지역의 커피와 관련된 다양한 목소리와 그 문화의 기록을 꾸준히 모은다면 이는 인천이라는 지역이 가진 개항장의 한계 또는 해양도시로서의 문화적 특성을 부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최근 감성 위주의 소비문화를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커피문화의 유입경로였던 인천항과 커피믹스의 신화를 창조한 동서식품의 설립과 관련된 인천지역의 다방의 정치문화사를 분석함으로서 인천관광의 발전 방안 또는 더 큰 흐름을 만들어낼 가능성을 논의해 볼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성위주의 소비문화를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니라 커피산업과 관광스토리텔링의 연관성을 통해 커피 관련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관광객이 가장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인천지역의 다양한 커피문화를 해양관광콘텐츠로 발굴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근 커피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카페문화가 우리 사회의 하나의 상징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기회로 삼아 커피와 관련된 역사적·정치적·사회적 의미를 지닌 사건이나 공간이 타 지역에 비해 많이 있는 인천의 다방을 중심으로 문헌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천의 정치문화적 추억을 지킨 다방의 문화적 가치의 다양성에 대한 관광콘텐츠화, 도심관광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역사나 이야기 거리가 풍부한 다방의 관광콘텐츠화, 노동·사회운동단체의 매개 장소로 사용되던 민주화 운동의 성지로서의 관광콘텐츠화, 모던다방, DJ음악다방, 믹스커피다방 재현을 통한 ‘추억과 낭만의 인천’ 관광콘텐츠화 등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인천지역의 다방이 지닌 정치·경제적인 요인들이 인천지역의 해양관광의 매력요인을 증대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인천관광브랜드 이미지의 확립과 지속가능한 인천관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each local government is using tourism as a panacea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or promoting local communities.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tourism storytelling with tourism contents or tourism resource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and are unique. Therefore, in view of the necessity to actively utilize the tourism resources of the Incheon region, which has the first and best tourism contents in Korea,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material of coffee, which is recently in the spotlight, and as a marine tourism contents of Incheon. To this end, if we consistently collect various voices related to coffee in the Incheon region and records of its culture,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the Incheon region's open ports or cultural characteristics as a marine city. Therefore, the development plan of Incheon tourism by analyzing the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coffee shops in the Incheon area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Port, which was the influx of Korean coffee culture, which was the influx of Korean coffee culture, and Dongseo Foods that created the myth of coffee mix. Or, it may be time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larger flow.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utilize the coffee-related storytelling techniqu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Urinira coffee industry, which is developing based on the emotion-oriented consumption culture, and tourism storytelling.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is the most necessary time to discover various coffee cultures in Incheon that tourists can experience most directly as marine tourism contents. To this end, this study takes the fact that the recent rapid growth of the coffee industry and the fact that cafe culture is developing as a symbol of our society as an opportunity,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many cafes in Incheon.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create a tourism content for the diversity of cultural values ​​of a tea room that preserved the political and cultural memories of Incheon, to make a tea room tourism content rich in local history and storytelling to revitalize urban tourism, and a mediating place for labor and social movement groups It has been proposed as a tourism content as a sacred place fo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 modern tea room, a DJ music tea room, and a mixed coffee tea room to make'memory and romantic Incheon' tourism contents. This will be a major factor in increasing the attractive factors of Incheon marine tourism due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of the tea houses in the Incheon region. In the end, these factor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tourism brand image and sustainable tourism in Incheon.

      • KCI등재

        울릉도와 독도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이웅규,홍인기,김보성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3

        본 연구는 음식관광이 농어촌 지역의 고령자나 여성에게 새로운 취업 기회를 스스로 창출하게 하는 사업과 활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식과 관광이 융합된 창의관광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울릉도·독도 지역의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관광을 활성화 하여 지역경제 및 주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식이 최근 국가 브랜드 및 이미지를 형성하는 핵심적인 문화관광콘텐츠로서 음식관광자원을 중심으로 관광객에게 문화관광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문화 매개체의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지역에 기여한다는 차원에서 울릉도·독도 지역의 식재료를 활용하는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향토음식은 지역성을 기반으로 장소를 상품화하고 지역의 농수특산물을 활용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들의 지역에 대한 정체성․소속감․자긍심 등을 확립시켜 주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는 점을 적극 고려하였다. 이에 따라 울릉도·독도 지역의 식재료를 활용한 향토음식을 상품화하여 산업화하는 것은 울릉도·독도 지역의 농수산물 소비촉진과 고용창출에 기여함과 동시에 연관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크고 사라져 가는 음식문화 유산을 복원하고 보존하는데도 기여한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료수집 방법으로 기존 선행연구들이 분석한 을릉도와 독도 관련 실증분석 결과, 각종 문서와 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 울릉도와 독도관련 정책보고서, 정기간행물, 단행본, 통계자료, 신문기사 등을 참고하여 탐색적으로 문헌고찰하였다. 미래 울릉도와 독도관광 활성화 및 실효적 지배를 공고히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음식관광 활성화 관련 과제 해결에 기여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의 영토인 울릉도와 독도지역의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데 집중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that food tourism could enable businesses and activities to create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and women in rural areas. Considering the fact that food tourism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it aims to revitalize this epicurean genre of tourism using ingredients from Ulleungdo and Dokdo. This aimed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t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fact that food has recently become a core aspect of cultural tourism that form a national brand and image. This study focused on providing tourists with cultural tourism experiences centering on the food tourism resources of Ulleungdo and Dokdo.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egion by serving as a cultural medium,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way to revitalize food tourism that uses ingredients from the Ulleungdo and Dokdo regions. In particular, local food was considered to commercialize places based on locality and to utilize local marine and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is, it actively utilizes the local economies of Ulleungdo and Dokdo, establishes the identity, belonging, and pride of the residents, and is an effective means to promote emotional stability. The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local foods using Ulleungdo and Dokdo will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Ulleungdo and Dokdo's agricultural and fisheries’ consumption and the creation of further employment.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food culture heritage, which has large effects on related industr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various documents and data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Ulleungdo and Dokdo, which were analyzed by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the literature was explored with reference to policy reports related to Ulleungdo and Dokdo, periodicals, books, statistical data, and newspaper articl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promotion of the local economy as well as provide a plan to strengthen the future Ulleungdo’s and Dokdo’s touris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ontributing to solving the challenges related to the further generation of food tourism. Considering the above, this study focused on in-depth analysis on the ways to activate food tourism using ingredients from Korea's outlying territories of Ulleungdo and Dok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