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치사슬 내부 및 외부의 지식원천이 급진적 혁신 및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

        김건식(KonShik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중소 제조기업에서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 지식원천들이 급진적 혁신 및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원천들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지식원천이 연구개발투자와 상호작용하여 급진적 혁신 및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술혁신조사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3,218개의 종단패널데이터를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 제조기업에서 가치사슬 외부의 지식 원천을 많이 활용할수록 급진적인 혁신성과가 증가하며, 가치사슬 내부의 지식 원천에 관한 채널이 많을수록 점진적인 혁신성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의 지식 원천은 혁신성과와 역 U자형 관계가 있음을 실증하였다. 이는 가치사슬 외부의 지식 원천과 혁신성과 간에 수확체감(diminishing returns)의 기제가 작용함을 의미한다. 셋째, 가치사슬 외부의 지식 원천과 내부의 지식원천 간에는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가 존재하여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 지식 채널이 많아지면 지식원천-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선형적인 기제(linear mechanism)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넷째,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의 지식원천은 모두 연구개발투자와 급진적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시너지를 창출하여 지식원천의 채널을 많이 활용할수록 혁신성과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external knowledge sources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Using 3,218 firm-year panel data in South Korea, this study found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external knowledge channels out of the value chain increases radical innovation. Meanwhile, increasing the number of external knowledge channels within the value chain increases the incremental innovation. Further, the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both out of and in the value chain had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s on radical and incremental innovation respectively. This finding implies that a mechanism of diminishing returns work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and innovation.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synergistic effects between the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out of the value chain and within the value chain, and confirmed that the synergistic effects strengthen the linear mechanism between the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and innovation.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sources of knowledge both out of and within the value chain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D investment and radical innovation of SMEs.

      • KCI등재

        지식공유와 일몰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우택규,김문중,권기환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4

        With increasing competition among industries and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nies need to make various efforts to sustain. While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nhance corporate effectiveness, examinations into individuals’ innovative behavior,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focusing o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nnov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knowledge sharing within corporations, and the necessity of organizational support for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work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way of self-reporting through 538 surveys conducted on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and public organization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knowledge sharing had positive effects on work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but there was nothing to support the effects of formal knowledge sharing, a sub-factor of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with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value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it was found that work engagement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but had no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high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is confirmed that knowledge sharing between organization members i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growth and prosperity of organizations, and that knowledge sharing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the innovative behavior of members. In addit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are important factors for strengthening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among members. Therefore, the role of managers and leader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and to improve competitiveness is to focus more on organizational support. 점차 심화하고 있는 산업 간 경쟁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기업은 존속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동안 많은 선행연구에서 기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구성원 개인 차원의 혁신행동, 몰입, 지식공유의 규명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와 혁신, 기업 내 지식공유에 대한 중요성과 효과성, 구성원에 대한 조직지원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조직경쟁력의 향상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공유, 일몰입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 지식공유와 혁신행동 사이에서 일몰입의 매개효과, 그리고 지식공유와 혁신행동 사이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업 및 공공조직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한 자기 보고방식으로 538부의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지식공유는 일몰입 및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지식공유의 하위요인인 형식적 지식공유는 일몰입 간의 관계에서 표준화 계수 값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지지 되지 않았다. 둘째, 지식공유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일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암묵적 지식공유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일몰입은 매개역활을 하였으나, 형식적 지식공유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일몰입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지식공유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높은 조직지원인식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조직의 지속적인 성장과 번영을 위해 조직구성원들 간의 지식공유가 필요하며,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지식공유가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확인시켜주었다. 끝으로 지식공유 및 혁신행동 강화를 위해서는 조직의 구성원에 대한 인정과 배려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조직운영의 효과성 제고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경영자는 조직지원을 강화하여야 함을 주지시켜주고 있다.

      • KCI우수등재

        공무원들의 성공적 지식이전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김구 ( Kim Gu ) 한국행정학회 2004 韓國行政學報 Vol.38 No.1

        본 연구는 지식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는 행정기관 공무원들의 지식이전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지식채택자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지식관리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분석모형은 지식관리논자들이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제시한 변수들을 검토하여 구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독립변수로써 지식수용자 특성, 조직특성, 지식관리시스템 품질 그리고 지식특성 등을 설정하고 지식채택 동기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지식이전 성공과 지식채택 동기간의 조절변수로써 상호신뢰 관계를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여러 독립변수 중 지식흡수능력과 자기유능감이 지식채택 동기를 갖게 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상호신뢰 관계는 지식채택 동기와 지식이전 성공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고 지식채택 동기 역시 지식이전 성공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adopter,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ful knowledge transfer in administrative agencies where Knowledge Management System(KMS) has been built and used. For that purpose this paper constructs a conceptual model where independent variables are capability of knowledge recipients, organizational features(culture, compensation structure, and leadership), the quality of KMS, and knowledge property, a mediating variable is motivation to adopt knowledge, and a dependent variables is the degree of successful knowledge transfer. The model also includes a moderating variable, reciprocal trust of members, that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ting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capability to absorb the knowledge and self-efficacy of the public officials are significant factors determining the motivation to adopt knowledge, which then make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uccess of knowledge transfer. At the same time, the reciprocal trust among the members affects both the motivation to adopt knowledge and the success of knowledge transfer.

      • KCI등재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각된 피드백을 중심으로

        김승운 ( Seung Woon Kim ),강희택 ( Hee Taek Kang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1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0 No.2

        본 연구는 피드백 이론과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토대로 사용자가 등록한 지식에 대하여 받은 피드백(등록지식에 대한 피드백) 및 지식요청에 대하여 받은 피드백(요청지식에 대한 피드백)과 시스템 요인(시스템품질, 지식품질), 사용(지식기여, 지식수집), 사용자만족, 개인성과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결과, 등록지식에 대한 피드백은 지식기여에 영향을 미친 반면에 지식요청에 대한 피드백은 지식기여와 지식수집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만족은 지각된 피드백보다는 시스템 품질과 지식품질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식품질은 지식기여와 지식수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만족은 지식기여, 지식수집, 개인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지식수집은 개인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Based on feedback related theories and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among feedback which donators receive on their knowledge (Feedback on Posted Knowledge), feedback which collectors receive from other users when they ask for knowledge (Feedback on Knowledge Request Postings), system characteristics (System Quality and Knowledge Quality), user satisfaction, use (Knowledge Donating, Knowledge Collecting), and individuall outcome. The results show, firstly, that feedback on posted knowledge affects knowledge donating only, while feedback on knowledge request postings influences both knowledge donating and know ledge collecting. Secondly, user satisfaction is determined by system quality and knowledge quality rather than perceived feedback, and knowledge quality, in turn, is positively related to both knowledge donating and knowledge collecting. Thirdly, use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knowledge donating, knowledge collecting, and individual outcome, and knowledge collecting affects individual outcome.

      • KCI등재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적 분포 특성분석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배은솔(Bae, Eun Sol),윤갑식(Yun, Kap Sik)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3 No.4

        최근 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동력이자 성장 대안으로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경제구조가 지식기반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지식서비스업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최근 10년간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분포 변화를 미시적 차원인 읍·면·동 공간단위로 살펴보고 창업의 공간의존성을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적 분포변화를 GIS를 통해 분석하되, 지식서비스업을 그 특성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공간적 자기 상관 기법을 활용하여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의존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산광역시 지식서비스업은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구성비가 지속적으로 높아졌지만, 해당 산업의 창업구성비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광역시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집중 분포지역은 기존 도심지역에서 해운대구, 기장군, 강서구 등 시 외곽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지식서비스업의 집적지 변화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4가지로 구분된 지식서비스업 유형별 창업의 공간적 분포특성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의존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강화되었으며 지식서비스업 유형별 창업의 군집지역은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입지요인이 시간에 따라 변해왔으며, 산업 유형별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o provide basic direction of policy establishment for activating the startup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in the last ten years in terms of Eup-Myeon-Dong unit. And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spatial dependence of the location of startups. In this study, GIS was employed to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and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was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 the regional economy continued to increase, but the ratio of startups in the industry decreased in Busan. Second, the accumulation area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was moved from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to the suburbs of the city. This tendency is similar to the change of accumulation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 addition,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s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knowledge service industries were different. Finally, the spatial dependence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startups has been strengthened over time.

      • KCI등재

        지식집중도 개발에 관한 실증연구

        이동진(Lee, Dong-Ji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0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6 No.S

        산업화시대의 산업구조는 유형자산에 기초하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산업사회를 거쳐 후기 산업사회로, 그리고 다시 지식사회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전문지식서비스산업이 급속하게 확대되면서 무형자산을 기반으로 하는 조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형자산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기반조직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서 지식기반조직을 가늠하는 조직 내 작업의 지식집중성의 측정수단을 개발하였다. 지식기반조직은 첫째, 대부분의 작업에 전문성이 요구된다; 둘째, 작업의 중요한 부분은 전문성을 보유한 전문가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셋째, 작업은 전문성을 구성하고 있는 비공식적 지식이 소요되므로 인간관계에 기초하는 대화, 설득, 협상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개념을 근거로 하여 조직 내 작업의 지식집중성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이론적 지식과 비공식적 지식을 포함하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작업본연의 특성’으로 정의하고, 지식집중성의 구성요소를 열린시스템적 인식틀에 따라서 지식작업과정의 투입-과정-결과요소 순서에 따라서 작업에 소요되는 지식복잡성과 변동성, 작업의 협력성과 고객연계성 그리고 작업결과의 모호성으로 상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요인별 총분산 설명량을 기준으로 지식집중도의 구성요소와 측정치들이 강하게 묶인 순서에 따라서 고객연계성과 협력성, 결과모호성 그리고 지식모호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식기반조직의 특성을 강하게 표상하는 구성요소는 작업의 고객연계성과 협력성과 같이 지식작업과정에서 과정요소에 해당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즉, 지식기반조직을 가늠하는 보다 간명한 척도가 마련되기 위해서 지식작업의 과정요소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In the industrial age, manufacturing organizations based on tangible asset were core sector in business part. But many people pay attention to organizations with intangible assets, as moves to the post industrial society, and then to the knowledge society. Therefore, in order to explicate a management system of organizations based on intangible assets, we pursue to develope the knowledge intensiveness for knowledge intensity scales of work in organization. We refer to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based organization as follows. First, works of knowledge based organization are required on the expertise. Second, the core part of works is performed by experts having the expertise. Last, as the expertise consisted of informal knowledges, knowledge works are processing on dialogues, consensuses, persuasions and negotiations based on human and social relationship. Thus, works in knowledge based organizations are going on through manipulating and orchestrating of individual thoughts and languages. Using these conceptual definition, we refer to the knowledge intensity of work as characteristics to works required on the expertise composed of pure and informal knowledge, and classify the componential knowledge intensiveness of work to knowledge complexity and variation required on work, and client connectivity and collaboration of work, results ambiguity of work, which order in frame of input-throughput-output paradigm. Findings on this empirical test are the components of knowledge intensiveness to client connectivity and collaboration of work, results ambiguity of work, knowledge ambiguity required on work.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strongest factors are client connectivity and collaboration of work, we should be focused on the throughput of knowledge work in order to parsimonious scales of knowledge intensity of work.

      • Retrieving spilled knowledge

        박상찬,김상준,최승호 한국경영학회 2018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8

        지식의 외부이전(knowledge spillover)에 관한 기존 연구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기업이 자신의 지식을 전부 활용하지 못하고 외부로 흘려보내 다른 기업에 혜택을 주는 반면 지식 창출기업은 상대적인 손해를 입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최신 연구는 외부로 이전된 지식이 활용되는 과정을 지켜 본 지식 창출기업이 해당 지식을 재흡수하여 혁신에 쓴다는 지식 스필인(knowledge spill-in) 과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논의를 외부지식의 활용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혁신 및 창업 성과 연구로 확장한다. 지식의 외부이전과 재이전 과정에서 지식 창출기업과 활용기업 사이에 일종의 지식교환 관계가 형성되는데, 신생기업의 미래 가치와 존속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외부 투자자는 이러한 관계적 속성에 근거하여 투자 의사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주장이다. 따라서 신생기업이 기업공개(IPO, Initial public offering)를 통해 외부 자금 등 중요한 자원을 성공적으로 획득할지 여부는 그 기업이 지식 창출기업과 맺고 있는 관계적 속성의 차이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 창출기업을 (1)이미 기업공개를 마치고 외부투자자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받은 기업과 (2)아직 기업공개를 하지 않아 외부투자자의 평가가 확정적이지 않은 기업으로 구분한다. 지식 창출기업에서 흘러나온 지식을 이미 활용했던 신생기업이 그 지식을 재흡수당한 이후 기업공개에 걸리는 시간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스필인의 주체(최초 지식 창출기업)가 이미 기업공개를 마치고 시장에 잘 알려진 기업인 경우, 이 기업과 신생기업이 생성한 지식교환 관계가 일종의 사회적 보증 역할을 하여 외부투자자의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지식 스필인이 신생기업의 기업공개에 걸리는 시간을 줄여준다. 둘째, 지식 스필인의 주체가 다른 신생기업인 경우, 지식창출기업과 활용기업이 동일한 외부 자원을 두고 경쟁하는 관계가 되어 지식 스필인이 외부투자자의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지식 스필인이 신생기업의 기업공개에 걸리는 시간을 늘린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학습이론, 중소기업 및 벤처창업론, 기술혁신전략, 지식경영 등 여러 분야에 새롭고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지식사회 ‘현상’인가 ‘환상’인가?: 지식사회 담론의 이론적 쟁점과 전망

        김종길(Kim, Jong-Kil)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1

        최근 지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지식의 생산·전파·공유 기술이 발달하 면서 현 시대에 내장된 지식사회 잠재력과 한계 및 그 미래 전망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1950년대 정보경제론, 1960년대 탈산업사회 론, 1980-90년대 정보사회론, 2000년대 지식사회론을 거치면서 확인된 정보 및 지식의 사회변동 잠재력은 오늘날 지식사회가 사회과학 담론의 핵심 아젠다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했다. 본고는 지식사회 담론의 형성과 전개과정 및 쟁점들을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사회에 갖는 함의를 천착한다. 연구 결과에서 보듯 오늘의 사회에서는 광범위한 인구 집단이 지식 창출과 공유 및 확산에 참여하고 있고 개인생애의 전(全)주 기에 걸쳐 지식 습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지식이 주요 의사결 정과 행동의 타당성을 판별하는 준거가 된다는 점에서 지식사회로 볼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마주하는 지식사회는 단순히 지식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확산된, 그래서 이에 대한 대중의 접근이 용이하게 된 사회가 아니다. 그것은 지식 증가에 비례해 무지, 불확실성, 위험, 공포도 증가 하는 역설적 사회이다. 인간이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과학기술 패러다 임을 밀어붙이면 붙일수록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공포와 위험도 증가하는 패러독스, 그리고 과학지식 패러다임이 관철되면 될수록 인간의 인식 능력과 감각기관을 무력화하는 과학적 무지가 증가하는 패러독스는 우리가 몸담고 있는 현실 지식사회의 속절없는 자화상이다. Nowadays, a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is emphasized and the technology for production, propagation, and sharing of knowledge has developed, discussions on the possibilities, limitation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knowledge society are becoming more active as well.The potential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social change, identified through discussions of the information economy of the 1950s, the post-industrial society of the 1960s,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1980s and ’90s, and the knowledge society of the 2000s, has helped the knowledge society to become a key agenda of social science discourse. This article examin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nowledge society dialogue, several related issu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As the research shows, today s society is a knowledge society in that, first, a broad range of people are involved in creating, sharing, and spreading knowledge; second, knowledge acquisition is an important part of everyone’s life cycle; and finally, knowledge becomes the basis for all decisions and actions. However, the knowledge society we face today is not simply one where accessibility is heightened by the increase and spread of knowledge. It is a paradoxical society in which fear, ignorance, risk, and uncertainty increase as knowledge increases. The reality of the knowledge society we face clearly portrays the paradox that human lives are more at risk as we push the frontiers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fact that ignorance increases as scientific paradigms spread throughout society.

      • 산업 분야의 지식 확산 현상 및 한국의 정책 방향

        장태구 ( Tai Koo Chang ) 한국국제무역학회 2002 國際貿易硏究 =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studies Vol.8 No.1

        산업 현장의 응용지식이나 인간의 사회활동에 필요한 실무지식이 바로 이익에 연결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오히려 지식 정보 시대가 두각을 나타내면서 교육 현장에서 쌓여가는 지식의 측면과 성숙한 인간으로서 요구되는 기본 지식이 더욱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과거의 유형 자본에 체화된 지식에서, 인력에 체화된 지식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인간의 창의적인 두뇌를 중시하는 생산체제로 개편되고 있는 것이다.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지식이 그 어느 때보다 더욱 중요시되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지식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것과 더불어 총합적 지식, 단계적 지식 양자 모두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대가 왔고,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It is true that the applied knowledge of industrial field or human society is connected to profit making. But that of education field and the basic knowledge needed to be a mature human being in knowledge-information era are reported to be really important. The knowledge concept is changing from capital-embodied to human-embodied. The production system is focusing on creative human brain. The modem society needs more creative and aggressive knowledge than any other past time. The time has come to discuss about the fact that the knowledge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conomy, and that the comprehensive and stepwise knowledge are important together This thesis gives the analysis on the knowledge in information era and its related policy of Korea.

      • KCI우수등재

        지식관리 활동과 업무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

        이홍재,차용진 한국행정학회 2006 韓國行政學報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관리를 시행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들을 대상으로 지식관리 활동과 업무성과와의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지식관리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지식관리 활동을 문제해결 기반차원과 문제해결 차원의 지식관리 프로세스로 구분하고 이러한 지식관리 활동차원들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공분산구조분석결과, 지식관리 프로세스와 업무성과 간에는 선순환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지식관리 활동을 통해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식관리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지식관리를 위한 전략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