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경험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녕셜 ( Xue Ning ),김기수 ( Ki Su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4

        스마트폰은 모바일폰의 새로운 세대로 유비쿼트스 컴퓨팅 기술의 좋은 예이다. 스마트폰을 사용해서 사용자들은 편리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인터페이스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은 또한 단순한 전화나 문자 메시지보다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친구들과 연결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성능의 하드웨어와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스마트폰은 업무나 오락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하고 있다 (Charlesworth, 2009). Verkasalo 등(2010)은 스마트폰은 단순한 모바 일폰으로 뿐만 아니라 손안에 들어가는 컴퓨터로 사용될 수 있는 기기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한 스마 트폰을 통제하는 것은 이제 기기가 아니라 사용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사용자들이 스마트폰과 상호작용할 때 그들의 스마폰 사용 경험은 그 상호작용으로부터 나온다. Goto는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 UX)을 “어떤 기업이나, 서비스 또는 제품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전반적인 인식이나 포괄적인 상호작용”으로 정의하였다 (Wang et. al. 2008). 경험은 사람의 마음에 존재하는 사람과 세상 사이의 눈에 보이지 않는 상호작용 과정이고, 새로운 상호작용들에 의해 유발된다. 이들 상호작용은 육체적, 감각적, 인지적, 감정적, 그리고 미적과 같은 다양한 경험들을 만들어낸다 (Davis, 1992). 이와 같은 관점에서 스마트폰 사용 후 그 기능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경험과 사용자들의 사회적 경험은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에 대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자 수의 증가와 다양한 스마트폰 제조기업과 서비스제공 기업들 사이의 경쟁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지배하는 요인들과 그들의 역학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효율적 인터페이스의 개발, 사용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그리고 관련 기술의 개발과 같이 사용자의 심리적인 관점에 대해 연구하기보다는 스마트폰 자체의 기능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 (Lin and Ye, 2009; Abowd et. al., 2005; Verstockt et. al., 2009). 반면, 지난 몇 년간 사용자 경험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과 연구의 틀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Swallow et. al., 2005; Deng and Li, 2008; Wang et. al. 2008; Oza et. al. 2010). 사람들은 스마트폰 이용에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사용겸험이 그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를 도출하는데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인지과정에 핵심요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이론적 기반 위에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스미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자경험이라는 개념을 선행변수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태도와 행위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경험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용자경험은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두 가지 관점으로 표현하였다. 기능적 경험에는 이용가능성(usability)과 보안성(security) 그리고 사회적 경험에는 사회성(sociability)과 사회적 주체성(social identity)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사용자경험 요인들을 선행변수로 스마폰의 지속적 이용의도를 결과변수로 하고, 두 변수를 매개변수로 하는 하나의 인과관계(causal)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즐거움(perceived enjoyment: PE)과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PU)을 선행변수인 사용자경험 요인들과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 사이의 매개변수로 고려하였다. 그 이유는 최근 스마트폰은 업무를 위한 기능적 목적뿐만 아니라 오락이나 사회적 관계(형성)을 위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PU와 PE가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이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모두 인지된 유용성 또는 인지된 즐거움을 통해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능적 경험 가운데 이용가능성 요인과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성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능적 경험 가운데 보안성은 인지된 즐거움에만,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적 주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즐거움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 모두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기능적 경험 가운데 이용가능성과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성을 높임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을 높이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면에서 학술적이고 실무적인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스마트폰의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지금까지 경영정보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인 사용자경험이란 개념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나아가서 여러 사용자경험 요인들 가운데 스마트폰의 특성을 고려해서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요인들을 고려했다. 또한 본 논문은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경험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 요인들이 어떠한 역학관계로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 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스마트폰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유용한 실무적 정보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우선 사용자경험은 아주 방대한 개념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지 그 일부만 다루었다. 사용자경험의 다른 측면들은 추후 연구들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사용자경험의 다양한 측면들을 고려하여 사용자경험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 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 포함된 실증 자료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들이 포 함되어 있어 분석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가 시행될 때에는 대학생이외 스 마트폰을 사용하는 다른 그룹의 사람들 수가 많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이 표본에 포함 되었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 서는 한국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기 때문에 문화 및 다른 환경의 차이에 따른 편향성(bias)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거나 국가별 비교분석도 가능할 것이다. Smartphone is a new generation of mobile phones and it is a good example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Users can surf the internet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the easy touch-screen interface. Also users can connect with their friends in more efficient ways than calling or texting messages. Besides, its prominent hardware and software support all kinds of applications for work and entertainment (Charlesworth, 2009). Verkasalo et al. (2010) pointed that Smartphone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mobile phone as well as a handheld computer, they also argued that it is the user rather than the device who controls the Smartphone. When users interact with Smartphone, their experience of using Smartphone is derived from such interactions. Goto, K. defines User Experience (UX) as "the overall perception and comprehensive interaction an individual has with a company, service or product" (Wang et al., 2008). Experience is an intangibl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the world that exists in humans`` minds and is triggered by new interactions. These may create different types of experiences such as physical, sensual, cognitive, emotional, and aesthetic (Davis, 1992). From this aspect, after using Smartphone, users`` experience on the functions of it and their social experiences with it might be very important in decid- ing if they continue to use Smartphones. Given the growth of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and the competition among Smartphone manufacturers and service provide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ynamics that govern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However, previous researches on this topic have mostly focused on problems such as creating efficient interfaces, developing usable systems, and establishing technologies, which paid more attention to the facet of functions of the Smartphone itself rather than studying from users`` psychological perspective (Lin and Ye, 2009; Abowd et al., 2005; Verstockt et al., 2009). On the other hand, over the last few years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provide a comprehensive theory or framework of user experience (Swallow et al., 2005; Wang et al., 2008; Oza et al., 2010; Deng and Li, 2008). Since people spend more and more time with Smartphones, the experience users have with Smartphones is likely to be a key factor in the cognitive process users experience in developing their continued usage intention. Upon this basis,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es, we employ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 (UX) as the antecedents in this study to explain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users`` experience to assess their further attitudes and behaviors. Users’ experience is represented in two aspects, one is functional experience which includes usability and security, and the other is social experience which includes sociability and social identity.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to conceptual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UX factors as antecedent variables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s as consequent variables with two intermediary variables. Specifically, we considered perceived enjoyment (PE) and perceived usefulness (PU) as mediating factors between UX factors and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CUI) since it is widely used not only for functional purposes but for entertainment and social relations. Then our research model was tested empirically by using a survey data collected from diverse Smartphone users. Our results suggest that experience about func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of Smartphone after using Smartphones can influenc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of their usage, which, in turn, influence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s. More specifically, we found that usabi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oth PU and PE, while security has a strong effect on PE, although no such significant impact was observed on PU. Some previous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Smartphones are vulnerable and, therefore, securi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phones. However, security did not affect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phones significantly in our result. A plausible explanation for this result might be that approximately 60% of our survey respondents are students and they do not consider security issue seriously because they use Smartphones mostly for entertainment or social interactions rather than for job or work related purposes. However, it does not mean security issue is not important for usefulness of Smartphones or the current level of security of Smartphone is perfect. Moreover, sociability is found to affect both PE and PU, while social identity have significant impact on PU only. Besides, P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of using Smartphone and both PE and PU positively affected CUI. Main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 which is a relatively new concept in MIS researches, was adopted to explain users’ continued intention to use Smartphones. Moreover, not only functional experience but social experience was included as user experience factors. This paper also makes contributions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s and the dynamics of these effects, which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martphone service providers. There are, however, some limitations inherent in this study. Although user experience is a broad concept, we focused only a part of it. Other aspects of user experience may be considered in future researches. More systematic research on user experience may be also needed related with Smartphone usage. In our survey data, relatively larg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were included, therefore, we have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s. Since the survey data were gathered from Korean, the analysis results may be subject to culture and/or other environmental biases. In future researches, we may use survey data from users of different countries and also implement a cross country analysis.

      • KCI등재

        기업모바일SNS사용자들의 사용자 특성이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준희,김명숙,고종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최근의 모바일 환경에서 최초 사용자보다는 지속적 사용자들의 행위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모바일SNS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자특성이 그들의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기술수용모형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업모바일SNS사용자들의 사용자특성(개인의 친숙성,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이 매개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신뢰를 통하여 지속적 사용의도와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332명의 기업모바일SNS사용자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용자특성 변수들인 개인의 친숙성,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이 매개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신뢰의 증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며, 지각된 유용성과 신뢰의 증대는 기업모바일SNS사용자들의 지속적 사용의도와 구전의도의 제고로 이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는 한편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the recent mobile environment, there is a need for the systematic research on the behaviors of continuous users rather than those of first us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er characteristic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among corporate mobile SNS users. Based on technological acceptance model, this study predicted that user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mobile SNS users'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perceived availability and trust.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332 corporate mobile SNS users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EM technique. This study found that three user characteristics variables(personal familiarity, perceived enjoyment, utilization easines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two mediating variables(perceived availability and trust) and that the two mediating variables positively impacted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In the conclusions,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ed the policy proposals.

      • KCI등재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사용후 대인관계 변화와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이은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 변화와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부산 및 경남지역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속동기와 사회적 압 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습관 적 이용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속동기와 사회적 압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사용후 대인관계의 변화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 속동기와 사회적 압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변화를 유발하는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속동기와 사회적 압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를 변화시켜 페이스북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됨을 밝혔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process in which Facebook access motivation impact up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20 college studen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provinces This research resulted in a number of key findings: First,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Seco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had a positive influences 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Thir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habitual use had a positive influences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Fourth,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mediates between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This study reveals that,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a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were a significant predictors of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a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indirectly affecte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through the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 KCI등재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감정적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동희 ( Dong-hee Cho ),이연준 ( Youn-joo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2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과 함께 핵심 산업으로 인공지능이 대두되고 있다. 그중 핵심기기로 인공지능 스피커가 주목받으며 홈 IoT 시장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성장세와는 달리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도는 낮다. 이러한 사용자의 불만족은 결국 사용자가 해당 제품의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지속적 성장 및 확산을 위하여 국내 인공지능 스피커 제품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 사용의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사용자 만족 중심의 이론과 사용자 경험의 감정 요인으로 감정적 애착의 선행요인들이 인공지능 스피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감정적 애착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 간에 매개효과를 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정적 애착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 향상을 위해 미흡한 기능 개선과 사용 편의성 향상을 통한 사용자 만족 향상도 중요하지만, 사용자가 자신만의 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lifestyle)에 맞춘 디자인과 커스터마이제이션(customization)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애착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AI (Artificial Intelligence) has emerged as a major industry. Among variety products that are developed using the AI technology, AI speaker is gaining attention as a major product and shows rapid growth in consumer IoT (Internet of Things) market. Unlike the rapid growth and attention in the market, consumer satisfaction of AI speaker is low. Low satisfaction level is the important factor to ultimately end the usage of AI speaker. Methods In this study with the hope of securing continuous growth and the spread of the AI speaker, factors that would affect the user’s continuous usage of the AI speaker usage have been explor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we looked at the impact of emotional attachment as an emotional source of emotional attachment as an emotional factor in user satisfaction theory and in prior research related to continuous use. It also confirmed that emotional attachment also mediated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Result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satisfaction level does affect the usage continuity; furthermore, users’emotional factors ar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to allow users decision to use AI speakers continuously. Conclusion This shows that AI speakers to have an ability to be customized to create unity with user’s personal space is as important as the development of AI speaker technology to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and to increase the consumers’ usage continuity. Thus, by having AI speakers’ design to fit into user’s lifestyle, user’s emotional attachment toward the product will increase, ultimately increasing the continuity of the product usage.

      • KCI등재

        쇼트 비디오 앱 사용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중국 DouYin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사염,신인식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In the face of fierce industry competition, how to better attract user traffic and maintain users' continuance intention using short video APPs is a new challenge in the short video indust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erceived platform quality, trust, user satisfaction, flow experience, and subjective norm on short video APP users' continuance intention. Based on the existing theory,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and 393 vali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This study used SPSS 26.0 and AMOS 24.0 software for data analysis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perceived platform quality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s trust and user satisfaction. Flow experienc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s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User satisfaction, subjective norm, and trust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 continuance in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short video app user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the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Usage Model (ECM-ISC). This study also provides a new view for future research on user experience and behavior on social networking platforms.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offers important practical insights for short video APP designers and operators to improve user experience. 치열한 경쟁에서 더 많은 사용자를 유입하고, 지속적인 사용 의도를 유지하는 것은 쇼트 미디어 산업의 새로운 도전이다. 본 연구는 지각된 앱의 품질, 신뢰도, 사용자 만족도, 플로우 경험, 주관적인 규범 등이 쇼트 비디오 앱 사용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기존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설문 조사를 통해 총 393건의 유효 데이터를 얻었고,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26.0 프로그램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 및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각된 앱의 품질은 신뢰도, 사용자 만족도에 대해 현저한 긍정 효과가 있었고, 플로우 경험은 사용자 만족도,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대해 현저한 긍정 효과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 만족도, 주관적 규범, 신뢰도는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대해 현저한 긍정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의 지속적 사용모형(ECM-ISC)이론으로 쇼트 비디오 앱 사용자 지속적 사용 의도의 영향 요인을 연구하였다. 또한, 향후 SNS 사용자 경험 및 행위와 관련 연구에 새로운 시점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쇼트 비디오 디자이너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짧은 동영상 앱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 TIK TOK(DOU YIN) 앱을 중심으로 -

        류옌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6

        인터넷 보편화 시대에 콘텐츠의 업그레이드 속도가 빨라지고, 사람들의 미디어 소비 습관 도 변화하 고 있다. 문자와 이미지를 위주로 하는 전통적인 미디어 시대가 지나가고 더 짧고 더 강력하며 사교성이 더해지는 뉴미디어 시대가 왔다. 뉴미디어 콘텐츠 포맷의 대표인 짧은 동영상이 사람들에게 빠른 정보 획득을 가능하게 하고 동영상에 생동감과 풍부한 표현력을 갖게 하였다. 그리고 콘텐츠 이용환경의 변화와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의 혁신적인 기술발전에 힘입어 차세대 인터넷 커뮤니티 플랫폼 인 짧은 동영상 앱이 탄생되었다. 짧은 동영상 앱은 Short Clip 공유 플랫폼이라고도 부르며, 짧은 길이의 개인의 일상이나 춤과 같은 재미있는 영상을 찍고, 각종 기능을 활용하여 영상을 편집하여, 사람 들과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전문 영상편집 프로그램이 아니더라도 배경음악과 다양한 특수효과 등을 삽입해 영상을 쉽게 만들 수 있다. 기존 SNS가 문자나 사진으로만 개인의 생각이나 일상을 공유하 는 것과 달리 짧은 동영상 앱은 동영상으로 개인의 모습을 공유한다는 데에 차이가 있다. 짧은 동영상 앱은 출시와 동시에 큰 인기를 얻었으며, 순식간에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였다. 특히 2016년에 출시된 TIK TOK(틱톡, 중국 서비스명 ‘DOU YIN’)은 2018년 1분기 전 세계 앱 스토어에서 4천580만 번 다운로 드되어 유튜브와 페이스북을 제치고 다운로드 횟수 1위에 올랐다. 새로운 SNS 형태로도 볼 수 있는 단 시간에 동영상 공유 앱 분야의 1위로 우뚝 선 TIK TOK(DOU YIN) 앱의 폭발적인 성공 원인과 젊은 층에서 하나의 새로운 문화로서 소비되고 있다는 면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짧은 동영상 앱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이런 요인들이 앱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본 것이다. 즉 짧은 동영상 앱 사용에 대한 개인의 혁신성과 이용동기, 그리고 주관적 규범이 사용 -확산(사용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 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라 앱의 지속적 사용의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는 것 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짧은 동영상 앱 TIK TOK(DOU YIN) 앱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사전조사를 먼저 실시해 보았다. 총 61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 항목에 대하여 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행하였다. 그 후에 본격 적인 연구를 실행하였다. 총 329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각 변인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실시했으며, 검증 결과는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경로 분석을 하였 다. 경로분석에서 개인의 혁신성과 주관적 규범이 사용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설1과 가설 3이 지지되었으며, 이용동기 요인 중 오락추구 동기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사용량에 무의미하다는 결과 가 나와 가설이 기각되었다. 사용-확산의 유형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연구 결과, 개인의 혁신성, 오락추구 동기와 주관적 규범이 사용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용량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혁신적인 사람 들이 새로운 매체를 더 빠르게 받아들일 수 있고 다양한 기술의 사용에 우선적인 관심을 두는 것도 알 수 있다. 또는 이용동 기를 구성하는 동기 요소가 오락추구 동기, 정보추구 동기, 자기표현 동기와 상호작용 동기가 있는데 오락추구 동기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사용량에 무의미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사용량이 지속적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절대적인 사용량이 아니고 상대적 사용량만을 측정하 였기 때문에 다른 이용동기 요소로 정보추구 동기, 자기표현 동기와 상호작용 동기가 사용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짧은 동영상 앱은 새로운 SNS 형태로 나타나 인기를 누리고 있지 만 동영상 제작 및 공유 기능을 제외하고는 다른 기능을 갖추지 않아서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를 보면, 짧은 동영상 앱을 통한 사용 -확산이 앱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의 오락추구 욕구, 정보추구 욕구, 자기표현 욕구, 그리고 상호작용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즉 자기표현 욕구, 정보추구 욕구, 상호작용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SNS 상의 친구와의 활발히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정서적 유대를 증진시키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자주 사용하는 고객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짧은 동영상 앱 업체가 브랜드 평판을 제고하면서 사회적 영향력을 갖도록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가치 기반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김경탁,송지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value of A.I.-based mobile U.I. design and persistent intention to use it. In this study, two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Benefits of A.I.-based mobile U.I. design’ and ‘sacrifices to use A.I.-based mobile U.I. design’, and two dependent variables such as ‘perceived value’ and ‘persistent intention to use’().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analyses of mobile U.I. Design and ‘value-based acceptance model’, and empirical surveys for general users. The scope of the empirical survey was focused on a sample survey of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The benefits of A.I.-based mobile U.I. designs will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A.I.-based mobile U.I. designs’, and its sub-hypotheses 1-1, 1-2 were all adopted. Among the two sub-factors of benefits, perceived usefulness has more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than perceived enjoyment7). Second, Hypothesis 2: ‘The sacrifices to use of A.I.-based mobile U.I. design will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the A.I.-based mobile U.I. design’,(K and its sub-hypotheses 2-1, 2-2 were all adopted(). Among the two sub-factors of sacrifices, complexity of the technology has more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than security risk(. Third, Hypothesis 3: ‘The benefits of A.I.-based mobile U.I. design will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sistent intention to use of it’, and its sub-hypotheses 3-1, 3-2 were all adopted(). Among the two sub-factors of benefits, perceived usefulness has more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than perceived enjoyment(Kim. 2017). Fourth, Hypothesis 4: ‘The sacrifices to use of A.I.-based mobile U.I. design will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sistent intention to use of it’, and its sub-hypotheses 4-1, 4-2 were all adopted(Kim. 2017). Among the two sub-factors of sacrifices, security risk has more influence on the persistent intention to use than complexity of the technology(7). Fifth, Hypothesis 5: ‘Perceived value of A.I.-based mobile U.I. design will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sistent intention to use it’ was adopt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nhance and improve the perceived value and persistent intention to use of A.I.-based mobile U.I. design,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perceived enjoyment of use, the technical friendliness and convenience, the low cost should be activated and maintained().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more scientific and logical empirical analysis by using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which is the theoretical analysis model of acceptance and use process of new technology..K I hope to provide effective theoretical, practical guidelines and basic references which will directly contribute to expand, disseminate and activate of A.I.-based mobile U.I. designs.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모바일 U.I. 디자인의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가치 기반적 수용모델’을 토대로 실증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통해,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 디자인이라는 신기술의 가치를 사용자들이 지각하고 수용하면서 지속적⋅중장기적으로 사용하려는 의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 디자인의 보급과⋅확산에 도움이 되는 이론적, 실무적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모바일U.I. 디자인과 ‘가치 기반 수용 모델’에 대한 이론적고찰 및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 조사(설문 조사)를 병행하였다. 실증 조사의 범위는 본 연구가 수행한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한 표본 조사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내용 및 결과: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 디자인을 통해얻을 수 있는 ‘이익’은 사용자들의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정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유훈, 2018).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제1과 세부적 가설1-1, 1-2는 모두들 채택되었다. 이익의 2종 하위 요인들 중에 ‘지각된 유용성’이 ‘지각된 즐거움’보다도 더더욱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유훈, 2018). 둘째,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 디자인 사용을 위해 감수해야 할 ‘희생’은 사용자들의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부적인(-)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유훈, 2018).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2와 세부적 가설 2-1, 2-2는 모두들 채택되었다. 희생의 2종하위의 요인들 중에 ‘기술의 복잡성’이 ‘보안의 위험성’보다 많은 부적인(-)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 디자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은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적인(+)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유훈, 2018).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제3과세부 가설인 3-1, 3-2은 모두들 채택되었다. 이익의 2 종 하위 요인들 중에 ‘지각된 유용성’이 ‘지각된 즐거움’보다 좀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유훈, 2018). 넷째,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 디자인의사용과정을 위해 감수해야 할 ‘희생’은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부적인(-)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제4와세부 가설인 4-1, 4-2는 모두 채택되었다(유훈, 2018). 희생의 2종 하위 요인들 중에 ‘보안적 위험성’이 ‘기술의 복잡성향’보다 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 디자인의지각된 가치체계는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정적인(+)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본 연구의 가설 제5는 채택되었다(유훈, 2018). 위의 결과들을 보면, 사용자들은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 디자인의 수용 및 지속적 사용 과정에서 지각된 즐거움이나 유쾌함, 기쁨, 만족감 등보다는 실질적인 유용성, 일상생활과 직무 등에 도움이 되는 속성을 보다 중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 디자인의 가치를 지각하고 이를 새롭게 수용하려는 단계에서는 기술적 복잡성을 신경 쓰는 반면, 지속적⋅장기적 사용을 위해서는 보안 위험성을좀 더 우려함을 알 수...

      • KCI등재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하형,우시진,정진섭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2 창조와 혁신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이 사용자들의 인지된 사용용이성 및 유용성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했다. 기본적으로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하였으며, 인지된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의 매개효과는 물론,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사이에 인지된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의이중 매개효과도 분석했다.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신뢰성, 편의성, 보안성은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으나, 쾌락성과 편재접속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신뢰성을 제외하고 모두 인지된 유용성에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편의성, 신뢰성, 보안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쾌락성, 편재접속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보면, 쾌락성, 편재접속성과 지속적 사용의도사이에 사용용이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신뢰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사이에 유용성의 매개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중 매개검증의 결과 보면, 편재접속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 간에 모두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들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경로 및 그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으로도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수립 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 기술수용모델(TAM), 지속적 사용의도

      • KCI등재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사용자의 혁신성향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창현 ( Changhyun Go ),한은경 ( Eunkyoung Han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6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5 No.1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결제 방식 또한 변화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라는 새로운 결제 방식을 주목하고 있으며, 그 시장 규모 또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사용자를 중심으로 모바일 간편결제 속성을 도출하고 그 속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모바일 간편결제 속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혁신성향에 따른 조절효과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모바일 간편결제 속성은 편의성과 과잉 소비 유발, 개인정보 유출, 사용의 번잡성, 결제의 안전성,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한 신뢰로 나타났다.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 중 편의성과 결제의 안전성,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한 신뢰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과잉 소비 유발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개인의 혁신성향은 편의성, 결제의 안전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개인의 혁신성향이 높은 경우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함으로써 느끼는 편리함에 따라 지속적 사용의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사고 대응에 힘들다고 느낄수록 지속적 사용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the attributes of mobile simple payment with its users, and then figuring out how those attributes influence 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the personal level of innovativeness moderates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simple payment and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attributes of mobile simple payment include convenience, trigger of excessive consumption,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complicatedness of use, safety for payment, and trust for mobile simple payment. Especially, convenience, safety for payment, and trust for mobile simple payment positively effect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However, trigger of excessive consumption negatively affects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Personal innovativeness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nience, safety for payment and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When the level of personal innovativeness is high,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increases as the users feel convenience by using mobile simple payment. However, on using mobile simple payment, as the users feel inconvenience to response an accident, it decreases their continuous intention to use mobile simple payment.

      • 학술세션Ⅰ : 지식경영과 소셜미디어 ; SNS 사용자의 습관과 감정적 요인 관점에서 기업 SNS 계정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함주연,유현선,지성훈,이재남 한국지식경영학회 2014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움 Vol.2014 No.-

        전세계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기업에서의 SNS 활용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제품 및 서비스 홍보나 고객관리를 위한 기업 SNS 계정의 경우 개인 SNS와 달리 그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활용하는 사용자는 많지 않다. 이는 기업 SNS 계정의 경우 이벤트 정보나 필요에 의한 일회성/단기적 팔로잉이거나, 또는 너무 상업적 내용들로 팔로워들이 결국 기업계정을 유지하지 못하고 떠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온라인 상에서 사적인 관계형성 및 소통과 같이 팔로워들의 개별적 심리나 감정에 밀접한 SNS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SNS에 대한 유용성, 이용 용이성 등의 요인만으로 기업 SNS 계정에 대한 지속적 사용 의도를 해석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최근 다수의 정보시스템 연구들은 사용자의 이용습관과 같은 잠재의식적 행동이 IS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 SNS 계정에 대한 사용자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써 SNS 사용자의 이용습관과 감정적 요인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지-감정-행위 모델을 기반으로, SNS 사용자의 이용습관에 따라 형성된 SNS 사용경험은 감정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감정요인은 궁극적으로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감정요인은 Mehrabian-Russell 모델을 기반으로 긍정적, 부정적, 각성/환기 요인, 그리고 지배 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감정적 요인들이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SNS 사용습관은 감정적 요인 별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감정적 요인들은 기업 SNS 계정의 지속적 사용의도에도 다르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지배 요인에 의해 다른 감정적 요인들의 영향 정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페이스북 사용자와 트위터 사용자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