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3~17 목표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영철 ( Jo Youngchul ),이상원 ( Lee Sangwo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연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학교교육 현장 적용 및 확산을 목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 선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외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목표 13~17 목표와 관련한 주제로 가치관, 태도, 기술을 습득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 5개씩 총 15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생 10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사전·사후 단일집단 실험설계 방법으로 5개 주제를 가지고 8주 동안 10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핵심역량, 지속가능발전교육 기본 영역, 지속가능발전목표 13~17 목표로 구성된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와 환경·경제·사회적 영역에 대한 역량이 향상되었고 지속가능발전목표s 13~17 목표 관련 태도 변화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학생들의 면담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에 만족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이해를 하였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개발한 프로그램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 정규교육과정 적용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높아 학교 현장 지속가능발전교육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연구를 기초로 각 지역과 학교, 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지속가능발전목표 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들이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별로 다양하고 연계성 있게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학교 교육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가 착근될 수 있도록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competency and ESD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 program for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ESD connected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at were raised follow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MDGs).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curriculum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12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SDGs 13~17 goals and developed a total of 15 program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program through expert review, 105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applied for 8 weeks with 8th classes with 4 subjects by applying a pre- and post-test single group experimental design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s a result of applying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core competency, SD general area, social area, environmental area, economic area, SDGs 13~17, students' basic understanding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mpetency in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reas improv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change in attitudes related to the SDGs 13~17 Goal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curriculum linkage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he spread of ESD in the school field. Based on this research,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to develop the programs related to 17 SDG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tudent level considering the school classes and the grade group so that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sprea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청소년 삶의 질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황세영,김남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부터 2030년까지 국제사회 새로운 발전담론으로 제시된 지속가능 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의 달성을 위하여 미래사회 지속가능발전을 이끄는 주체로서 청소년을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SDGs는 개도국뿐만 아니라 선진국도 대상으로 하며, 경제·사회·환경 분야를 포괄하고 있어 우리나라 청소년의 삶의 질과 관련된 실태를 보다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기본 틀로 활용할 수 있으며, 미래세대로서 청소년 역량 강화 등, 청소년 정책을 바라보는 시각을 확장하는데 기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DGs의 관점에서 청소년 삶의 질의 개념을 도출하고,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지속가능발전 정책 및 제도에 있어서 청소년과 관련된 현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SDGs의 종합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제5차 청소년기본계획에 따른 2013-2016년 정책과제 및 사업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SDGs 국내 이행과정에 있어서 청소년 정책의 연계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나아가 향후 우리나라 청소년 정책의 확장과 지속가능발전 관점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을 청소년 정책 문서에서 언급하고 있는 아일랜드와 지속가능도시 조성을 위해 청소년 참여방안을 제도화하고 있는 독일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SDGs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삶의 질 실태를 점검하고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역량에 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는 만15-24세 청(소)년 986명에 대하여 지속가능발전 및 SDGs에 대한 인식, 관련된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 참여 의향 등을 조사하였다. 질적 조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청소년 및 청년의 활동 및 참여에 관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SDGs 시대 청소년 정책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 미래세대 권리·역할 확대를 위한 기반 구축, 청소년·청년의 다양한 역량 강화, 청소년정책의 SDGs 기여도 제고 등 3개 영역에 대하여 7개 정책과제와 16개 세부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youth policy in ways which regard the youth as a leading agent for achieving the new global agenda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proposed by the UN between 2016-2030. The SDGs were aimed at not only the developing countries but also the developed countries encompassing the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etal pillars, thus could be utilized as a framework for exa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youth in a holistic way, contributing to the extended approach to the youth policy by considering the youth as a future generation of the society.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licited the idea of the quality of youth’s life from the SDGs perspective and then examined critically the current youth policy in South Korea by focusing on its link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lso, the study used the SDGs angle to analyze the 5th Youth Basic Plan and the policies under this plan during 2013-2016 and by doing so, pursued future policy directions towards aligning SDGs policy and the youth policy. Furthermore, the cases in other countries which deepened the alignment between the SD policy and the youth policy were explored in order to fill the gap between the SDGs and the current Korean youth policy: for example, an integration of the SD perspective to the youth policy in Ireland, and promotion of youth participation into the urban planning in Germany,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tudy examined the actual reality of the quality of the youth’s life in South Korea through the SDGs lenses by using the secondary analysis of the existing empirical data. Also, a survey of the 986 Korean youth aged 15-24 years was conducted including the questionnaires of their perception on the SDGs, related social issues and participation into SD related action.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youth participation into the SD action was also conducted in order to find an insight into the policy means to promote youth participation. Based on the study’s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were drawn up in seven policy tasks and related sixteen projects under three policy areas: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expanding the youth right and role as the future generation of the society, capacity building of the youth for leading the SDGs, and finally, aligning the youth policy with the SDGs framework.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과 SDGs・ESG 실천에서 문화의 의미와 역할

        이창언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Meaning and Role of Culture in Sustainable Developmentand the Practice of SDGs·ESG Changeon Lee* Abstract: This article provides a forum for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citizens, to identify as subjects aiming for a sustainable society and to think together about how culture can contribute to a “sustainable society”. This means that young people, citizens, and various stakeholders of society are not passive customers of social activities, but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of the earth-state-city and play a role as producers and policy actors of a sustainable development culture aimed at a sustainable city. This article discusses the role of culture in improving citizens’ well-being and realizing a “sustainable society” through democratic development while identifying citizens as a sustainable city-oriented policy or a subject of cooperation and governance. Key Words: Sustainable Development (SD), Sustainable Development Cultur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ESG, Mecenat □ 접수일: 2024년 2월 10일, 수정일: 2024년 2월 18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8일* 신경주대학교 SDGs·ESG 경영학과 교수(Professor, Singyeongjoo Univ., Email: satyagraha21@naver.com) 지속가능발전과 SDGs・ESG 실천에서 문화의 의미와 역할 이 창 언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지향하는 지속가능발전과 문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둘째, 지속가능발전(SD)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실행에서 문화의 중요성을 고찰한다. 연구 방법: 지속가능발전문화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논의를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 문화와 지속가능발전의 관계, 문화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지속가능발전목표)을 포착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지, 사회의 문화와 문화적 다양성은 ‘지속가능발전’,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어떻게 연결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결론 및 제언: 문화예술과 지속가능발전을 전체적으로 구성하는 시스템의 구조에 주목하여 SDGs의 이행과 실천과정에서 문화의 위상의 중요성을 제언했다. 사회, 경제, 환경 기둥의 통합적 발전이라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전제로 지속가능발전문화전략, 메세나(Mecenat)와 ESG 등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문화적 실천과 이를 장려하는 문화 관리 메커니즘의 구현을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한 정부-지방정부,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핵심어: 문화, 지속가능발전(SD), 지속가능발전문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ESG 경영

      • KCI등재

        광역도의 지속가능발전 전략과 거버넌스 : 경상남도와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오수길(Soogil Oh),한순금(Soonkeum Han)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3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채택과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수립에 따라 지방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구축 마련과 관련 지방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전략 수립 추진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광역도의 경우 지속가능발전을 추진하면서 기초자치단체의 지속가능발전 추진에 대한 동력이 취약하고 지역민의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는 광역도만의 목표 수립이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있었다. 결국 광역도의 지속가능발전이란 기초자치단체의 지속가능발전, 지방행정체제 개편, 거버넌스 활성화가 통합적으로 이루이질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경상남도와 충청남도의 사례를 비교하며, 광역도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광역-기초간 협력체계 구축, 기초 지자체의 거버넌스 구축, 행정-의회간 거버넌스 구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광역도에서는 지속가능발전 추진의 절박성과 실용성을 효과적으로 조화시키면서도 도내 기초지자체, 지방의회, 지역 내 시민사회와의 협력과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UN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as been established in 2015 and K-SDGs (Korean SDGs) in 2018. In many local areas, the need for constructing governance for their SDG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metropolitan areas (Province areas in Korea), local SDGs need momentum of local governments in city or county areas for implementing SDGs and understanding of citizens. For the success of SDGs strategies in metropolitan areas, it requires sustainable development, reform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nd active governance for SDG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Gyeongsangnam-do and Chuncheongnamdo focusing on collabaration systems among metropolitan areas and city or county areas, governance system of local governments of city or county areas, and governance system between the executive branch and the legislative branch for SDGs. We got some implications through this comparison that local governments in metropolitan area have to balance urgency and practiality, and strengthen collaboration and linkage with local governments of city or county areas, local legislatures, and local civil society.

      • KCI등재

        초등 실과 식생활 단원 내용과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와의 관련성 분석

        김유정(Yu Jeong Kim) 한국실과교육학회 202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5 No.4

        이 연구는 초등 5, 6학년 실과 교과서 식생활 단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초등 실과 식생활 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에서 식생활 단원과 관련성이 있는 9개 목표와 25개 세부목표를 추출하여 분석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실과 교과서 식생활 영역의 학년별, 단원별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학년 ‘균형 잡힌 식생활’ 단원은 모든 교과서에서 ‘사람’의 ‘3.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번영’의 ‘12.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의 수질오염과 관련된 내용과 간식을 선택하고 조리할 때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여 대기오염을 줄인다는 내용은 일부 교과서에서만 다루고 있다. 둘째, 5학년 ‘식재료의 특성과 음식의 맛’ 단원은 모든 교과서에서 ‘사람’의 ‘3.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11.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조성’, ‘번영’의 ‘12.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환경’의 ‘7. 에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철식품과 지역 농산물은 생산과 운송과정에서 환경오염을 감소시켜서 육상 생태계 보전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6학년 ‘안전한 식품 선택과 조리’ 단원은 모든 교과서에서 ‘사람’의 ‘3.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11.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조성’, ‘번영’의 ‘12.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번영’의 식생활 관련 직업 및 첨단 기술에 대한 내용과 ‘환경’의 수질오염과 육상 생태계 보전 관련 내용은 일부 교과서에서만 다루고 있었다. 이를 통해 교과서별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과 범위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초등 실과 식생활 단원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With the aim of seeking relevant educational measures,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found in the food and nutrition units of practical arts textbooks. For this purpose, nine goals and 25 detailed targets associated with the food and nutrition units were drawn from the Korean-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 then set as analysis criteria. Accordingly, the education contents were analyzed by both the academic year and food and nutrition un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all textbooks, the fifth-grade unit “Balanced Dietary Life” was highly related to “3. Ensuring a healthy and happy life” in “People” and “12.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prosperity.” However, only some textbooks offered contents related to water pollution in “Environment” and how air pollution could be reduced by using local agricultural products when choosing and cooking snacks. Second, in all textbooks, the fifth-grade unit “Characteristics of Food Ingredients and Taste of Food” was highly related to “3. Ensuring a healthy and happy life” in “People,” “11. Development of Sustainable Cities and Residential Areas” in “People,” and “7. Eco-friendly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nergy” in “Environment.” However, insufficient contents discussed how seasonal foods and local agricultural products were helpful for preserving the land ecosystem by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Third, in all textbooks, the sixth-grade unit “Selection and Cooking of Safe Foods” was highly related to “3. Ensuring a healthy and happy life” in “People,” “11. Development of Sustainable Cities and Residential Areas” in “People,” and “12.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prosperity.” However, only some textbooks offered contents on jobs and advanced technologies related to dietary life in “Prosperity” and water pollution/land ecosystem preservation in “Environment.”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초한 의생활 분야 교과서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이윤정(Yun Jung L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에 준하여 2015 개정 실과교과서 의생활 단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의생활 분야의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적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따른 실과 의생활 분야의 교과서 분석 결과는 환경적 관점이 50.9%, 사회·문화적 관점 45.9%, 경제적 관점이 3.2% 순이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 ‘건강과 웰빙’의 비율이 74.2%로 집중되어 있어 다른 목표들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며, 환경적 관점은 ‘책임과 있는 소비와 생산’의 비율이 33.2%로 높으나, 환경적 관점의 목표는 골고루 반영되어 있다. 경제적 관점은 전반적으로 낮은 비율이므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3개 관점이 실과 의생활 분야에 균형 있게 포함되었으면 한다. 둘째, 의생활분야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평가는 먼저 모호했던 지속가능발전의 의미와 의생활에서의 지속가능성을 명확하게 알게 되었고, 실습수업을 통한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행동 역량이 강화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핵심역량인 협력 역량과 통합적 문제해결역량을 기를 수 있었고, 디지털역량 강화와 문화다양성을 넓힐 수 있었으며, 수업지도안 작성을 통해 미래의 지속가능의생활교육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보았다. 따라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예비초등교사들에게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역량을 키우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첫째, 초등 의생활 분야에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경제적 관점에 관한 내용이 부족하므로 이와 관련된 콘텐츠 개발을 제안하고, 둘째, 실습 중심의 수업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으므로,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상호적이고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실습수업의 콘텐츠를 개발과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기를 바란다. In accordance with the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is study analyzed the representation of content related to the SDGs in the clothing and living domain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 education textbook. Based on this analysis, a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program was developed, implemented, and evaluated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living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predominantly focused on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50.9%),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45.9%), and an economic perspective (3.2%). Within the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health and well-being’ dominated at 74.2%, eclipsing other goals. Furthermore,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showed a more even distribution across goals, with ‘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accounting for 33.2%. Considering the low percentage attributed to the economic perspective overall, th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the balanced inclusion of all three perspectives of the SDGs in the clothing and living areas. Second,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valuation of the ESD program in clothing and living demonstrated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SDGs and the direction toward sustainability in this domain. The hands-on experience acquired in practical classes provided a concrete demonstration of their commitment to the SDGs, enabling these teachers to cultivate collaboration skills for the SDGs and enhance their integrated problem-solving capabilities. The program strengthened digital capabilities through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dditionally, a lesson plan was prepared for future sustainable clothing and living education while offering opportunities to enhance cultural diversity through clothing culture education. Th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achieving a balance among environmental,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goal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content related to those topics. Second, considering the proven effectiveness of practice-oriented classes, elementary schools should develop interactive and learner-centered practical class content in addition to employ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evel.

      • KCI등재후보

        K-SDGs 12 목표(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에 근거한 초등 실과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희권,이상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연계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현장 적용 및 확산을 목적으로 국 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12 목표에 근거한 ESD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 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초등실과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 육과정 내에 K-SDGs 12 목표에 근거한 ESD 내용의 반영정도를 확인하여,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K-SDGs 12 목표에 근거한 ESD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과정은 분석, 설계, 개 발, 평가의 4단계를 거쳤으며, 개발과정에서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프 로그램 적용은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ㆍ사후검사 설계를 통하 여 학생들의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K-SDGs 12 목표에 근거한 ESD 프로그램을 8개의 학습주제를 바탕으로 총 16차시의 프로그램으로 구안하였다. 둘째, 초등교육과 정 중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요소가 가장 많이 반영된 실과 교과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 며, ESD와 K-SDGs 12 목표와 연계한 단계별 학습모형을 수립하고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셋째, 학생들이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사전ㆍ사후 설문검사를 비교한 결과, K-SDGs 12 목표에 근거한 ESD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성적 분석을 통해서 학생들이 지속가 능한 소비와 생산에 대해 관심과 이해가 높아졌으며 우리의 삶 속에서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천적ㆍ참여적 의식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effects a SDGs program based on the 12th goal of K-SDGs for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education.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research of SDGs and K-SDGs and curriculum analysis, 8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K-SDGs 12 goal and developed a total of 16th hour program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program through expert review, 22 elementary students were applied for 7 weeks by pre- and post-test single group experimental desig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wareness and attitudes for the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tudent`s output and testimonies, th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lass, and they brought the understanding, interest and motivation for the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through various activitie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linkage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he spread of ESD related to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the elementary school field. Based on this research,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to develop the programs related 17 SDGs K-SDGs and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tudent level considering the school classes and the grade group so that the ESD should be spread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ield.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4 영역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강민정,이성희,김윤태,이상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grams for the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based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at were raised to follow millennium development goals(MDGs) in order to spread ESD in the school fields. The program developed a ESD for the 5 grade and the 6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opics 1 through 4 areas out of 17 SDGs, and applied them to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for domestic and overse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curriculum, the subjects of SDGs 1~4 area were extracted and the eight programs were developed, four kind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rade 5 to 6 and four kinds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contextual understanding, curriculum analysis, outline of class, teaching method by each hour, activity guide of class by class, evaluation of each class, and classroom aid materials to improve field suita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program through expert review, 25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29 students from the 1st to 3rd grade high school were applied for 4 weeks of 8th class through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e analysis of program effects consisted of Education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SD) general area(8 items), social area(4 items), environmental area(4 items), economic area(4 items) and SDGs 1 to 4 area(8 item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SD and capacity building for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reas of ESD and changes to SDGs 1~4 area. Therefore, it seems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curriculum,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after-school activities to spread the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school field. An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programs linked to 17 SDG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evel considering the school class and the grade so that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sprea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밀레니엄 발전목표(MDGs) 후속으로 제기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학교 현장에 확산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1~4번 영역에 대한 주제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5~6학년용과 고등학생용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해당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및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SDGs 1~4 영역에 대한 주제를 추출하여 초등학교 5~6학년용과 고등학생용 4종씩 총 8종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프로그램 체제 구성을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맥락적 이해, 교육과정분석, 수업의 개요, 차시별 교수학습 과정안, 차시별 수업활동지, 차시별 평가지, 차시별 수업 도움자료로 구성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수정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25명과 고등학교 1~3학년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단일집단 실험설계를 적용하여4개 주제를 가지고 4주에 걸쳐 8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SD 일반 영역(8문항), 사회적 영역(4문항), 환경적 영역(4영역), 경제적 영역(4문항), SDGs 1~4 영역(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적용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SD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환경․경제․사회적 영역에 대한 역량이 강화되었으며, SDGs 1~4 영역에 대한 변화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확산을 위해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후 활동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본 연구를 기초로 학교급 및 학년군을 고려하여학생 수준에 맞는 17개의 SDGs 목표와 연계한 프로그램들이 꾸준히 개발되어 학교교육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확산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가능한 기여’ 인식의 차이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정소미(Somi Jeong),박태인(Tae I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 참여에 따른 ‘가능한 기여’의 차이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활용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가능한 기여’의 빈도는 어떠한가?, 둘째, 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 참여 여부에따른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가능한 기여’의 연결 중심성은 어떠한가?, 셋째, 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가능한 기여’의 관계성은 어떠한가?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교육 수준에서 교양교과목 수준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참여한 대학생 49명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참여한 적이 없는 대학생 42명이기술한 키워드 403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 교육 참여에 상관없이 봉사활동, 캠페인 참여, 기부활동, 인식교육, 정책 참여는 두 집단 모두에서 ‘가능한 기여’의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두 개 집단이 공통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바로 봉사활동, 캠페인 참여, 일상 속실천 등의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질화된 경향성이 도출되었지만 연결 중심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중심으로 도출된 참여/미참여의 전체 구조를 시각화한 지도에서 두 개 집단이 공통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바가 전반적으로 동질성을 띠고 있지만 세부적인 관계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효과로써 대학생 수준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가능한 기여’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ossible contributions’ from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using network text analysis. The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frequency of possible contributions to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educat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Second, what is the centrality of the connection of possible contributions to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educat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of ‘possible contributions’ to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educat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For this purpose, 403 keywords by 49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t the level of liberal arts subjects and 42 college students who had never participated in education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particip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volunteer activities, campaign participation, donation activities, awareness education, and policy participation have emerged as core keywords for possible contributions in both groups. Second, homogenous trends were derived around core keywords such as volunteer work, campaign participation, and everyday practice that the two groups could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common, bu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nection centrality. Third, the results of connectivity guidance visualizing the overall structure of participation/non-participation derived around sustainable development target education show that the two groups can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general, bu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detailed relationships. It wa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possible contribu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at the university students’ level as an effect of education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