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보정(Kim, Boe-Je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1 No.-
인구는 한 국가 혹은 한 사회를 구성하는 기초적 요인으로써 중요한 요소이다. 한 국가, 한 시대의 사회경제적 변동의 기저에는 인구의 증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조선 초기 관찬지리지인 『경상도지리지』를 중심으로 15세기 경상도 지역의 인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현존하는 『경상도지리지』는 『세종실록』지리지의 편찬과정에서 만들어진 지리지라는 이유로 저평가되어 왔던 인식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지리지로 평가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경상도지리지서」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세종 14년에 새로 편찬된 『팔도지리지』의 일부인 『경상도지리지』는 서문이 없는 형태로 춘추관에 보내진 것이라면, 경주본영에 비치된 『경상도지리지』는 서문을 갖춘 지리지라는 점이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하여 현존하는 『경상도지리지』에 기재되어 있는 군현 114곳의 호구조(戶口條)를 중심으로 15세기 경상도 지역의 인구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도상으로 보면 15세기 경상도 지역의 호와 인구는 경상도 내의 관할 거점 지역인 계수관을 중심으로 하여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이는 경상도 내의 계수관을 중심으로 도시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볼 수 있다. Population is an important factor as a basic factor that constitutes a country or society. Therefore, the basis of social fluctuations in a country or era i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population, especially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working age population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a country or era.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pulation trend of Gyeongsangdo in the 15th century, focusing on Gyeongsangdojiriji (the Geographical Description of Gyeongsangdo) a government-sponsored geography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data value of Gyeongsangdojiriji, the existing official geography, was re-examined. The existing Gyeongsangdojiriji should be evaluated in terms of independent geography, breaking away from the perception that it has been undervalued because it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compiling Sejongsillokjiriji(the Ge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If Gyeongsangdojiriji, a part of the newly compiled paldojiriji(the Ge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early Chosun Dynasty) in the 14th year of King Sejong, was sent to Chunchugwan in the form of no preface, Gyeongsangdojiriji, which was later placed in Gyeongju, is considered to have a different purpose of compil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mpilers, they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Jeong Mong-ju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are from Gyeongsangdo. Second, based on this, the popul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do in the 15th century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arc structures of 114 counties and prefectures listed in the existing Gyeongsangdojiriji. From this, the number of households in Gyeongsangdo is 42,221, with a male population of 172,174 and a female population of 182,895, which can be estimated to be 355,069 in total. The number of districts per unit is 8.41, and the gender ratio for men and women is 94,14, showing a female-dominated phenomenon. In additio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and demographic structure were schematized on a map by analyzing the households and populations of each county and prefecture. On the map, the households and populations of Gyeongsangdo in the 15th century were intensively distributed around Gyesugwan, a jurisdiction base area within Gyeongsangdo. However, Sangjumok had an exceptionally small population compared to the households.
조선전기 지리지에 활용된 거리 단위에 대한 연구 - 경상도 지역 지리지를 사례로 -
이기봉(Lee, Kib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2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조선전기의 지리지인 『경상도지리지』(1425), 『세종실록지리지』(1454), 『경상도속찬지리지』(1469),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수록된 경상도 고을의 거리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1415년(태종 15)에 결정된 ‘주척 6척=1보, 360보=1리’의 거리 측정 원칙이 언제부터 적용되었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도지리지』,『세종실록지리지』,『경상도속찬지리지』에 수록된 거리 정보는 주척이 아니라 영조척을 기준척으로 측정된 수치였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주척을 기준척으로 측정된 수치였다. ‘주척 6척=1보, 360보=1리’라는 거리측정의 원칙은 1415년에 결정되었지만 그것이 적용된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토대였던『팔도지리지』(1477)를 편찬되기 위해 전국적으로 거리 정보를 측정할 때였다. 『팔도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1481)을 거쳐 완성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그 이전의 어느 지리지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거리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조선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고 지도를 제작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자료가 되었다. 그 토대는 ‘주척 6척=1보, 360보=1리’라는 새로운 원칙 아래 전국 방방곡곡의 거리 정보를 측정하여 수록하려 했던 팔도지리지 편찬 사업의 거대한 결과물이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Gyeongsang Province villages" distance information from Gyeongsang-do-Jiriji(慶尙道地理志, 1425), Sejong-Sillok-Jiriji(世宗實錄地理志, 1454), Gyeongsang-do-Sokchan-Jiriji (慶尙道續撰地理誌, 1469), and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1530), all of which are jiriji (geography book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tudy"s aim is to find out when the distance measuring principle of “jucheok(周尺) 6 cheok(尺) = 1 bo(步) ; and 360 bo = 1 li(里),” which was determined in 1415 was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ance information in Gyeongsang-do-Jiriji, Sejong-Sillok-Jiriji, and Gyeongsang-do-Sokchan-Jiriji was measured based on yeongjocheok and not jucheok. Second,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was measured based on jucheok. Even though the distance measurement principle was proclaimed in 1415, it was actually applied when distance information was measured nationwide to publish Paldo-Jiriji(八道地理志, 1477), the basis for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completed after Paldo-Jiriji and Dongguk-Yeojiseungram(東國輿地勝覽, 1481), contains more distance information than any other previous geography books, and became the most important material for identifying Joseon"s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apmaking practices.
송영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2
『三國史記』「地理志」는 한국고대사 및 음운학 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자료이다. 본고에서는 中國 正史 地理志의 구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三國史記』「地理 志」와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또한 『三國史記』「地理志」의 저본이 무엇인지에 대해 통일신라의 지명 개정 작업 및 지역 조사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中國 正史 地理志는 서술구조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三國史記』「地理 志」 중에서 권34~권36은 연혁 서술이 강조된 ‘宋書 州郡志式 서술’에 가깝고, 권37은 기본 사항만 기입한 ‘漢書 地理志式 서술’에 가깝다. 이는 저본 자료의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中國 正史 地理志는 인구에 대한 사항이 필수적으로 기입되었는데, 『三國史記』「地理志」에서는 인구에 대한 사항이 확인되지 않는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이후 효율적인 통치체제 정비를 위해 神文王代에 전국적으로 행정 구역 개편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景德王代에는 대대적인 지명 개정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후 기록이나 금석문자료를 통해 볼 때 景德王代의 지명 개정 작업은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지역 조사 자료를 작성하였는데, 신라 말에 이 자료를 고려가 고스란히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대신 景德王代 이후의 지명 개정 목록을 바탕으로 고려 또한 지명 개정 작업을 시행하였다. 결국 인구에 대한 사항이 제외된 것 또한 이러한 연유로 추측된다. 그러나 『三國史記』「地理志」는 여러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高麗史』와 『新增東國輿地勝覽』에도 반영되는 등 후대 한국 지리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saki(三國史記)》 is an essential material for the study of phonology and Korean ancient history. The study compares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saki》 and of official Chinese history books such as 《Songshu(宋書)》 and 《Hanshu(漢書)》 after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geography sections. In addition, it attempts to clarify place name revision and regional survey during Unified Silla(新羅) period, and the original of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saki》. There are three types in the geography sections of official Chinese histo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description. Among series of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saki》, volume 34~36 are similar to a form of description of the geography section of 《Songshu》, whereas volume 37 has similarity to a form of description of the geography section of 《Hanshu》. It is because of differences in original materials. Furthermore, the geography sections of official Chinese history books contain the population information which is not identified in 《Samguksaki》. After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Silla conducted a nationwide project which reorganizes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 an aim to govern the country effectively under the reign of King Sinmun(神文王). In addition to this, King Gyoungdeok(景德王) extensively changed geographical names. However, the records and epigraph materials indicate that the project for renaming of the area was not successful. It seems that regional survey data of Silla was not handed over to Goryeo(高麗). However, Goryeo also carried out a project based on the list of revised regional name that wes made after the reign of King Gyoungdeok. In the same way the information on population was probably omitted. Although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saki》 had several limitations, it had a profound effect on Korean geography books such as 《Goryeosa(高麗史)》 and 《Sinz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조성을 조선시대사학회 2006 朝鮮時代史學報 Vol.39 No.-
The cont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jong Sillok Chilichi located the capital of Kochoson to modern P'yongyang. Second,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modern P'yongan province belonged to Kochoson. Third, Sejong Sillok Chilichi located the capital of Mahan the modern Iksan. Fourth, Sejong Sillok Chilichi did not refer to Samhan's boundaries. Fifth, Sejong Sillok Chilichi lacated the first capital of Koguyo to Seongchon and did not refer to the lcatioin of the second capital, Kuknaeseong. Six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that the first capital of Paeckje was Chiksan and Paeckje moved to Kwangju in modern Kyunggi Province in the 14th year of King Ohnjo. Seven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that Koguryo's boundary had included Hamgyung, P'yungan, Hwanghae, Kangwon and Kyunggi Province. Eigh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that Paeckje's boundary had included Ch'ungch'unng and Cholla Province. Nin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Silla's boundary was Kyungsang Province. The contents of Koryosa Chilichi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yosa Chilichi located the capital of Kochoson's to modern P'yongyang. Second, Koryosa Chilichi thought the bundary of Koryo's P'ukgue had belonged to Kochoson. Third, Koryosa Chilichi located Mahan's capital to Keummajeo, modern Iksan. Fourth, Koryosa Chilichi thought Koryo had unified Samhan's boundaries. Fifth, Koryosa Chilichi located the first capital of Koguryo to Seongch'on. Sixth, Koryosa Chilichi thought that the first capital of Paeckje was Chiksan and Paeckje moved to Kwangju in modern Kyunggi Province in the 14th year of King Ohnjo. Seventh Koryosa Chilichi thought that the north to the Han River in Kyunggi had belonged to Koguryo. Eighth Koryosa Chilichi thought that the Paeckje's boundary had included Kyunggi and South Ch'ungch'ung, and Cholla Provindes 본론에서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고조선을 檀君朝鮮箕子朝鮮衛滿朝鮮의 三朝鮮으로 묶어서 파악하는 동시에, 고조선의 수도를 평양에 비정하였다. 둘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조선시대 당시 평안도 지역이 원래 고조선의 강역이었던 것으로 비정하였다.셋째 삼한 가운데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馬韓의 首都에 대하여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전라도 益山으로 비정하였다. 넷째 세종실록 지리지의 서두 및 각 道 서두의 沿革 설명에서는 삼한의 강역과 후대와 관련에 대한 언급이 없다. 다섯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고구려 첫 번째 수도 졸본은 평안도 成川 부근에 비정되었고 두 번째 수도 국내성의 위치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세 번째 수도는 평양으로 비정하였다. 여섯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초기 백제의 수도 변천에 대하여 백제의 처음 수도 위례성은 稷山이며 이 곳에서 온조 14년 南漢山(=廣州)으로 옮겼다고 하였다. 일곱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조선 세종 당시 함길도(나중 함경도), 평안도, 강원도(원래 貊 지역), 황해도, 경기도 지역을 고구려의 강역으로 생각하였다.여덟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백제의 강역을 충청도와 전라도에 비정하였으며 경기 지역은 고구려 영역이었다고 생각하였다. 아홉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신라의 강역은 경상도 지역에 비정되었다.열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 檀君朝鮮箕子朝鮮衛滿朝鮮을 三朝鮮으로 묶어서 파악하는 동시에 이들의 수도를 모두 平壤(고려 당시 西京)에 비정하였다.열한 번째 고려사 지리지는 고려 당시의 北界 지역을 고조선의 강역으로 보았다. 열두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 삼한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마한의 수도는 金馬郡으로 비정되었다. 열세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고려가 三韓 지역을 통일한 것으로 보면서 삼한의 馬韓, 辰韓, 卞韓 가운데 구체적으로 그 강역을 언급한 것은 辰韓만이다.열네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고구려의 수도에 대하여 처음 수도 졸본은 대략 成州(고려 당시; 조선시대 成川) 부근으로 비정하였다. 열다섯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초기 백제의 수도 변천에 대하여 처음 도읍지 위례성은 직산이며 직산에서 온조 14년 남한산성(오늘날 경기도 廣州)으로 이주하였다고 보았다.열여섯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고구려의 강역에 대하여 고려시대 양광도 지역 가운데 한강 이북은 원래 고구려 강역이었다고 간주하였고 고려 시대 교주도 지역은 본래 貊 지역이었으나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강역이 되었으며 고려시대 북계 지역은 원래 고조선 지역이었으나 삼국시대에 고구려 강역이 되었다고 보았다.열일곱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 백제의 강역에 대하여는 고려시대 양광도 가운데 한강이남 지역과 고려시대 전라도 지역을 원래 백제의 강역이었다고 생각하였다.
이규보(李奎報)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의 지리지적(地理誌的) 성격 고찰
유정열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2023 전북학연구 Vol.10 No.-
본고는 이규보(李奎報)의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를 지리지적(地理誌的) 성격 을 지닌 작품으로 보고 그 면모를 고찰했다. 「남행월일기」는 기본적으로 산수유기 (山水遊記)에 속하는 작품이다. 다만 산수미의 형상화보다 유람지들의 정보를 제시 하는 데 집중했다는 점에서 ‘지리지적 성격을 지닌 산수유기’로 볼 수 있다. 산수 유기가 지리지적 성격을 지니는 것은 장르 경향 중 하나라 할 수 있으며, 「남행월 일기」는 한국 산수유기의 역사에서 이 경향을 선도한 작품이다. 한편 산수유기와 지리지의 상위 장르인 ‘기’(記)와 ‘지’(誌)는 ‘사실 기록’이라는 기본 성격을 공유하 기 때문에 서로 넘나들며 혼용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보면 「남행월일기」가 지리지 적 성격을 지니는 것이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남행월일기」의 지리지적 성격은 먼저 그 수록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남행월일기」에는 이규보가 유람한 지역들의 지세, 식생, 풍속, 종교 등과 같은 정보들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다. 이 정보들은 해당 지역들의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는 가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록 정보들이 후대 지리지에 수용된 실태를 살펴보는 것을 통해서도 「남행월일기」의 지리지적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행월일기」 수록 정보들은 조선 초기에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수용된 이래로 조선 시대 거의 전시 기 동안 전국 단위의 것은 물론 지역 단위 것에 이르기까지 지리지에 광범위하게 수용되었다. 이는 「남행월일기」가 애초에 지리지적 성격을 지닌 작품이었기에 가 능한 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내용에 의거해 「남행월일기」의 위상을 지리지적 측면에서도 정립해 볼 수 있었다. 「남행월일기」 수록 정보들은 거의 전라북도에 대한 것이며, 그 이전의 저술 중 전라북도에 대한 정보들을 집중적으로 수록한 것을 발견하기도 어렵다. 이 때문에 「남행월일기」는 전북지(全北誌)의 성격을 지닌 가장 이른 시기의 저술로도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sidered Lee, Gyu-bo’s 「Namhaengwolilgi」 as a work with a geographical character and examined its aspects. 「Namhaengwolilgi」is a work that belongs to the essays on landscapes. However, it focuses on presenting information on tourist attractions rather than embodying the natural beauties. It can be seen as an ‘essay on landscapes with geographical characters.' The fact that essays on landscapes have a geographical character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trends of the genre, and 「Namhaengwolilgi」 is a work that led this trend in the history of essays on landscapes of Korea. Meanwhile, ‘Gi’ and ‘Ji’ which are higher genres of essays on landscapes and geography, were used interchangeably because they shared the basic characteristic of ‘record of truth’. From this, we can see that 「Namhaengwolilgi」 can have geographical character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mhaengwolilgi」 could be confirmed by first examining its contents. 「Namhaengwolilgi」 contains a wealth of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y, vegetation, customs, religion, etc. of the regions where Lee, Kyu-bo traveled. This information is valuable and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natural and human geography of the region. Next, the geographical nature of 「Namhaengwolilgi」 could be confirmed by examining the pattern in which the information included was accepted into posterity geographical journals. Since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 Namhaengwolilgi」 was accepted in 『Donggukyeojiseungr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widely accepted in geography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regional level throughout almost the entire period of Joseon Dynasty. This can be seen as possible because 「Namhaengwolilgi」 was originally a work with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bove contents, the status of 「Namhaengwolilgi」 could be established in terms of geographical aspect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Namhaengwolilgi」 is mostly about Jeollabukdo, and it is difficult to find previous writings that contain information about Jellabukdo intensively. For this reason, 「Namhaengwolilgi」 can be evaluated as the earliest period of Jeonbok geographical journal.
전문가 설문을 통한 『한국지지』와 『한국지리지』 발간성과 분석
유근배(Keun Bae Yu),홍유인(Yooinn Hong),신영호(Young Ho Shin),권용우(Yongwoo Kwon),김찬웅(Chan Woong Kim)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5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 현대 지리지인 『한국지지』와 『한국지리지』의 사업성과를 평가한 것이다. 1980년대와 2000년대에 수행된 지리지 발간사업에 대하여 지리학 전문가를 대상으로 지리지 편찬체계와 참여인력, 지리지의 내용과 구성, 시각자료 활용 등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리학 전문가들은 『한국지지』와 『한국지리지』의 의의를 높게 평가하였고, 동시에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편찬주기, 소요기간, 분량, 집필진 선정방식, 주제구분과 권역구분 등에 대해서는 현행방식에 만족하였다. 편찬방식에 있어 집필진 외에 상위 책임자를 추가할 것, 난이도에 있어 보편적 독자를 더욱 염두에 둘 것, 시각자료 활용에 있어 도안과 표현의 다양화 등을 주문하였다. 이러한 응답성향은 응답자의 직업, 지리지 편찬 참여경력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한 지리지 사업성과 평가는 추후 지리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주요 고려사항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ets out to assess achievement of two series of publication titled “the Geography of Korea”, which established itself as the most representative publication on Korea’s geography. For assessment, this study selected Delphi method to survey Korean geographical professionals on the publication by requesting respondents to rate the adequacy of its: publishing system, production team organization, array of topics, target reader, classification of regions, and use of visual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e respondents highly appreciated the significance of the publications and generally agreed that the past publications had adequate level of: publication frequency, time allowed for writing, number of pages, selection criteria of authors, range of topics, region classification schemes. On the other hand, dissatisfaction from the respondents came from the lack of chief supervisor over each section or the whole publication. The geographers also stressed the need to enhance the publication’s accessibility to the wider public by adopting easier writings and also requested diversification of visual aid desig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respondent groups by occupations and by past involvement in the pub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to identify the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publications on “the Geography of Korea”.
서인원 동북아역사재단 2022 영토해양연구 Vol.24 No.-
조선시대 초기의 관찬(官撰) 지리지(地理志)의 제작은 국가 문물 제도 정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편찬 사업이었다. 특히 지리지는 국가 수취 체제의필요성 이외에도 국가의 영토 개념이 들어가는 중요한 관찬 사업이었다. 조선 초기에는 요동 지역을 위시한 북방 지역 이외에도 하삼도(下三道)의 해도(海島)에 대한 영토 인식이 확대되어 가는 시기였다. 조선 정부의 해도 인식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뿐만이 아니라 조선초기에 편찬된 지리지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지리지의 편찬 과정에서 해도에 대한 숫자와 내용 등이 다양해지고 확대되기 때문이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산천조(山川條)」에 수록된 해도에 대한 기록은 고려시대에 비해 훨씬 정밀하고, 답사를 바탕으로 축적된 경험들로 구성되었다.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서는 12개만 파악된 해도의 수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의 107개를 거쳐 『동국여지승람』에서는 572개로 확대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서는 해도(海島)를 산천조에 편입하여 영토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조선 초기 중앙 정부의 해도 인식은 대단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조선 초기의 지리지 편찬 과정에서 중앙 정부가 각 도의 지리지 편찬사목(編纂事目)을 하달하고 국가의 관리들이 직접 조사하여 확인한 내용을 여러 번에 걸쳐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해도에 대한 내용 역시 편찬사목으로 정하여 정확한 파악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초기 우산도(于山島)·무릉도(武陵島)에 대한 탐색뿐만 아니라, 요도나 삼봉도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존재하는 해도와 존재하지 않은해도에 대한 파악을 끝낸 후, 우산도와 무릉도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였으므로 국가가 공식적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기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선 초 사방경계의 분석과 공간적 재현 - 『세종실록지리지』의 경기도를 중심으로 -
김현종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2
본고는 지리지의 조목 중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사방경계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공간적 재현을 통 해 사방경계의 의미를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가장 이른 시기의 군현의 사방경계 기록은 『경상도지리지』 에서 발견된다. 이후 전국 모든 군현을 대상으로 사방경계가 정리된 것은 『세종실록지리지』이다. 조선 초 두 개 지 리지의 사방경계의 서술방식은 중심 군현의 면(面)적인 속성을 텍스트로 표현하기 위해 읍치로부터 인접한 군현 까지의 구간을 방향과 거리로 기록하였다. 사방경계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세종실록지리지』의 사방경계의 각 구간을 공간적으로 재현해보았다. 그 결과 사방경계는 첫째, 중심 군현의 면(面)으로서의 형상적인 모양을 텍스 트로 서술, 둘째, 인접 군현과의 관계를 서술, 셋째, 점과 선으로서 읍치와 읍치간의 네트워크를 서술하는 목적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단, 사방경계가 교통로 속성을 내재하고는 있으나, 『세종실록지리지』 편찬 단계에서는 사 방경계가 지역간 교통로를 지칭했다고 확정하기는 어려운 점을 지적하였다.
유연성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1
『해동제국기(海東諸國紀)』는 1443년에 신숙주가 일본을 다녀온 뒤 1471년에 왕명을 받아 편찬한 사행록이다. 일본과의 교류가 많지 않던 시기의 일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사료이다. 조선은 일본과의 외교에서 교린체제를 유지하며, 왜구(倭寇)에 대한 통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 와 같은 시기에 편찬된 『해동제국기』는 사행록이지만 일본의 지도와 인 문지리 정보를 수록한 지리지로 볼 수 있다. 조선 전기의 지리지인 『세종실록』「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을 통해 국가에서 중요시했던 자료이다. 지리지는 임진왜란 당시 기록을 통해 국 가 전시상황에서 정보지로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평시에 국가 통 치의 일환으로서 제작된 지리지가 전시에는 적에게 가장 큰 정보수단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동제국기』의 일본 정보는 조선의 방어 개 념 보다는, 일본에 대한 공세적 방어에 주안을 둔 기록이다. 군사적 관점 에서 『해동제국기』의 정보는 군사적 활용이 가능한 기록이다. 『해동제국기』는 외교지침서이자 군사적 성격을 가진 지리지로 볼 수 있다. The Haedongjegukgi(海東諸國紀) is a sahaengrok(使行錄) compiled by the king’s order in 1471 after Shin-Sukju visited Japan in 1443. This is a historical document that records information about Japan during a period when there was not much exchange with Japan. The Joseon Dynasty maintained its Gyorin(交隣) system in diplomacy with Japan and focused on controlling Japanese pirates(倭寇). The Haedongjegukgi, compiled during this period, is a saheangrok, but it can be viewed as a Jiriji(地理誌) containing Japanese maps and human geography information. It is a material that was regarded as important by the government through the Sejongsillok Jiriji(世宗實錄 地理志) and Donggukyeojiseungram(東 國輿地勝覽), which were the Jiriji of the early Joseon Dynasty. Record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 show that Jiriji was used as an information document during the national war. This means that Jiriji, which was produced as part of state rule during peacetime, can be the biggest means of information for enemies during the war. The Japanese information in Haedongjegukgi is a record focusing on offensive defense against Japan rather than the concept of defense of Joseon. From a military point of view, the information of the Haedongjegukgi is a record that can be used militaryly. The Haedongjegukgi can be viewed as a diplomatic guidebook and also as a Jiriji with a military Characteristics.
역사민속 물산지리지로서 『세종실록지리지』의 팔도 곡물 분포와 특성 연구
김일권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7 한국문화연구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spersion of grains throughout the eight provinces in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e fact that natural environment and local products affects people’s life and culture. As analyzing local products, especially about grains through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世宗實錄地理志), this paper approached further understanding on staple grain of each province. As a result, grains mainly consumed were categorized as 3 kinds; rice, bean, and minor grains which includes several subclasses. Each province showed different diet of grains according to their natural background and richness. For example, bean was produced all over the province, while red bean and grean bean were not produced in Pyeongan and Hamgil province which is the northernmost province of the country. This shows the north limit line of these bean growth at that time. Besides, wheat was harvested at the entire province, while barley was grown only at the Gyeonggi, Hwanghae, Hamgil province. This result shows wheat was more common in the past, and implies the chinese character ‘麥[maek]’ meaning ‘barley’ nowadays might have referred to ‘wheat’ at that time, because wheat was named as 眞麥[Jinmaek]’ which means ‘real barley’. Because difference of the diet formed different food culture and people’s life, this research can help underst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of local food. 본 연구는 지리지에 대한 역사학과 생태학 및 민속학을 융복합한 관점에서 접근하는 역사민속지리지 연구를 목표로 삼아, 그 방향성을 생태․물산․풍속이라는 키워드로 열고자 하였다. 본고는 향후 더욱 전면적이고 치밀한 물산지리지를 구축하는 일환으로 토산식물의 서술적 범주와 자료적 범주에 주목하여 그 개황을 살폈고, 그중에 8도 「물산총론편」 수록 곡물류 물산의 분포와 특성 규명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8도별 <전부>조의 기록을 분석하여, 주식물인 곡물의 종류와 분포 상황을 검토하였고, 이를 미곡류와 두맥류 및 잡곡류로 갈라서 고찰하였으며, 조미물과 직물류에 대한 수록상황도 아울러 살폈다. 그 결과 당시 미곡물 종류가 볍쌀(稻米), 찹쌀(糯米), 좁쌀(粟米), 핍쌀(稷米)의 4종류가 추출되었으며, 그 다음 두곡류로 콩은 8도 공히 생산되었고, 팥과 녹두가 평안 및 함길도에는 수록되지 않아 북방 작물한계선을 시사하였다. 그 다음 맥곡류로 밀이 전국 8도에 걸쳐 재배된 반면에, 보리는 경기, 황해, 함길의 3도에만 채록되는 드문 상황을 보였다. 이런 때문에 당시로서 맥(麥)이란 글자가 근대처럼 보리로 인식되기 보다는 밀로 인식되는 면이 강하였을 측면이 상정되며, 이에 우리말 이두식 한자어 진맥(眞麥)은 ‘밀’이야말로 참 맥(麥)이라는 인식의 결과물이라 하게 된다. 나아가 이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도별 주식 곡물 및 종류별 소비 형태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세종지리지』가 역사민속 물산지리지로서 지니는 성격을 드러내는데 일정한 의의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