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佛性의 本質과 衆生의 關係 - 『寶性論』의 「一切衆生如來藏品」을 中心으로-

        이석환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3 No.-

        Tathagata-Garbha doctrine is the theor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Buddha-nature and therefore, they hav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Buddha. In this behalf, Ratnagotra-vibhāga is the commentary that systemized the doctrine of Tathagata-Garbha. And particularly, in the 5th chapter of this work which is titled 「All sentient beings have Tathagata-Garbha chapter(一切衆生有如來藏品)」 the way of recognizing Buddha-nature is analyzed by 10 kinds of meanings and 3 kinds of self-nature(自性). Therefore the way of recognizing the Buddha-nature in the Ratnagotra-vibhāga and how Tathagata-Garbha and sentient beings are related are examined in this paper. About the substance of Tathagata-Garbha, the Ratnagotra-vibhāga reveals that Dharma-body(法身) with clean nature is pervasive in all sentient beings, and there is no discrimination in the Buddha-nature and sentient beings, and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the possibility of attaining Buddhahood. This emphasizes the faith that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which is universal and invariable, therefore they should practice Tathata (true-self) in order to complete it. Also, by analyzing the manifestation of Buddha-nature in terms of self-nature · cause(因) · result(果) · karma · association(相應) · act(行) · time distinction(時差別) · pervasive in all places(遍一切處) · permanence non-dualism(不變不異) · indiscrimination(無差別), it says that sentient beings have the factor to attain Dharma-body. So Buddha should enlighten sentient beings and sentient beings need to develop the Buddha-nature through practice. As shown above, the Ratnagotra-vibhāga which is the early commentary on Tathagata-Garbha argues that sentient beings can be a Buddha through the connection point called Tathagata-Garbha while emphasizing the homogeneity between sentient beings and Buddha. That is, it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tient beings and Tathagata-Garbha, stressing that practice based on firm belief is needed to manifest the Buddha-nature. 如來藏思想은 모든 중생이 佛性을 지니고 있어서 부처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제하는 이론이다. 이러한 여래장사상을 체계화 한 논서가 『究竟一乘寶性論』이다. 특히 제5품인 「一切衆生如來藏品」에서는 불성을 인식하는 방법을 여래장의 3가지 自性과 10가지 뜻에 의해 분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보성론』에서는 불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여래장과 중생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보성론』에서는 여래장의 본질에 대하여 本性淸淨한 法身이 모든 중생에게 편만하게 있으며, 여래와 중생의 본성에 있어서는 차별이 없고, 모든 중생에게는 성불의 가능성인 불성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것은 중생에게는 보편적이며 변화하지 않는 불성이 있기 때문에 진여를 수련하여 완성해야하는 믿음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불성이 顯現하는 것을 自性 · 因 · 果 · 業 · 相應 · 行 · 時差別 · 遍一切處 · 不變不異 · 無差別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중생에게는 법신을 얻을 수 있는 요인이 있기 때문에 부처는 중생을 교화하고 중생은 수행을 통해 부처의 본성을 계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래장 초기 논서인 『보성론』은 중생과 부처의 동질성을 강조하면서도 중생이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여래장이라는 연결점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즉, 불성을 현현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믿음을 바탕으로 한 수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중생과 여래장의 관계를 서술한 것이다.

      • 『삼국유사』 「탑상」 편에 보이는 「삼소관음 중생사」조에 대한 몇 가지 새로운 검토

        조범환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5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

        본고는 『삼국유사』 「탑상」 편에 실린 중생사조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경주 낭산에 위치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중생사는 관음도량으로서 당대 신라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었다. 그곳에는 십일면관음상이 조성되어 있었고 백률사 및 민장사와 더불어 관음보살의 영험함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일연은 중생사와 백률사 그리고 민장사를 함께 묶어 『삼국유사』 「탑상」 편에서 ‘三所觀音’이라고 하였다. 중생사의 창건 단월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창건 시기가 대체로 진덕여왕 무렵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중생사라고 하는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은 아무래도 그곳에 십일면관음보살상을 조성한 것과 어떤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아지는데 이는 곧 중생들을 위한 사찰이라고 하는 점에서 볼 때 그러하다. 그리고 중생사의 관음보살상은 현세이익적인 성격의 것으로 해석되는데 그것은 최은함이 관음상에게 빌어 아들을 얻은 것과 견훤의 경주 침공이라는 환란을 당하여 그곳에서 아들의 목숨을 구한 것을 통해 입증된다. 결국 중생사는 신라 말 육두품인 최은함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그가 중생사의 단월이었음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경순왕의 고려귀부로 말미암아 최은함과 최승로 父子의 개경 이주는 중생사의 경제적 기반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돌려 말하면 중생사의 단월이 사라진 셈이다. 따라서 중생사는 경제적으로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에 금주 지역에서 중생사에 대한 시주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옛날 중생사를 통해 받았던 경제적 도움을 되갚는 계기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아진다. 중생사가 경제적으로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음은 이를 나위가 없다. 최승로의 후손인 최제안이 그들의 조상들과 매우 가까웠던 중생사를 제쳐두고 천룡사를 지원하여 원찰로 삼게 된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이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The aim of research paper of ‘Avalokitesvara at Three Places(三所觀音)’ in 『Samguk Yusa』. As this article states only one temple ‘Choong-saengsa Temple(衆生寺)’, it leads to confusion as to where the three places are. In the writer’s opinion, as this ‘three places’ means ‘three temples’, it is rational that two temples following this article, ‘Baek-rhyulsa Temple(栢栗寺)’ and ‘Min-Jangsa Temple(敏藏寺)’ should be included in the title of ‘Avalokitesvara at three Places(三所觀音)’. Folk-tale related to Choe Seung-ro(崔承老) is recorded in temple originated narratives of ‘Choong-saengsa Temple.’ Here, the Avalokitesvara image of Choong-saengsa Temple effectively shows the belief as saying of being able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y through its miracle. A story of Choe Seung-ro’s family related to rebuilding of Cheonryongsa temple is revealed the political attitude in Yukdupum(六頭品), which had moved from Silla in the early Goryeo period. Through folk-tale related to Choe Seung-ro in this way, the growth in Choe Seung-ro’s family and the situation in the early Goryeo period can be confirmed indirectly in the Buddhism-based historical aspect.

      • KCI등재

        슈페너와 몰트만의 중생(Wiedergeburt) 개념에 대한 비교 연구

        이상조 한국교회사학회 2019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3 No.-

        17~18세기에 독일어권을 중심으로 일어난 경건주의는 경건한 삶과 ‘거룩함’을 강조함으로써 ‘경건의 방향전환’(Frömmigkeitswende)을 시도한 운동이었다. 경건의 방향을 교리보다는 개인의 내면적 삶에 둔 경건주의자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한 경건의 최종 목표는 무엇이었을까? 그들은 다만 거 룩한 삶의 윤리적 완전성(Vollkommenheit)을 지향한 사람들이었을까? 그 들은 이천년의 기독교 역사에서 종종 만나게 되는 도덕주의자 혹은 율법주 의자였을까? 오늘날 적지 않은 사람들은 경건주의를 율법주의적인 도덕주 의와 비슷하게 생각하곤 한다. 경건주의에 대한 이러한 오해는 경건주의자들이 구원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경건주의자들은 루터처럼 오직 믿음에 의한 칭의만이 다른 모든 교리가 흘러나오는 근원이라고 말하면서도 소위 ‘거짓 믿음, 죽은 믿음’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하였다. 더불어 생명력 있는 믿음 생활, 거룩한 경건 생활을 강조하면서 능동적 선행만이 오직 참된 믿음의 표지라고 이해하였고, 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법정적 ‘칭의’ 보다는 ‘중생’(Wiedergeburt)을 더 즐겨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현대 신학자 중에서 이러한 경건주의의 중생 개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이를 새롭게 해석한 사람이 위르겐 몰트만이다. 몰트만 신학에 대한 경건주의의 영향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몰트만은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성령에 대한 신학적 전개를 함에 있어서 진젠도르프의 기독론으로 부터 중요한 통찰력을 얻었다. 그의 삼위일체론은 프리드리히 크리스토프 외팅어의 사상과 유사하다. 또한 몰트만은 종말론 신학을 전개함에 있어서 슈페너, 벵엘, 외팅어의 종말론적 견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새롭게 발전시켰다. 뿐만 아니라 칭의와 성화, 중생과 같은 구원론적 사상과 관련해서도 몰트만은 루터교 정통주의의 법정적 칭의론의 한계를 지적하며 경건 주의적인 중생 개념으로 보충할 것을 언급하고 있다. 그럼에도 몰트만의 구원론에 대한 경건주의의 영향은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슈페너와 몰트만의 중생 개념을 비교·분석하여 경건주의 적인 중생 이해를 몰트만이 어떻게 수용·변화시켰는지, 양자 사이에는 어 떤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본 논문은 이 과정을 통해 몰트만 신학에 대한 경건주의 영향사 연구에 중요한 학문적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경건주의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Pietism was a movement that attempted the direction of godliness (Frömmigkeitswende) by emphasizing godly living and holiness. What was the ultimate goal of pietists ultimately aimed at in the inner life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doctrine? Are they just oriented to the ethical perfection of holy life (Vollkommenheit)? Was they a moralist or legalist, often encountered in two thousand years of Christian history? Not many today consider godliness similar to legalistic moralism. This misunderstanding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pietist explaining salvation. Pietists, like Luther, said that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was the fountainhead from which all other doctrines flowed, but criticized the so-called “false faith, the dead faith.” In addition, they emphasized the vital life of faith and the holy life of godliness, and understood that active goodness was the only sign of true faith. In this process, Pietists used ‘rebirth/regeneration (Wiedergeburt)’ more than forensic conception of justification. One of the modern theologians is Jürgen Moltmann, who positively evaluates this concept of rebirth and reinterprets it. The influence of Pietism on Moltmann theology is well known. Moltmann gained important insights from Zinzendorf's Christology in the theological development of the Passion and Holy Spirit of Jesus Christ. His Trinity theory is similar to that of Friedrich Christoph Ottinger. Also, in developing eschatological theology, Moltmann critically embraced the eschatological views of Spener, Bengel and Ottinger. In addition, in connection with the soteriological ideas of justification, sanctification, and rebirth/regeneration, Moltmann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forensic justification of Lutheran orthodoxy and mentions supplementation with the concept of pietistic rebirth/ regeneration. Nevertheless, the influence of Pietism on Moltmann's soteriology has not been studied in earnest. In this paper,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concept of Spener and Moltmann's rebirth/regeneration to see how Moltmann accepted and transformed the pietistic understanding of rebirth/regeneration.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balanced view of pietism as well as to provide important academic data for the study of pietist influence history on Moltmann theology.

      • KCI등재

        자유주제 :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의 불교영화 -1980년대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민영 ( Min Young Par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7

        1980년대 이후에 발표된 한국 불교영화는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이 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살펴볼 수 있다.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은 깨달음을 지향하는 구도의 방법이라는 점에서 서로 맞물려 있다. 한국의 불교 영화는 이 두 주제를 변주하면서 발전하는데, 특히 중생구제를 통한 구도는 1980년대 암울했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교의 존재의의를 다시금성찰하게 했다. 2장에서는 중생구제의 불교영화로서 임권택 감독의 영화 <만다라>와 <아제 아제 바라아제>를 살펴봤다. 영화 <만다라>는 법운과 파계승 지산의 대조적인 삶을 통해 진정한 깨달음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해답을 진지하게 모색한다. 영화 <아제 아제 바라아제>는 중생구 제라는 주제를 한층 더 심화시킨 작품이다. 진성이 오로지 참선과 만행 으로써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면, 순녀는 사랑과 베풂으로써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자기실현의 불교영화로서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과 배창호 감독의 <꿈>을 살펴봤다. 한국 불교영화의 주류를 이루던 중생구제의 주제는 1989년에 제작된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을 전환점으로 깨달음과 자기실현 쪽으로 기울어졌다. 이 영화에서 배용균 감독은 불교라는 종교를 매개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탐구하고자 했다. .삼국유사.의 조신 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꿈>은 구도자의 자기실현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중생구제의 불교영화가 승과 속의 갈등 가운데서 중생과 더불어 고뇌하며 깨달음을 구했다면, 자기실현의 불교영화는 보다 개인적인 관점에서 인간 본연의 내면적인 문제에 집중했다. 일반적으로 중생구제의 영화는 불교라는 범주 안에서 공감을 공유하지만, 자기실현의 영화는 종교적 범주를 뛰어넘는 보편적 공감을 지향한다. 이렇게 한국의 불교 영화는 이웃과 더불어 깨달음을 실천하거나, 종교를 매개로 내면의 세계를 탐구하는 경향으로 심화 발전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Buddhist films released since the 1980s from the two perspectives: relief of beings and self-realization. These two are interconnected in that both are the ways to seek after truth to reach enlightenment. Korean Buddhist films have developed, pivoting on these two themes. Seeking after truth through relief of beings, in particular, shed a light on the dark age of the 1980s, highlighting the social significance of Buddhism. Chapter Two looks at the director Im Kown-Taek’s Mandala (1981) and Come Come Come Upward (1989) as Buddhist films. The Movie Mandala tries to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rue enlightenment? by contrasting Beob-wun and a apostate named Jisan. Another film by Im Kwon-Taek, Come Come Come Upward, explores the theme, the relief of beings, with more depth. In the movie, Jinsung tries to reach enlightenment only through meditation and actions while Soonye tried to relieve all the suffering beings by giving love. Chapter Three addresses Bae Yong-Kyun’s Why Has Bodhi-Dharma Left for the East (1989) and Bae Chang-Ho’s The Dream (1990). Why Has Bodhi-Dharma Left for the East marked a turning point in the mainstream Korean films, by changing the trend from the relief of beings to enlightenment and self-realization. In this movie, Bae Yong-Kyun tries to explore human inner world through the medium of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 Dream depicts the process of a seeker’s self-realization stage by stage, based on a legend titled “Jo Shin’s Story” from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ngnyusa). While the Buddhist films on the relief of beings seek enlightenment in the midst of the conflicts between holiness and secularity, those on self-realization have assumed individualistic point of view and focus on human intrinsic qualities in light of individualism. That is, while the movies on the relief of beings put forward with empathy inside Buddhism, those on self-realization pursue universal empathy that goes beyond a religious category. Since these movies, Korean films have developed to explore inner world through the medium of religions while living with neighbors and putting enlightenment into practice.

      • KCI등재

        중관학파의 공사상에서 자비의 성립과 완성 - 『大智度論』을 중심으로

        남수영(Nam Sooyoung) 보조사상연구원 2006 보조사상 Vol.25 No.-

          대승불교는 일반적으로 공사상을 근본으로 하면서도 중생에 대한 자비를 강조한다. 그런데 공사상의 실천은 일체법에 대한 무집착으로 나타나므로, 일체법이 공임을 주장하는 중관학파는 열반에도 집착하지 않는 철저한 무집착의 실천을 주장하게 된다. 그러나 바로 여기서 ‘보살이 일체법이 공이라는 반야지를 깨닫게 되어 중생을 포함하는 일체법에 대한 집착을 모두 끊어 버린다면 자비도 불가능하지 않을까?’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관학파의 여러 논서들을 보면 자비는 여전히 그 실천의 중심에 놓여 있음을 본다. 그렇다면 중관학파의 공사상에서 자비와 空은 어떤 방식으로 대립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는 것일까? 또 자비의 성립 동기는 무엇이고, 보살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그것을 완성시켜 나가는 것일까? 필자는 그와 같은 몇가지 문제들을 중관학파의 초기 문헌인 『대지도론』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예상과는 달리 중관학파는 일체법이 공임을 아는 반야지를 모든 덕목의 근거라고 생각했던 것이 아니라, 자비를 모든 덕목의 근거라고 생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대지도론』은 ‘중생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 법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 대상이 없는 자비’ 등 소위 세 가지의 자비를 설하고, 이 중에서 ‘대상이 없는 자비’야말로 부처가 행하는 자비로서 최고의 자비라고 설한다. 『대지도론』의 이와 같은 설명을 『중론』이나 『금강반야바라밀경』의 문구들을 통해서 검토해 본 결과, 반야지를 성취하도록 촉발하는 근거였던 자비는 다시 반야지에 의해서 더욱 순수하고 청정한 것으로서 완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중관학파의 공사상에서 반야지는 자비를 근거로 해서 성취되고, 그렇게 해서 성취된 반야지는 다시 자비를 더욱 순수하고 청정한 것으로 완성시키는 관계로서, 반야지와 자비는 서로 대립하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 보완하는 관계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찰로부터 알 수 있었던 또 다른 사실은 중관학파에서 반야지가 자비를 성립시키는 동기로서 인식되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반야지는 자비를 더욱 순수하고 청정한 것으로 완성시키기는 하지만 그것에 의해서 자비가 촉발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반대로 자비야말로 반야지를 성취하도록 촉발하는 동기로서 생각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사실은 자비가 ‘空觀에 기초한 自他不二의 관념’위에서 성립한다고 주장하는 中村元의 주장이 타당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필자는 中村元의 연구와는 다른 측면에서 자비의 성립 동기를 찾아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자비의 성립에 대한 다소 불명료한 『대지도론』의 설명을 텐진 갸초의 설명을 통해서 보완한 결과, 자비는 1)고통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다른 중생들이 겪는 고통에 대한 공감의 발생, 2)상호의존인 연기의 자각으로부터 다른 중생들에 대한 친밀감의 발생, 3)자비의 성립이라는 순서에 따라 일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자비의 성립 동기는 中村元이 제시하는 것처럼 ‘공관에 기초한 자타불이의 관념’이라기 보다는 1)고통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발생한 다른 중생들이 겪는 고통에 대한 공감, 2)상호의존인 연기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발생한 다른 중생들에 대한 친밀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中村元이 제시하는 ‘공관이나 무아설에 기초한 자타불이의 관념’이 자비와 전혀 관계없는 것은 아니다. 즉 자비는 반야지를 획득하는 원인이 되고, 그렇게 해서 획득된 반야지는 다시 보살의 자비심을 더욱 순수하고 청정한 것으로 완성시키는 것처럼, ‘공관에 기초한 자타불이의 관념’은 보살의 자비심을 더욱 순수하고 청정한 것으로 완성시켜 나가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중관학파의 공사상에서 자비의 성립으로부터 완성에 이르는 과정을 종합해 보면, 1)고통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다른 중생들이 겪는 고통에 대한 공감의 발생, 2)상호의존의 연기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다른 중생들에 대한 친밀감의 발생, 3)중생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의 현현(=衆生緣의 자비, 자비의 성립), 4)보리심의 발생, 5)我空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法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의 현현 (=法緣의 자비), 6)法空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대상이 없는 자비의 현현(=無緣의 자비, 大慈大悲의 현현, 자비의 완성)이라는 순서가 될 것이다.   The mah?y?na buddhism emphasizes mercy on all living beings, though it based on the ??nyat?-v?da. But the practice of ??nyat?-v?da reveals itself on the form of thorough non-attachment on all things. Therefore the ??nyat?-v?da of m?dhyamika insists on the non-attachment even on nirv??a. But how the mercy can be possible, if bodhisattva who realized ??nyat? cuts off all attachment on all things even including all living beings?   But the m?dhyamika texts show that the mercy is placed on the center of practice all the same. If so, how both the mercy and the ??nyat? can be exist together? In addition, what is the motive of mercy and by which process bodhisattva completes it? So present writer examined in such topics centering around the early m?dhyamika text Mah?praj??p?ramit?-??stra. As the result of that examination, present writer found that the base of all practical rules is not the wisdom of praj?? but the mercy in the m?dhyamika.   Also present writer found that Mah?praj?? p?ramit?-??stra asserts three kinds of mercy that are 1) the mercy which takes the all living beings as it"s object, 2) the mercy which takes dharma as it"s object, and 3) the mercy which takes no object, and the last is the highest one buddha practices.   The examination on this description of Mah?praj?? p?ramit?-??stra through Madhyamaka-??stra and Vajracchedik?-praj??p?ramit?-s?tra shows that the mercy, which is the base of wisdom of praj??, is completed as the most purest one by the wisdom of praj?? in it"s turn. In other words, the relation between mercy and wisdom of praj?? in the ??nyat?-v?da of m?dhyamika is not antagonistic but complimentary, that is the wisdom of praj?? is attained based on the mercy and the very mercy is completed as the most purest one by the wisdom of praj??.   The other fact, which this examination found, is that the wisdom of praj?? is not the motive of the mercy in m?dhyamika, though it completes the mercy as the most purest one. On the contrarly, m?dhyamika thought the mercy is the motive of wisdom of praj??. This shows the opinion of Nakamura Hajime, that the mercy is caused by the idea of non-difference of me and others, is not correct, because the idea of non-difference of me and others can be possible by the wisdom of praj??. So present writer made efforts to search the motive of mercy centering around Mah?praj??p?ramit?-??stra and Tenzin Gyatso"s exposition.   The supplementary exposition of Tenzin Gyatso to the some obscure exposition on the motive of mercy in Mah?praj??p?ramit?-??stra shows that the mercy is caused through the process of 1) the occurrence of empathy on sufferings, all living beings undergo, by right understanding on the suffering, 2) the occurrence of intimacy on the all living beings by right understanding of prat?tyasamutp?da which means co-dependence. Therefore it would be correct that the mercy is not caused by the idea of non-difference between me and others but caused by 1) the empathy on sufferings, all living beings undergo, which occurred by right understanding on the suffering, 2) the intimacy on all living beings which occurred by right understanding of prat?tyasamutp?da which means co-dependence.   But the idea of non-difference between me and others, proposed by Nakamura Hajime, is not nothing to the mercy. That is, as the wisdom of praj?? caused by the mercy completes the mercy as the most purest one, so the idea of non-difference between me and others contributes to completion of the mercy.   So the process from occurrence to completion of the mercy in the ??nyat?-v?da of m?dhyamika would be 1) the occurrence of empathy on sufferings, all living beings undergo, caused by right understanding on the suffering, 2) the occurrence of intimacy on the all living beings caused by right understanding of prat?tyasamutp?da meaning co-dependence. 3) the occurrence of mercy which

      • KCI등재

        식물은 중생인가 : 불교의 생명인식

        우제선 韓國宗敎敎育學會 2008 宗敎敎育學硏究 Vol.26 No.-

        중생(衆生)은 불교의 핵심 개념가운데 하나이다. 이것의 정의와 범주는 불교사에서 각 학파의 세계관과 인간관이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가에 따라 다르다. 초기불교에서 식물은 중생의 범주에 포함되는지 아닌지가 모호하다. 식물은 전적으로 돌과 같은 무정물도 아니고 그렇다고 동물과 같은 유정물도 아니어서 일종의 유정(有情)과 무정(無情)의 경계에 있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중간자로의 위치는 부파불교에서는 사라진다. 중생은 단순히 살아 있는 것이라는 포괄적인 것에서 체온과 의식과 목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당시의 인도의 불교사회는 식물을 체온도 없고 의식도 없는 존재로 알았기 때문에 그것을 중생의 범주에서 배제했다. 그렇다면 불교도는 무슨 이유로 식물을 중생의 법주에서 제외하고자 했는가? 그 이유는 불교도의 실질적인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인 열반의 세계에 도달하는 것은 계율을 잘 지키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런데 식물이 중생의 한 부류일 경우에는 농사를 짓는 일등 삶 자체가 풀을 베고 나무를 자르는 것으로부터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살생계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삶이 바로 악업(惡業)을 짓는 것이 될 것이고, 악업 때문에 고과(苦果)를 받아 유정은 끝내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여 불교도는 식물의 지위를 새로이 조망하게 되었고, 초기불교의 모호성에서 벗어나 식물을 중생의 범주에서 배제하게 되었다. In India, being a living being is by and large equated with being sentient. Sendence is characterized as being capable of perception and sensation. In doctrinally developed Buddhism, Plants are not admitted as sentient beings. It is unclear, however, whether from the outset Buddhists may have regarded plants as sentient or insentient. In some canonical texts, destroying or injuring plants is prohibited, and they are implied to be sentient. In the other texts, on the other hand, cutting plants is not considered to be "killing." Plants is excluded from the range of sentient being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atus of plants in Buddhist religious traditions. It examines the passages of canonical texts in early Buddhism, such as the Pa ̄timokkbasutta and Vinayapitara. Then, it moves ro Buddhist tendency towards denying the view that plants are sentient, which had been developed later on. It seems improbable that Buddhists whose religious aim is free of desire consider the sratus of plants as sentient or insentient in their original motive. The theoretical denial of the sentience of plants later on must be somehow involved in the problem of practicality. Abstendon from killing living beings is an essential presupposition for spiritual process. Buddhist view that plants are insentient allows them to make precepts for plants, such as eating vegetables and using trees. Hence, in connection with the everyday life there is good reason for Buddhists to distinguish animaIs and plants.

      • KCI등재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의 불교영화 - 1980년대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

        박민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7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Buddhist films released since the 1980s from the two perspectives: relief of beings and self-realization. These two are interconnected in that both are the ways to seek after truth to reach enlightenment. Korean Buddhist films have developed, pivoting on these two themes. Seeking after truth through relief of beings, in particular, shed a light on the dark age of the 1980s, highlighting the social significance of Buddhism. Chapter Two looks at the director Im Kown-Taek’s Mandala (1981) and Come Come Come Upward (1989) as Buddhist films. The Movie Mandala tries to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rue enlightenment? by contrasting Beob-wun and a apostate named Jisan. Another film by Im Kwon-Taek, Come Come Come Upward, explores the theme, the relief of beings, with more depth. In the movie, Jinsung tries to reach enlightenment only through meditation and actions while Soonye tried to relieve all the suffering beings by giving love. Chapter Three addresses Bae Yong-Kyun’s Why Has Bodhi-Dharma Left for the East (1989) and Bae Chang-Ho’s The Dream (1990). Why Has Bodhi-Dharma Left for the East marked a turning point in the mainstream Korean films, by changing the trend from the relief of beings to enlightenment and self-realization. In this movie, Bae Yong-Kyun tries to explore human inner world through the medium of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 Dream depicts the process of a seeker’s self-realization stage by stage, based on a legend titled “Jo Shin’s Story” from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ngnyusa). While the Buddhist films on the relief of beings seek enlightenment in the midst of the conflicts between holiness and secularity, those on self-realization have assumed individualistic point of view and focus on human intrinsic qualities in light of individualism. That is, while the movies on the relief of beings put forward with empathy inside Buddhism, those on self-realization pursue universal empathy that goes beyond a religious category. Since these movies, Korean films have developed to explore inner world through the medium of religions while living with neighbors and putting enlightenment into practice. 1980년대 이후에 발표된 한국 불교영화는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이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살펴볼 수 있다. 중생구제와 자기실현은 깨달음을 지향하는 구도의 방법이라는 점에서 서로 맞물려 있다. 한국의 불교영화는 이 두 주제를 변주하면서 발전하는데, 특히 중생구제를 통한 구도는 1980년대 암울했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교의 존재의의를 다시금 성찰하게 했다. 2장에서는 중생구제의 불교영화로서 임권택 감독의 영화 <만다라>와 <아제 아제 바라아제>를 살펴봤다. 영화 <만다라>는 법운과 파계승 지산의 대조적인 삶을 통해 진정한 깨달음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해답을 진지하게 모색한다. 영화 <아제 아제 바라아제>는 중생구제라는 주제를 한층 더 심화시킨 작품이다. 진성이 오로지 참선과 만행으로써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면, 순녀는 사랑과 베풂으로써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자기실현의 불교영화로서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과 배창호 감독의 <꿈>을 살펴봤다. 한국 불교영화의 주류를 이루던 중생구제의 주제는 1989년에 제작된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을 전환점으로 깨달음과 자기실현 쪽으로 기울어졌다. 이 영화에서 배용균 감독은 불교라는 종교를 매개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탐구하고자 했다. 『삼국유사』의 조신 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꿈>은 구도자의 자기실현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중생구제의 불교영화가 승과 속의 갈등 가운데서 중생과 더불어 고뇌하며 깨달음을 구했다면, 자기실현의 불교영화는 보다 개인적인 관점에서 인간 본연의 내면적인 문제에 집중했다. 일반적으로 중생구제의 영화는 불교라는 범주 안에서 공감을 공유하지만, 자기실현의 영화는 종교적 범주를 뛰어넘는 보편적 공감을 지향한다. 이렇게 한국의 불교영화는 이웃과 더불어 깨달음을 실천하거나, 종교를 매개로 내면의 세계를 탐구하는 경향으로 심화 발전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중생 전후의 인간 상태에 대한 칼빈과 웨슬리의 비교연구

        유창형 ( Chang Hyung Yoo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중생 전후의 인간 상태에 관하여 칼빈과 웨슬리의 견해를 비교한 것이다. 첫째, 중생 전의 인간 상태에 관해, 칼빈과 웨슬리는 둘 다 원죄로 말미암아 도덕적인 하나님의 형상을 완전히 잃어버렸고 자연적인 형상(영혼, 자유의지, 양심 등)과 정치적인 형상(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권)은 손상은 되었으나 어느 정도는 갖고 있다고 한다. 둘째, 칼빈은 타락 후에도 일반은총에 의해서 모든 사람들이 덕스러운 행동을 하지만 그것은 일반은총에 의한 것이라고 하는데 반해, 웨슬리는 중생하기 전에도 선행은총이 모든 사람들에게 역사하여 양심, 능력, 원죄의 죄책을 제거한다고 한다. 웨슬리는 중생전의 잠자는 상태는 선행은총을 거부한 자들의 상태이며, 각성된 상태는 죄를 자각시키는 은총에 의해 자신들의 죄악 된 모습을 깨닫는 상태라고 한다. 셋째, 로마서 7장 14-25절에 대해서 칼빈은 중생한 사람의 일상적인 상태로 보는데, 웨슬리는 영혼이 각성한 상태이지 중생한 상태로 보지 않는다. 넷째, 칼빈은 중생한 자도 여전히 죄를 짓는다고 보는 반면에 웨슬리는 중생한 자는 외적인 죄를 짓지 않는다고 본다. 다섯째는 이런 교리가 나온 배경은 칼빈의 신학의 중심이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인간의 전적부패에 대한 강조하는데 반해, 웨슬리는 선행은총이 모든 자에게 작용하게 하는 하나님의 공평성과 인간의 자유의지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compares Calvin with Wesley on the human condition before and after regeneration. Both state that the moral image of God in man was thoroughly effaced consequent to original sin, and that the natural and political images of God, though severely dysfunctional, have persisted. Further, Calvin asserts that human good works are expressions of God’s common grace, while Wesley reckons that restoration of conscience and volition, and the elimination of the guilt of original sin are the result of God’ s prevenient grace. Wesley maintains that complete unawareness prior to regeneration is the condition of all who refuse prevenient grace, while an awakened state is the condition of men who recognize the gravity of their own sins. On Romans 7:14-15, Calvin views this passage as the description of the unrelenting struggle of the regenerate man, while Wesley sees it as the exemplification of the human condition when awakened by the Spirit―yet remaining non-regenerate. Additionally, Calvin asserts that even those who are regenerate sin, while Wesley insists they do not sin externally―in speech and action. The underpinnings of such doctrines derive from Calvin‘s focus on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and the totality of human depravity, while Wesley ascribes the fairness of God to prevenient grace working in everyone, conjoined with human free will.

      • KCI등재

        정토경전에서 언급된 ‘중생의 노력 사항들’선택 방식 고찰 - 복수조합선택방식(Matrix선택방식) 도입을 중심으로 -

        전호근 ( Jun Ho-g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보살(菩薩)과 다불(多佛)사상을 가졌던 인도 정토사상(淨土思想)이 대사상가(大思想家)들에 의해 ‘(칭명)염불’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전개되면서, 정토삼부경과 미륵삼부경에서 언급된 ‘중생의 노력 사항들’에 대한 이해 방식은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을 드러내지 않고 폐(廢)하여 ‘(칭명)염불’로 귀결시키는 요홍폐립방식(要弘廢立方式: 요문을 폐하고 홍원으로 귀결시키는 방식)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복잡·다원화 등으로 고통이 증가하며 동시에 협동하여 해결할 고통도 증가하는 현(現) 시대적 상황을 감안시 요홍폐립방식만으로 이해를 이어가는 것은 시대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정토 경전에서 ‘시방세계(十方世界)에 불국토가 한량없이 많고 중생들이 각자가 지은 공덕과 선업에 의하여 나타난 땅(불국토)에 머무르고 다양한 정토가 많이 있다’라고 언급하고 있음 등에 근거하면, 다다익선(多多益善)의 관점에서 ‘(칭명)염불’과 더불어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의 적극적인 노력도 가능하고 그 결과에 부합한 다양한 정토(아미타 포함)에도 갈 수도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갈수록 중요해져 가는 ‘중생계 정토화 역할’을 지닌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도 적극적으로 강조될 수 있는 ‘복수조합선택방식(Matrix선택방식)’ 도입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변화된 시대 상황에 대응하여 적극적으로 중생계를 정토화하고 요홍폐립방식과 더불어 정토사상 발전을 위한 시너지효과도 창출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Indian Pure Land Thought, initially characterized by the Bodhisattva and Multi-Buddha Thought, had evolved into a Pure Land Thought emphasizing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s ‘Easy Practice Way’ by the greatest Buddhism philosophers. Consequently, the approach to understanding ‘What People to endeavor’ mentioned in the three principle scriptures of the Pure Land and the three principle scriptures of the Maitreya have had the way of abandoning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nd finally concluding to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 it was referred to as Yohongpyelib-Way, which means way to abandon Yomun (concentrating one’s mind and accumulating good deeds) and finally to choose Hongwon (regenerating spontaneously by the original Power of Amidaha Buddha’s Wish) >. However, continuing to understand ‘What People to select and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s only what people to abandon based on the Yohongpyelib-way seems problematic, considering contemporary times conditions not only marked by consistently increasing conflict and pain due to complexity and diversification of the current society but also marked by the frequent need for collaborative efforts. Such an approach(Yohongpyelib-way) seems to create an issue of not meeting the demands of the contemporary times and failing to gain social supports and interests. On the other hand, the Pure Land scriptures also state that there are countless Buddha Lands in the world of the ten directions and there are countless Pure Lands where people can be reborn and livng beings stay in Buddha Lands appeared by their individual contributions and good deeds.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re, the better’, it is possible to choose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nd also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ccordingly, aside from upholding the Yohongpyelib-way, this paper contemplate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dding an understanding that actively emphasizes and recommends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which plays a role as purifying World of Living Beings. This addition, called the ‘Mutiple Combinations Selection Way, aims to resonate with contemporary societal conditions. In particular, I hope that we can respond to the situations of the current times which we must work together to purify World of Living Beings and create a synergy effect for the development of Pure Land Thought with Yohongpyelib-way.

      • KCI등재후보

        성령세례와 중생을 구분하는 로이드 존스의 주장에 대한 반론

        김향경(Kim, Hyang Kyung)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4 No.-

        로이드 존스는 성령세례와 관련하여 자신의 신학여정을 소개하면서 예전에는성령의 인침은 회심과 동시에 일어난다고 생각했으나−1950년대 중반에 행한 에베소서 강해설교에서부터−성령의 인침과 회심은 명확히 구분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즉, 성령의 구원사역과 성령세례를 분리시켜 설명하면서 믿음으로 신자가되는 것과 성령으로 세례를 받는 것은 서로 다른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로이드 존스는 신자가 되었다고 해서 동시에 반드시 성령세례도 받게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구원사역은 성령의 사역이지만 성령세례는 그리스도의사역이라고 하며 중생과 성령세례를 분리시키고 있다. 즉, 성령세례는 우리의 구원과 관련된 문제가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사역과 관련된 문제라고 강조한다. 그렇기때문에 성령세례의 목적을 “사람에게 권능으로 충만히 채워서 그리스도의 더 좋은증인이 되게 하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여기서 그는 신자가 되기 위해 중생되는 것과 신자로 살아가기 위해 성령세례를 받아야 하는 것이 별개의 것들로 보고 있음을알 수 있다. 믿음만으로도 곧 중생만으로도 주님의 놀라운 권능을 드러낼 수 있고 주님의 능력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로이드 존스는 성령세례와 중생의 구별을주장하기 위해 많은 부분에서 개혁주의 신학과 다른 주장들을 하지만 그 주장들은무리가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논문을 통해 중생은 성령주심이고 성령주심이곧 성령세례임을 증명하게 되었다. 하지만 로이드 존스는 성령의 나타남이 없는 영국교회의 현실을 보면서 설교자로서 성령의 임재를 중요시했다. Lloyd-Jones introduced his journey of theology related to the baptism of the Spirit. He said that although at first he thought that the seal of the Holy Spirit coincides with conversion, but later, from the expository sermon of Ephesians in the half of 1950, he realized that the seal of the Holy Spirit is separated from conversion. He claimed that while he dissociate the Holy Spirit s work of salvation from the baptism of the Spirit, being a believer by faith is different from being baptized with the Holy Spirit. Therefore, Lloyd-Jones expressed his view that whoever becomes a believer does not mean that he is necessarily given the baptism of the Spirit. He separated regeneration from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by saying the work of salvation i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s the work of Christ. He emphasized that the baptism of the Spirit is related not to our deliverance but to the work of a Christian. We can know that here he sees that being born again to become a believer differs from being baptized with the Spirit. We can reveal and experience the wonderful power of the Lord either only by faith or only by regeneration.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Lloyd-Jones asserts the different opinion from the Reformed theology in many ways so that he declared that we must make a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regeneration but his idea is excessive one. Eventually, it proves in this thesis that regeneration is giving the Holy Spirit and giving the Holy Spirit is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t seems that because he saw the circumstance of the British churches without the appearance of the Holy Spirit, Lloyd-Jones as a preacher emphasized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