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폭력의 젠더화와 은장도 윤리

        김정숙(Jeong-Sook Kim) 감리교신학대학교 2018 신학과세계 Vol.- No.94

        이 논문은 2년 전 강남역 근처에서 발생한 여성혐오살해사건이 기폭제가 되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여성저항 운동을 지지하고 정착시킬 수 있는 성윤리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곧 여성혐오와 여성차별, 성폭력적 문화와 제도에 반대하며, 더 나아가 성 평등적인 문화, 여성이 존중받는 사회, 남성과 여성이 상호배려하고 존중하는 사회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여성해방실천 운동은 이를 여성의 현실 가운데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성윤리가 요청되기 때문이다. 이에 성폭력과 성차별이 일상화된 현실의 이면에는 여성에 대한 뿌리 깊은 혐오와 증오가 있으며, 더 나아가 심층적 차원의 혐오가 폭력적인 젠더담론을 생산하고 젠더화된 폭력을 양산시킨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젠더화된 폭력이 일상을 지배하는 현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여성들의 삶을 지배하는 성윤리는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내려오는 전통적인 성차별적 윤리로서 강간신화를 내재화하는 ‘은장도 윤리’임을 증명하고자 했다. 이에 더 나아가 새로운 상호존중의 삶을 지향하는 여성실천운동을 전개하는데 있어 필요한 새로운 대안적 윤리로서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학 윤리, 곧 여성윤리이자 동시에 이단윤리(herethical ethics)를 제시하였다. 크리스테바의 여성윤리는 위계적인 이원론적 틀 속에 주체와 타자의 관계를 구조화함으로 여성 혐오적이고 차별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밖에 없었던 성차별적 전통윤리의 한계를 비판하고 극복하고자 한다. 따라서 크리스테바는 어머니와 태아의 관계를 모든 인간이 가지는 원초적 모형의 관계로 제시함으로 근본적으로 주체와 타자의 관계가 계층적 이원론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내재적인 관계, “주체가 된 타자” “타자가 된 주체”라고 하는 새로운 관계 모형을 설명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크리스테바가 제시하는 여성윤리, 곧 이단 윤리를 통해 혐오가 아닌 배려, 증오가 아닌 상호 사랑의 관계 윤리를 그동안 여성혐오에 뿌리를 둔 전통적인 성윤리 곧 은장도 윤리를 극복하고 넘어설 수 있는 대안적 윤리로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alternative gender ethics to bring out a new relationship of mutual support, care, and lov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at is, between men and women. The traditional gender ethics which has dominated the lives of Korean women from the Chosun Dynasty up to the present, has been the oppressive ethics of the silver dagger. This ethics of a silver dagger is deeply rooted in misogyny which justifies gender-based violence. Hate crimes have targeted many and unspecified women who have struggled to survive from gender-based violence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women. The traditional gender ethics, namely the ethics of the silver dagger, has built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onto the structure of a hierarchical dualism which inevitably leads to the oppressiv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over the other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lternative ethics to remedy the fatal structure of hierarchical dualism and to create new relationships of mutual support and respect between men and women. The alternative that this paper proposes derives from Julia Kristeva’s ethics of love. Kristeva’s ethics of love is based on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fetus. This is an ethics of subversion and may be called a heretical ethics because of its ability to dismantle the traditional sexist ethics of the silver dagger.

      • KCI등재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아브젝시옹 연구

        고은영(Eun Yo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본 논문은 얀 슈반크마이에르(Jan Svankmajer)의 <앨리스, Neco Z Alenky: Alice>에 나타난 특징들을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이론과 결부시켜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크리스테바는 주체가 애브젝트를 추방하고 배제하고 밀어내는 현상을 ‘아브젝시옹(Abjection)’이라고 정의한다. 이는 신체적이기도 하고 상징적이기도 한 강한 감정으로, 거리를 두고 싶은 어떤 외적 위협일 뿐만 아니라 우리 내부의 위협이다. 그리고 불학정적이고 유동적인 경계를 지닌 대상들에게서 유발된다. 이러한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에 관한 탐구들이 <앨리스>에서 어떻게 시각화 되었는지 추적해 보는 일은 유의미한 일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이론을 검토한 후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작품 <앨리스>에 나타난 특징들과 결부시켜 분석해 봄으로써 작품의 불가해한 내용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으로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 관련 문헌을 1차 연구 자료로 삼았다. 덧붙여 선행 연구와 그 외 출판물들, 비평적 자료 등을 보조 텍스트로 참고하였다. 작품 분석결과, 슈반크마이에르의 <앨리스>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와 시각적 표현이 ‘아브젝시옹’의 개념에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앨리스>는 20C 말, 크리스테바가 주창했던 ‘아브젝시옹‘에 대한 영상 보고서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features of Abjection in <Alice> directed by Jan Svankmaje reviewing them with a Julia Kristeva`s theories. The “Abjection” is termed the contradictory psychological phenomenon that the subject banishes and excludes the abject, but it concurrently fascinated with abject. The abjection is the physical and symbolic feeling and reaction of the subject to the abject and resistance of the subject to external threats the subject wants to put some distance. It is significant to analyze how those explorations on “Abjection” are visualized in Svankmajer` <Alice> First, this paper looks at the concept of Julia Kristeva`s theory and analyzing visual features of Jan Svakmajer`s <Alice> based on “Abjection.” It intends to provide clues to understand inexplicable contents of the work by tracing the relations between Jan Svakmajer`s <Alice> and Kristeva`s concept of “Abjection.”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books and periodicals about Julia Kristeva`s theories. Additionally, literatures including precedent studies, other publications and critics would be taken as a second tex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work, it has been found that the theme and visual expressions penetrating <Alic> are based on the concept of ‘Abjection``. In this point, they can be said to be the cinematic report of “Abjection” that was advocated by Julia Kristeva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애브젝션으로서의 출산 이미지 연구

        김누리(Kim, Nuri),차영순(Cha, Young Soon) 서양미술사학회 202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3 No.-

        본고는 대표적인 애브젝션의 순간인 출산에 대해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개념을 통해 고찰하고, 현대 미술에 표현된 출산의 순간들을 분석한다. 정신분석학을 태동시킨 프로이트와 인간의 의식세계를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분류한 라캉,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을 수용하며 동시에 그들의 이론이 가진 가부장적 성격에 대해 반기를 들며 그들의 학설에서 배제되었던 여성을 발굴해낸 이리가레의 학설을 살펴본다. 크리스테바는 이리가레가 남성 위주의 정신분석학에 반론을 제기한 점에 동조하며, 나아가 상상계에서 상징계로 진입할 때, 즉 주체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버려지는 것들을 애브젝트, 그러한 심리작용에 대하여 애브젝션이라고 명명한다. 크리스테바는 출산을 결정적인 애브젝션의 순간이라 칭하는데, 출산은 한 몸이었던 어머니와 아이가 분리되는, 주체와 대상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순간이고, 어머니와 아이는 서로에게 애브젝트가 되는 순간이다. 과거에는 금기시되어온 출산에 대한 담론을 현대 여성미술가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루이스 부르주아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자신의 출산 경험을 표현하기도 하였고, 자신과 어머니의 관계나 가족간의 경험을 가감 없이 표현하였다. 주디 시카고는 자수나 태피스트리와 같은 여성적 기법을 이용하여 출산에 대한 연작을 제작하였는데, 출산을 단순한 생물학적 현상이 아니라 죽음과 삶을 넘나드는 과정으로, 성스럽고도 공포스러운 애브젝션의 순간으로 표현하였다. 니키 드 생 팔은 아상블라주 기법을 사용하여 출산하는 어머니를 기괴하면서도 동시에 여신과 같은 애브젝트한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현대 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한 여성의 몸은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어머니의 자리를 복원시키고, 여성의 언어로 표현하며, 이분법적 경계를 허무는 다양성의 미학을 추구한다.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개념과 여성작가들의 경험이 표현된 작품을 통해 논제에 대한 인식의 확장이 심화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moment of delivery as a representative moment of abjection and analyze the images of delivery expressed in contemporary art in the light of Julia Kristeva’s abject concept. It also examines the theories of Sigmund Freud who founded psychoanalysis, Jacques Lacan who established the Imaginary-Symbolic-Real framework, and Luce Irigaray who opposed to the patriarchal traits of these two theorists and put forward the concerns on women. Kristeva agreed with Irigaray who made counterarguments against male-dominated psychoanalysis theories. She referred to the things which are thrown away to secure the self-identity as abject, and the psychotic action as abjection. Kristeva also considered the delivery as a decisive moment of abjection. She postulated that the delivery is an ambiguous moment at which mother and child, who were one bod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become abject. Contemporary female artists like Louise Bourgeois, Judy Chicago, and Niki de Saint-Phalle expressed the delivery, which has been regarded as taboo, with various methods such as assemblage together with tapestry and embroidery. The meanings of abject have been expanded through Kristeva’s conceptual framework and various perspectives manifested by such artists.

      • KCI등재

        「성역」 나타난 남성 주체의 성 도착성 연구

        최현숙(Choi, Hyun-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5

        이 논문의 목적은 윌리엄 포크너의 「성역」에 나타난 남성인물의 성도착을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이론을 적용하여 미국남부의 역사적 상황과 결부된 백인 남성주체의 문제와 한계를 밝힌다.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학 이론은 포크너 작품 속 인물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이론적 틀로써 그녀의 비평적 개념인 ‘나르시시즘’과 ‘아브젝(트)시옹’은 주체의 무의식 상태에서 작동하는 내적 충동과 그것의 전복적인 작용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한다. 포크너 작품 속 전형적인 백인남성은 과거의 향수와 타락한 현재를 보여주는 인물들로서, 크리스테바가 말하는 나르시스적 주체와 그 시련을 여실히 나타낸다. 「성역」에서 정반대되는 ‘더블’ 관계인 호러스와 포파이는 샘에 비추어진 일그러진 이미지처럼 남부신화의 불구성을 재현한 인물이다. 결국 남부신화에 내재되어 있는 백인남성의 성적 판타지는 자기 모순적인 아브젝시옹 기제에 의해 패배 당한다. 백인남성 중심사고에 갇힌 남부 백인남성들은 남부사회의 이질성을 포용하여 존재 해탈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잃고, 자신을 파멸하는 해체를 겪는다. 여기서 우리는 백인남성의 도착을 단지 개인적인 문제로 보는 것을 넘어서, 인류전체가 냉철하게 반성해야하는 휴머니티 관점으로 성찰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exual perversion of male characters in William Faulkner`s Sanctuary by Julia Kristeva`s ‘abjection’ mechanism and reveal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white male subject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southern United States. As Kristeva`s psychoanalytical theory i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bes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 in the Faulkner’ work, it can clearly articulate her critical concepts of `narcissism` and abjection`s heterogeneous elements of the subject`s unconscious state and its subversive action. A typical white male in Faulkner work depicts narcissistic subjects and their trials with figures that show the past nostalgia and fallen present. Horace and Popeye, who have the opposite ‘double’, reveal the disintegration of southern myths like a distorted image in the spring. Ultimately, the sexual fantasy of a white male is defeated by his another self - contradictory abjection mechanism. Southern white men trapped in white male-centered thinking lose their chances of being liberated by embracing their own heterogeneity and suffer demolition of their destruction. Here, we must lead to a deeper reflection as the problem of humanity, in which the whole human race must reflect on the perversion of white men.

      • KCI등재

        재구성된 신체이미지에 나타나는 애브젝트의 표상들

        김영옥(Kim Young ock),이유진(Lee You j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3

        몸으로부터 정체성을 자각하고 그 가치를 재인식하고자 하는 시도들은 다양한 신체이미지들을 생산하였다.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이론은 변화하는 그로테스크한 몸을 통해 정신과 육체, 이성과 감성, 주체와 객체, 남성과 여성, 미와 추 등의 이분적 사유에 대하여 새로운 인식의 계기를 마련하며, 현대미술 속 다양한 신체이미지에 대한 가장 핵심적인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애브젝션 이론이 잘 표현된 키키 스미스와 제인 알렉산더의 작품을 분석한다. 애브젝션은 주체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이질적인 것들을 배제하며 분리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주체란 본질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애브젝션 이론을 통해 절대적인 주체나 경계의 불변적인 확립은 불가능함을 설명한다. 또한 이를 통해 사회 속에 고정되어 있는 가치들에 대하여 재고하고 성, 인종, 문화 등에 대하여 획일화되지 않은 다양성의 관점을 제시한다. 키키 스미스와 제인 알렉산더의 작품들은 이상적이고 완전무결한 육체의 이미지를 해체함으로써 애브젝트의 표상들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의 작품은 모두 사회질서가 강요하는 정형화된 육체의 표상에 대한 전복을 통해 애브젝트된 신체이미지를 표현한다. 이는 절대적이고 고정된 가치를 해체함으로써 새로운 신체이미지를 창조하고 다양한 가치들을 도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작품 속 애브젝트의 표상들은 먹고 배설하는 본능적인 몸을 통해 다층적 시각을 제시하며 신체이미지를 재구성하고 몸의 영역과 의미를 확장시킨다. The efforts to realize identity from the body and to recognize the value of it produced various images of the body. Julia Kristeva’s abjection theory presents the most focal theoretical framework regarding the bodily images within contemporary art via displaying a metamorphosing grotesque body and thus providing an occasion to newly recognize the dichotomic thinking of: mind and body; reason and emotion; the subject and the object; men and women; beauty and ugliness; and many others. This paper will examine Julia Kristeva’s abjection theory, and thus, analyse the works of Kiki Smith and Jane Alexander, which well express the theory. Abjection refers to the act of segregating and excluding the disparate with the intention of securing an ascendency as the subject. However, by concluding that the subject cannot be conferred by its very nature, Julia Kristeva illustrates the impossibility of the absolute subject or distinction via the abjection theory. By doing so, Kristeva further reconsiders fixed values in the society and presents a non-standardized viewpoint of diversity on gender, race, culture, and many others. Kiki Smith and Jane Alexander exhibit the representation of the abject through deconstructing ideal and faultless body figures. Also, the both works present abjected bodily images by subverting standardized representation of the body that is coerced by the social order. Such presentation is a production of new images of the body and derviation of a variety of values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categorical and fixed values. Therefore, the representation of the abject in their works provides a manifold of viewpoints through instinctive body that consumes and excretes, and moreover, recomposes the images of the body and expands the domain and meaning of the body.

      • KCI등재

        메리 켈리의 〈산후 기록〉에서 나타나는 ‘여성으로서 글쓰기’

        김지현(Kim, Ji Hyun)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4 No.-

        본고에서는 라캉의 영향을 받은 메리 켈리의 대표 작품인 〈산후기록〉(1973-1979)을 2세대 페미니즘 이론을 대표하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언어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크리스테바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프랑스 페미니스트 이론가로, 여성의 신체적·모성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언어적 실천을 제시하고 억압되고 주변화 되어있던 여성의 ‘언어’에 대한 사유를 펼친다. 켈리는 라캉의 이론과 정신분석학 페미니스트의 이론에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예술가로, 작품에서 여성의 신체와 언어를 활용한다. 켈리는 남성 중심의 체제 속에서 여성의 위치를 규명하고 신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여성성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며 사회적으로 확장시킨다. 더 나아가, 남근의 언어가 아닌 새로운 언어를 제시한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크리스테바가 제시한 의미생성과정 속에 있는 기호계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켈리의 〈산후기록〉을 분석하고, 켈리의 〈산후기록〉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개인적이고 자전적인 신체적 경험이 어떠한 방식으로 사회적이고 담론적인 영역으로 확장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크리스테바가 말하는 모성적이고 여성적인 언어가 메리 켈리의 작품을 통해 나타난다는 사실을 주장하고자 한다. 즉, 본 고는 켈리의 작품이 크리스테바가 주장하는 의미생성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었음을 확인하고, 여성으로서 글을 쓰는 여성적 글쓰기로서 여성의 언어를 구현하는 방식이라는 사실을 지적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신분석학적 이론이 당대 페미니즘미술에 미친 영향 및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켈리의 작업이 ‘타자’로서 위치 지어지던 여성의 위치를 수정하고 여성적인 경험을 사회적으로 언어화한 ‘여성적 몸의 쓰기’의 사례로서 이해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Around 1940, in his late 30s, Oh Chiho (1905-1982) worked ceaselessly to find his own style, and he also researched art theories to support his works. After reaching Claude Monet’s impressionist painting following academicism, he approached a very different painting style in the 1940s. He began to initiate an sensitive and emotional work, rather than visual facts and color harmony. He tried to make his paintings that empathizes with objects and further integrates the vital energy of objects. This approach to the style can be proved already in his “Pure Painting Theory 1938” and “Science of Beauty and Painting 1940”. ‘Emphathy’ which was explained as ‘sympathizing to objects’ and ‘pleasure to be filled by mutual supplementation’. He applied it to his work. He represented the beauty combining the vital energy of objects using this empathy. We could entitle his original style of painting obtained through this development of a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research, a “Emotional Color Figuration”. When the modernism is limited to Abstract painting style, Oh chiho will be only an outmoded follower of the French Impressionist style. But his works are more appropriate to be included in modernism. And he was modernist, not impressionist.

      • KCI등재

        영화 속 ‘과정 중의 주체’에 관한 연구 - 라스 폰 트리에의 <안티크라이스트> 중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

        진빛남,변혁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3

        본 연구는 영화 <Antichirst>에 나타나는 아브젝시옹 이미지들을 통해서 영화의 내용과 의미를 분석한다. 아브젝시옹은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Powers of Horror : An Essay on Abjection』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크리스테바에 의하면 주체는 아브젝트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경계를 위협받는다. 그리고 주체가 위협받는 상황을 아브젝시옹이라 부른다. 그녀에게 주체는 수시로 아브젝시옹을 겪는 ‘과 정 중의 주체’이다. 고정되지 못한 주체는 아브젝트를 몰아내는 행위를 통해서 경계를 형성하고, 다시 아 브젝트의 공격을 받게 되는 반복적 운동을 경험한다. 라스 폰 트리에(Lars von Trier)는 영화 <Antichrist>에서 이러한 주체와 아브젝트간의 반복되는 억압관계에 관심을 둔다. 특히 이러한 억압 속에 내재한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서, 사회인식의 바탕에 깔린 억압의 원리를 드러낸다. 오랜 시간 동안 인류 속에 있는 남성과 여성, 이성과 감성, 문명과 자연 같은 이분법이 그러한 예이다. 동시에 상징계 진입을 위한 분절과 억압의 기원을 성경 속 에덴설화에서 찾는다. 이 지점에서 크리스테바에게 경계가 붕괴하는 카오스의 장소인 코라는 성경 속의 에덴과 상응한다. 크리스테바는 아브젝시옹을 통해서 주체가 위협받 지만, 이를 통해서 새로운 주체로 재탄생할 수 있는 승화의 가능성에도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실패하고, 주체가 한쪽으로 치우칠 때 우리의 존재는 그 어느 때보다 위협받게 된다. 트리에의 <Antichirst>는 이러한 위험에 관심을 둔다. 영화 속에서 주체가 아브젝트를 억압하는 방식으로만 대응할 때, 아브젝트는 더욱 강력해진다. 결과적으로 강력해진 아브젝트는 주체를 지배하고, 트리에는 이러한 파 국을 통해서 이성적 억압만이 존재할 때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This is a study about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antichrist, which is done by analyzing its abjection image. Julia Kristeva explains that the boundary of the subject is threatened by the abject. This process is what she calls ‘subject in process’ in Powers of Horror: An Essay on Abjection. In addition, she refers to the process as abjection. Abandoning the abject, the subject creates a boundary and threatened by attacking the abject. This repeated process makes the subject unsettled. The main motif of Lars von Trier’s Antichrist is that the subject is against the abject and experiences abjection. Specifically, this film focuses on the presence and structure of social cognition and therefore reveals the principle which is hidden deep land. Dichotomies (such as man versus woman, rationality versus emotion) are the main principle in our traditional world, and they continue to exist even now. In my opinion, Von Trier wants to twist the division of the social constitution by using the motif of Eden in the Bible. Although Kristeva discusses abjection which threatens the subject, she also mentions the possibility of sublimation. However, a biased subject may be a danger to our existence when this process fails. In Antichrist, Von Trier shows interest in this type of risk. Thus, he shows us how a biased subject is a danger and warns us about this risk though an extreme situation.

      • KCI등재후보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포스트모더니즘 윤리와 『율리시즈』의 자아추방의 시학

        최희재 한국제임스조이스학회 2003 제임스조이스저널 Vol.9 No.1

        Both modernism and postmodernism doubt that a text harbors a single authentic truth. But one big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one-modernism-presumes a single truth that human beings cannot find out, and adheres to the concept of a unified self who can endures the world of lost order between reality and fictions while the other-postmodernism-distrusts any such unknown single truth, as well as distrusting unified self. Joyce criticism to date tends to apply an extreme postmodernist conception of the decetered text and framented subject an indefinite accumulation of meanings or search for the one authentic meaning but to stage the mechanisms of its infinite productivity. They seem to go to extremes in emphasizing only the deconstruction of text and characters. But Julia Kristeva's theory, emphasizing the "process" of de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regards fixed meanings and a fixed subject as one important phase of the process. Such fixities are as important as their deconstruction. If we apply her theory to Joyce, Ulysses can be seen as a text in process and Bloom as a subject in process. While Stephen Dedalus, a hero according to the modernist notion, is afraid of his self being fragmented and therefore stands by his unifed self, Leopold Bloom, a hero according to the postmodernsit notion, is not confined to a fixed self and rather shows the heterogeneousness of his position as subject. This exiling of a fixed self,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mean a fragmentation leading to madness. Bloom shows a moving balance between Kristeva's "semiotic" and "symbolic."

      • KCI등재

        유동하는 경계: 숭고를 통한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 재독해

        정은미 한국미학회 2023 美學 Vol.89 No.3

        크리스테바가 공포의 권력 에서 아브젝시옹 개념을 내놓은 이후 이 개념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루어져 왔다. 그런데 이들 중 대다수는 아브젝시옹의 양가적 작용과 그것의 구체적 양상을 온전히 읽어내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이 글은 숭고를 경유하여 아브젝시옹의 구체적 작용을 다시 읽기를 시도하여, 아브젝시옹의 경계의 움직임과 그 양상을 드러낸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포스트모던 숭고 연구자들의 아브젝시옹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하여 아브젝시옹의 양가성에 대한 부족한 독해와 숭고에서 상상력 논의 누락이라는 한계점을 파악한 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낭시의 숭고 이론을 검토한다. 특히, 아브젝시옹의 정신분석학적 쟁점과 낭시 숭고의 주요 쟁점을 연관 지으며 아브젝시옹이 숭고한 경계의 움직임이라는 것을 규명한다. The concept of abjection has been examined by many researchers since Kristeva presented the concept in Powers of Horror; however, most of them could not comprehend the ambivalent agent of the abjection and its specific aspects. In this regard, this paper attempts to reread the specific agent of the abjection and demonstrate the movement of its limit. For this purpose, I critically analyze the abjection examined by researchers of postmodern sublime. Accordingly, it is clarified that they insufficiently read its ambivalence and omitted the imagination of sublime. Therefore, I examine Nancy’s theory of the sublime, which supplements the insufficiency. Specifically, I clarify that the abjection is the movement of sublime limit by connecting the psychoanalytical aspect with major issues in Nancy’s sublime.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아브젝트 아트(Abject Art)에 나타난 타자성

        김도아(Kim, Do-A),김진아(Kim, Jin-A)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9 No.1

        본 연구는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 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1990년대 이후 한국 미술계에 나타난 아브젝트 아트 작품들을 파악하고 고찰한다. 크리스테바는 아브젝트를 더럽고 불결하며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것, 그리고 주체가 주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억압하고 쫓아내야 하는 존재로 논한다. 그러나 쫓겨난 존재는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우리 주변에 머물며 주체에 대립하는 타자가 된다. 아브젝트 아트는 주체에 의해 터부시되고 내던져진 이러한 타자들, 흔히 파편화된 신체, 시체, 피, 정액, 오줌, 침, 똥 등 우리가 혐오하고 불결하게 여기는 것들을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면서, 전통적인 ‘미’와 ‘미술’ 관념에 도전하며 주체가 타자를 어떻게 구분 짓고 몰아내는지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의 한국 아브젝트 아트에 나타나는 타자(성)을 크게 세 가지유형―비천한 존재와 주체의 양가성, 길들여진/저항하는 여성, 포스트휴먼 주체의 탄생―으로 분류하고, 각 양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을 선별해 그 주제적, 형식적 특징과 의의를 고찰한다. 한국 아브젝트 아트가 기존의 미술 장르나 재료 등을 어떻게 해체하고있는지, 그리고 타자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추적함으로써, 아브젝트와 그에 대한 아브젝시옹 즉 한국 사회의 타자 혐오와 배척 현상을 들추어낸다. 이는 전통적으로 비정상또는 더럽고 비천한 것으로 치부되었던 것들에 대한 재해석이자 주체/타자라는 이분법적 구분에서 벗어나는 사유의 점화점이 될 것이다. Based on Kristeva s theory of the abject, this study identifies and examines the works of Abject art that have emerged in Korean art since the 1990s. Kristeva discusses the abject as dirty, filthy, and unclear, and as an object that must be suppressed and driven out in order for the subject to form an identity. However, the expelled existence does not disappear completely, but rather becomes a batter who stays around us and “is being opposed to I”. Abject art often uses materials such as fragmented bodies, dead bodies, blood, semen, urine, saliva, and excreta, challenging traditional concepts of ‘beauty’ and ‘art’ and revealing how the subject distinguishes and drives out the other. We first classify Korean Abject art into three aspects: the ambivalence of the subject, tamed/resistant women, the birth of the posthuman. And we examine the way “Otherness” is dealt with in each case work that gives us access to the abject and abjection.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what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abject, abnormal, dirty or vulgar, and to overcome the dichotomies of subject and o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