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의 죽음학

        Jun Byung sul(田炳述)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4

        전통적으로 농경사회에서는 자신이 평생을 거처하던 방에서 가족들이 둘러앉아 지켜보는 가운데 임종을 맞이하면서 생을 마감하였고, 장례 의식은 마을의 축제와 같은 분위기를 자아냈다. 마을 공동체는 의례를 통하여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었을 뿐만 아니라 유가족들의 슬픔을 함께 나누어 자연스럽게 상실에 대한 치유의 역할까지 담당하였다. 그러나 태어나고 죽는 과정이 모두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이른바 '죽음의 의료화(Medicalization)현상'하에 병원에서의 죽음은 의료행위의 실패로 여겨지고, 이어지는 형식적인 애도과정은 인간의 존엄성에 근원적인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또한 남겨진 자는 슬픔을 표현하고 감정을 추스를 틈도 없이 일상으로 돌아오길 강요받는 등 유가족들의 상실과 슬픔에 대한 치유 과정도 생략되어 죽음은 더욱 부정적인 형태로 남게 된다. "이렇게 해서 죽음은 인간으로부터, 사회로부터 추방되었다."는 아리에스의 말이 절실하게 들리는 시점에 '죽음학(Thanatology)'이 등장한다. 현재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Thanatology' 관련 연구와 활동은 상장례 문화의 변화,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중심의 안락사(존엄사) 문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호스피스 완화의료 활동 등 임상중심 혹은 구체적인 사안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죽음학' 혹은 '죽음교육' 관련 저서도 나오고 있지만 대개 번역서 아니면 편저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실천에 있어서도 죽어가는 과정과 죽음 후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어서 죽음에 대한 성찰을 통해 삶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려는 목표에 도달하기 버겁다. 현재 우리 학교와 사회는 분노표출과 폭력이 일상화되고 자살이 만연하고 있는데 그 배후에는 근원적으로 삶의 의미 상실이 도사리고 있다. 따라서 삶과 죽음을 아우르는 교육이 필요하다. 예컨대 자살이나 타자에 대한 폭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신체 및 생명에 대한 의의와 가치를 이해하고, 남과 소통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삶의 의의에 대한 충분한 함양을 통하여 누구나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쓸모 있는 사람이고 행복한 사람임을 자각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만 자신을 해치거나 타인과 사회에 위해를 가하지 않게 되며, 궁극적으로 진취적이고 낙관적인 가치관을 함양하여 타인과 사회 및 자연과 아름다운 관계를 정립할 수 있게 된다. Traditionally in Korean agrarian society, people faced death surrounded by family members. The funeral ceremony was like a festival of the village. Community members not only prayed for the souls of the departed through ceremony but also tried to heal the pain of loss by sharing sorrow of the bereaved. However, because of so-called 'Medicalization of Death', through which both birth and death take place at hospital, death in hospital means failure of medical treatment. The following formal grieving process also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regarding human dignity. Also, the bereaved are forced to come back to everyday life even before they express sorrow and pull themselves together. As proper healing process for the pain of loss and sorrow is omitted, death remains as a negative form. At this point where Aries's remark "In this way, death is exiled from human and society" seems true, 'Thanatology' comes on. Studies and activites regarding 'Thanatology' in Korea at this point deals with clinical or concrete matters such as, change in bier funeral, euthanasia(death in dignity) centered on stopping meaningless lifeprolonging treatment, writing advance directives, and palliative care at hospice. Writings about 'Thanatology' or 'Death Education' are released but most of them are translation or compilation. In addition, social action only centers on the stage of dying and problems after death so it is dificult to achieve the main goal to derive change in life attitude through introspecting death. Right now, anger expression and violence are becoming more of the norm and committing suicide is becoming a rampant phenomenon. The fundamental loss of meaning of life lurks behind all that. Therefore, education that covers both life and death is necessary. For example, in order to reduce suicide or violence on others,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body and life. They also need to know concrete means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other words, through finding the meaning of life, everyone should feel that they are useful and happy in the society they belong. That way, people do not harm themselves, others, and the society. Ultimately, they can establish beautiful relationship with others, society, and the nature by developing enterprising and optimistic values.

      • 생사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몇 가지 생각

        양준석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2022 생사학연구 Vol.3 No.-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수준에서 출발했던 생사학은 현재 학문 영역에서 검토되고 발전하기 위한 논의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초고속으로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고 자살문제와 대형사고로 사회적 트라우마(trauma)에시달리는 우리 사회환경에서 생사학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다. 이에 융복합학문으로써의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지금까지 논의된 죽음학, 생사학에 관련된 논의들을 정리하고 생사학 학문적 가능성과 연구영역에 대한 정리를 하고자 한다. 과거 죽음에 대한 연구는 철학과 종교의 영역을 중심으로 영혼이나 불멸, 내세라는 관점에서 죽음을 설명하고 이해해왔다. 하지만 근대로 넘어오면서 죽음을 과학적 영역에서 보다 적극적인 분석대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실제 1960년대부터 죽음학은 기존의 철학과 종교적 연구 형태를 인정하면서도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연구하기 위해 체계화된 연구방법론을 도입하면서 과학으로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죽음에 대한 연구가 아직도 초창기인 한국에서는 죽음학, 사생학, 생사학, 임종학 등 다양하게 불리워지고 있으며 학제적 용어로 thanatology, death studies, life and death studies, death education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생사학은 죽음학을 기초로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태도와 행동에 관한 학문이라 정의할 수 있다. 좁은 의미로는 개인의 생명과 죽음에 관련된 연구 및 지침으로 정의할 수 있고, 넓은 의미로는 삶과 죽음에 관한 전반적인 것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자연과학 등의 성취에 기초를 두고 인문학과 사회과학 및 문화 예술을 유기적으로 융합하는 학제 간 연구라 할 수 있다. 다만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생사학은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에 기반한 생사관 연구와 실천적 융합학문으로서연구 대상이나 방법론을 탐구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학문적 탐구를기반으로 학제적이며 실천적인 융합연구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생사학이 학문적 성격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한 이유는첫째, 생사학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 대한 논의수준이 초보적 수준이며 여전히 연구자내에서도 외국의 “Thanatology”나 “사생학”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생사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연구나 관련 연구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이를 담아내고 풀어내기 위한 공동의 연구나 각 학문간의 교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셋째, 기존에 구축된 학문적 영역의 경계가 너무 높고 생사학의 학문적 영역에 대한 접근으로 학과 과목개설이나 표준화된 영역을 구축하는데 많은 장애가 있기때문이다. 넷째, 생사학 연구활동을 통해 축적된 연구 결과물들을 공유하고 잘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결국 생사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명확한 성격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사학이 학문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고 자기 정체성에 대한 자리매김을 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체계를 정립하고 학문의 구성요건들, 즉 연구대상, 연구범위, 연구방법이 정해져 있어야 한다. 하나의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그 나름의 고유한 개념적 체계와 방법론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생사학이 연구범위, 연구방법 및 학문의 규범성, 경험성, 처방성을 갖춘 학문으로서 학문의기본요건에 문제가...

      • KCI등재

        인지학 관점의 죽음교육 필요성 연구

        김명수 한국종교교육학회 2022 宗敎敎育學硏究 Vol.70 No.-

        연구목적 본연구의목적은인지학관점에서죽음교육의필요성을논하는데있다.주제의연 구를 통해 인지학과 죽음학의 접점을 찾고, 그것을 교육적 측면에서 어떻게 인식하고 다루어야 하 는지를 탐구하기 위해서이다. 인간 존엄을 통해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필요한 덕목을 찾아 교육적 관점에서 구조화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지혜를 탐구하는 인지학을 통해 죽음에 대한 인식과 교육방법 을 탐구하고자 한다. 직관을 함양하고 초감각적 세계의 통찰을 통해 진정한 자아를 발달시키고 육 체.영혼.정신이 조화로운 총체적 인간을 지향하는 인지학을 매개체로 하여 죽음에 대한 접근을 시 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죽음에 대해 이해하고 존엄한 죽음을 대비하는 학문 으로서 죽음학은 인간 존재에 대한 존귀함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완전체로서의 인간을 지향하는 인지학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지학과 죽음학의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 존엄한 존재로서 의 인간을 인식하는 것이 삶과 죽음을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 인지학의 관점에서 죽음을 이해하고, 죽음에 대한 교육을 어떻게 지향하여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방법론을 찾는 과정에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면, 그것만큼 바람직한 일이 없다고 본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존엄한 존재로서의 인간을 지향’하는 것이다. 존엄을 기본으로 삼지 않으면 사회에서 표출되는 문제점들은 개인적 이기주의에 승복할 수밖에 없기 때문 이다. 둘째, ‘과정으로서 삶과 죽음’에 대해 인식하는 것이다. 과정이라는 인식을 통해 죽음이 가지 고 있는 단절의 개념을 변모시켜야 일상이 바뀌어 갈 수 있다. 셋째, ‘교육을 통한 구조화 작업’이 필요하다. 교육을 체계화시키는 구조화 작업은 필수영역이다. 인지학과 죽음학이라는 학문이 공통 으로 추구하는 세 가지의 명제를 발전시켜 새로운 연구영역을 도출해 낼 수 있다면, 학문적 성취결 과에 따라 현재보다는 나은 결과를 이룰 것이라는 바람으로 본 연구의 시도가 작은 시발점이 되기 를 기대하는 것이 본 연구의 지향점이다.

      • KCI등재

        생사학 연구동향과 학문성 모색

        양준석(Yang, Jun-Seok),이지원(Lee, Ji-Won),김재경(Kim, Jae-Gyeong),이정은(Lee, Jung-Eun),이나영(Lee, Na-Young),김아리(Kim, Ah-ri),박훈(Park, H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9

        이 논문은 생사학의 연구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학문적 영역으로서 ‘생사학(生死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글이다. 누구나 죽는다는 사실이 죽음학의 출발점이며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자는 것이 죽음학의 목표이다. 죽음에 대한 불안은 현존하는 인간으로 하여금 일상적 삶을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삶과 죽음을 상징하는 현재와 미래, 유와 무, 형이상과 형이하를 관통하는 생사관이 생기며 이를 통해 죽음에 대한 불안을 부단히 극복하려고 한다. 따라서 죽음은 삶의 일부이며, 죽음에 대한 불안의 극복은 일상적 삶의 과제이기에 죽음문제는 삶의 문제이다. 이런 측면에서 서양의 죽음학은 동양에서 삶과 죽음이 다르지 않다는 관점에서 생사학으로 재정의 되고 그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생사학이 융합학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생사학의 개념, 이론, 연구영역, 학문적 성격을 정리해야 한다. 학제 간 융합학문으로 출발한 생사학은 인문학적 접근만 있어서도 안 되고 과학적 접근만으로도 안 된다. 생사학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의학과 종교, 철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사회복지 등 다양한 범주에서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전개하는 융합학문이기 때문이다. 이에 융합학문으로서의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지금까지 관련된 연구업적을 분석하고 향후 학문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한 개념과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노력이 시급히 요청된다. 이 같은 시각에서 먼저 국내 생사학 관련 논문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제 간 융합학문으로써의 생사학 발전 가능성과 탐구영역 개발, 확장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한국적 생사학’의 학문성을 넓히는 데 의미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aise the possibilities of Life and Death Studies as a field of academic disciplines and analyz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Life and Death Studies. Every living organism dies and death is part and simultaneously point toward which converge all previous phas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death and dying are the starting point for the Thanatology and overcoming fear and pain when making preparations for our own death, which are the aim of the study. Death anxiet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life to human existence and to prepare for our own inevitable death, in the process it can help many of us have view of life and death passing through the present and the future, existence and non-existence, metaphysics and physical science. Death is a part of life and overcoming death anxiety is the agenda of daily life, therefore, the question of death is very relevant to that of life. Life and Death Studies explores how the question affects individuals, families, communities, and cultures. In this respect Life and Death Studies has to redefine and expand its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based on Oriental thought; life and death are the same, in comparison with Western study, Thanatology which focuses on dying and death. Life and Death Studies relies on collaboration with many different fields of study. Because death is such a broad and complex subject, it needs a holistic approach. It is primarily an interdisciplinary study, frequently undertaken by professionals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medical science, religion and mythology. To develop Life and Death Studies as a field of academic disciplines, there must be an accurate definition, theories, critical research area and academic features as convergence studies. Life and Death Studies as convergence studies, especially Korean Life and Death Studies, is urgently called for an effort to analyze research achievements so far and to establish concepts and theories to consolidate its area as academic disciplines. On this view,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examine the theses for master and doctoral degrees and journal articles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Life and Death Studies’ by discussing developmental potential and critical research area a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ies.

      • 형이상학의 종말(목적)과 하이데거의 죽음학

        김창현 ( Chang Hyun Kim )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2013 宗敎學硏究 Vol.31 No.-

        이 글의 목적은 전통 형이상학이 제기해왔던 존재 물음에 대한 마르틴 하이데거의 비판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존재 물음 속에 은폐되어 왔던 현존재의 존재론적인 의미를 하이데거의 죽음학을 통해서 드러내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전통 형이상학의 존재 물음이 존재자들의 확고부동한 기반이자 토대로서의 존재에 대한 물음으로 소급된다는 점에서 존재-신학적이라고 판단한다. 이런 존재-신학적 존재 물음은 존재의 의미를 드러내기보다는 그것을 은폐함으로써 존재의 망각을 야기하게 된다. 존재의 의미는 정초주의에 입각한 확고부동한 토대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러한 토대가 무너지는 지점, 즉 절대적 불가능성으로서의 가능성인 죽음을 통해서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현존재는 가능성으로서의 죽음을 자신의 것으로 전적으로 떠맡을 때 비로서 자신의 본래성을 회복하고, 존재의 의미와 마주대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하이데거 자신은 죽음의 가능성(possibility)을 보장하기 위해 그것의 실현성(actuality)을 끊임없이 부정했지만, 이 글에서는 죽음의 가능성이 단순한 가능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본래적 가능성, 즉 "실현 가능성" 차원에서 이해되기 위해서는 가능성과 실현성 사이의 긴장관계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자고 했다. 죽음을 실현 가능성의 차원에서 이해할 때, 비로소 현존재의 존재론적 의미를 드러낼 수 있게 된다. 결국 하이데거의 죽음학이 의미하는 것은 그의 형이상학 비판의 목적이 존재 의미를 은폐해왔던 전통 형이상학에 종말을 고하고, 이를 통해서 형이상학 자체의 본령을 회복하는 것이다.

      • KCI등재

        임종시(臨終時) 현상과 행위의 죽음학(Thanatology)적 의미 - 정토계 경전을 중심으로-

        문현공 한국정토학회 2018 정토학연구 Vol.30 No.-

        In this article I examined phenomena and behavior on the time of dying on the aspects of death education. First of all, I searched for the phenomenon on dying that death is accompanied on pain and it’s different in wholesome action, unwholesome action, and indeterminate action. From a medical point of view, symptoms at the time of dying are pain, conscious confusion, emotional instability, vomiting, difficulty breathing and urination, and loss of consciousness. Among them, physical symptoms such as pain and vomiting can be treated, but mental symptoms such as unconscious confusion and emotional anxiety are difficult to medically adjust. After that,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eyoung(來迎) and the near-death experience(NDE). According to Pure Land teaching, practice of good deeds, completion of śīla, and sipnyeom(十念) enable láiyíng and reincarnation in Pure Land. I searched of láiyíng thorough sambaegupum(三輩九品) in guànwúliàngshòujīng(觀無量壽經). Especially, I discussed emergence Buddha and Bodhisattva with ‘gwangmyeong(光明)’ in naeyoung and ‘light experience’ in NDE. As NDE is a phenomenon that occurs after a officially declaration of death, NDE has been a subject of medical research in recent years. From the point of view, it is not possible to limit the naeyoung and gwangmyeong to the realm of religion and faith. As for the behavior of death, I have seen and death education together. nyeombul(念佛) on dying is associated with practice of living but if one could nyeombul on dying with teaching of great master, it would be possible to naeyoung and reincarnation in Pure Land.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of death education can increase the acceptance of death and bring about a dignified death. I believe that modern death education lacks experiential elements such as nyeombul, meditation etc. Lastly, I examined jonyeom(助念) and hospice as an behavior for the dying person. On time of dying,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mental tranquillity due to the confusion of suffering but I mentioned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ranquillity through jonyeom, which replaces nyeombul around the dying person. Also, I explored the cont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The category of modern hospice has expanded not only to the management of terminally ill patients but also to care of family, to the relief of symptoms such as pain. However, in hospice palliative care, emphasis is placed on relieving symptoms through medicatio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mind like nyeombul and meditation. Therefore, I mentioned that it should be sought the ways of concurrent palliative care and nyeombul. 본 글에서는 죽음학의 관점에서 임종시의 현상과 행위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또한 실천적 측면에서는 죽음교육과 연관해 살펴보았다. 먼저 임종시의 현상을 탐색했는데 죽음에 이르면 고통을 수반하며 선업자, 악업자, 무기업자에 따라 다른 현상이 일어남을 보았다. 또한 의학적으로 임종시의 증상에는 통증, 의식혼란, 정서불안, 구토, 호흡 및 배뇨곤란, 의식상실 등이 있다. 이중 통증, 구토 같은 신체적 증상은 의료적인 처치가 가능하나 의식혼란, 정서불안 같은 정신적 증상은 의학적 조절이 힘들다고 언급했다. 다음으로 임종시의 내영(來迎)과 근사체험(near-death experience)를 관련지어 보았다. 정토교에 따르면 선행과 계의 구족, 십념은 내영과 극락왕생을 성취시킨다. 내영에 관해서는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삼배구품(三輩九品)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특히, 내영시 불보살과 함께 출현하는 ‘광명(光明)’은 근사체험의 ‘빛의 경험’과도 연관된다. 근사체험은 공식적인 사망판정 이후 일어나는 현상으로 근래부터 근사체험에 관한 연구가 의학계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음을 보면 내영과 광명의 출현을 단순히 종교적 영역에만 한정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임종시의 행위에 관해서는 염불과 죽음교육(death education)을 함께 보았다. 임종시 염불은 생전의 수행에서 비롯되나 경에서는 선지식을 통한 임종시의 염불도 내영과 극락왕생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한다. 염불이라는 실천행과 관련해서 죽음교육 또한 죽음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며 존엄한 죽음을 실현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현대 죽음교육에는 염불이나 명상과 같은 보다 직접적인 경험적 요소인 수행의 측면이 미미하다. 마지막으로 임종자를 위한 행위로 조념(助念)과 호스피스에 관해 보았다. 임종시에는 고통의 엄습과 정신의 혼미로 정념(正念)의 유지가 어려우나 주변에서 일념으로 염불을 행해주는 조념을 통해 정념의 유지가 가능함을 언급했다. 또한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내용을 탐색하며 현대 호스피스의 범주는 단순히 말기환자의 관리가 아닌 통증 같은 증상의 완화와 환자를 포함한 가족의 정서까지 돌보는 범위로 확장되었음을 보았다. 그러나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는 염불, 명상과 같이 내면을 중심에 두고 실천하는 행위가 아닌 약물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는 외적측면에 중점을 두는데 향후 완화의료와 염불수행이 병행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 언급했다.

      • KCI등재

        죽음교육의 측면에서 본 자만시의 가치

        임준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1 漢字 漢文敎育 Vol.51 No.-

        이 글은 自挽詩를 현대 죽음학과 죽음 교육의 시각에서 새롭게 조명하여 그 가치를 탐색한 것이다. 자만시는 동아시아 사회의 전통적 죽음 인식 일반과는 변별되는 글쓰기지만, 자신의 죽음을 정면으로 문제 삼은 사례라는 점에서 오늘날의 죽음교육에도 시사하는 점이 많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Elizabeth Kübler-Ross)가 말한 죽음 수용 단계들을 기반으로 자만시를 살펴보면, 자만시는 대체로 죽음 수용의 마지막 단계에서 지어지며, 의연히 죽음을 수용하려는 의식을 보여주거나, 죽음을 부모 및 조상과의 만남으로 받아들이는 의식이 많이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자신의 상장례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식의 제시는 남은 이들을 배려하는 자세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퀴블러 로스가 제기한 ‘사후생’의 문제는 동아시아 고유의 영혼관과는 차이가 있지만, 자만시에선 ‘三不朽’와 같이 또 다른 관점에서 존재의 영원성을 고민했으며, 드물게 근사체험에 가까운 내용이 담기기도 했다. 이는 자신의 ‘소망 투사’(wishful thinking)라고도 볼 수 있지만 현대인의 죽음 터부를 깨는 데도 활용할 여지가 충분하다. 자만시를 활용한 죽음교육은 기존의 유언장 써보기와도 유사하지만 자만시 쓰기가 좀 더 자신의 죽음에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언장의 내용이 대개 자신의 신변을 정리하고 가족과 주변 인들에게 남기는 말로 구성되는 반면, 자만시는 나의 죽음 자체에 좀 더 집중하여 죽음을 통한 ‘마지막 성장’이란 덕목에 좀 더 충실한 과정이 될 수 있다. 자만시는 관성적 죽음인식을 벗어나 있거나 전혀 다른 시각에서 죽음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죽음 교육 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현대인들의 죽음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을 걷어내기 위한 교육 자료로서 자만시는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value of self-elegy from the perspective of thanatology and death education. Self-elegy is a type of writing that is distinct from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death in East Asia, but there are many implications for today's death education in that it is an example of taking issue with one's own death. Based on Elizabeth Kübler-Ross's death acceptance stages, self-elegy is generally written at the last stage of accepting death, showing a sense of willingness to accept death or accepting death as a meeting with parents and ancestors. In particular,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ways of one’s own funeral as an consideration for the bereaved. Kübler-Ross’s concept of "post-life" differs from East Asia's unique view of the soul, but in self-elegy, we can find the thoughts about the eternity of existence from another perspective, such as "Sanbuxiu(三不朽)", and some statements about near-death experience. This can also be seen as one's own "wishful thinking," but it also can be used to break the taboo on death of modern people. Death education using self-elegy is similar to writing will testaments, but self-elegy can lead people to focus more on one's own death. While the contents of the will usually focus on organizing one's life and leave the last words to family members and frinds, self-elegy can be a more faithful process to the virtue of "last growth" through death by focusing more on one’s death itself. Self-elegy is highly valuable as a material for death education in that it deviates from inertial perception on death and illuminates death from a completely different perspective. Self-elegy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to remove excessive fear of death for the modern people.

      • KCI등재

        서구 죽음학에서 베케트 죽음관 자리매기기

        황훈성 ( Hoon Sung Hwang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 영문학 Vol.58 No.4

        Beckett`s life-long struggling with death may be illuminated in terms of the Western tradition of thanatology as well as Philippe Aries`s anthropological classification of death. Among the Western tradition, Beckett`s oeuvre incarnates memento mori, timor mori, nihilism, theatrum mundi, life as afterlife, and the transsubstantiation of the self. Among the five views of death Aries suggests, Beckett appears to foreground the death of the self and the invisible dirty death. In a world devoid of transcendental Signified, Beckett`s resident is "a poor player/That struts and frets his hour upon the stage." Our contemporary vision of death is dominated by the dirty death and timor mori resurrected from the cultural icon of danse macabre in the late Mediaeval age as vividly dramatized in W;t by Margaret Edson. Beckett stands in no man`s land: Lucky complains of divine aphathia as well as scopes at the possibility of God`s existence like Hamm. Beckett`s way of getting out of the dilemma is laughing a mirthless and dianoetic laugher. To bourgeois class who shudder at the sight of Grim Death after forgettable years of indulgence and addiction to capitalist consumption, Beckett seems to preach, your life is a death-in-life, you are not born yet until you are baptized with existential awakening as Gregor Samsa in Kafka`s Verwandlung, or Tolstoy in Confession.

      • KCI등재후보

        Beyond Life and Death: Nietzsche’s Thanatology

        김창현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3 종교와 문화 Vol.0 No.24

        이 글의 목적은 삶과 죽음의 이분법적 이해에 대한 니체의 비판과 그러한 이분법을 그가 어떻게 영원회귀 사상을 통해서 극복하고자 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니체의 저작들 속에서 죽음의 문제는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단지 산발적으로만 등장할 뿐이다. 그래서 “신의 죽음”에 대한 연구는 유행처럼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지만, “죽음” 자체에 대한 연구는 주목받지 못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니체의 죽음에 대한 이해는 신의 죽음으로 대표될 수 있는 그의 기독교 비판 지점과 맞닿아 있다. 삶과 죽음의 이분법적 이해는 “대중을 위한 플라톤주의”라 할 수 있는 기독교 도덕이라는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 니체는 판단한다. 그러나 그에게 죽음은 삶의 종말을 의미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간은 기독교에서 역설하는 것처럼 현생의 덧없는 삶 이후 내세에서의 영원불멸을 기대하면서 살아야 하는 존재도 아니다. 니체에게 죽음은 “이성적 죽음”이자 “완성하는 죽음”을 의미한다. 삶이라는 것은 내세의 불멸을 위한 준비단계가 아니라, 영원회귀를 통해 삶 자체를 적극적으로 긍정함으로써 현생에서 “운명애”를 구현하고자 하는 삶에의 의지이다. 결국 니체의 죽음학은 현세의 삶을 부정하고 내세 지향적 삶, 즉 기독교 도덕이 추구하는 삶의 태도를 비판함으로써 현세에서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에 대한 열망을 제시한다.

      • KCI등재

        생존지속 욕망에 대한 불교적 검토

        조준호(Cho, Joon-ho)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1 No.-

        우리 삶은 이제 well-being 차원에서 다시 well-dying이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현대의 죽음학의 등장이 바로 그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 죽음과 관련한 과잉욕망은 뇌사자의 죽음판정을 통해서도 잘 드러난다. 다른 이의 죽음을 통해 이식받은 장기는 자신의 생존지속과 죽음연장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뇌사를 완전한 죽음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는 문제가 있다. 이 점에 있어 현 한국불교계가 제시한 죽음판정은 너무 이르다. 즉 불교적 죽음관으로 볼 때 뇌사자가 완전히 죽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뇌사자의 장기적출은 불교의 윤리정신에 문제가 있다. 죽음은 결코 장기이식을 위한 욕망에서 정의되어서는 안 된다. 불교는 생명을 최고의 가치로 삼고 있는 만큼 생명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좀 더 안전하고 조심스럽고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뇌사자를 ‘죽은 자’로 성급하게 수용하려는 경향은 살아있는 자를 중심으로 하는 또다른 인간욕망에 지나지 않는다. 죽음은 어디까지나 편안한 임종을 맞이해야 할 수 있도록 산자가 아닌 죽어가는 자의 마지막 인권에 초점을 맞추어야한다. Nowdays the main interest in our lives is shifting from the matter of well-being to the matter of well-dying, which is represented by the advent of ‘thanatology’ as a brand-new field. In declaring brain death, a poignant example for showing strained relations between the life and death, we are confronted with this matter directly. i.e. by what criteria do we pronounce one dead? The contemporary medical profession regards brain death as real death. This criterion provides legal and ethical reasons to remove organs from a brain-dead body with which the ‘living’ patients extend their lives. Nevertheless, still it remains open to debate whether brain death is a complete end of life or not.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consents to this criterion of pronouncing death, based on some dogmatic suggestions. However, I think, in dealing with Buddhist ‘dogmatic’ references this criterion should be treated much more carefully. For, according to the Buddhist texts, brain death would not be reckoned as a proper criterion for pronouncing death. Consequently the removal of organs may cause serious ethical problems in this respect. In this paper, I want to indicate that the criteria defining death should not be proposed based on utilitarian values. This kind of approach is nothing but another dimension of greed. In other words, it is an excessive desire for life extension which leads to the intentional killing of a living being. A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Buddhist ethics is in neither hurting lives nor killing for others, we must carry out this issue more seriously and carefully with respect to the human rights associated with brain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