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죽음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김현심,이순영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향후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좋은 죽음 관련 66편의 논문을 분석준거 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좋은 죽음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년도는 2019년(18.2%)이었다. 연구설계 별 분석에서는 양적 연구가 52편(78.8%)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조사연구가 36편(54.5%)으로 나타났다. 연구분야 에서는 간호학 논문이 47편(71.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학제간 연구는 3편(4.5%)이었다. 좋은 죽음 연구 대상자는 주로 지역사회 노인과 간호대학생으로 이 각각 13편(19.7%)으로 나타났고, 환자 대상연구는 4편(6.1%) 으로 나타났다. 연구도구는 좋은 죽음 인식도구가 38편(73.1%)에서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변인은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간호였고, 가족지지는 매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좋은 죽음을 종합적으로 이해 하기 위해 다학제 연구와 다양하게 좋은 죽음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good death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research trends on good death. For this purpose, 66 articles related to good deat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11 to 2021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 of references. As a result, the year with the most good death studies was 2019 (18.2%). In the analysis by research design, 52 articles (78.8%) were the most quantitative studies, and 36 studies (54.5%) were survey studies. In the field of research, nursing studies were the most researched with 47 articles (71.2%), but multidisciplinary studies were three articles (4.5%). The subjects of the good death study were mainly the aged in the community and nursing students, each of which was 13 (19.7%), but the studies for patients were published only four articles (6.1%). The most used tool was the perception of a good death and conducted in in 38 articles (73.1%). The main research variables were the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hospice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and family support was used as mediating variables. Therefore, not only multidisciplinary research but also development research for vaious good death instruments may be sugges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good death.

      • KCI등재

        국내의 중년 대상 죽음 관련 연구동향

        문소희(Moon, So Hee),황윤원(Hwang, Yoon Won),유순화(Yoo, Soon Hwa)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국내의 중년 대상 죽음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경향성을 확인하고, 향후 연구가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학술지 및 학위논문으로 출판된 중년 대상 죽음 관련 연구 총 97편을 수집하여 출판연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고 변인 설정에 따른 평정 및 연구대상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국내의 중년 대상 죽음 관련 연구는 2001년부터 시작하여 2011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주제는 크게 죽음불안 및 태도, 자살생각, 사별로 분류되었고 각 주제에서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나, 교육과 프로그램 적용 연구는 그 수가 적은 편이었다. 둘째, 죽음불안 및 태도 주제에서는 중년 남성 대상의 연구가 없었으며, 양적연구가 질적연구 및 혼합연구에 비해 월등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혼합연구는 모두 Q방법론이었다. 자살 주제에서는 중년 남성 대상의 연구가 다른 주제에 비해 많이 이루어졌으며, 양적연구 중에서는 다변량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혼합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별주제의 연구대상은 중년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비슷하게 사용되었다. 셋째, 가족 관련 변인은 죽음 관련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 매개‧조절 변인이었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성별, 연령, 종교, 건강상태, 교육수준, 경제수준, 결혼상태에 따라 죽음관련 변인들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중년 대상 죽음 관련 연구에 관한 논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death of Korean middle-age to examine the research direction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97 articles on death of Korean middle-age, published from 2001 to 2020, were analyzed with regards to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s,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and role of variables, and were exa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y began in 2001 and the number of research has been increased rapidly since 2011. The research topics were classified as death anxiety and attitude, suicide, bereavement. In each subject, research has steadily increased.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especially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education and programs. Second, in the topic of death anxiety and attitude, there were no studies in middle-aged men, and quantitative studies accounted for a much larger proportion than qualitative studies and mixed studies, and Q methodology was studied in all mixed studies. In the topic of suicide, studies on middle-aged men subjects were conducted more frequently than other subjects. Among quantitative studies,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most, and mixed studies were not conducted. Middle-aged women were the most common subjects for bereavement,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used similarly. Third, family-related variables were commonly used mediating and regulating variables in death studies of middle-aged subjects.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death-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sex, age, religion, health status, education level, economic level, and marital status of the study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on studies related to death in middle-aged in Korea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 관련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길태영 ( Kil Tae-yo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 분야의 죽음준비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분류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발전적인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대상 논문은 사회복지실천 가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로 요구되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을 전제로 지난 25년간 6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9편과 석·박사 학위논문 25편, 총 34편의 국내 죽음준비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7년까지 사회복지분야에서 실행된 죽음준비교육관련 연구의 출처 및 연도별,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 연구 주제어와 프로그램 내용이 적용된 중재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출처 및 연도별에서 석사학위 논문이 20편(58.8%)으로 가장 많이 연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도별 동향은 1900년대 후반에는 2편에 불과했으나, 2006년~2010년에 들어와서 14편(41.2%), 2011년~2017년까지 15편(44.1%)으로 매우 높은 연구 성장을 보였다. 연구방법별 동향은 조사연구가 13편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연구대상별 동향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1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어 동향은 죽음불안(25)을 가장 많이 연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내용에 적용된 중재 특성 연구동향 분석에서 구조화분류 중 죽음에 대한 정서적 불안(20)이 가장 많이 활용된 변수였다. 또한 측정된 중재 효과도 죽음에 대한 정서적 불안(20)이 가장 많은 효과 검증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the social welfare field in Korea and in order to present a more systematic and developmental research direc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necessity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which is a very important role in social welfare practice value, the total of 34 paper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Korea for the past 25 years. The papers used in the analysis were mainly composed of 9 papers published in 6 journals and 25 papers in master`s and doctoral thesis. For this study, I examined the overall status of the study o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conducted from 1992 to 2016,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research keywords, and applie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est in the research related to the preparation education for death was focused on the elderly people and the trend of the study method was the most frequent with 13 researches, and the research trends of the study subjects were the 21 highest reported on the elderly. The main keyword of research was death anxiety (25), which was the most studied variable, and emotional anxiety about death (20) was the most used variable among the applied structuring classifications. In addition, emotional anxiety about death was the most effective test for the effect of intervention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 KCI등재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죽음상실과 애도에 관한 연구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민정,지명희,김해승,신주연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3 초등상담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죽음상실과 애도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 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의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19세미만의 아동과 청소년으로 죽음, 사별, 상실, 애도의 주요 검색어를 통하여 2022년 12월까지 발행된 한국연구재단 학술지 논문 중 31편을 선정하고, 발행연도별 논문 수와 연구자 영역, 연구대 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으로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죽음상실과 애도에 관한 학술연구는 1998년에 처음 출판되 기 시작하여 2014년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는 추세이고, 상담 및 심리치료 영역 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별 분석결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44%)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 대상 연구(38%), 취학 전 아동 대상 연구(18%)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결과, 질적연구(54.8%)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문헌연구(29%), 양적연구(13%), 혼합연구(3.2%)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죽음상실의 대상은 부모(69.6%)가 친구 나 또래관계(30.4%)보다 많았다. 죽음상실의 원인은 부모의 죽음상실인 경우 갑작스러운 죽음 이 가장 많았으며, 친구나 또래관계에서의 죽음상실의 원인은 자살과 갑작스러운 죽음이 있 었다. 치료적 개입방법으로는 놀이치료나 미술치료와 같은 매체활용기반의 치료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상실과 애도에 관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death loss and mourn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this basi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31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 academic papers published until December 2022 were selected through search terms for infants, childr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dolescents, death, loss, and mou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research on death loss and mourning for children began to be published in 1998 and increased rapidly in 2014, but has been on the decline since then,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most actively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study subject, studies on adolescents were the most common (44%), followed by stud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38%) and studies on pre-school children (18%). Third, as a result of research method analysis, 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most (54.8%),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29%), and quantitative research (13%). Fourth, parents (69.6%) were more likely to lose death than friends or peer relationships (30.4%). Sudden death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the case of loss of parents, and suicide and sudden death were the causes of death in friends and peer relationships.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 media-based treatments such as play therapy and art therapy were actively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on death loss and mourning for children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윤미(Kim Yun Mi),김성봉(Kim Sung B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는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의 탐색을 목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의 독특한 주관적생활세계의 복합적 현실의 맥락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자발적연구 참여자로 죽음불안 경험이 있는 50∼60세로 4개월 동안 8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참여자 경험의 보편적인 본질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53개의 의미형성과 21개의 하위범주(주제), 그리고 10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도출된 10개의 범주들은 ‘눈에 보이지 않은 불안과 직면함’, ‘세상일과 나 자신에 몰두하며…’, ‘죽음의망각에서 의식(意識)으로 탈바꿈’, ‘삶과 죽음에 대한 재평가’, ‘나, 타인, 그리고 하느님은 하나’, ‘종교적 삶: 감사와 위로의 시간’, ‘죽음에 대한 자기 개방성의 확대’, ‘고통은 나를 성장시키는디딤돌’,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나, 하느님의 도구이자 사랑을 주고받는 존재’이다. 가톨릭신자들은 생과 사를 오가는 극적인 한계 상황에 봉착하였을 때 비종교인과 차이가 없이죽음에 대한 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종교적 믿음의 강도와 신앙의 깊이와는 상관없다는 말이다. 그러나 죽음불안이라는 부정적인 경험은 오히려 하느님 안에서의 강한 변화의지를 통해 삶의의미와 목적이 하느님과 나, 그리고 가족, 타인, 공동체와의 유대감이 ‘우리’라는 정체성의 확장이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을 확인함으로써, 죽음사건으로 말미암은죽음불안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현대의 신앙인들에게 죽음불안에 대한 이해와 가톨릭신자들의 영적 본래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존주의 심리치료(상담)와 영성상담을 접목한 죽음불안 교육의 중요성을 부여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 존재가 지닌 고유한현상으로서의 보편성을 띈 죽음불안의 실존적 자각에 대한 인식 증진의 방안으로 죽음불안 체험자와의 소그룹 나눔(프로그램화)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reality of the unique subjective life world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the experiences of death anxiety of Catholic.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among Catholics?’ A voluntary study participant was in-depth interview with eight people over the age of 50 to 60 years with experience of death anxiety. Data analysis employs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which is suitable for analyzing the universal nature of participant experience.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53 meanings, 21 sub - categories, and 10 categories. The ten categories derived are ‘Confronting invisible anxiety’, ‘Iindulging in the world and myself.…’, ‘Transformation from oblivion of death to consciousness’, ‘reevaluation of life and death’, ‘I, others, and God are one’, ‘Religious life: thanksgiving and time of comfort’, ‘Expansion of Self-Openness to Death’, ‘Memento Mori’, ‘Me, the tool of God, and a loving being’. When Catholics were faced with the dramatic limits of life and death, they showed anxiety about death no different from non-religious people. This is irrelevant to the strength and depth of religious faith. However, the negative experience of anxiety of death, rather than a strong will of change in God, extended the identity that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is “we,” the bond between God, me, family, others, and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of Catholics and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death anxiety and the spiritual originality of Catholics for modern believers who do not recognize the death anxiety caused by death. It also gave the importance of death anxiety education combined with existentialist psy chotherapy (counseling) and spiritual counseling.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small group sharing (programming) with the death anxiety experienced as a wa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existential awareness of death anxiety.

      • KCI등재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현숙(Hyunsook Kim),김봉환(Bongw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을 이해하고 그 본질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어떠한가?”이다. 연구자는 51세-59세의 여성 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2004)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상황적 구조 기술과 일반적 구조 기술로 나누어 기술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황적 구조 기술에서는 46개의 드러난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자는 이를 ‘무너진 하늘: 부모 죽음의 충격’, ‘부모의 삶과 나의 운명은 복사본’, ‘삶의 중턱에서 마주친 위기가 소환한 죽음불안’, ‘상실의 고통을 안고 생존의 바다를 가로지르기’, ‘언제나 곁에 있는 부모의 빈자리’, ‘가슴 속 깊이 묻어두었던‘나‘를 만나고 위로하기’, ‘다시 만난 중년의 부모를 부둥켜안기’, ‘죽음을 응시하고 수용하기’, ‘상실의 상흔을 간직한 유한한 존재로서의 성숙’의 9개의 본질적 주제로 구성했다. 이를 통해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의 본질은 ‘슬픔을 간직한 채, 삶을횡단한 죽음과 화해하는 과정’으로 귀결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에 대한 논의를 했고, 이후 의의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ath anxiety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reached the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and to reveal the essence of them. The research question set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s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death anxiety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reached the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female participants aged 51-59 year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The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tuational statements and general structure statement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In the situational statement, 46 topics were derived.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ir recovery experiences mean ‘sky is falling: shock of parents’ death,’ ‘my destiny to live an identical life of parents’,’ death anxiety resurfacing by a crisis at the middle of life,’ ‘crossing the sea to survive the pain of loss,’ ‘absence of parents who used to be always by my side,’ ‘meeting and comforting me I had buried deep in my mind,’ ‘hugging middle-aged parents I met again,’ ‘staring at death and embracing it,’ and ‘maturity as a mortal being, keeping the scars of loss.’ Through this, the essence of the death anxiety experience of a middle-aged woman who has reached the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has been concluded as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with death running through life while keeping sorro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death anxiety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becoming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and then presented their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김신향,변성원,Kim, Sin-Hayng,Byun, Soung-W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12

        본 연구는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죽음준비교육 124편 연구물에 대한 연구실태와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경향은 1990년대에는 8편에 불과하였으며, 2005-2009년에 들어와 50편(40.3%)으로 매우 높은 연구 성장을 보였다. 출처에서는 석사 학위논문이 59편(47.6%)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 전공별 동향은 신학에서 가장 선두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사회복지학에서 29편(28.4%)으로 가장 많이 연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별은 노인이 35편(40.5%)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넷째, 연구방법별은 문헌연구가 61편(49.2%)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죽음준비교육 중재프로그램은 실험집단-통제집단 사전 사후 설계로 총 회기는 5-8회기. 주회기는 주1회, 1회기 활동시간은 100-120분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죽음준비교육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변인은 죽음불안이 23편(31.5%)으로 가장 많은 효과 검증이 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udies and their trends, specifically 124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s well as research papers on the topic of education on death published from 1990 to 2014.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rends by year, there were only 8papers in the 1990s but this figure saw a dramatic jump from 2005 to 2009 to a total of 50papers(40.3%). The majority of them, 59papers in total, were master's theses(47.6%). Second, in terms of the study field, theological studies took the lead and studies on social welfare accounted for 29papers(28.4%) which was the largest share. Third, in terms of study subjects, senior citizens were used in the majority of papers or 35papers(40.7%) in total. Fourth, in terms of methodology, literature studies accounted for 61papers(49.2%) which was the largest share. Fifth, for mediation programs education on death, the preferred method of study was to have a before-after design using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he most common number of total sessions was 5-8sessions with one session per week and each session lasting for about 100-120minutes. Sixth, as for the effect variable of mediation programs for education on death, death anxiety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variable at 23 papers(31.5%).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죽음준비 교육의 필요성과 실천적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최봉도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인문학술 Vol.11 No.-

        본 연구는 참여자인 대학생을 위한 실천적 죽음준비 교육과정 개발을위해 필요한 교육의 방향과 내용이 무엇인지 질적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생명존중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자원한 10명을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본인과 타인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위해, 행복하고 자주적인 삶을 살기 위해, 죽음을 대비하고 준비하기 위해서 죽음준비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죽음준비 교육에 필요한 교육내용은 슬픔 위로와 공감 방법, 구체적인 죽음준비 방법, 죽음을 수용하는 방법, 죽음에 대한 불안 해소 방법,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 변화를 위한 방법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죽음준비가 아닌 삶을 준비할 수 있는 교육과정, 직접적인 경험을 통한 교육의 기회 제공, 발달단계별 특성에 따른교육과정, 대학생 스스로 행복한 삶과 죽음에 대해 성찰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지원 등 실천적 죽음준비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sugges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what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education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death preparation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participants. It conducted interviews with 10 volunteers who had completed courses related to respect for life and volunteered. As a result,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was necessary to accept the death of themselves and others, to live a happy and independent life, and to prepare for and prepare for death. The educational content necessary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was drawn as a way to comfort and empathize with grief, a specific way to prepare for death, a way to accept death, a way to relieve anxiety about death, and a way to change negative perceptions about death.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focuses on practical death, such as a curriculum to prepare for a life other than death, provi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hrough direct experience,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velopmental stage, and educational support to help college students reflect on happy life and death.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preparatory curriculum.

      • KCI등재

        죽음교육 연구동향 분석: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이영선,장환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죽음교육의 연구동향을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향후 죽음교육의 체계적인 확산및 발전을 위한 연구방향성 및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대상 논문은 최근 10년 동안의 등재후보 및 등재 학술지 국내 논문 100편이었고, 연도별, 전공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도별 분석에서는 2014-2016년의 연구가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별 분석에서는 교육학(29%), 사회복지학(19%), 신학(18%), 간호학(16%) 순이었다. 연구대상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노인(19%)이 가장 많았고, 성인(3%)과 유아(2%) 대상이 가장 적었다. 연구방법별 분석을 보면 양적연구가 3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문헌연구(32%), 사례 및 개발연구(24%)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내용별 연구동향은 교육철학적, 교육과정 및 방법, 교육사회학적, 교육심리적·상담적, 의료·법적 포함 실용적 접근으로 평생교육 관점과 연계하여 분석하였고, 이러한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죽음교육의 체계적인 확산 및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유아 죽음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김은경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8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유아 죽음교육의 방향성 제시 및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이를 위해 1984년부터 2017년까지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유아 죽음교육 관련 연구 30편을 대상으로 하여 연도 및 발행처,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도 및 발행처 분석에서는 1984년부터 2017년까지 1-2편씩 비교적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학위논문은 8개 학교, 학술지 논문은 15개 학회에서 게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에서는 유아와 문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편중되어 있었다. 연구방법에서는 문헌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조사연구와 실험연구가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다. 연구내용에서는 학위논문의 경우 죽음개념 관련 연구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학술지 논문은 대부분의 분석범주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내용을 토대로 논의한 결과 죽음교육은 홀리스틱 교육과 같은 맥락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인 유아 죽음교육의 방향은 다학문적이며 다각적인 방법에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는 바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research data suggesting the direction of de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targeting 30 researches related to de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ublished in theses and journals from 1984 to 2017, the year & issue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contents were analyz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year & issuer, relatively, 1-2 researches were continuously conducted from 1984 to 2017. Theses and scientific treatises were published by eight schools and 15 societies respectively.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 the researches were concentrated in young children and literature. Next, the survey study was in the same ratio with the experimental study, In case of the research contents, the theses were concentrated in the concept of death while the scientific treatises showed the relatively-even distribution in most of the analysis category. In the results of discussion based on such research contents, the death education had the same context with the holistic education. Therefore, a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de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approached in the multidisciplinary and multilater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