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사상이론가들을 통해 본 주체사상 발전: 1950년대 중반-1990년대 초반 근로자를 중심으로

        정원희,임재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4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of Juche idea through North Korean theorists and their arguments by using the articles of the Korean Workers’ Party’s organ, Workers, from the mid-1950s to the early 1990s. To differentiate from previous research that mainly focused on official Juche doctrines based on the works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Juche idea on North Korean theorists’ articles in Workers. Here the development of Juche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Phase 1 (Juche as policy doctrine) from the mid-1950s to the early 1970s; Phase 2 (Juche as philosophical thought) from the early 1970s to the mid-1980s; and Phase 3 (Juche as semi-religious dogma) from the mid-1980s to the early 1990s. In the first stage, the term Juche developed into the key principle of North Korea for internal and external policy-making. It was theoretically expanded and systematized in the second stage with abstract philosophical elements centered on human. In the third stage, the Juche idea was changed into a semi-religious doctrine by emphasizing moral norms in the North Korean context of leadership cul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irst attempts to analyze the Juche idea through North Korean theorists rather than official doctrines on North Korean leaders’ works, which contributes to diversifying the studies of the Juche idea. 본 논문은 195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북한의 당 기관지인 근로자에 게재된 논문들을 통해 주체사상 발전 과정에 관여한 인물들과 이들의 논지를 분석하였다. 기존 주체사상 연구에서 주로 김일성·김정일의 공식 담화를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주체사상 발전과정을 근로자에 실린 사상이론가들의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체사상 발전과정은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제1단계: ‘대내외 정책노선으로서 주체 확립기(1950년대 중반-1970년대 초반)’, 제2단계: ‘철학적 원리로서 주체사상 정립기(1970년대 초반-1980년대 중반)’, 제3단계: ‘주체사상의 교조화기(1980년대 중반-1990년대 초반)’이다. 제1단계에서 주체사상은 대내외 정책노선으로 ‘주체’가 확립된 이래 북한의 공식 지도사상으로 자리 잡았고, 제2단계에서 인간중심의 철학적 요소가 가미되어 본격적으로 확장된 이론 체계를 갖추었다. 제3단계에서 주체사상은 인민대중의 당위적 규칙을 강조하는 교조적인 논리로 전개되었다. 주체사상 발전을 북한 지도자의 공식담론이 아닌 사상이론가들의 논지를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시도는 향후 주체사상 관련 연구의 관점을 다변화하고 범위를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北韓 主體思想 形成過程의 虛構性에 대한 批判

        차동관,김대규 慶州專門大學 1994 慶州專門大學 論文集 Vol.8 No.-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일성은 20세기 초, 한국사회가 처해 있는 국내외적 政治 社會의 特殊的 狀況에서 북한의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그의 혁명전통을 기반으로 反帝民族解放運動과 反封建民主主義革命運動을 전개하였음을 强辯하고 있다. 그리고 조국해방을 전후한 국가적 혼란의 시기에 蘇聯亦軍의 강요된 革命과 支援에 의하여 북한에서 정치권력을 장악하고 이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전체주의적 일인지배체제를 강화하기에 이른다. 이 때 김일성을 비롯한 그의 추종세력들은 통치이데올로기를 구축하고 사회주의혁명의 必然性과 當爲性을 역설하기 위하여 韓國戰爭이후 국제사회의 力學關係를 활용하여 주체사상이라는 것을 鑄造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들은 이러한 주체사상에 기초하여 주체의 혁명이론 즉, 길일성의 혁명론을 독창적으로 밝혔다고 주체사상총서에서 수 차례에 걸쳐 강변하고 있다. 그런데 그의 革命運動과 思想은 反帝 反封建民族解放運動의 과정에서는 抗日革命運動의 무대였던 中國 모택동의 人民民主主義的 戰略戰衛論을 模倣하였으며 그리고 社會主義建設의 過程에서는 소련 스탈린의 全體主義的 理論과 綱領을 援用하고 있다. 이러한 共産主義的 혁명운동과 사상의 외부로부터 導入은 해방전후의 北韓政權의 形成과 韓國戰爭의 過程에서 더욱 체계화되고 具體化되었다. 이와 같이 김일성의 주체사상은 國內外的 정치사회의 與件들 중에서 주로 외부적 與件에 의하여 형성되고 전개되어졌음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그의 주체사상은 역시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共産主義革命運動과 思想에서 차별화를 선언하고 自力更生의 路線을 堅持하기에 이른다. 이것을 두고 그들은 주체의 혁명이론을 독창적으로 창시하였다고 강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그것이 政治指導者의 統治와 支配論理의 이데올로기적 性格이 가미되어 展開될 경우 適期適所에 맞는 이론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김일성의 혁명론이 이론이나 사상이기보다는 그들의 주장대로 實踐運動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것보다는 김일성의 혁명론을 하나의 思想이나 主義로 定立시키기 위하여 국내외적 情勢를 잘 이용하고 때로는 捏造된 歷史와 虛構的 論理를 마치 결실인양 糊塗하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상이다. 즉, 외부로부터의 위협을 도발함으로써 내부적 단결의 강화를 기한다는 법칙을 이용하여 주체의 혁명이론은 이러한 外的條件을 內的變化의 土臺로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양상은 궁극에는 교조화된 혁명의 논리를 내세워 權力의 父子世襲體制를 완성할 수 있는 土臺를 마련해 주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內外的으로는 이를 根據로 支配體制를 正當化하고 合理化하는 道具로 이용되고 있음을 비판할 수 있다. 그리고 북한공산주의자들은 주체사상을 독창적으로 창시하고 혁명과 건설의 새로운 길을 개척한 과학적인 혁명론이라고 강변하고 있으나, 理論의 展開와 實踐의 過程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스탈린주의 그리고 모택동 사상을 援用하거나 오히려 본질을 我田引水式으로 왜곡시켜 북한의 정치경제적 현실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하여 통치이데올로기 구축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을 비판할 수 있다. 그러면 김일성이 사망한 지금 주체사상은 북한의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이상없이 기능할 수 있을 것인가. 이것이 북한이 안고 있는 딜레마이며 국내의적으로 최대의 관심사이다. 최근 사회주의권의 변화가 초래한 대내외적 위기와 경제파탄을 모면하기 위하여, 그리고 정치권력의 변화에 대한 개연성과 더불어 주체사상의 또 다른 변용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살펴 본 바와 같이 주체사상은 북한의 이론가들이 때에 따라 부분적인 수정은 시도해 왔으나 북한의 체제가 존속하는 한 위와 같은 본질은 결코 변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다. 김일성의 주체사상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신격화된 존재로서 김일성을 찬양하고 절대복종하기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음을 지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것은 김일성 個人崇拜를 정당화하고 합리화시켜주는 것은 물론 권력의 父子世襲을 옹호하고 절대적으로 支持하도록 하는 방편으로 활용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 KCI등재

        북한선교를 위한 ‘주체사상’ 과 ‘유물론적 신학’의 대화

        이찬석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아시아에서 기독교의 선교가 두드러지게 이루어진 곳은 한국이다. 비록 현재는 침체의 늪에 빠져있지만, 지금까지 성장한 한국교회가 짊어져야 하는 선교적 몫은 중국선교와 더불어 북한선교이다. 북한이 한민족이기 때문에 사실상 한국 기독교는 동남아시아 선교나 중국선교보다 북한선교를 더 우선적인 과제로 삼아야 한다. 현재 북한선교는 대북지원, 북한교회재건운동, 통일운동과 같은 외형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있다. 통일운동에 중심을 두는 북한선교는 수평적 선교라면, 북한교회재건과 대북지원은 수직적 선교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북한선교가 수평적 선교와 수직적 선교를 넘어서 심층적 선교도 전개되어야 함을 강조하려고 한다. 북한선교는 북한을 타문화권으로 간주하고 선교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고, 또한 북한을 타종교권으로 간주하고 북한선교가 전개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들은 기독교 복음의 내용을 북한에 적합하게 재구성하려는 움직임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심층적 북한선교는 현재 북한체제와 북한주민에게 적합하게 복음의 내용을 재구성하는 북한신학의 구성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북한사회의 지도적 이념은 주체사상이다. 주체사상이 정치적 이데올로기도 간주되든지, 하나의 종교로 간주되든지 주체사상은 북한체제와 북한주민들의 사상적 기반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대화의 차원을 넘어서 주체사상을 전제로 하는 북한신학의 창출은 북한선교의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심층적 북한선교를 위한 북한신학의 정립을 위하여 슬라보이 지젝(Slavoj Zizek)의 유물론적 신학과 주체사상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여 보려고 한다. 슬라보이 지젝(Slavoj Zizek)은 스스로를 유물론자로 자체하면서 기독교를 해석한다. 그에 따르면, 기독교의 전복적 핵심은 오로지 유물론적 접근을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으며, 역으로 진정한 변증법적 유물론자가 되기 위해서는 기독교적 경험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신론자/유물론자인 지젝의 기독교 해석은 유물론에 토대를 두고 있는 주체사상에 적합한 북한신학의 구성을 위하여 하나의 징검다리로서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통일신학도 중요하지만, 통일신학이전에 북한신학과 북한적 기독교가 구성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북한선교의 유형과 정책을 간단하게 살펴보면서 심층적 북한선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두 번째로 북한의 주체사상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중심으로 북한 주체사상의 특징을 유물론과 인간중심으로 정리하여 본다. 마지막으로 지젝의 유물론적 신이해와 성육신 해석을 살펴보면서 주체사상과의 연관성을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It is South Korea that Christian mission is the most successful in Asia. Even though South Korean church has stagnated, the share of South Korean church is the Chinese mission and North Korean mission. Because North Korea is the Korean race, the church of South Korea should regard the North Korean mission the most important mission rather than the Chinese mission and the South Asian mission. Currently, the North Korean mission concentrates on the aid project for North Korea, the reconstruction of the North Korean Churches, and unification movement. The North Korean mission focusing on unification movement can be called as horizontal mission. And the North Korean mission for the aid project for North Korea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North Korean churches can be called as the vertical mission. However, this article is going to emphasizes that the North Korean mission should develop the deep mission beyond the vertical mission and the horizontal mission. It is interesting that the North Korean mission should regard North Korea as other culture or other religion. This means that the South Korean church thinks of North Korea as the same culture with South Korea, and does not thinks of North Korea’s Juche Idea as a religion. However, the two arguments does not try to reconstruct Christian gospel to be appropriate with North Korea. The deep North Korean mission engages to reconstruct Christian Gospel being appropriate with the present system of North Korean. In other words, the deep North Korean mission struggles for the theology of North Korea. It is true that the guidance ideology of North Korea is Juche Idea. Even though the Juch Idea is regarded as a political ideology or a religion, it is the idealogical base of North Korean people. Therefore, the creation of North Korean Theology should be one of the important missions beyond the dialogue between Juche Idea and Christianity. For the creation of North Korean Theology to contribute to the deep North Korean mission, this article are going to eng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lavoj Zizek’s theology and the North Korean Juche Idea. Slavoj Zizek thinks of himself as a materialist and interprets Christianity. According to Zizek, one should experience Christianity in order to become an authentic dialectical materialist. Because Zizek is a atheist and materialist, his interpretation of Christianity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North Korean theology as a stepping-stone. The Theology of unification is very significant in the discourse of North Korean mission but North Korean Theology and Christianity should be constructed before the theology of unification.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the relativeness between Juche Idea and Zizek’s material theology.

      • KCI등재

        북한 주체사상의 기독교적 신앙체계에 관한 연구: 율법 - 복음의 관계와 주체사상체계 변화의 등가성 및 선교 공략점 제시

        정교진 ( Jung Kyo Jin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8 No.-

        북한에는 북한전체인민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지도이념 및 행동규범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주체사상과 10대원칙(유일사상체계 확립의 10대원칙)이다. 주체라는 용어는 1955년부터 대두되었지만, 이것이 하나의 사상으로 제시된 때는 김일성이 빨치산 아류인 갑산파를 제거하고 일인독재 권력을 구축하게 된 1967년도이다. 북한전체문헌에는 `주체사상`이라는 용어보다 `당의 유일사상체계`라는 용어가 압도적으로 많이 표기된다. 즉, 북한에서 `주체사상` 과 `당의 유일사상체계`는 동의어이다. `당의 유일사상`은 곧 김일성의 혁명정신을 가리킨다. 이 혁명정신은 김일성이 항일빨치산 활동을 통한 해방운동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김일성이 일제의 압박에서 조선을 해방시킨 구원자요, 일제 암흑기에서 조선에 빛을 비춰준 태양이라고 그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것이 주체사상의 주요기능이다. 따라서 이 주체사상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구원자가 되심을 전재로 제시된 기독교의 율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율법의 기본원리는 `십계명`으로, 하나님을 섬기는 법과 공동체 구성원이 지켜야 할 기초적인 규율이다. 북한의 주체사상, 당의 유일사상에도 기본원리가 있는데 바로 10대원칙이다. 이 10대원칙은 십계명과는 달리 제1조부터 제10조까지 김일성에 대한 절대적 복종 및 맹목적인 충성을 요구하고 있다. 제1조는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혁명사상으로 온 사회를 일색화하기 위하여 목숨 바쳐 투쟁하여야 한다”이다. 여기서의 혁명사상이 곧 유일사상이요, 주체사상이다. 기독교는 율법으로 끝나지 않는다. 구약을 대표하는 것이 율법이라면 신약을 대표하는 것은 복음이다. 이 복음의 기능은 율법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완성시키시는 이는 예수 그리스도이다. 김일성이 제시한 주체사상은 김정일에 의해 체계화되어 `김일성주의`로 발전했고 이것은 크게 `김일성의 유일사상체계`와 `김정일의 유일지도체계`로 양분된다. `유일지도체계`의 의미는 김정일이 주체사상의 유일한 해석자요, 완성자라는 것이다. 이는 복음의 주체인 예수 그리스도와 그 존재적 성격 및 그 역할에 있어 유사성을 갖는다. 김정일 사후, 사상의 독점권을 틀어쥐고 있는 김정은은 `김일성-김정일주의`를 선언했다. 이것은 `김정일 애국주의`로 대변된다. 이 `김정일 애국주의`의 유일한 해석자요, 계승자는 오직 김정은, 자신뿐이며 자신만의 고유영역이라는 것이다. 만일 누구라도 이 영역을 침범하면 그는 루시퍼 같은 존재로 박멸의 대상이 된다. 이는 유일사상의 주체(중심)에 김정은도 포함됨을 의미한다. 김정은은 유일사상체계를 더욱 심화 확대시켰는데, 자신에게 무조건적 맹종하게 하는 쪽으로만 강화시켰다. 2013년에는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10대원칙`을 `유일영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으로 전환시켜 자신의 지도와 영도를 제도적으로 절대화시켰다. 이점이 기독교의 복음과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수 그 리스도가 제시한 복음의 모토는`사랑`(마 5:43-44, 요 15:12)과 `섬 김`(마 20:28, 마 23:11-12)이다. 그런데, 북한의 김정은은 자신으로의 권력 독점을 위해 북한의 사상체계를 영도체계로 전환시키며 사유화하였다. 또한, 권력독점에 대한 정당성을 내세우기 위해 자신에 대한 우상화 작업을 전개하고 있다. 그런데, 그 우상화 정도가 선대 김일성, 김정일 시기보다 훨씬 더 그 강도가 높다는 것이다. 그로 인해, 적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양상은 북한주민들이 지도자(김정은)에 대한 `신들림`(신화적 사고)의 현상이 엷어지고 있다는 증거이다. 김정은이 30대 초반의 젊은 나이인 것이 하나의 요인일 수 있다. 하지만 가장 핵심 변인은 북한주민들이 외부세계에 점점 노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그들로 하여금 지도자 김정은에 대한 `신화적 사고`가 점점 엷어지게 하는 동인으로 작동되었다. 즉, 지도자 인상에 대한`신들림의 현 상`에서 점점 깨어나고 있다. 바로 이 지점이 북한선교 공략점이다. 계속해서 북한주민들로 하여금 외부세계에 대해 눈을 뜨게 함으로 지도자에 대한 `신화적 사고`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지도자 인상에 신들려 있는 그들을 깨어나게 하여 자율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상식적인 인간으로 돌려놓는 것이다. 그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측 면으로 접근할 수 있다. 하나는 선교적 측면으로, 대표적인 방법은 `대북방송` 및 `대북전단발송`이 있다. 다른 하나는 교류협력 측면의 접근방법이다. 남북교류협력도 궁극적으로 북한을 개방화로 이끌어 낼 수 있는 큰 동력이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개성공단 재 가동` 및 `금강산관광 재개`를 들 수 있다. 남북한 종교교류도 북한 종교의 제도적 변화를 가져오게 할 수 있는 `중대 전환점`으로 작동될 수 있다. The Christian system of belief is the law and the gospel. The law was given to the people of Israel through Moses, and the gospel was given to mankind through Jesus Christ (John 1:17). The law is to minister to the LORD God, who delivered the children of Israel out of Egypt and crossed the Red Sea (Exodus 20: 2-3). The gospel was completed only by the words of Jesus, who came to this earth with the glory of the Only Begotten of God (Matt. 5:17). And that the host of the salvation (the way to the Father) is Jesus Christ Himself (John 14: 6). If we examine North Korea`s Juche idea closely, we can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law and the gospel. In other words, the `Juche Ideology`, which was proclaimed in 1967 when the Kim Il Sung dictatorship was established is like law. the `Suryong System`(Kim Ilsungism) that proposed in 1974 when Kim Jong Il was officially appointed as the successor is like gospel. In addition, `Kim Ilsungism - Kim jongIlism`, which Kim Jong Un proclaimed in 2012, can be regarded as the character of the `Gospel`. In the North Korean data, the term `Monolithic Ideal Logical System of the Party` is more used than the term `Juche Ideology`. This is linked to Kim Il Sung`s revolutionary ideology, and the ideology of revolution is based on Kim Il Sung`s anti-Japanese revolutionary activities. In other words, This infuses as follows. Kim Il Sung saved Jose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so, He is like a `sun` that shines light in darkness. Therefore, North Korean peoples should be serve Kim Il Sung and follow Kim Il Sung. So, there are 10 principles to keep the Juche idea, which lists the code of conduct that says Kim Il Sung must be unconditionally believed. The first principle is “to struggle for the sake of unifying the whole society with the revolutionary ideology of the great leader Kim Il Sung”. The revolutionary ideology is like the Only ideology, the Juche idea. In 1974, Kim Jong Il systematized the Juche idea as `Kim Ilsungism`. This then, It was seperated `Kim Il Sung Unique Ideology` and `Kim Jong Il Unique Leadership System`. The `Kim Jong Il Unique Leadership System` has the same gospel charac-ter of Jesus Christ. Kim Jong Il explained about `the unique leadership system`. everything focused on me is like doing for the Suryoung. This is like words of Jesus Christ as follows. “I am the way, the truth, and the life. No one comes to the Father except through me.”(John 14: 6) as such, Kim Jong Il claims that he is the only interpreter, successor, and finisher of Juche idea Under the current regime of Kim Jong Un, `Kim Ilsungism - Kim Jongilism` is the national guiding ideology. This ideology is represented as `Kim Jong Il patriotism`. And it is only Kim Jong Un that interprets, complements and completes this ideology. Aside Kim Jung Un, everyone is traitors, opponents, and heretics. Thus, It shows the Juche idea system imitates a Christian belief system that accept `Jehovah God` as the host of the law, and `Jesus Christ,` as the host of the gospel. but there is a great contradiction between these two(Juche system-gospel) The motto of the Christian gospel is `love` (John 15:12) and `serving`(Matthew 20:28, Matthew 23: 11-12). Contrary Juche system is only concentrate for `domination` and `reign`. At present, Kim Jong Un is engrossed in his propaganda of idolization along with the repressive terrorism. However, it is producing the side effects. In other words, the `mythical thinking` of North Korean people about Kim Jong Un, `god`s phenomenon` is getting thin-ner. This is attack point of North Korean missions. By continu-ing to open the eyes of the North Korean people to the outside world. so they make them free from the mythical thought on the leader (Kim Jung Un). The method can be approached in two major ways. One of the representative aspects of the mission is the broadcasting to North Korea and the sending of flyers to North Korea. The other is an approach of exchange and cooperation. Overall exchange and cooperation, including inter-Korean religious exchanges, including the restart of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resumption of tourism on Mount Kumgang, will ultimately work as a way to change North Korea.

      • KCI등재

        황장엽의 ‘통일한국’ 구상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

        김회권(Kim Hae Kw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6

        이 글은 황장엽의 인간 중심주의 철학인 주체사상에 입각한 ‘통일한국’ 구상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이다. 황장엽은 남한에 와서도 자신의 주체사상이 김정일의 수령절대주의체제는 물론이거니와 마르크스주의 계급독재주의나 계급투쟁론 그리고 무산계급독재론을 극복한 인문사회변혁론이라고 주장한다. 김정일 중심의 북한 체제에 대한 비판의 준거는 자신이 창시한 주체사상 이다. 따라서 그의 주체사상의 얼개를 먼저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가 남한에 와서 저작한 중심 저작들의 주제들을 일별해 볼 필요가 있다. 글의 목차는 황장엽의 북한 체제 비판, 황장엽의 남한 체제 비판, 황장엽의 주체사상 개요, 황장엽의 통일한국 구상 그리고 황장엽의 통일한국 구상에 대한 기독교적 비판으로 구성될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황장엽은 사상적으로 남한 체제에 전향하지 않았고 자신의 인간 중심 주체사상으로 남북한 사회를 공히 비판적으로 지양함으로써 통일한국을 제시한다. 그는 절대적 계급주의 사상, 수령론으로 각질화된 주체 사상, 주체사상을 타락시킨 김정일의 선군정치 등을 비판하면서도 자신의 집체주의적 사회역사관을 조금도 부정하지 않는다. 소련 및 동구권의 몰락을 두고 사회주의에 대한 자본주의의 승리라고 보는 자본주의 국가들의 견해를 지극히 단선적인 해석이라고 단언하며, 소련과 동구의 몰락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갈등 너머에 있는 미래 사회를 가리키는 예후라고 파악한다. 황장엽은 남한의 민주주의적 체제의 통일한국 창조에서의 선도적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지만 남한 사회의 현재 모습에 대해서는 심각한 의구심을 피력했다. 황장엽의 인간관, 사회 역사관, 세계관 등은 ‘통일한국’ 구상에 결정적인 요소들이다. 이 논문은 황장엽의 주체사상에 입각한 통일한국 구상을 세 가지 기독교 신학적 관점으로 비판한다. 즉 인류 역사의 무한 진보에 대한 종말론적 비판, 개인의 사상개조를 주도할 국가사상권에 대한 기독교적 인간론과 하나님 나라 사상에 입각한 비판 그리고 황장엽의 무진장한 자연관에 대한 창조신학적 비판을 제시한다. The present essay is a Christian response to noted North Korean defector Hwang Jang-yeob’s blueprint for a Unified Korea, a blueprint based on his human-centric Juche Idea. Even after defecting to South Korea, Hwang claims that his Juche Idea is a humanistic, socially revolutionary idea that has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rxist ideology of the Proletariat dictatorship and class struggle, not to mention the absolutist regime of Kim Jong-il. The standard against which Hwang criticizes the North Korean system, which revolves around Kim Jong-il, is his own Juche Idea. To first grasp the framework of Hwang’s Juche Idea, what is first needed is an overview of the themes that run through the major works published after his defection to South Korean. This paper will cover the following: Hwang Jang-yeob’s criticisms of the North Korean system, Hwang Jang-yeob’s criticisms of the South Korean system, an overview of Hwang Jang-yeob’s Juche Idea, Hwang’s ideas for a reunified Korea, and a Christian critique of Hwang’s ideas on a reunified Korea. To begin with the conclusion, Hwang Jang-yeob has not been won over ideologically by the South Korean system. He rejects and criticizes both North Korean society and South Korean society equally and calls for a reunified Korea. Yet, even while criticizing an absolute class ideology, a Juche Ideology that has been ossified by an absolute ruler, or the militarism of Kim Jong-il, Hwang stands firm in his own view of history and society, which favors collectivism. Hwang criticizes the one-dimensionality capitalist view, which sees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Bloc as a victory of capitalism over socialism. Rather, Hwang sees the failures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bolc of communist states as a prognosis for a future society, beyond the conflict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Hwang Jang-yeob emphasizes the leading role and the responsibilities of South Korean democracy in the creation of a reunif

      • KCI등재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상관관계

        부승찬 ( Seung Chan Boo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상관관계를 통치이데올로기의 대체, 양립, 그리고 하위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체사상의 체계화 과정과 유사하게 선군사상도 선군이라는 단순한 개념에서 출발하여 사상체계로까지 발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선군사상 출현 이전의 통치담론들이 일시적으로 등장했다가 사라진 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선군사상이 선군이라는 단순한 용어에서 출발하여 ``선군혁명령도``(1999), ``선군정치``(2000), ``선군사상``(2003), 그리고 ``선군사상교양``(2004∼)으로 심화 발전됨으로써 사상적 이론화가 시도되고는 있지만, 주체사상처럼 전일적 체계화를 이루지도, 독립적이고 배타적인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존재하지는 않는 듯하다. 즉 선군사상은 주체사상에 기초하고 있으며, 주체사상의 기본원리들을 전면적으로 구현하는 주체사상의 하위담론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선군사상이 통치이데올로기로서의 논리적 구조의 취약성과 유일성의 결여에도 불구하고 보편성의 추구를 통해 인민대중들에게 설득력을 제공하고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 정도 실천이데올로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로 볼 때 주체사상이 순수 이데올로기로 격상되고, 선군사상이 실천이데올로기로 발전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이 이러한 경로를 택하게 된다면 그것은 김정일과 그의 후계자인 김정은의 몫이 될 것이다. 통치이데올로기의 창시권과 해석권은 북한의 지도자와 그의 후계자의 고유권한이기 때문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Juche and Songun (Military-first) idea in light of replacement, coexistence, and subordinate discourse. Similar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Juche idea, the Songun idea has developed from a simple concept into political ideology in North Korea. This, mainly differentiates the Songun idea from the other short-lived governance discourse theories. Although the Songun idea has developed and materialized from an simple idea, into an applied policies such as "Songun-revolutionary leadership"(1999). "Songun-politics(2000), "Songun idea"(2003), and "Nationwide education campaign of Songun idea"(since 2004), it has not achieved the concrete status as Juche idea. In short, Songun will not develop into such degree of Juche idea because the basis of Songun idea lies in the principles of Juche ides, making it nothing more than a subordinate discourse of Juche idea. The Songun idea has continued to function as a practical ideology in despite of insufficiency logic in its structure and lack of distinctiveness because of its ubiquity, to the people of North Korea, the Songun idea effectively persuades people into its much needed participants. Looking at the correlation of Juche and Songun idea from such perspective, one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in change of roles between Juche and Songun idea, Juche turning into a purely ideological form and Songun filling the role of practical ideology. If North Korea takes a such a route, it will purely be based on the decision of Kim Jong-Il and his heir Kim Jong-Un, since the privilege of interpreting and administrating such political ideology lies in the hands of Kim-Jong Il and his son.

      • KCI등재

        주체사상의 순수 이데올로기화와 새로운 실천 이데올로기의 등장

        정영철 ( Young Chul Chung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5 한국과 국제정치 Vol.31 No.3

        2004년 김일성종합대학 주체사상 교과서는 기존의『주체사상 총서』와는 다른 체계와 개념으로 서술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두 가지를 암시하는데, 하나는 주체사상의 논리적 변화의 자연스러운 귀결이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김정일의“사회주의는 과학이다”이후 주체사상을‘과학적 진리’의 최정상에 놓고자한 정치적 기획이라는 것이다. 북한에서 주체 사상의 개념과 체계 변화는 맑스주의와의 결별인 동시에 내부 논쟁의 결과로 해석할수 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소련 및 동유럽 해체 이후, 주체사상만이‘참다운 과학’임을 주장하고 이를 가장 보편적인 과학의 진리에 놓고자 한 것이었다. 즉, 주체사상의 순수 이데올로기화였다. 그리고 이러한 주체사상의 순수 이데올로기화에 덧붙여 현실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인‘실천의 지침’을 새롭게 정립하였는데, 김정일 시대의 선군사상이 바로 그것이다. 순수 이데올로기와 실천 이데올로기의 구분을 통해서 북한 주체사상의 변용을 살펴보는 것은 하나의 중요한 의미를 던져준다. 비록주체사상의 정당화 기능을 전제로 하겠지만, 북한의 사상적 지형이 불변이 아니라 개혁\개방에 요구되는 새로운 실천의 지침을 제시하고 사상의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란점이다. The text of ‘Juche Idea’ in Kim Ilsung University was published in 2004 which was written in different system and concept compared with the former ‘Juche Text.’ This implies two things. One is the natural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Juche idea, the other is the political project aimed placing Juche idea on to the top of the ‘scientific truth’ since the Kim Jongil’s “Socialism is the Science” which was published in 1994. The change in the concept and system of Juche idea is able to be analyzed as the result of the domestic debates as well as the separation from the Marxism. But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North Korea seeks to place Juche idea on the universal truth after the collapse of the USSR and Eastern Europe. That is the making Juche idea as the pure ideology, and the North Korea established a new ideology required for the concrete reality, Songun idea. This analysis gives us a very important point. Although the premise of the justification by Juche idea, the ideological structure in North Korea is not fixed but changeable. Furthermore, the North Korea can show us the ideological flexibility that suggest the new practical guideline required for reform and open in the name of practical ideology.

      • KCI등재후보

        과도기의 북한철학에 나타난 변화와 이론적 특징

        이병수(Lee Byung Soo)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통일인문학 Vol.50 No.-

        이 글은 수령의 유일 영도가 강조되는 1967년부터 주체사상 총서가 발간되는 1985년에 이르는 시기에 나온 북한 자료를 바탕으로 주체사상의 이론적 특징을 개괄하는 가운데(2, 3장), 맑스주의 철학과 서양철학 연구(4장), 전통철학과 종교 연구(5장)에서 나타난 변화된 인식을 살펴보려는 데 있다. 보편화 시기에 이루어진 우리 시대의 규정과 수령론은 이후 주체사상의 체계화를 구성하고 촉진하는 데 핵심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두 가지 요인은 주체의 철학적 원리와 사회역사적 원리의 근저에는 자리 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체사상의 전체적 내용과 구성요소에서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2장) 체계화 시기의 북한철학은 주체사상의 독창성을 부각시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주체사상의 정당화 논리에서 북한 학자들 사이에 편차가 존재하며 다루는 대부분의 주제들은 수령론과 관련되어 있다.(3장) 주체사상의 보편화 및 체계화 과정은 달리 말하면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해석의 변화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70년대 북한 학자들의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서술방식은 주체사상의 독창성을 강조하는 구도 속에서 그 세계관적 한계를 지적하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북한 학계의 서양철학 연구는 서양철학 일반에 대한 이론적 관심이 아니라 남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대 서양철학에 대해서만 관심을 집중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4장) 1967년 유일사상체계가 성립되면서 북한의 민족문화정책이 편협하고 배타적인 방향으로 변하여 전통철학 연구는 크게 위축되었다. 또한 종교의 해독성이 특히 이 시기에 이르러 더욱 강조되었다. 종교는 착취계급을 위한 사상적 도구이며, 오늘날 그 사회경제적 지반은 청산되었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착취사회의 낡은 사상적 잔재라는 인식이 지배적 흐름을 이루었다.(5장)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keep an overview theoretical features Juche ideology(2, 3 chapter) and to analysis the changes of marxist philosophy and western philosophy research(4 chapter), traditional philosophy and religion research(5 chapter) from 1967 unique domination of political leader emphasized until 1985 Juche ideology series published. So-called 'Our Age' prescription and political leadership theory made in 'universalization period', was a key factor constituting and promoting the systematization of Juche Ideology. This two key factors took place at the root of the philosophial principle and socio-historical principle of Juche Ideology, also was appeared consistently in all contents and components of Juche Ideology.(2chapter) In North Korean philosophy of 'systematization period', the originality of Juche Ideology is highlighted. Just, North scholars show various deviations in the logical justification of Juche Ideology, and connect most subjects treated with political leadership theory.(3chapter) In other words, the systematization and universalization process of Juche Ideology was the change process of interpretation about Marx-Leninism. In the description style on Marx-Leninism by 1970,s North scholars, while emphasizing the originality of Juche Ideology, pointing out the limit for world-view of Marx-Leninism. Also, the western philosophy research of North Korean academics was characterized by focusing attention only western philosophy had influence on South Korea, not western philosophy in general.(4chapter) Aftet unique ideology system was established in 1967, national culture policy of North Korea was changed to narrow and exclusive direction, accordingly raditional philosophy research was greatly dispirited. also, especially the harm of religion was emphasized this period. At that time in North Korea, following recognition was dominant flow ; the religion is ideological tool of exploited class ; its socio-economic base was liquidated but still remained as old ideological remnants of exploitative society.(5chapter)

      • KCI등재

        주체사상의 경제적 비용에 대한 고찰

        이용희 ( Yong Hee Lee ) 평화문제연구소 2013 統一問題硏究 Vol.25 No.2

        The most important ideology of the North Korean regime is Kim Il Sung Jucheism. Jucheism is the basis of every field of the country-politics, economy, education, culture, arts, etc. The communism of North Korea was uniquely transformed because of Jucheism. Jucheism justifies idolization of Kim Il Sung, dictatorship of Kim Il Sung, three-generation hereditary dictatorship after the death of Kim Il Sung, and idolization of genealogy of Kim Il Sung. This paper analyzes formation and change of Kim Il Sung Jucheism, religious character of Jucheism, and economic cost of idolization of Kim Il Sung and his genealogy based on factual cases. This paper also explains the reason why, due to Jucheism, North Korea can not adopt a reform and open policy while all the other communist countries, except Cuba and North Korea, have implemented the reform and open policy in order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Finally, this paper studies the opportunity cost as well as the economic cost of Jucheism, which has affected the whole economy of North Korea. Also it considers problems of Jucheism that should be dealt with to surmount the current economic hardships of the country. 북한 체제에 있어서 가장 중심이 되는 사상은 김일성 주체사상이다. 주체사상은 북한의 정치·경제·교육·문화·예술 등 모든 분야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북한의 공산주의가 독특한 형태로 변모된 것은 주체사상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주체사상은 김일성 독재와 우상화 그리고 김일성 사후에는 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 독재와 가계 우상화를 정당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김일성 주체사상의 생성과 변화 그리고 주체사상의 종교적 성격에 대한 분석, 주체사상과 함께 진행되는 개인·가계 우상화에 따르는 경제적 비용과 기회비용에 대하여 실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또, 쿠바와 북한을 제외한 모든 공산주의 국가들이 경제적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개혁개방정책을 시도하였는데, 북한이 개혁개방정책을 시도하지 못하는 이유를 주체사상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끝으로 주체사상의 경제적 비용이 북한 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북한이 현재의 경제적 난관을 돌파하기 위해서 극복해야 할 주체사상의 문제점들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의 주체성문제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14 민족사상 Vol.8 No.2

        This thesis is on the subjectivity problem of Korean thoughts. The subjectivity problem of Korean thoughts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the Korean thought’s uniqueness. Therefore, this study has treated with the essence of Korean thought. On this basis, I have analysed the subjectivity problem of Korean thoughts. I thjnk that the subjectivity problem of Korean thoughts as the essence of Korean thoughts can’t come into existence as a problem. Because the Korean thoughts have the diversity, universality and rationality compared to the foreign thoughts. In this respect, I assert that the subjectivity problem of Korean thoughts is concluded with the self-respect of Korean thoughts. And on this basis, I have maked mention of the direction and task of the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First, I have suggested the new creative research for the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with the trust and self-respect of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And I have suggested that we must escaped from the unconditional, uncritical, blind trusting and obsequious principles. Second, I have proposed that we have the sense of duty and responsibility a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must lead the worldwide thought and philosophy. Finally, I have indicated that we dedicate our best efforts to making the classic of the Korean thought. 본 논문은 한국사상의 주체성문제를 다룬 것이다. 한국사상의 주체성문제는 한국사상의 고유성에 대한 진위여부와 직결되어 있는 문제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적으로 한국사상의 본질에 대해 다루어 보았다. 이를 기초로 해서 한국사상에의 주체성문제를 분석하였다. 한국사상에의 주체성문제는 한국사상의 본질적 특징으로 인해 사실 문제로서 취급당할 하등의 이유가 없음을 우리는 분명히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사상에의 주체성문제는 서구, 중국 및 인동 등으로 대별되는 외래사조에 조금도 한국사상이 열등적인 면이 없고 오히려 보다 더 포괄성과 보편성과 합리성을 지니고 있기에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한국사상에 대한 깊은 자부심으로 한국사상에의 주체성문제를 일단락 짓는 단계에 이르렀음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초해서 한국사상과 철학의 향후 연구방향과 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첫째는 우리 사상에의 자부심과 믿음을 통해 외래사조에의 무조건적인 무비판주의, 맹신주의, 사대주의에서 벗어나 우리 사상과 철학에의 새로운 창조적인 탐구가 필요하다는 점이고 둘째는 한국사상과 철학이 세계사상계와 철학계의 중심 내지 선두가 되어야 한다는 사명감과 책임감을 다지고 마지막으로 한국사상의 전범을 만드는 일에 전념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