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관절의 생역학

        문준규(Jun-Gyu Moo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1

        목적: 주관절의 생역학은 주관절 손상의 병인을 이해하고 임상적 치료의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는 의학이다. 저자는 생역학적인 관점에서 주관절 손상의 진단과 치료의 개념을 요약하였다. 대상 및 방법: 주관절 역학은 크게 운동학, 동역학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안정성의 분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주관절을 구성하는 수동적 또는 능동적 구조물로 유지된다. 수동적 구조물은 골성 구조와 관절낭 및 측부인대들이 있으며 능동적 구조물은 주관절을 둘러싼 근육들이 해당된다. 이 구조물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주관절의 안정성, 힘의 전달 그리고 운동을 유지한다. 결과 및 결론: 주관절의 생역학은 주관절 손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새로운 주관절 인공대치물에 대한 개선 및 발전을 가져다 주며, 또한 주관절의 기초 연구에 기여 할 수 있는 학문이다. Purpose: Understanding elbow biomechanics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 of elbow injury and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clinical practice. This article provides a summary of key concepts that are relevant to understanding common elbow injuries and their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biomechanics of the elbow joint can be divided into kinematics, stability and force transmission through the elbow joint. Active and passive stabilizers include bony articular geometry; soft tissues provide joint stability, compression force and motion. Results and Conclusion: Knowledge of elbow biomechanics will help (i) advance surgical procedures and trauma management, (ii) develop new elbow prostheses and (iii) stimulat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주관절 강직의 병태 생리

        송현석(Hyun Seok Song),윤형문(Hyung Moon Yoo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관절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는 관절의 안정성과 운동 범위의 유지가 필요하다. 주관절과 연관된 환자의 주소의 대부분이 주관절의 강직이다. 최근 보고들에서 주관적의 강직에 대한 치료에서 우수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술식을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결정하기 어렵다. 대상 및 방법: Morrey 등은 기능적인 운동 범위를 30-130도의 굴곡-신전 범위, 50도 회내전 및 50도 회외전이라고 하였다. 이 범위에서 일상 생활의 약 90%가 이루어 진다. 주관절 강직은 원인이 되는 외상과 주 병변의 위치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관절 내 원인으로는 심각한 관절 내 불일치, 관절 내 유착 또는 관절 내 연골의 소실, 골극 형성에 의한 기계적 제한, 관절 내 유리체, 활액막의 과다 증식이 해당된다. 관절 외 원인으로는 외상 또는 탈구에 의한 심한 관절막의 유착, 측부 인대 또는 근육의 구축이 해당된다. 결과 및 결론: 신전 제한의 주 원인은 전방 관절막의 섬유화에 의한 구축이다. 이러한 병변은 전방 관절막 절제술이 도움이 된다. 굴곡 제한의 주 원인은 내측부 인대의 후방대의 구축이다. Purpose: Stability of joints and maintenance of range of motion are needed for optimum function. The most common complaint about the elbow joint is joint stiffness. Recent articles have reported good outcomes in the treatment of stiff elbow joints. However, deciding which procedure to use is always difficult. Materials and Methods: Morrey et al. reported that the functional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joint is 30-130° of flexion-extension and 50° of supination and pronation. About 90% of daily activities are done using this range of motion. Stiff elbow joint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raumatic events that caused the problem or the location of the main pathology. Intraarticular pathology includes severe articular mismatch, intraarticular adhesions, loss of articular cartilage, mechanical blockade by osteophytes, loose bodies, and hypertrophied synovium. Extraarticular pathology includes severe capsular adhesion due to the trauma or to dislocation, contracture of the collateral ligaments or muscles, bony bridge. Results and Conclusions: The main pathology underlying the loss of extension is the fibrous contracture of the anterior capsule. In this pathology, an anterior capsulectomy would be helpful. The main pathology underlying the loss of flexion is the contracture of the posterior band of medial collateral ligament.

      • KCI등재

        변연 관절 성형술을 이용한 주관절 강직의 치료

        한정수(Chung Soo Han),이용걸(Yong Girl Rhee),정비오(Bi O Jeong),권부경(Boo Kyung Kw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주관절 강직이 있는 환자에서 변연 관절 성형술을 시행하고 운동 범위 및 기능적 평가를 통해 수술의 결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2월부터 2003년 4월까지 원발성 골관절염, 또는 외상 및 종양 등에 의해 주관절 강직이 발생하여 변연 관절 성형술을 시행한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주관절 강직의 원인으로는 원발성 주관절 골관절염이 11예였으며 외상에 의한 경우가 18예, 주관절에 발생한 활액막 연골종증으로 인한 경우가 1예였다. 남자가 20예, 여자가 10예였으며 수술 시 평균 연령은 36세(범위: 14-61세)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4년 4개월(범위: 2년-8년 5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전 예에서 후방 접근법을 이용한 변연 관절 성형술을 시행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수술 전 및 최종 추시 시의 주관절의 운동 범위와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를 통한 기능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주관절의 운동 범위는 평균 굴곡 122°(범위: 90-130°), 신전 11°(범위: 0-30°), 회내전 68°(범위: 20-90°), 회외전이 74° (20-90°)로 굴곡과 신전의 운동 범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5). 29예에서는 주관절 운동 시 전혀 동통이 없거나 경도의 동통을 호소하였으며 1예에서만 중등도의 동통을 호소하였다. MEPS는 최종 추시 시에는 평균 88.9점 (범위: 67-100점)으로 우수가 17예(56.7%) 양호가 10예(33.3%), 보통이 3예(10%)였으며 불량을 나타낸 예는 없었다. 결론: 주관절 변연 관절 성형술은 숙련된 수술 수기와 수술 후 효과적인 재활운동을 시행한다면 주관절 강직 환자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and functional assessments after debridement arthroplasty for a stiff elbow. Materials and Methods: 30 elbows from 30 patients, who underwent debridement arthroplasty for a stiff elbow caused by primary osteoarthritis and secondary causes such as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and synovial chondromatosis from December 1995 to April 2003, were analyz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2 months (range: 24 months-8 years 5 months). Among the stiff elbows, primary osteoarthritis was the cause in 11 cases, secondary osteoarthritis due to an old trauma was the cause in 18 cases, and synovial chondromatosis was the cause in 1 case. There were 20 males and 10 females with a mean age of 36 years (range: 14-61 years) at operation. They all had pain during elbow motion. Debridement arthroplasty was performed using the posterior approach.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OM of the elbow and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Results: Postoperatively, the elbow ROM improved to an average 122° (range: 90-130°) in flexion, 11°(range: 0-30°) in extension, 68°(range: 20-90°) in internal rotation and 74°(range: 20-90°) in external rotation. The improvement in flexion and exten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On the final follow-up, only moderate pain was reported in one case and none or mild pain was reported in 29 cases. MEPS improved from an average of 57.3 points (range: 33-75) to 88.9 points (range: 67-100). And there were 17 excellent cases (56.7%),10 good cases (33.3%), 3 fair cases (10%) and no poor case. Conclusion: The stiff elbow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debridement arthroplasty. Therefore, debridement arthroplasty can preserve a good clinical outcomes using skillful surgical procedures and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 KCI등재

        비연결형 및 전환형 주관절 전치환술

        문준규(Jun-Gyu Moon),천성광(Sung-Kwang Chu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6 No.2

        주관절 전치환술은 과거 임상적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디자인이 개발 중이며 불안정성이나 해리 등의 단점을 개선하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종설은 비연결형 주관절 치환술과 전환형 주관절 치환술의 일반적 개념을 기술하고자 한다. 과거의 비연결형 치환물 중 현재는 일부만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단점을 보완한 최근의 비연결형 디자인은 더 안정적인 관절면 모양, 스템형 치환물 및 요골-소두 치환술을 첨가하는 형태 등으로 개선되고 있다. 전환형 디자인은 전세계적으로 두 개의 모델이 개발되어 사용 중이며 최근 국내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비연결형 디자인에서 추가적인 연결고리를 이용하면 쉽게 연결형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비연결형 주관절 치환술은 인체 주관절과 유사한 운동 구조를 가지게 되어 폴리에틸렌 마모나 치환물의 해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변골과 연부 조직이 보존된 경우 또는 활동도가 높은 젊은 환자에서 적응증이 될 수 있다. 전환형 주관절 치환술은 치환물의 선택을 넓히고 재수술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두 개의 치환물의 사용은 연결형 치환술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 장기적인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igns of total elbow arthroplasty have been evolving with clinical experiences. Newer implants are expected to resolve current limitations and improve long term outcomes. This review article focuses on the basic knowledge of unlinked and convertible total elbow arthroplasty.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designs of unlinked total elbow prostheses. Some implants are still used in the market, while others are no longer commercially available. Modified and newer designs include more congruent contact surface, stemmed implant, and radiocapitellar arthroplasty. Two convertible elbow prostheses have been developed, and one implant is currently available in Korea. Conversion from an unlinked to a linked mode is performed by adding a linking cap. Unlinked total elbow arthroplasty, which restores native elbow kinematics, has a biomechanical rationale of lowering polyethylene wear and loosening of implants. It can be indicated in younger and higher demand patients, who have adequate bone stock and soft tissues. Convertible total elbow arthroplasty broadens implant selection and simplifies revision surgery. These newer prostheses possibly improve the long term outcomes and resolve disadvantages of linked prostheses in total elbow arthroplasty.

      • KCI등재

        8세 남아에서 골종양을 닮은 주관절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김성수(Sung-Soo Kim),이상엽(Sang-Yup Lee),윤민근(Min Geun Yoon),서영훈(Young Hoon Seo),문명상(Myung-Sang Moo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5 No.2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은 활액막, 건막 및 점액낭 등에 융모 증식과 결절을 형성하는 드문 양성 활액막 증식성 질환으로 대부분 성인의 슬관절과 고관절에 발생한다. 수부, 완관절, 견관절 및 주관절에는 드물게 발생하며, 특히 소아에서의 주관절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은 아주 드물다. 좌측 주관절 통증이 있는 8세 남아의 단순 주관절 방사선 검사상 좌측 주두와에 양성 골종양과 같은 병변이 관찰되었다. 수술시 좌측 주관절의 활액막이상 증식 소견이 관찰되어 임상적으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을 의심하였으며, 병변의 개방소파술 및 좌측 주관절의 근치적 활액막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 조직의 조직학적 검사 결과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으로 확진 되었다. 술 후 좌측 주관절의 통증이 호전되었으며, 정상 운동범위를 회복하였다. 저자들은 소아의 주관절에 발생한 골종양을 닮은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1예를 보고함과 동시에 문헌 고찰을 하였다.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s a rare benign proliferative disorder that results in villous hyperplasia and nodule formation in the synovium, tendon sheath and bursa. That most commonly affects the knee and the hip joint in adult. PVNS of the hand, the wrist, the shoulder and the elbow is rare and that of the elbow in children is particularly rarer. An eight-year-old boy had his left elbow pain and a lesion like benign bone tumor in the left fossa olecrani on plain x-ray. During the operation, abnormal synovial hyperplasia in his left elbow joint led us to diagnose PVNS. Therefore, open curettage of the lesion and radical synovectomy was performed. The specimen of the synovectomized tissue revealed PVNS. The left elbow pain subsided after the operation and the child restored a full range of motion of his left elbow. We reported this rare case of PVNS in a child’s elbow joint mimicking the bone tumor together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3년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

        김보건(Bo-Kun Kim),김경천(Kyung-Cheon Kim),박준영(Jun-Yeong Park),신현대(Hyun-Dae Shi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3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45세 여자가 3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로 수술적 소견상 주관절 외측 및 내측 측부 인대는 구축되어 있어 박리술을 시행하였다. 후방 관절낭을 완전히 유리시키고 전방 관절낭을 절개한 이후 수동적 조작을 가하여 요상완 및 척상완 관절을 정복시켰다. 변형된 Morrey형의 경첩형 외고정 장치를 주관절부에 장착하고 조기 주관절 운동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저자들은 3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에서 개방적 정복과 경첩형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고정술의 만족스런 결과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We report case of neglected elbow dislocation for three years. Material and method: A 45 years 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neglected elbow dislocation for three years . Since the patient had contracture in both lateral and medial collateral ligament of elbow, dissection was done. After total separation of posterior articular capsule and incision of anterior articular capsule, by manual manipulation, reduction of radiohumeral and ulnohumeral joints were obtained. We applied modified Morrey type hinged external fixation in the elbow and done early elbow exercise. Result and Conclusion: Since we have experienced a satisfactory result in the case with neglected elbow dislocation for 3 years by using open reduction and hinged external fixation, we report it with the literature.

      • KCI등재

        동통과 골성 운동 제한이 있는 주관절에서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변연 절제 관절 성형술

        천상진(Sang-Jin Cheon),이동호(Dong-Ho Lee),차승한(Seung-Han Cha),김휘택(Hui-Taek Kim),서정탁(Jeung-Tak Suh)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2 No.1

        목적: 동통과 골성 운동 제한이 동반된 주관절에 대해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변연 절제 관절 성형술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주관절의 동통과 골성 운동 제한으로 후내측 도달법을 통한 변연 절제 관절 성형술을 시행 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27.6(13~52)개월이였다. 통증에 대해서 Visual Analogue Scale, 술 전과 술 후 굴곡, 신전, 운동범위를 측정하고 기능에 대해서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를 측정하여 분석, 평가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VAS (visual analogue scale )는 술 전 평균 4.5에서 술 후 평균 1.1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p<0.001 )를 보였다. 관절 운동 범위는 술 전 평균 61.6°(0~90)에서 술 후 109.4° (80~12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MEPS 역시 술 전 59.4에서 술 후에는 85.6으로 증가하였다(p<0.001). 술 후 혈종이나 주관절 불안정증 같은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변연 절제 관절 성형술은 쉽게 척골 신경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고 주관절 내측 측부 인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주관절 전 구획(all compartment)에 광범위한 변연 절제가 가능하여 동통과 골성 관절 운동 제한이 동반된 주관절에서 동통의 감소와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debridement arthroplasty using the posteromedial approach in elbow joints with pain and bony limitation of mo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volved 16 elbows in 16 patients with pain and bony limitation of motion, which were treated by debridement arthroplasty using the posteromedial approach from March 2005 to March 2008.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7.6 (13~52) months. The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for pain scale,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and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s(MEPS). Results: The VA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a preoperative mean of 4.5 to a postoperative mean 1.1 (p<0.001). The average arc of motion improved significantly from 61.6 (0~90)° preoperatively to 109.4 (80-120)° postoperatively (p<0.001). The MEPS also improved significantly from 59.4 to 85.6 postoperatively (p<0.001). There were no complications, such as hematoma and elbow instability. Conclusion: Debridement arthroplasty using the posteromedial approach is a useful surgical procedure in the elbow joint with pain and bony limitation of motion, where all compartments can be debrided, the ulnar nerve can be manipulated easily and damage to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can be minimized.

      • KCI등재

        주관절에 발생한 신경병성 관절병증

        김지영(Ji Yeong Kim),정문상(Moon Sang Chung),이영호(Young Ho Lee),공현식(Hyun Sik Gong),이승환(Seung Hwan Rhee),김민범(Min Boem Kim),오원석(Won Seok Oh),전숙하(Suk Ha Jeon),서은석(Eun Seok Suh),백구현(Goo Hyun Bae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6

        목적: 주관절의 신경병성 관절병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관절의 고유 감각을 상실하는 질환과 동반되어 무통성의 관절 파괴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주관절의 신경병성 관절병증 5예를 경험하여, 그 치료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파 한다. 대상 및 방법: 주관절의 신경병성 관절병증으로 진단 받고 추시 중인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명, 여자가 2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38.6세(범위: 13-50세)였으며, 기저 질환은 척수 공동증 3예, 척수 매독증 1예, 신경섬유종증 1예였다. 이들 중 1명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4명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8.5년(범위: 1-19년)이었고, 최종 추시에서 술 전 증상과 운동 범위의 변화 및 주관절의 기능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다발성 관절증을 보인 1명에서는 특별한 치료 없이 주관절 기능을 유지하였다. 척골 신경 감압술을 시행한 1명과 주두 골절로 골유합술을 시행한 1명에서는 증상과 운동 범위가 호전되었으나 관절 성형술을 시행한 2명에서는 심부 감염이 합병되었고 술 후 운동 범위가 감소하였다. 결론: 주관절의 신경병성 관절병증은 관절의 심한 변형과 불안정성이 동반되지만 비교적 기능을 잘 유지하므로, 파괴되고 불안정한 관절의 교정보다는 주관절 변형에 의해 나타나는 이차적인 증상을 위주로 한 치료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Neuropathic arthropathy of the elbow is extremely rare and is characterized by painless destruction of the joint due to diminished proprioception. We report five cases of neuropathic arthropathy of the elbow with review of pertinent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records of fiv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neuropathic arthropathy of the elbow. There were three men and two women with a mean age of 38.6 years (range, thirteen to fifty years). The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arthropathy were three cases of syringomyelia, one tabes dorsalis, and one neurofibromatosis. One patient was conservatively treated and was followed periodically and others underwent operative procedure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8.5 years (range, one to nineteen years). Changes of symptoms, range of motion (ROM), and functional satisfaction were assessed. Results: The conservatively treated patient maintained the function of the elbow. In the surgically treated group, one case of ulnar nerve decompression and one case of osteosynthesis of the fractured olecranon showed improvement of symptoms, ROM, and function. But two patients who underwent reconstructive procedures had decreased ROM after complication of deep infection. Concluson: Neuropathic arthropathy of the elbow causes few functional problems despite of the radiologic destruction and instability of the elbow. Therefore symptomatic management is considered more preferable than surgical correction of destruction or instability of the elbow.

      • KCI등재

        주관절 탈구에 있어서 관상돌기 골절의 역할

        이용걸 ( Yong Girl Rhee ),차재룡 ( Jae Ryong Cha )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3

        목적: 주관절에서 관상돌기의 골절정도가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수술의 필요성, 수술 후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995년 12월부터 1999년 1월까지 관상돌기 골절을 동반한 주관절 탈구로 내원한 17례 중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Reagan & Morrey의 분류에 따라 제1형, 제2형, 제3형은 각각 3례, 4례, 3례였다. 손상의 주원인은 낙상이었으며(70%), 동반손상으로 요골두 골절(70%)이 가장 빈번하였다. 전례에서 골편의 크기와 상관없이 45°이하 굴곡시에 주관절이 아탈구 되어 관상돌기 골절에 대한 고정 및 파열된 관절낭의 복원술을 시행하였다. 초기 손상시 관절낭 손상과 요골두 골절로 타의료기관에서 요골두 절제술을 시행한 2례에서는 재발성 후외방 불안정성을 나타내어 주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Mayo elbow performance index에 의한 평가로, 술후 결과는 7례에서는 최우수, 1례에서는 우수였으며 타의료기관에서 요골두 절제술을 시행한 2례에서는 불량한 결과가 나왔으나, 본원에서 주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후 결과는 우수였다. 최종 추시시 10례 모두 우수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평균 운동범위는 굴곡 구축 6°, 후속 굴곡 128°까지 가능하였으며 관상돌기의 골편의 크기가 커질수록 관절 운동 능력이 감소됨을 보여주었다. 결론: 주관절 탈구에 있어서 불안정성은 골편의 크기와는 상관이 없이 관절낭 파열정도에 따라 결정지어졌다. 조기 요골두 절제술은 주관절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To evaluate whether the size of the coronoid process fracture influence on elbow instability, to recognize the requirement of surgery and to report the final results after op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the operative treatment for 10 cases among 17 coronoid process fractures with elbow dislocation from December 1995 to January 1999, and evaluated operative cases. According to Reagan & Morrey classification, 3 cases(30%) belong to type I, 4 cases(40%) type II and 3 cases(30%) type III. The major mode of injury was fall down accident(70%) and most common associated injury was radial head fracture(70%). In all case, the elbow was inevitably subluxated when flexed beyond 45°regardless the size of the fragment segment. This lead us to performed the fixation of coronoid process fracture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ruptured articular capsule. Two patients who had had recurrent posterolateral instability due to severe capsular damage at initial injury and previous excision of the radial head underwent the total elbow replacement. Results: According to Mayo elbow performance index, results were graded as excellent in 7 cases(70%), good in 1 cases(10%), and at two case of radial head excision had been performed previously, the results had been graded as poor, but after total elbow replacement they were good. At final results, all of them resulted in more than goo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averaged 6 degrees in extension and 128 degrees in forward flexion and there was significantly a tendency for less motion of a forward flexion with more involvement of coronoid fragment. Conclusion: In cases of the elbow dislocation, instability of the elbow is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the damaged articular capsule and ligamen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ronoid process fracture. The early excision of the fractured radial head should be avoided not to run into total elbow replacement.

      • KCI등재

        연결형(반구속형)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

        정홍준(Hong Jun, Jung),전인호(In-Ho, Jeon),전재명(Jae-Myeung Chun),이태균(Tae Kyoon Le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6 No.2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은 고관절이나 슬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에 비해 아직은 발전 단계에 있는 수술이다. 많은 임상 경험을 통해 여러 형태의 치환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장기 추시 결과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현대의 주관절 치환물은 크게 두 가지 디자인 범주로 나누어지는데, 연결형 치환물과 비연결형 치환물이 그것이며, 이들은 다른 말로 반구속형과 비구속형으로 불리기도 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비구속형/구속형 전환 가능한 치환물도 사용되고 있다. 연결형 치환물과 비연결형 치환물의 선택은 우선적으로 주관절의 안정성 및 골성 구조물의 적절성에 의해 결정된다. 연결형 치환물의 경우 전통적으로 마모, 조기 이완, 해리 등과 같은 합병증으로 인해 장기 추시 결과가 좋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적절한 환자의 선택, 새로운 디자인의 개발, 수술 술기의 발달, 그리고 수술 후 적절한 재활 치료 등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점이 많이 해결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신체적인 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은 환자에 있어서는 마모나 이완 등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연결형 치환물이 적절한 선택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종설에서는 연결형 (반구속형)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물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Total elbow arthroplasty is still in its infancy compared with other arthroplasties, such as knee or hip arthroplasties. Implant design has been evolving with clinical experiences; however, there are only limited data on the long-term clinical outcome of elbow arthroplasty in the literature. The design of total elbow prosthese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inked (constrained or semi-constrained), unlinked (unconstrained), and convertible types. The choice between an unlinked (unconstrained) implant and a linked (semi-constrained) implant depends on joint stability and adequacy of the bone stock. Linked elbow arthroplasty has provided high patient satisfaction, and pain relief thanks to proper patient selection, advancement of implant design, improvement in cement techniques, meticulous surgical technique, and appropriate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Concerns remain about the use of this implant in young or high-demand patient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inked (semi-constrained) prostheses, which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e of linked total elbow arthropl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