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가음식의 혈연공동체성 변화와 전승 과제

        배영동(Bae, Young-Dong)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6 No.-

        오늘날 종가음식이 세인들의 주목을 받는 이유는 오래된 전통음식에 대한 기대가 크고, 귀감이 되는 역사적 인물의 삶이나 사상과 관련된 음식에 대한 기대도 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종가에서는 봉제사와 접빈객을 하기 위한 음식의 조리법을 중요하게 여겼고, 한편으로 음식을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배분하고 누구와 어떻게 먹을 것인가 하는 방식을 소중하게 인식하였다. 오늘날 종가음식으로 명명되는 종가의 전통음식은 조상을 섬기는 음식, 손님을 환대하는 음식, 조상의 정신과 취항을 담고 있는 음식, 나눔과 베풂의 음식, 정성과 예법을 중시하는 음식, 지역마다 종가마다 차이 있는 음식, 고춧가루를 쓰지 않는 음식,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음식이라는 성향이 두드러진다. 현대사회에서는 증가문화의 전승력이 약화되면서 종가음식은 차세대로 순조롭게 전승되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이는 유교문화의 퇴조와 더불어 혈연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종가문화의 약화, 농촌 인구의 도시유출과 같은 사회문화 변동에 따른 것이다. 그리하여 종가음식 전승주체인 종부와 차종부(次宗婦) 사이의 전승관계가 해체되고, 종가음식 조리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문중 여성들의 수도 급감하여 결과적으로 종가음식의 혈연공동체성이 약화되기에 이르렀다. 이 상황에서 연구자들의 종가음식에 대한 관심, 매스컴의 영향, 가족공동체 문화 악화 등으로 인하여 지역의 종가와 종부들은 종가음식을 새롭게 발견하여 전승하려고 노력하기 시작했다. 종가음식의 전승이 재맥락화 되고, 종가음식의 전통이 재구성되고 있다. 종가음식도 그 나름의 역사 · 문화적 의미가 있으므로 한 갈래의 음식으로 전승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노종부(老宗婦)가 스스로 자신의 조리법을 정리하여 자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종가의 음식문화에 대하여 체계적인 학술조사와 연구를 해야 한다. 일반인들이 종가음식에 거는 기대는 종가에서 느낄 수 있는 인문정신과 문화적 가치에서 비롯되는 것이므로, 어떤 인물의 기념할만한 정신이 돋보이는 음식과 개별 종가에서 역사 · 문화적 의미가 큰 음식을 우선적으로 전승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종가음식을 일정하게라도 보전하기 위해서는 종가마다의 음식조리와 나눔의 개성을 살려야 하며, 종가마다의 예법과 문화에 따라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가의 특색 있는 음식이지만 단절된 경우에는 재현을 해서라도 전승할 필요가, 있고, 지속가능한 가치, 미래지향적 가치, 공생적 가치를 가진 종가음식을 정립하여 전승하고, 여러 사람들이 차별 없이 종가음식을 맛볼 수 있도록 해야 좋을 것이다.

      • KCI등재

        종가의 생활문화에서 탐색한 자녀 인성교육 프로그램 도출 연구 - 안동 一圓 종가를 중심으로 -

        김미라 ( Kim¸ Mi-ra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7 No.-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우리 사회 전반에 만연하고 있는 사회적 병리 현상의 근본 원인을 아동기 인성교육의 상실로 보고, 전통 생활문화를 보존·계승하고 있는 종가에서의 올바른 자녀교육 방법론을 통해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500여 년 동안 자신을 통해서 후손에게 이어진다는 선조들의 정신과 문화를 답습, 계승하고 현재까지도 고택을 보존하여 지켜온 한국 명문종가의 생활문화를 탐색한 후, 그들의 자녀교육 방법 및 내용 등을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먼저, 유교 경전 속에서의 인성과 인성교육을 고찰하면서 자녀 성장 과정에 따른 인성교육 내용과 방법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는 안동 종가 일원 중 세곳인 대산 이상정 종가, 수정재 류정문 종가, 학봉 김성일 종가의 생활문화에서 탐색한 자녀 인성교육에 관해 조사해 보았다. 세 곳 종가의 자녀교육 원리로는 밥상머리교육 원리, 예절교육 원리, 가훈교육 원리, 모방학습교육 원리, 독서교육 원리 등 총 다섯 가지였다. 이를 바탕으로 21세기형 온고지신 종가의 생활문화 속 자녀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종가의 자녀교육이 현대 가정교육 현장에서 새롭게 재적용하고 재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시도는 향후 문명의 이기에 퇴색되어 가는 우리 자녀들에게 온기 있고 절도 있는 종가의 가정교육을 접목하여 인간만이 갖출 수 있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또한 전국의 명문종가 자녀교육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적용 가능한 자녀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도 가능하리라 기대해 본다. This author deems that pathological phenomena existing all around our society today have basically resulted from the loss of character education in childhood. This study is aimed to seek ways to solve the problems with the righteous method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pplied by head family that has preserved and transmitted traditional living culture. Believing that they have handed down ancestors’ mind and culture to descendants for the last 500 or so years, they have followed and succeeded to the values preserving and protecting their old house. This researcher has explored the living culture of Korea’s prestigious head family and examined their methods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oundly. First of all, considering the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found in Confucian scriptures,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hild growth. Second, this author investigated character education for children explored in the living culture of three head families out of Andong head families: Daesan Lee Sang-jeong head family, Sujeongjae Ryu Jeong-mun head family, and Hakbong Kim Seong-il head family. Third, within the living culture of the 21st-century Ongojisin (溫故知新;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head families, this author drew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Consequently, this researcher has found that those head famil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be reapplied and reused newly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family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종가 문화의 특징과 의의

        이종성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38 No.2

        本論文的目的是要考察韓國宗家文化所具有的궤충特征和意義。特別是在現代其本來的价直和意義逐漸褪色之際,本論文以現代的視角來分析韓國宗家文化的特征和意義,企圖摸索創新繼承和發展韓國宗家文化的方案,打造引起重視韓國宗家文化的平台。韓國的宗家文化一般以血族的重視和孝的實踐、族譜的刊行和門中意識的集結、學問的崇尙和學鳳的形成、社會的關心和貴族的責任爲特征展開的。但是如今在以"韓"的品牌的現代驅使下其意義重新得到認可。自古以來世人皆知宗家的血緣意識同族譜具有內在關聯性,如果處理不好這種關系,就會引發흔多問題。特別是同一個譜系的血緣共同體的約束力和特定的學脈以及政脈關系群,以宗家爲中心發揮否定的作用的話會招來不可想象的危險結果。但是,韓國的名門宗家不僅造就了孝文化、促進了學問,而且還顯示出了흔强的社會責任感。韓國的宗家文化中名門宗家和權門勢家是有區別的。名門宗家是以人之爲人的價値視爲最高的美德,關心他人爲榮。相反,權門勢家只考慮自己門中的榮達,武斷地對他人使用權力。韓國的名門宗家與更多地確保政治權力的家門不同重視培養出文衡。因此配享於文廟的人物多的家門被認爲是名文家。但是,령外還有一些致力於對他人的社會性關心的宗家,對這些宗家我們義無反顧地認定他們爲名門宗家。如此,韓國人認爲對他人的社會性關心是超越時代的具有生命力因素。站在對他人的社會性關心前列的名門宗家有慶州的崔富者宅、寶城宣氏永鴻公宗家、全羅道求禮的文化柳氏宗家等。名門宗家不是固定不變的實體,타應該是要日新月異的。所以名門宗家應該是現在進行態的存在,不是固定不變的存在。如今一切門中和宗家應該積極主動要關心社會、服務社會。21世紀是多文化時代,我們應該深刻檢討族譜的作用或名門家的意義。

      • KCI등재

        종가문화의 전승기반과 변화양상

        김미영(金美榮)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이 논문에서는 종가문화의 전승기반인 고택과 사당, 그리고 종손과 종부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선 경북지역 182종가 가운데 고택을 보유하고 있는 사례는 90종가로, 전체 49%이다. 나머지 51%는 한옥과 양옥, 아파트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고택은 종가의 위상을 드러내는 대표적 상징물이다. 따라서 고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문중 행사가 종가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종가의 접빈문화가 자연스럽게 창출되면서 독자적인 가통으로 자리잡아 가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당의 경우 전체 182곳 중에서 161종가에서 사당을 구비하고 있으며, 비율로는 88%이다. 문중 시조의 신주를 모신 사당인 만큼 보존과 관리가 매우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고택과 사당이 아무리 온전한 형태로 남아있더라도 이를 활용하는 주체자가 없으면 그야말로 무용지물이다. 즉, 종손과 종부가 종가에 거주함으로써 고택과 사당에 생명력이 부여되면서 다양한 종가문화가 창출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경북지역 182종가 가운데 종손과 종부가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84곳으로, 전체 46%이다. 나머지 98종가(54%)는 종손과 종부가 외지에 거주하면서 불천위 제사나 집안의 대소사 등에만 종가로 돌아오는 경우이다. 그런데 더욱 심각한 것은 종손과 종부가 종가에 거주하고 있더라도, 종가문화를 이어받을 차세대 종손과 종부가 외지에 진출해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경북지역 182종가 가운데 현재 종손과 차종손이 함께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7사례로, 전체 4%에 불과하다. 또 같은 지역 내에서 따로 살고 있는 경우는 3사례이고, 비교적 근거리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3사례이다. 이들 전체를 합하더라도 13사례로, 7%를 넘지 않는다. 이로써는 종가문화의 안정적인 계승을 기대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그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혈족(후손) 중심의 법인을 설립하여 종가에 부여된 이른바 ‘조상제사권’을 양도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는 곳도 있다. 어차피 종손과 종부가 거주하지 않는 종가에는 시조를 위한 제례문화만이 남아있는 까닭에, 그 역할을 법인 단체가 담당하더라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이를 통해 오히려 안정적인 계승을 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그야말로 차세대 종손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종가문화가 출현할 날이 멀지않은 듯하다.

      • KCI등재

        종가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방법 연구

        백두현 ( Paek Doo-hyeon ),황명환 ( Hwang Myeong-hwa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0

        현재 전세계적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유산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과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본고는 우리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필요한 추진 방법을 연구하여 구체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먼저 우리는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한국의 종가문화’는 종가 공동체와 이에 관련된 사회집단이 그들의 관습을 통해 형성해 온 것이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국의 종가문화’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의 정의에 부합하고 있다. 또한 무형문화유산의 특성과 공능으로 제시된 세대 간의 지속적 전승, 관련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문화적 다양성 존중, 공동체간 상호 존중심 고양 등은 오늘날 ‘한국의 종가문화’가 구현하고 있는 특성과도 명확히 일치한다. 한편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 목록을 ‘긴급보호가 필요한 무형문화유산목록’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나누어 등재하도록 규정해 놓았다. 이 중에서 ‘한국의 종가문화’는 주로 후자의 등재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어서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있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과 ‘김치와 김장문화’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김치와 김장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 과정을 참고하였다. 아울러 ‘종가문화보존회’(가칭)를 중심으로 종손 및 문중, 각 지방자치단체, 대학 및 연구소 등 다양한 단체들이 역량을 모아야 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구체적실행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대체로 세 단계의 준비가 필요하다. 첫째, 종가문화를 중요무형문화재 혹은 지방무형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이다. 둘째, 종가문화를 문화재청 .무형문화유산 예비목록.에 등재하는 것이다. 셋째,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하는 단계이다. 특히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한국의 종가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관련법 제정, 문화재청 및 유네스코 관련자 초빙, 중앙 정부 및 관련 사회단체들과의 협력 관계 구축, 등재신청서 작성을 위한 실무진 구성 등이 요구된다. 끝으로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필요한다음 다섯 가지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종가 관련 단체 및 종가 공동체와의 협력 방안을 구축. 둘째, 종가 구성원 및 관련 단체에 대한 설문조사의 진행. 셋째, 종가문화 관련 홍보물 제작 및 관련 행사의 개최. 넷째, 종가문화와 관련된 학술 아카이브의 구축. 다섯째, 종가문화의 가치 발굴과 이론적 정립을 위한 국내외 학술대회의 개최. 이러한 방안들이 점진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 역시 높아질 것이다. Today,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facing fierce competition to have elements of their cultural heritage inscrib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refore, we need to intensify efforts to map out a strategy to succeed in this endeavour. This paper thus presents a promotional strategy to inscribe the typical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Jongga) on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irst of all, this paper assesses whether the tradition of Jongga meets the criteria for being consid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has been kept alive thanks to a social stratum that has preserved the customs of the Jongga community. In that sense,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does fit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iven by UNESCO. Moreover, the esse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consists in handing down custom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ging the identity of the particular community, appreciating cultural diversity, and raising a sense of respect between communities, also closely coincides with the very nature of the Jongga Tradition. As UNESCO provides two typ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s,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and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e need to establish which list the Jongga tradition is most suitable to be inscribed on. It appears that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fulfils the criteria of the latter list. Secondly, this paper verifies the probabilities for the inscription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 this purpose, we have examined the cases of the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 and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found out the importance of the promotional stage to the inscription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especially in the latter case. If the same applies to our own case, it will entail gathering the competence of various groups to form a ‘Preservation Society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provisional name), from local governments, universities, research centres to the clans concerned and their eldest grandsons. In addition to this, we examine in details the procedure of inscript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procedure consists of three steps. First,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must be designated either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Korea or as a Loc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econd,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must be inscrib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liminary List manag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rd, a nomination file is submitted 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More specifically, this step entails, inter alia, enacting the related laws to preserve the Jongga tradition, inviting the related staff members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UNESCO, foster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elated social groups, forming a team to draw up the nomination file. Finally, this paper presents practical strategies for a successful recognition of the Korean Jongga tradit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irst of all, a collaboration scheme with the Jongga community and the social group related to them must be designed. Second, a survey of the Jongga members and related parties Head Family must be conducted. Third, promotional materials concerning the Jongga tradition must be produced and related events must be held. Fourth, an academic archive of the Jongga tradition must be built up. Fif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must be held in order to publicize the value of the Korean Jongga tradition and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s for the study of the Jongga tradi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steady and systematic application of the aforementioned methods will greatly help in the successful inscription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KCI등재

        종가 문화유산의 구심적 가치 보존과 원심적 활용 방안

        조정현 ( Cho Jung-hyu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0

        경북지역을 비롯해서 각 마을의 종가에서 전승해오고 있는 유무형의 문화는 세계유산이라는 인류보편적 관점에서 재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재탐색작업은 기존 종가와 관련한 한국적 담론 속에서 주목하지 못한 다양한 측면을 발견할 수 있는 계기일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한 새 시대의 종가문화 창조로 나아갈 수 있다. 즉 지역적(local) 시각에서 바라보면 자연스럽고 평범한 전통에 불과한 문화로 보일 수 있지만, 인류보편적 혹은 세계문화유산적 시각에서 바라보면 훨씬 더 그 가치가 높은 한국적 문화 전통이자 현상이 바로 ‘살아있는 종가문화’이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종가가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종가문화의 관광자원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가장 큰 문제점은 종가문화체험을 고택에서의 숙박정도로만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지역 소재의 종가를 보존, 관리하는 지자체 역시 건축물로서의 종택이나 관련 유적 등 유형의 자산에만 주목할 뿐, 해당 종가가 보유하고 있는 무형의 콘텐츠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무형유산의 가장 큰 장점은 살아있는 문화재로서 생생하게 느끼고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종가문화의 전통은 종택이나 사당으로만 표상될 수 없는 ‘가통’ 등 문화적 전통을 포괄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있다. 기본적으로 종가의 유무형 유산은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개념이다. 따라서 무형유산의 가치와 활용을 논하기 위해서는 해당 공동체가 굳건하게 지속되어야 함을 전제로 한다. 종가를 중심으로 한 문중과 당내, 마을공동체라는 버팀목이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만 종가문화가 존재할 수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종가의 유무형 문화유산은 끊임없이 해당 마을 및 지역사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종가 유산의 유무형적 전승양상을 살펴보고, 실제적인 보존 및 관리 실태를 검토하는 가운데, 종가 유산의 구심적 가치를 높이고 원심적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길을 찾고자 한다. A history, culture and life of Jong-ga(宗家) as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ransferred down from the traditional local society, it should have been a exemplary model for beautiful and fine customs, but in reality, it shows the aspects of a community as leader group armed with confucianism spirit. Likewise, there is a need to mention that it is not easy to secure the value as a traditional culture that is alive merely by pushing towards one specific direction on the policy level without having secured the live passing down capability. A transmission of Jong-ga(宗家) culture has two methods of practical way. One is centripetal transmission, the other is centrifugal utilization. A centripetal transmission focus in traditional aspects and try to preserve the archi-type. While a centrifugal utilization focus in developmental aspects and try to recreate new version. The subject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Jong-ga(宗家) should focus and try to practice all ways. After all, Jong-ga(宗家) as each lineage groups include rural district can said to have the proper functions as a transmission group of community life and also the adverse effects as an exclusive politic group within the village. The aspects of a culture change of Jong-ga(宗家) are explicit mirrors of traditional culture reflecting the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the reality of its side effects.

      • 한국 종가음식의 문화적 의미와 가치

        주영하 ( Joo Young-ha ) 한국계보연구회 2012 한국계보연구 Vol.3 No.-

        이 글은 최근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종가음식에 대해 그 문화적 가치와 의미가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데 목표를 두고 서술되었다.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종법제도의 맥락을 살피고, 이것을 기반으로 조선시대 종가와 종가음식의 함의를 살폈다. 조선시대 종가음식은 다음과 함의를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 조선시대 종가음식은 지역의 여러 가문이 서로 연계하여 구성된 지역 공동체의 속성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종손과 종부의 친인척 관계에서 맺어진 음식의 조리법은 지역적 체계 속에서 공유되고 있었다. 두 번째, 지역적 체계 속에서도 종가마다의 예법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4가가례(家家禮)’로 나타났다. 이 ‘가가례’는 종가마다 서로 다른 의례음식의 종류와 조리법을 만들어냈다. 세 번째, 성리학적 ‘식치(食治고와 ‘절음식 (節飮食)’의 관점 이 조리 법에 관통하고 있다는 점이다. 적게 먹고, 음식으로 질병을 예방하는 관념이 종가음식에도 적용되었다. 네 번째, 종가의 상차림에 올라가는 음식의 식재료는 곡물과 채소는 물론이고 가금류ㆍ조류ㆍ어류가 망라된 식단 구성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간장ㆍ된장ㆍ고추장과 같은 장류와 각종 김치류는 종가음식의 맛을 좌우하는 소스였다. 하지만 일제시대와 농지개혁, 한국전쟁과 근대화와 같은 한국사회가 20세기에 겪어온 역사적 경험은 전근대시기의 종가가 유지되었던 사회경제적인 기반을 뒤흔든 사건들이었다. 이로 인해서 종가의 해체와 종가음식의 쇠퇴가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종가는 여전히 농촌에서 지속되고 있기도 하다. 21세기에 와서 지속되는 종가와 그들의 종가음식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몇 가지 조건이 요구된다. 첫째 불천위(不遷位) 제사를 모시는 조상을 가진 문중의 적장손(嫡長孫)이 거주하는 집을 종가라고 정의해야 한다. 둘째 농촌에 기반을 둔 종택에서 종가 구성 원이 거주하면서 각종 의례에서 소비하는 음식을 종가음식이라고 정의해야 한다. 셋째 가능한 범위 내에서 종가음식의 식재료는 종가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 I want to focus on the cultural meaning and value of Korean head family(宗家)food that has lately become an social issue. Investigating the context of clan rule from the ancient Chinese era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Joseon dynasty head family and food based on its clan rule. The head family food of Joseon has a specific meaning. First, it has the property of one regional community that connects several families together. Especially, the cookery is shared with the relative of the grandnephew and grandmother within the social system. Seco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courtesy in the social system shows ’Each Family Manners(家家禮)’.It makes each different ceremonial food and art according to the head family in each clan. Third, the conception of Neo-Confucianism influences the cookery of ‘food control(食治)’ and ‘food moderation(節飮食)’. This rule of small-eating and preventing disease applies to head family food. Fourth, the food materials in setting table contain a variety of food such as the grains, vegetables, poutry, fowls, and fishes. Moreover, the traditional Korean sauces like soy sauce, soybean paste, and red pepper paste and the kimchi group reflects the taste of head family food. However, the many events of 20th century of Korean society like the Japanese colonial era, agrarian reform, Korean war and modernization changed the pre-modem social-economic base sustaining the head family. This has resulted in the head family disorganization and the decline of head family food. Nevertheless, some head family has kept on their legacy in the rural areas. Such conditions like the following have been required to sustain the heritage of the head family and food in the 21st century. First, the head family is where the right grandson has persistent ancestral rites(不遷位祭祀). Second, the definition of head family food is the food consumed by the family members in the clan house based on rural area. Third, ingredients of head family food must be produced and obtained in the same region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

        종가문화의 전승기반과 변화양상―경북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and meaning of old houses, shrines, the eldest grandson and the wife of the oldest son of the head family as a foundation for transmission in the head family culture. First of all, there were 90 head families that possessed old houses among total 182 head families constituting 49%. The remaining 51% turned out to be Korean traditional houses, western- style houses, and apartments. Old houses are the typical symbol in representing the status of head families. Therefore, most of the family events tend to proceed based on head families if possessing old houses. In addition, culture for entertaining guests is naturally created in this course settling unique family lineage. As for shrines, among 182 head families, 161 of them ended up possessing shrines constituting 88%. As mortuary tablets of the progenitors of families were enshrined, they turned out to be well managed and preserved. Even if old houses and shrines are well-preserved, they are useless if there is no one to use them. In other words, various head family cultures are created as the eldest grandson and the wife of the oldest son of the head family reside creating liveliness to old houses and shrines. In regard of this issue, among 182 head families in Gyeongbuk areas, 84 of them turned out to be where the eldest grandsons and the wives of oldest sons of the head family resided together constituting 46%. The remaining 98 head families (54%) were where the eldest grandson and the wives of the oldest sons of the head family resided outside of old houses or shrines merely participating in rites with ancestral tablets or all sorts of matters of families. However, what was even worse was that the eldest grandsons and the wives of the oldest sons of the next generations who were supposed to be handed down with head family cultures resided outside of old houses or shrines even though the eldest grandson and the wife of the oldest son of head family resided in old houses or shrines. In fact, among 182 head families in Gyeongguk areas, there were only 7 head families where the eldest grandsons resided together constituting merely 4%. In addition, there were 3 cases where they lived separately in the same area, and 3 cases where they turned out to live in a relatively short distance. They all added up to 13 cases constituting less than 7%. This makes it difficult to stably pass down the head family culture and also to guarantee the future of i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are places pursuing to create a plan for passing down ‘ancestral rite right’ that is granted to the head family by establishing blood relative (descendent)-based corporations. As only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culture is left for the progenitors in the head family where the eldest grandson and the wife of oldest sons of the head family do not reside together, it seems that corporate is eligible to serve the role of them without causing much problem. There are also views where they can stably pass down head family culture. It seems that new head family culture is about to emerge along with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of the next generations. 이 논문에서는 종가문화의 전승기반인 고택과 사당, 그리고 종손과종부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선 경북지역 182종가 가운데 고택을 보유하고 있는 사례는 90종가로, 전체 49%이다. 나머지 51%는 한옥과 양옥, 아파트 등의 형태로나타났다. 고택은 종가의 위상을 드러내는 대표적 상징물이다. 따라서고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문중 행사가 종가 중심으로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종가의 접빈문화가 자연스럽게 창출되면서 독자적인 가통으로 자리잡아 가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당의경우 전체 182곳 중에서 161종가에서 사당을 구비하고 있으며, 비율로는 88%이다. 문중 시조의 신주를 모신 사당인 만큼 보존과 관리가매우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고택과 사당이 아무리 온전한 형태로 남아있더라도 이를 활용하는주체자가 없으면 그야말로 무용지물이다. 즉, 종손과 종부가 종가에거주함으로써 고택과 사당에 생명력이 부여되면서 다양한 종가문화가 창출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경북지역 182종가 가운데 종손과종부가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84곳으로, 전체 46%이다. 나머지 98종가(54%)는 종손과 종부가 외지에 거주하면서 불천위 제사나 집안의대소사 등에만 종가로 돌아오는 경우이다. 그런데 더욱 심각한 것은종손과 종부가 종가에 거주하고 있더라도, 종가문화를 이어받을 차세대 종손과 종부가 외지에 진출해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경북지역182종가 가운데 현재 종손과 차종손이 함께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7사례로, 전체 4%에 불과하다. 또 같은 지역 내에서 따로 살고 있는 경우는 3사례이고, 비교적 근거리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3사례이다. 이들전체를 합하더라도 13사례로, 7%를 넘지 않는다. 이로써는 종가문화의 안정적인 계승을 기대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그 미래를 보장할 수없다. 이런 상황에서 혈족(후손) 중심의 법인을 설립하여 종가에 부여된 이른바 ‘조상제사권’을 양도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는 곳도있다. 어차피 종손과 종부가 거주하지 않는 종가에는 시조를 위한 제례문화만이 남아있는 까닭에, 그 역할을 법인 단체가 담당하더라도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이를 통해 오히려 안정적인 계승을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그야말로 차세대 종손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종가문화가 출현할 날이 멀지않은 듯하다.

      • KCI등재

        종가(宗家)의 접빈(接賓)을 위한 찻상차림 연구

        최배영(Bae-young Choi) 국제차문화학회 2020 차문화ㆍ산업학 Vol.48 No.-

        본 논문은 종가(宗家)의 접빈(接賓)을 위한 찻상차림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에 내재된 생활문화적 가치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종가에 대한 사례조사 내용이 기술된 『대한민국 명문종가 100』을 고찰하여 차(茶)를 활용해 접빈의 찻상차림을 이행한 7종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각 종가의 가력(家歷)을 살펴봄으로써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의 역사적 배경을 파악하였으며, 찻상차림의 계절별 문화적 특징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은 자연과 공존의 삶을 살아온 종가의 역사를 한 잔의 차(茶) 속에 담아내는 지혜의 문화를 반영하였다. 둘째,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 가운데 차와 함께 준비되는 병과(餠菓)를 문헌으로 기록하거나 내림음식으로 전수하는 종가의 정성이 깃든 문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접빈의 찻상차림에는 인간관계의 정심(正心)을 중시하는 종가의 예(禮) 교육의 문화가 내재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가의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은 한국의 차문화와 관련하여 변화, 발전되어온 유·무형의 생활양식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in the head family and to investigate the values of living culture inherent in it. For this purpose, seven head families that prepared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were selected from『100 prestigious head families in Korea』, a document based on a case study. In additi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of each head family was identified,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season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showed a culture of wisdom that contained the history of the head family who had lived a life of coexistence with nature in a cup of tea. Second,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e culture of the head family s sincerity, which was written in literature or passed down as the inheritance food on rice cakes and cookies prepared with tea for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Third, in the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there was a culture of courtesy education in the head family that emphasized the right mind of human relations. In conclusion, the tea table setting for the guest hospitality of these head families has value as a tangible and intangible lifestyle that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in relation to Korean tea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