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지원 및 상사지원에 대한 인식이 비서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지현(Kim, Ji-Hyun),최애경(Choi, Ae-Kyung) 한국비서학회 201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3 No.1

        조직시민행동, 상사지원인식, 조직지원인식, 정서적 몰입은 조직의 성과 및 구성원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비서학에서는 조직원들의 상사와 조직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져 왔으나 정서적 몰입에 대한 연구는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과 상사의 지원에 대한 인식이 비서의 직무태도(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 이 변수들 사이의 관계에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직 비서 162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기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비서의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만,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인식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고, 상사지원인식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인식(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정서적 몰입도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몰입은 지원인식(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몰입은 지원인식에 영향을 받으며,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과, 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 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은 표면적으로 인식하기 어렵고 구성원들이 조직과 외부에 표현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이에 대한 조직과 상사의 정서적인 공감 및 지원의 필요성을 밝혀내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and supervisor supports and job attitud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followed by analysis of the effects of Affective Commitment on the above relationship. To verify the hypotheses, 162 responses were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level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PO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a secretary was shown to significantly affect OCB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reas PSS(Perceived Supervisor Support) did not. POS did not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PSS did. Further, perceived support (POS, PSS) significantly affected AC (Affective Commitment) whereas AC had a meaningful effect on both job OCB as well as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AC was shown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port (POS, PSS) and OCB as well as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lucidated the necessity of emotional sympathy and supports from both organization and supervisor.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ports and job attitude and these are influenced by AC, and perceived supports. In conclusion, AC and job attitudes are mutually connected.

      • KCI등재

        지원적 조직환경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연구

        제갈란(Jegal Lan),김학수(Kim Hack Soo)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7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지원적 조직환경인 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정서적 몰입에 대한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의 상호작용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조직구성원 2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첫째, 지원적 조직환경인 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몰입은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원적 조직환경인 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보면 조직지원인식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조직지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을 통하여 혁신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사지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을 통해서만 혁신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보면 정서적 몰입에 대한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의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가 함의하는 경영학적 시사점과 함께,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ffective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organizational environment, such a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empirically analyze the interactiv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n affective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221 employees.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effect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affective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Also, it was found that affective commitmen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Specifical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affective commitment. Bu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nly had an indirec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interactiv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had a synergy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with the business administration implications implied by this analysis result.

      • KCI등재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과 긍정적 호혜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경민 리더십학회 2018 리더십연구 Vol.9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n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e hypothesized that an individual’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is positively related to his(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is relationship is also mediated b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ing moderated by individuals’ positive reciprocity propensity. These hypotheses have been tested by the survey result from 411 domestic employees based on the integrated statistical model of moderated mediation by Muller, Judd, and Yzerbyt(2005).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has an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lationship was also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inally, the mediation process was moderated by an individual’s tendency of positive reciprocity. As an employee has a stronger tendency of positive reciprocity, the effect sizes of mediating processes were getting larger.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could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They also point out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ese perceptual processes, newly suggesting the significant effect of positive reciprocity. Key word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 reciprocity 본 논문은 최근 리더십 연구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영향력과 그 과정에 연계된 변수들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과정적인 관련성을 보일 것이라 예측하였다. 이와 함께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지원인식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인 영향력 또한 미칠 것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매개과정이 개인의 성격적 특성인 긍정적 호혜성의 정도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는‘조절된 매개효과’모형을 가설로 수립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 종사자 4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으며, Muller, Judd, & Yzerbyt(2005)의 통합분석모형에 기초하여 조절변수에 따른 매개경로의 단계별변화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사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정적인 관계에서조직지원인식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매개과정은 개인의 긍정적 호혜성 정도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개인의 긍정적 호혜성이 강할수록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지원인식에 미치는 영향력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모두가 보다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사와의 관계가 조직과의 관계에 대한해석을 통해 결과적으로 종업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지과정에 있어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유의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키워드: 상사지원인식, 조직시민행동, 조직지원인식, 긍정적 호혜성

      •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과 직무열의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윤하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3 사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학원강사들이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학원지원, 상사지원, 동료지원), 직무열의(활력, 전념, 몰두), 조직시민 행동(학원지향, 동료지향, 고객지향)에 대한 인식과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조직지원인식과 직무열의가 조직 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원 내 조직지원의 수준을 높이고, 학원 강사의 직무열의 및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학원의 경영 안정화 및 교육적 기능 강화에 도 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에서 초·중·고등학생들을 지도하는 학원강사들을 대상으로 구글(Google) 설문지를 활용하여 총 35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4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은 보통이었다. 다만 학원강사의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지원인식과 직무열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 배경 에 따른 조직지원인식,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은 성별, 연령, 근무기간, 소속계열에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학력, 직급,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지원인식의 학원지원, 상사지원, 동 료지원이었고,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지원인식의 동료지원과 직무열의의 전념, 몰두였다. 결론적으 로 학원강사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영자 및 상사가 학원강사들에게 물질적, 정서적 지원을 하여야 하고, 동료 간에 상호이해 증진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료지원이 중요하고, 학원 강사가 직무에 전념하고 몰두할 수 있는 ‘행복한 일터’ 환경의 조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personal background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help to enhance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POS, job engagement, and OCB and to stabilize the management and strengthen educational functions through developing a cooperative labor-management culture. A total of 35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using Google questionnaires from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teach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other areas, and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4.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OS, job engagement, and OCB by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was average. However, the level of OCB instructors revealed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POS and job engagement.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nder, age, working period, and affiliation in the POS, job engagement, and OCB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position, area, and academic background. Third, the factors affecting job engagement were Hagwon support, supervisor support, and peer support of POS, and the factors affecting OCB were peer support of POS, dedication, and absorption of job engagem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job engagement, managers and supervisors should provide material and emotional support to academy instructors, and strive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mong colleagues. In addition, peer support is important to raise the level of OCB, and it is required to create a “happy workplace” environment in which instructors can devote themselves and concentrate on their duties.

      • KCI등재

        교사의 학교조직공적성 인식과 조직지원인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및 학교조직효과성간의 관계

        강경석,황구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과 조직지원인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 조직지원인식, L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에는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 조직지원인식, L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경로모형을 살펴본 결과,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조직지원인식, LMX는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중 조직지원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MX에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지원인식에는 LMX가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LMX와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MX와 조직지원인식은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인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 중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의 하위변인 중 상호작용공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총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호텔조리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수정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6

        본 연구에서는 이론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직공정성을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의 세 가지차원으로 구분하고, 조직 내의 교환관계를 반영하는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직지원인식에 의해 매개되는 간접효과로 설정하고 통합모형의 설계와가설검증을 통하여 그와 같은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조직공정성의 하부요인인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이 호텔조리사들의 조직지원인식 및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보이는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성원들이 조직으로부터 지원을 받았을 경우, 그들이 맡은 자신의 직무와 관련하여 더 많은 노력이나 더 나은 방안으로 직무를 이행해야 된다는 조직시민행동을 인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구성원들이 조직지원을인식하고 더 높은 수준의 동료 간 교환관계가 존재할 때 이 두 변수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지원인식의 영향력이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성원들이 조직지원을 더 잘 인식하고, 더 높은 차원의 구성원 간의 사회교환적 관계가 일어날 때 서로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지원인식의 영향력이 증대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을 높여줄 수 있는 변수로써 사료되며, 이는 구성원이 요구하는 일들을 기업이 관심을 가져주기 때문이며, 이를 통하여 기업은 구성원들에게 물질적 지원 또는 정신적 지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업조직의 긍정적 지원을 기반으로 구성원은 기업조직에 대한 높은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고, 이러한 증가된 동기부여는 구성원의 높은 조직시민행동을 유발시킬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경찰공무원의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셀프리더십 간의 관계 연구 : 셀프리더십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효영 ( Lee Hyoyoung ),이희수 ( Lee Hees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셀프리더십이 두 변인 간 매개효과를 가지는가에 대한 유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분석에 포함된 연구대상은 경찰청과 전국소재의 경찰청, 경찰서, 지구대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 232명이었고, 이들의 조직지원인식, 조직시민행동, 셀프리더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연구변인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직지원인식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지원과 수단적 지원이 셀프리더십의 하위 변인을 매개하여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 실증하고자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랩 검증으로 실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조직지원인식의 정서적 지원은 정당한 행동에, 수단적 지원은 참여적 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셀프리더십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지원인식과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 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 역할의 효과에서는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간에 셀프리더십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olice officers'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f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whether self-leadership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subjec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232 police officers working at National Police Agency, Police stations, and District Units. Through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self-leadership was analyz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was confirm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ethod.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dditionally, to prove that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and the sub-variables of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by mediating the sub-variables of self-leadership, the bootstrap was verifi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research analysis, first,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lso,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directly affected the legitimate behaviors, and the instrumental support directly affected the participatory behavi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on self-leadership,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and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Third, concerning the effect of the mediating role of self-leader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self-leadership had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the recognition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n this regard, othe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구성원의 공정성 지각이 영리조직과 비영리조직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남식,임정숙,Min, Nam-Sik,Lim, Jung-Sook 한국산학경영학회 2009 산학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선행의 연구 고찰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의 관계 규명을 통해 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 및 조직몰입을 변수로 하여 구조모델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영리조직과 비영리조직의 표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과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영리조직에 있어서는 조직지원인식에 대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몰입에 대해서는 절차공정성을 제외한 분배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이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지속적 몰입에 대해서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조직지원인식 모두 무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시민행동에 대해서는 분배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을 제외한 절차공정성과 정서적 몰입 및 지속적 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비영리조직의 분석 결과에 있어서는 조직지원인식에 대해 절차공정성은 무의미하고, 분배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몰입에 대해서는 절차공정성을 제외한 분배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이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지속적 몰입에 대해서 절차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은 무의미하나 분배공정성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시민행동에 대해서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조직지원인식은 무의미하며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주어진 역할 외에 자발적으로 조직을 위해 조직시민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조직이 조직구성원의 호의, 따뜻함, 다정함, 행복감, 유쾌함, 충성심 등의 감정을 통하여 조직에 대해 개인적으로 느끼는 심리적 애착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영리조직에 있어서는 각종 공식적인 절차가 공정하다는 것을 구성원에게 몸소 보여 주는 행동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Previous research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ve been focused mainly on organizations, and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particular, few empirical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hus, this study attempted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profit organizations, the fairness of procedure, emotional commitment and continuous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well as the fairness of distribution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nonprofit organizations, on the contrary, the fairness of distribution, the fairness of procedure,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were insignificant, and only emotional commitment and continuous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atively analyz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 members' perception of fairnes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nd its outcome may be utilized as a reference in future researches but it has a problem in external validity that poses a limitation in its generalization.

      • KCI등재

        지원인식, 목표지향성 및 종업원 행동

        박노윤(Park, Rho Yun) 한국인사관리학회 200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종업원을 대상으로 (1) 조직시민행동과 종업원 몰입행동에 대한 지원-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의 영향 (2) 세 가지 지원의 상대적 영향력 (3) 목표지향성-학습목표성향, 주도적 성과목표성향, 회피적 성과목표성향-이 종업원 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지원인식은 비정규직 종업원의 조직에 대한 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사지원인식은 대인간 시민 행동, 종업원 몰입행동과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동료지원인식은 조직에 대한 시민행동, 대인간 시민행동과 종업원 몰입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 가지 지원유형 중에서 동료지원인식이 조직이나 상사지원인식보다 비정규직 종업원의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업원 행동에 대한 지원유형 간 영향력 차이는 대인간 시민행동과 종업원 몰입행동에서만 비교적 유의하게 나타났다. 목표지향성 중에서는 학습목표성향이 대인간 시민행동과 종업원 몰입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주도적 성과목표성향은 종업원 몰입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분석에서는 학습목표성향만이 조직지원인식이 대인간 시민행동과 종업원 몰입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원과 목표지향성이 비정규직 종업원의 행동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가 주는 실무와 이론적인 측면에서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support (organizational, supervisor, coworker support) on contingent workers' behavio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mployee engagement), (b) tested the relative impact of three types of perceived support on their work behaviors, and (c) analyzed the direct and moderating effect of goal orientation (learning goal orientation, performance-prove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avoid goal orientation) in relation to their work behavio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O. Perceived supervisor support(PSS)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I and employee engagement. And perceived coworker support(PCS)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O, OCBI and employee engagement. This result shows that perceived support for contingent workers is related to work outcomes and PCS is more significantly related to contingent workers' work behaviors than POS and PSS. Learning goal ori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O, OCBI, and employee engagement, and performance-prove goal ori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engagement. And only learning goal orient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 and OCBI, and POS and employee engagement. This result shows that perceived support in organization and goal orientation are usefu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s of contingent workers' behaviors.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권정숙(Kwon Jung Soo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which are most commonly operationalized as subjective career success. Based on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this study hypothesi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pervisory support, person-organization fit, and job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employees in Korea. The total sample size was 220.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as expect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to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organization fit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satisfacti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were indirec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via person-organization, also directly related person-organization fit.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were partial mediating effec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organization fit and career satisfaction was full mediating effect. The implication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논문은 연구 초점을 주관적 경력성공에 두고, 조직 내 인적자원의 경력관리를 계획하고 이를 실행하는 조직 내 사회실체인 조직과 상사의 지원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대표적인 주관적 경력성공으로 꼽히는 직무만족과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직무적응이론에 기초하여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 개인-조직 적합성, 그리고 직무만족과 경력만족 간의 관계를 가정하고 이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을 활용하였다(N=220). 분석결과,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은 조직구성원의 주관적 경력성공인 직무만족과 경력만족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은 개인-조직 적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조직 적합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직무만족은 경력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직지원인식 및 상사지원인식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조직 적합성과 경력만족 간의 관계에 미치는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한계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