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전환행동에 대한 디자인 요소, 만족, 싫증의 역할

        나광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소비자의 전환행동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제품에 대한 싫증과 만족을 고려하고 제품에 대한 경험적인 요소인 디자인요소가 제품만족과 싫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브랜드 전환행동, 제품싫증, 만족, 디자인 요소를 탐색하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연구모델 검증을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품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경험은 제품 싫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디자인 요소로 고려한 시각적 심미성, 기능적 특성, 디자인 원리, 트레이드드레스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경험은 제품에 대한 싫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 요소 중 시각적 심미성과 디자인 원리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경험은 제품 만족에 직접적인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능적 특성과 트레이드드레스는 제품만족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싫증과 만족, 브랜드 전환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제품싫증이 증가할수록 제품에 대한 만족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싫증과 제품만족은 소비자의 브랜드 전환행동에 매우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는 소비자의 제품싫증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제품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경험을 제안함으로써 기업의 디자인 전략과 고객 유지를 위한 관계마케팅 전략 수립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duct satiation and satisfaction which influence consumer’s brand switching behavior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esign elements which are experiential elements on product satia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explored brand switching behavior, product satiation, satisfaction, and design elements by reviewing past studies and built up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martphone targeti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experience of product design elements influenced product satiation negatively. Positive experiences toward visual aesthetics, features, trade dress, and design principles which are considered as design elements decreased product satiation. In addition, visual aesthetics and design principles had positive effects on product satisfaction Features and trade dress, however,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product satisfaction. Satisfaction, and brand switching behaviors, as product satiation increased, product satisfaction decreased. Product satiation and satisfaction affected on brand switching behaviors significantly. This study could suggest the guideline for building up company’s design strategy and relationship marketing strategy for customer retention by using product design elements as important factors which influence product satiation and satisfaction.

      • KCI등재

        친환경 개념에서의 제품디자인과 재료 적용에 관한 연구

        최종운 ( Jong Woon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제품디자인 개발과정에서 환경과 제품의 관계성 고찰을 통해 지구의 환경파괴 제품을 친환경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모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제품디자인은 경제성, 기능성, 안전성,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에코디자인(eco-design) 또는 환경 친화적인 디자인으로 제품개발의 초기단계부터 친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제품생산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려는 디자인 개발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지속가능한 제품디자인은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데 있어서 트리플 버튼 라인(triple bottom line)이라고 일컬어지는 경제적 측면, 환경적 측면, 사회적 측면을 조화롭게 통합하는 설계기법으로 지속가능한 최고의 가치를 추구하려는 목적이 있다. 21 세기 공업화 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는 산업중심에서 정보중심의 사회로 전환됨으로써 정보의 중요성과 더불어 정보를 운영 처리하는 제품과 사용 환경에 따른 사회적, 문화적 가치의 중요성을 대두시키고 있다. 기능중심에 입각한 기능주의(機能主義)는 디자인에서 감성미학(感性美學)을 중시하는 감성디자인과 친환경디자인을 중시하는 환경주의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환경변화는 제품디자인과 제조 공정의 기술적 측면과 제품의 사용성 및 기능성 그리고 생산성을 고려한 친환경시대의 의미를 갖고 친환경성을 고려한 제품 구현을 촉진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다양한 상호관계 속에서 진행되어지고,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소재 및 재료의 변화에서 생산 공정의 발전과 더불어 대량생산으로 발달되어 산업화로 인한 지구환경에서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하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20 세기에 들어서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공업국들은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며 이것은 대량소비로 진행되어 자원고갈과 제품 생산 및 사용과 폐기로 인한 환경파괴의주범이 되는 심각성에서 일반적 개념에서 제품디자인과 친환경적 개념에서의 디자인으로서의 의미와 관계성을 인지하는창의적 과정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nvironmentally friend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roducts currently in development processes in product design earth environmental destruc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of eco-friendly products from. The transition from industrialization society to information society has made information more significant along with products and environment for opera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which will advance social, cultural values. From function-oriented Functionalism to emotion-oriented Emotional Aesthetics, we are now focusing on environmentalism, caring for the environment. This transition is made by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the usability, functionalism, and productivity of a product in the technological aspect, and it is now being expressed through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This is a socio-cultural phenomenon, involving diverse interaction, and changes in the materials and resources composing the product have led to development in manufacturing process and mass production, and has reached a stage where it is now threatening mankind and the global environment. The developed industrial countries began mass-producing products from the 20th century, and people started mass consuming, resulting in depletion of resource, and abundant production, use, and disposal is destroying the environment. More and more Industrial designers are recognizing this problem and are moving towards resolving it. Realizing the global finitude, especially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king up to the global crisis caused by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improving military technology, industrial designers are exploring ways of promoting and encouraging people to act on resolving this situation.

      • KCI등재

        육아 편의를 위한 차세대 베이비 케어 제품디자인 개발을 위한 사용자연구 ; 퍼소나와 정황시나리오를 적용한 VR 사용자 테스트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이향진 ( Lee Hyang-jin ),김세희 ( Kim Se-hee ),이상영 ( Lee Sang-you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육아에 필요한 소형가전제품인 보틀워머와 가습기능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베이비 케어 제품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퍼소나와 정황시나리오를 적용하되, VR테스트 단계를 추가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제품디자인개발의 오류를 줄이고 제품디자인개발 기간의 단축과 완성도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로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① 퍼소나와 정황 시나리오를 적용하되, VR테스트 단계를 추가한 디자인 프로세스 방법은 제품디자인개발 방향 도출에 효율적이며, ② 사용자의 입장에서 제품의 문제점을 관찰하는 것이 용이 할 것이며, ③ 베이비 케어 제품 개발 방향 설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 방법은 베이비 케어 제품디자인 개발에 퍼소나와 정황 시나리오를 활용하였으며, 소비자 심층면접의 결과치를 바탕으로 퍼소나를 제작하고 쿠퍼(Cooper)의 디자인 프로세스와 달리, 제작된 퍼소나와 정황 시나리오를 사용자에게 적용시키고 VR테스트를 추가하는 차별화된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디자인 중요도, 소재의 중요도, 가격의 적합성, 제품의 안전성, 제품의 편의성, 제품의 내구성 등의 요구사항이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테스트 기간 동안 얻어진 실험자의 유저다이어리 내용을 통하여 밤중 수유 시 필요한 수유 등 기능, 제품을 한손으로 조작하는 편의성, 변형과 변질이 되지 않는 소재 사용 및 제품의 내구성을 중시하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아울러 사용자의 제품 사용패턴, 제품의 문제점 도출, 사용자의 요구사항 등을 상세하게 도출되어 설정된 가설이 유의미함을 검증하였다. We apply differently Personal and Circumstantial Scenario to Bottle Warmer (a small house utensil for child care) and Hybrid Baby Care Product(Combination with humidifier function) at the development step. Bottle Warmer is a convenient solution for working moms who have difficulty nursing their babies at night. Hybrid Baby Care Product can help to nurture your child with the added function of a humidifier. This new user-friendly design can help address issues found in previous models and provides a convinient use as well as an esthetically pleasing design.In this study, we will attempt a new design development utilizing the Copper Scenario Persona and add new user tests from the previous process. The term "Persona" can be translated as a compact model of all of a user's requirements. There are four steps in the Cooper Scenario Design Process.We add a test in which Circumstantial Sceinario and Persona are applied for objects in midway of the Design - Concept/Evaluation stage. The intention is to inspect a products use and make a change in the preceding stage. To be exact, this system can produce a more accurate new design concept creation than previous ones were able to accomplish. We consider that user participation requires a customer who considers child care a primary responsibility in the present or in the near future. This factor is assumed to reduce trial and error as well as the duration in Baby Care Product Development . Plus, we expect it would raise the degree of completion we can obtain.

      • KCI등재

        소비자 선호 감성 제품 디자인의 제품 유형별 비교

        이유리,김영일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4

        최근 감성디자인이 화두가 되면서 제품의 정서적 특성들은 제품을 차별화하는데 더욱 중요한 경쟁력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요소-감성이미지-선호도와의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추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감성 제품 디자인을 위해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의 제품 유형에 따라 어떠한 디자인 요소가 소비자들에게 특정한 감성이미지를 창출하고 이 감성이미지가 소비자 선호를 충족시키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비교 분석해보았다. 본 실증 연구를 위해, 실용적 제품의 대표제품으로는 소형 가전제품인 가습기를 선정하고, 쾌락적 제품의 대표제품으로는 향수병을 가지고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가습기라는 실용적 제품을 선택하는 소비자의 선호도는 거의 모든 디자인 요소에 영향을 받는 반면, 향수병이라는 쾌락적 제품을 선택하는 소비자의 선호도는 고급스러운 디자인에 끌리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추론은 실용적 제품 선택시 소비자는 종합적인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여 선호도를 나타내는 반면, 향수병과 같은 쾌락적 제품을 선택할때 소비자는 쾌락적 제품이라는 특수성에 맞게 고급스러운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것으로 분석되었다. As considerab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emotional design in recent years,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product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in differentiating the product competitiveness. Thu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evaluate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oduct designs factors-emotional images-product design preferences by performing path analysis. To assist developing design scheme of emotional products attractive to consumers, this study analyzed sample cohort to determine which design characteristics generate emotional attraction and how these emotional design characteristics satisfy consumers’ preferences. For the empirical research, design of humidifiers (small appliance) and perfume bottles represent design of a utilitarian product and a hedonic product respectively in this study. In the result, the consumer preference for choosing a humidifier was influenced by most of design factors, whereas the consumer preference for choosing a perfume was influenced by a luxurious design of bottle.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umers consider overall design factors when they select a utilitarian product, whereas consumers consider design factors related to luxurious emotion for choosing a hedonic product.

      • KCI등재

        감성디자인적 접근을 통한 혁신적 포괄적 디자인

        최수신 ( Soo Shin Choi ) 한국감성과학회 2008 감성과학 Vol.11 No.4

        첫번째 질문-포용적 디자인을 진정으로 포용적으로 만드는 방법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포용적 디자인 제품들이 사용자들에게 그다지 매력을 주지 못하는 이유는 디자이너들이 제품의 사용성의 개선에 치중하면서도 제품과 사용자를 연결해 주는 감성적 가치를 간과하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와 키보드를 크게 하는 등의 사용성의 개선책은 때로 제품을 매력이 없고 관심을 끌지 못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원래의 의도와는 달리 포용성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게 된다. 감성적 디자인이란 단순히 재미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기 즐거운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감성적 디자인은 제품에 대한 호감을 증가시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연결감을 고양시키고, 이러한 감성적 연결감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즐겁게 할뿐만 아니라, 사용 방법을 배우는 것 조차 즐겁게 만든다. 또한 제품에 대한 주의를 높이고 지루함을 줄여서 사용성에 따르는 많은 문제를 해결해 준다. 더 많은 사람이 즐겁게 사용한다면 그 제품의 포용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두번째 질문-포용적 디자인은 혁신적인 상품성이 있을 수 없는가. 대개의 포용적 디자인 제품은 혁신적이지 못하고, 따라서 새로운 시장 기회를 만들지 못한다. 감성적 접근방법이 사용자 측면의 가치를 높이는 일이라면, 혁신적 디자인 접근 방법은 시장에서의 가치를 높이는 일이다. 이는 더 많은 기업의 포용적 디자인 제품의 개발을 촉진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포용적 디자인에서의 감성적 디자인 방법의 효과를 조명하고, 감성적 디자인 접근 방법이 포용적 디자인 제품을 혁신적으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다룬다. 또한 제시된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하여 이러한 과정의 사례를 보여준다. First question: What makes inclusive design truly inclusive? Most inclusive design products are far from being appealing to their intended customers. This is mainly because designers are typically concerned with enhancing the usability, and not the emotional value that cre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duct and the users. Typical solutions are larger displays and larger buttons, and these solutions often make the product less tasteful, graceful, and favorable. As a result, such products become less inclusive, veering from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designers. Emotional design is not about making fun products, but about enjoyable products. Positive emotional design increases the affection value in products that enable users to create emotional connection with products. With the emotional connection, the user can engage in learning about the product as well as enjoy using the product. This can also resolve most usability issues by increasing the attention level and decreasing boredom. When more people feel that a product is enjoyable, it becomes more inclusive. Second question: Can`t inclusive design have innovative value? Most inclusive design products are far from being innovative, and thus, they cannot create market opportunities. While emotional design approach increases value for users, innovative design approach creates value for the businesses. This will eventually promote development of inclusive products. This paper discusses the benefits of emotional design approach in inclusive design. It also argues how emotional design can help make inclusive design more innovative. Accompanied exemplar design process illustrates how emotional design contributes to inclusive design and how it leads to innovative products.

      • KCI등재

        프랙탈(Fractal) 기하학을 응용한 텍스타일디자인제품 사례 연구

        엄경희(Kyoung Hee Eom),정보리(Bo Ri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오늘날 빠르게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과학의 발전과 이에 따른 변화는 수많은 분야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에 직선적이고 기계적이며 자연에 근거한 디자인들은 그 한계점에 다다르게 되었다. 이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이에 근거한 새로운 디자인의 제시가 필요하다. 프랙탈 이론에 기초한 예술은 자연과학 패러다임의 진화에 따른 것으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조형패턴의 세계를 열어가고 있다. 이러한 패턴들은 다양하고역동적인 공간의 창출과 유기적인 형태적 비전을 제시해주고 있다. 프랙탈의 이론을 적용한 많은 미술작품들을 보면 디자인에 있어서도 무한한 창작의 가능성을 기대 할 수 있다.이에 본 연구는 프랙탈 기하학과 자연의 유기적인 형태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잠재성과 디자인 제품에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여 새로운 시장 개척과 기존 디자인 제품의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주고,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욕구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 및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프랙탈 기하학의 정의와 디자인 원리 및 형태적 특징을 고찰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로는 프랙탈 기하학이 적용된 디자인 제품을 중심으로 인테리어, 의복, 패션 액세서리 등 디자인 제품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는 프랙탈 기하학을 응용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복적인 자기유사성과 동일한 연속적인 패턴을 통해 복잡한 구조를 만들어 나가는 무작위적인 반복성은 다양한 공간 연출에 적극 응용되어 심플하면서도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디자인으로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특성이 활용되어 예술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지닌 가구, 조명 등 여러 가지 인테리어 제품들이 상품화되어출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의 프랙탈이 응용된 의류제품 사례는 미흡하지만, 해외의 사례에는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기유사성과 반복성을 지닌 패턴이 특징인프랙탈 기하학의 해외 디자인 제품 응용사례는 중소규모 업체의 제품에만 국한되지 않고, 최근에는 대규모 업체와, 유명 패션 브랜드 제품에도 확장되고 있다.셋째, 패션 액세서리 제품 분야는 의류 분야와 마찬가지로 국내의 응용 사례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프랙탈 기하학이 응용된 새로운 문양과 독창적인 스타일의 액세서리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들은 자연 속의 신비로운 질서를 형태화하여 추상적이면서도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각 분야의 프랙탈 기하학이 응용된 제품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프랙탈 이미지 응용에 대한연구와 시도가 디자인 제품에서는 건축, 인테리어 분야에 비해 패션, 액세서리 제품 디자인의 사례가 적었다. 또한, 프랙탈 기하학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반복과 자기유사성, 그리고 순환성을 활용한 디자인 제품사례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아직은 그 활용성이 미흡한 국내시장에 프랙탈 기하학을 응용한 디자인을 적용한다면, 경쟁력 강화와 새로운 시장창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디자인 관련분야와 기업 및 관련 학계에 있어 새로운 디자인 제품을 개발하고 연구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scientific advances and subsequent changes are affecting a various part of design. In these times, the existing designs represented by linear, solid and based on natural objects have reached the critical point, and a new paradigm for design and a new approach for design methodology are needed. In some countries, the fractal geometry which owed advance of computer science to illustrate complexity of nature is used as one example of new approaches for designing paradigm. However, in this country there are not many design cases applied of fractal geometry. The aims of present study are to research the potentials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for design products by comparative analysis of fractal geometry and nature`s organic shapes, and to present examples of design products for matching consumer`s various needs. By reviewing published literatures and web-based sources, the author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efinition, the design principle and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fractal geometry. The subjects of our study were design products using fractal geometry such as interior products, clothes and fashion accessor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fter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se subjects. First,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products it appeared the trend of increasing cases. A variety of interior products made by using simple and luxury design of repetitive self-similar patterns and subsequent complexity due to random repeatability are commercialized and released for space styling. Second, in the field of clothing products the domestic applications of fractal geometry haven`t been common. However, cases of the foreign applications have remarkably increased. Recently, these applications of self-repeating fractal geometry have expanded from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to big enterprises and famous fashion brands. And their consumer response appears to be very good. Third, in the field of fashion accessory products the domestic applications haven`t been familiar like clothing products, however in many foreign countries varied types of design products based on fractal geometry which embody unpredictability and mystical order of nature and practical products using creative shape of fractal geometry have been released. In terms of design, new patterns and styles of fractal geometry have been introduced. The attempt to develop design product by using fractal geometry can be interpreted as effort to create a new market and to expand consumer target. Our review of design application cases using fractal geometry reveals that there are many products to take advantage of repeatability, self-similarity and circularity, those ar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fractal geometry. Application of design based on fractal geometry to product would help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and to pioneer a new market because of its great potential power for creative design, especially in this country where the examples are not so familiar. The present study would be utilized as preliminary data for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by companies and academia related to design product.

      • KCI등재

        차별화된 디자인에 의한 스마트폰 광학바이오현미경 제품디자인 개발

        강화영 ( Kang Hwa-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8 No.-

        IT산업의 핵심인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 카메라 등은 광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창의적인 디자인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인해 mp3, 카메라, 다이어리, 녹음기, 디지털기기 등 다양한 시장과 제품들이 스마트폰에 의해 흡수되고 있다. 본 연구개발 목표는 차별화된 디자인을 통한 스마트폰 광학바이오현미경의 제품디자인이다. `나인`기업이 보유한 320배율 광학바이오현미경 기술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스마트폰현미경 제품디자인 개발을 통해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개발을 시도하였다.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개발된 제품디자인의 차별화를 통해, 일반 광학 loupe나 USB 현미경을 대체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고부가가치의 시장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제품디자인 개발을 위해 스마트폰 제품디자인 시장을 분석하고 디자인 특성요소와 PPP 평가방법을 도입하여, `나인`과 소비자의 관점에서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제조와 공급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품의 문제점이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돌출된 20가지의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의 편리성, 유연성, 조작직관성, 공간효율성, 사용다양성 내구성, 경제성, 심미성 등을 갖춘 `Z` 복합형 스마트폰 광학바이오현미경 제품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력과 제품디자인의 융합개발을 통해 기존 현미경제품과 차별성을 주어 거치와 휴대가 가능한 복합형 광학바이오현미경으로 가정용 의료기기의 역할, 교육용, 미용, 실험실 전문가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기에 충분한 독창성을 가진다. According to development of optical technology, products of digital camera and smart phone with excellent functions are being developed, which are the core of IT industry. Due to development of smart phone, various markets and products such as mp3, camera, diary, recorder, and digital devices are absorbed into smart phon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duct design of smart phone optical bio-microscope through differentiated design development. It attempted fusion of optical bio-microscope technology and design field through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product design based on 1,000 magnification optical bio-microscope technology owned by`NINE`It intends to secure high value markets through products which can replace ordinary optical loupe or USB microscope through differentiation of developed product design. In order to develop such product design, it analyzed smart phone product design market, introduced design characteristic elements and PPP evaluation method, and drew product problems and improvements to recognize products excellence from the standpoint of`NINE`and consumers and then, to facilitate manufacture and supply of products. It developed product design of `Z` combined smart phone optical bio-microscope considering convenience, flexibility, intuitive operation, space efficiency, diversified usage, dur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by application of projected 20 criteria. This study has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microscope products through technology and fusion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and so, it retains sufficient creativity for a combined optical bio-microscope to be used in many fields with potable and stand function.

      • KCI등재

        적정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제품 사례 연구

        엄경희(Kyoung Hee Eom),김형주(Hyung Joo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현대의 기술 발전은 세계적 경제성장과 풍요를 가져왔지만 대부분 고소득층을 위한 첨단기술 개발에만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지구의 다른 한 편에는 아직도 물과 전기의 공급도 받지 못한 채 외부로부터 도움의 손길을 기다리는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가의 빈민층도 많은 상황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하나가적정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제품들이다. 그러므로 개발도상국이 처한 현실을 철저히 반영한 기술인 적정기 술을 활용한 디자인제품의 개발을 활성화한다면 이는 단순 경제 원조를 넘어 과학기술을 통해 지역사회를 개발하고 개발도상국의 내적 역량을 강화시켜 자립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삶의 질을 궁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정기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적정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제품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적정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 및 방법으로 적정기술의 이론적 배경과 기술을 활용한 사례들은 참고문헌 조사를 통한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적정기술을 활용한 디자인 제품 사례는 크게 다섯 분야로 범위를 선정하여 적정기술연구소, OECD 개발원조위원회, 한국국제협력단 등 여러 기관들에서 발표한 자료 분석과,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을 중심으로 고찰 연구 분석하였고, 그 결과 적정기술을 활용한 디자인 제품사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시켰다. 첫째, 건축용 디자인제품은 주로 친환경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파란색, 녹색을 사용하였고, 지역에서 생산이 가능한 금속, 목재의 건축자제와 기술 그리고 현지인들이 쉽게 제작·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자원용 디자인제품은 주로 맑은 물을 연상시키는 파란색, 녹색을 사용하고, 대나무, 금속,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전기나 연료 없이 가동가능하고 사용하기 쉽게 설계되어 사람들에게 농업용수와 식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셋째, 위생용 디자인제품은 청결을 연상시키는 흰색, 녹색을 주로 사용하였고, 각종 세균, 모기 등으로부터 인체감염을 예방하는 소재나 쉽게 분해되는 소재를 사용하여 환경의 오염을 줄여주었다. 건강용 디자인제품의 경우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기 위해 현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였다. 넷째, 에너지용 디자인제품은 주로 태양에너지를 연상시키는 주황색, 붉은색, 은색을 사용하였고, 나무연료 대신에 태양열에너지, LED 또는 휴대폰 배터리 등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용 디자인제품은 주로 노란색, 녹색, 무채색을 사용하였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의 사용으로 적당한 가격을 제시하였으며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 평등한 정보 접근과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적정기술은 기술을 넘어 사람에 초점을 맞춘 따뜻한 기술이며,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해결책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진국, 개발도상국 그리고 국내에서도 적정기술에 관한 관심과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황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적정기술을 통한 디자인제품은 개발도상국이나 저개발 국가 빈곤층을 위한 것 뿐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판매되거나 사용하고 있는 사례들이 연구되어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거나 유용한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므로 적정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제품 사례연구는 산업계와 학계에서 소외된 어려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고 더 나아가 모든 인류를 위한 제품디 자인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ough the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has brought global economic growth and richness, it has mainly focused on development of hightechnology for high-income bracket. However, there still exist many poor people living without fresh water and electricity in the developing and undeveloped countries. They are just waiting for helping hands from outside. One solution to this issue is design product utilizing appropriate technology. If they utilize the development of design products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it is believed that, beyond simple economic aid, it will provide foundations to developing countries on which they stand alone by reinforcing their internal capacity and developing local communities through science technology. Accordingly, as a research technology which can eventually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needed to develop design products in the future, utilizing appropriate technology by analyzing cases which uses appropriate technology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appropriate technology. As a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I conducted research into the cases which utilized theoretical back ground and technology of appropriate technology through literature review. I selected the cases utilizing design products from 5 major categories and studied them by analyzing data and reports from institutions such as KOICA,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and appropriate technology research centers, researching database through internet and reviewing published materials including thesis and books. Case study of design products utilizing appropriate technology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design products for construction are using green and blue colors which give us eco-friendly images and, are made of metal and wooden material which can be produced locally and designed to be easily made by local people. Second, the design products for water resources are using green and blue colors which remind us of clean water and, are made of bamboo, metal and plastic material which can be operated without fuel or power supply and designed to be used so easily that they might provide fresh water for drinking and agriculture. Third, the design products for hygiene are using white and green colors which remind us of cleanliness, are made of materials which can prevent human body from infection of virus and mosquitoes and be decomposed easily minimizing environment pollution. In case of the design products for health care, the material which can be easily found in the area and solar energy are used to provide the products with lower price. Forth, it is found that the design products for energy are using orange, red and silver colors which remind us of the solar energy and using sustainable energy such as solar energy, LED or mobile phone battery instead of wooden fuel. Lastly, the design products for education are using yellow, green and achromatic colors and, are made of easily found materials offering reasonable prices. And their user interfaces are so convenient that they may provide better education opportunities and equal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ccordingly, appropriate technology is warm-hearted technology focusing on human beyond technology itself, and the solution to improvements of the quality of human life in un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to thei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 is also found that the interests in appropriate technologies and related activities are increasing in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in Korea. And it is found that the design products utilizing appropriate technologies are not only the poor people in developing and underdeveloped but also sold and us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I believe studies on these cases will be able to solve the inequality issues or to suggest useful guidelines. Therefore, the case study of design products utilizing appropriate technology will be

      • KCI등재

        친근함과 독특함: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특성

        김선우 ( Kim Sunwoo ),이지현 ( Lee Jihyun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제품이 갖는 쾌락적-실용적 속성의 정도에 따라, 제품 디자인이 친근한 디자인에서 독특한 디자인으로 변화할 때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와 제품 구매 의도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살펴보았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쾌락적 속성이 강한 패션 제품 중 하나인 T셔츠와 실용적 속성이 강한 주방 제품 중 하나인 토스터기를 자극물로 하는 설문을 시행하였고, 제품 디자인의 친근하고 독특한 정도에 따라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와 구매 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단일 요인이 반복 측정된 이요인 분산 분석을 통해 비교 검증 하였다. 그 결과, T셔츠와 토스터기 모두에서 제품 디자인의 친근한-독특한 정도에 따라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와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나, 제품의 종류에 따라 그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T셔츠의 경우, 제품 디자인이 독특해질수록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가 증가하였으나, 제품 구매 의도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 제품과 같이 쾌락적 속성이 강한 제품에서 독특한 제품 디자인이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를 증대시킬 수는 있으나, 항상 소비자의 구매로 연결되는 것이 아님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토스터기의 경우, 소비자는 독특한 디자인보다 친근한 디자인에 대해 보다 높은 디자인 선호와 구매 의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품의 기능적 특성이 중요한 실용적 제품의 경우 친근한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가 높으며 이러한 선호가 구매로 연결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소비재 제품의 특징을 제품의 속성에 따라 쾌락적-실용적 제품으로 구분하고, 제품 속성에 따라 어떠한 디자인 전략이 필요한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소비재 기업의 제품 디자인 전략의 방향 제시 및 매출 증대를 위한 전략 도출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roduct design (familiarity vs. novelty) and product type (utilitarian product vs. hodonic product) on consumers’ desig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Basically, both familiar and novel design attributes improve consumers’ design preference by inducing their aesthetic pleasure. However, this study anticipated that this influence would vary depending on the hedonic-utilitarian attributes of the product. On the basis of this assump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with T-shirts, which is a fashion product with strong hedonic attributes, and toasters, which is a kitchen appliance with strong utilitarian attributes, as its stimuli. Through the collected data, we examined how consumers’ desig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differ according to familiarity and novelty in product design. Prior to the main investigation, a pre-test was conducted to develop research stimuli for T-shirts and toasters. The pre-test consisted of a total of four stages, and as a result, five-step stimuli with familiar design-ordinary design-novel design were develop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sig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stimuli,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7 people in their 20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pplying SPSS for Windows. We conducted two two-factor ANOVAs with repeated measurement on one factor with product type as an independent variable (utilitarian product vs. hedonic product), and desig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esign attribute (from very familiar design to very novel design) as a repeated measurement variable, respectively. The LSD test was add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peated measured valu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esign attribute. The results of the ANOVA analyses are as follows. In both the stimuli of T-shirts and toasters, consumers’ desig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significantly changed depending on familiarity and novelty of product design. However, the pattern of chang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product. In the case of T-shirts (hedonic product), consumers’ design preference increased as the product design became more novel, but their purchase intention decreased. These results imply that a novel product design can improve consumers’ preference for a design, but a novel product design is not always connected to their purchase in the case of products having strong hedonic attributes such as fashion products. In the case of toasters, consumers’ design preference was the highest for ordinary design compared to a familiar or novel design, and the pattern of purchase intention was similar to that of design preference. These results illustrate that consumers’ preference for an ordinary design is the highest compared to familiar or novel designs for utilitarian products wher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roducts are important like kitchen appliances, and such preferences can lead to their purchase. In consumer goods markets where the differentiation of product quality is difficult due to recent technological improvements, design competitiveness is a crucial factor for determining companies’ survival. However, previous studies on which designs are desirable to consumers have not been sufficiently executed. This study identified what kinds of design strategies are effective for hedonic and utilitarian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deriving the direction of product design strategies in consumer goods companies.

      • KCI등재

        2022-2023 하임텍스틸 디자인 트렌드를 반영한 인테리어제품디자인 사례 연구

        엄경희,곽문정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3

        빠른 사회 환경에서 최신 디자인 트렌드를 연구하고 분석하여 소비자 심리를 파악함으로써 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도록 유도한다.1) 사용자 중심에서 사용자 경험을 높이고, 문제의 문제점을 파악해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디자인산업의 필수 과정이다.2) 한편 코로나 19가 유행하면서 우리 생활은 급격한 디지털화를 맞이했다. 원격, 온라인 등 일련의 근무방식과 생활방식이 사람들의관심의 초점이 되었다. 원격근무와 학습이 일상화되고재택시간이 길어지면서 주거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거 공간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차별화와 다양한 주거 공간 제품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디자인 트렌드 박람회에서 선보이는 신제품에 대한 정보반영과 새롭고 독창적인 디자인 콘셉트에 관심을 갖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3) 그러므로 인테리어제품디자인 산업에서는 현 트렌드의 흐름을 파악하고시장 환경을 분석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보와 데이터 수집을 통한 수요를 정확히예측한 후 효율적으로 제품디자인에 적용되는 것이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세계 유명 박람회인 2022-2023 하임텍스틸(Heimtextil)에서 제시하는 트렌드를 정확히 고찰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 사례를연구 분석하여 디자인 트렌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기업 디자인 개발에 기초자료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디자인 트렌드에 대한 정의와 2022-2023 하임텍스틸 디자인 트렌드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선행 연구 분석과 문헌 조사를 하였다. 2022-2023 하임텍스틸 디자인 트렌드를 반영한 용도별 인테리어제품디자인 사례분석하기 위하여 인터넷자료조사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범위로는 2022-2023 하임텍스틸 디자인 트렌드와 용도에 의한 벽 및 바닥용품, 거실용품, 주방용품을 범위로 선정하여 트렌드가 반영된 인테리어제품디자인 사례를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도출하였다. 첫째, 벽 및 바닥용품은 심층자연, 초자연, 신분 초월, 권리부여인 트렌드를 반영하여 제품으로 출시하였으며, 심층적인 디자인 철학으로 우리의미래를 치유하고 보호한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둘째, 거실 용품은 심층자연, 초자연, 신분 초월, 권리부여 트렌드를 반영하는 제품들이 나타났으며, 우리의관계를 변화하는 것은 우리 경제, 과학 기술을 자연속에 수용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주방용품은 주로 심층자연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들이많이 나타났으며, 자연세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랜 전환과 재학습의 과정을 표현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소비자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서 소비트렌드 흐름 파악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국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기업매출 증대를 위한 신제품 디자인 개발은 반드시 디자인 트렌드 반영 필수요소라고 판단되며, 사례분석을 통한 방향 제시는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관련 분야와 기업에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