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제도권 교회의 특징에 대한 연구

        정재영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이 연구에서는 제도권 교회에 속하지 않는 교회들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회 제도화의 문제는 학계에서 이미 오래된 연구 주제이기도 하지만, 최근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하여 제도화된 관습을 극복하고 교회에 대한 개혁이 이루 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탈교회 현상 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형태의 교회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은 학문적으 로나 목회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비 제도권 교회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교회에 대한 새로운 욕구들을 이 해하고 목회의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비제도권 교회에 속한 교인들과 제도권 교회에 속한 교인들 사이에는 뚜렷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교회에 대한 만족도와 대부분의 평가 항목에서 비제 도권 교회 교인들이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특히 규모와 체계를 갖춘 교회에 유 리한 항목을 제외하고 교회의 본래적 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공동체적인 측면에 대해 서 비제도권 교회가 훨씬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점은 비제도권 교회들이 오늘날 개신 교 신자들이 요구하는 신앙적 욕구에 더 부합한다고 해석된다. 비제도권 교회 교인들은 신앙생활 이유에서도 보다 본질적인 차원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제도권 교회에 속한 교인들이 교회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생각은 제도권 교회 교인들과는 매우 다르다. 전통적으로 교회 구성의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해 온 사항들 에 대해서 이들은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있다. 특히 목회자의 역할에 대해서 매 우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비제도권 교회들이 사회 봉사나 참여와 같 은 이웃 사랑에 대한 평가에서 제도권 교회보다 낮다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비제도 권 교회의 문제의식이나 교회 갱신 노력이 자신들만의 공동체 안에 머무르게 되고 보 다 온전한 공동체를 이루는 데 큰 제약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교회 특히 제도권 교회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스스로 갱신할 지에 대해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urches not belonging to institutional churches were examined. The problem of institutionalization of churches is an old topic within the academia, but in light of the recent Corona virus situation where a call for churches to overcome the institutionalized customs and implement reform is being voiced, it is noteworthy. Especially, as the phenomenon of ‘de-church’ is accelerating, that a new form of church is being formed is a subject that requires further attention, both academically and pastorally. Conscious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the awareness of Christians toward non-institutional churches and understand the new desires for churches and provide pastoral resources. The result shows that the non-institutional church members sought more essential faith elements, and their thoughts on institutional church members and the configuration requirements of church were very different. Moreover, their evaluation of the churches they attend was very positive, and satisfaction, very high. But the evaluation of non-institutional churches on loving neighbors like community services and participations was lower than the institutional churches, showing its limitation. It is hoped that a practical discussion and alternative can be found on how the Korean churches, especially the institutional churches, can deal with and reform itself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 바빙크 신학에서도 제도적 교회와 유기체적 교회 구별에 대한 고찰

        태동렬 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국제신학 Vol.24 No.-

        제도로서의 교회와 유기체로서의 교회 구별은 신칼빈주의 교회론의 중요한 특징이다. 그런데 신칼빈주의의 이 구별은 그 공헌을 인정받기도 하지만 비판도 받고 있다. 이 구별에 대한 이런 상반된 평가 가운데 이 논문은 제도적/유기체적 교회 구별에 관한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이해를 하나의 중요한 사례연구로 삼아 이 구별에 대한 비판에 응답한다. 이 구별에 대한 비판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이 구별에 따르면 제도적 교회가 유기체적 교회에 종속된다. (2) 이 구별은 성경적 개혁신학적 근거가 없다. (3) 그것은 결국 가시적 혹은 제도적 교회의 약화를 초래한다. 이 논문은 바빙크의 교회론에서 가시적 교회의 양 측면으로서 제도적 교회와 유기체적 교회 사이의 관계는 어떤 우월하거나 종속적인 관계가 아니라 서로 대등한 관계이며 긴밀히 연관되어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계라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바빙크가 이 구별에 대한 성경적, 개혁신학적 근거를 적절히 제시하고 있음을 논증할 것이다. 나아가서 이 논문은 그가 (직분과 은혜의 방편과 교회의 통치 형태를 가리키는) 제도적 교회와 (성도들의 고백과 삶을 가리키는) 유기체적 교회 사이의 구별을 통해 제도적 교회를 약화시키기보다는 강화하고 있다고볼 수 있다는 점을 제도적 교회에 대한 그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논증할 것이다. 이는 이 구별이 제도적 교회의 약화를 초래하는가와 관련해서 그와 비판자들 사이의 견해 차이의 핵심이 결국 제도적 교회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차이에 놓여 있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앞에서 언급된 비판이 바빙크에게 해당한다고 말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고 동시에 신칼빈주의의 제도적/유기체적 교회 구별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이고 세밀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점도 보여줄 것이다.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hurch as institution and the church as organism is an important feature of Neo-Calvinist ecclesiology. However, this distinction of Neo-Calvinism is not only recognized for its contribution, but also criticized.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responds to the criticism of this distinction, taking Bavinck’s understanding of the institutional/organic church distinction as an important case study. The critique of this distinction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institutional church is subordinated to the organic church. (2) This distinction has no biblical or Reformed theological basis. (3) It eventually leads to the weakening of the visible or institutional church. This paper will demonstrate that in Bavinck’s ecclesi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and the organic church as both aspects of the visible church is not any superior or subordinate relationship, but a mutually equal relationship, and a relationship that is closely related and constantly interacting. In addition,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at Bavinck adequately provides the biblical and Reformed theological basis for this distinction. Furthermore, this paper will demonstrate, focusing on Bavinck’s understanding of the institutional church, that it can be said that he is strengthening rather than weakening the institutional church through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stitutional and the organic church. In this context, this study will show tha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riticism mentioned above applies to Bavinck,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also show that a more concrete and detailed evaluation of the institutional/organic church distinction of the Neo-Calvinism is needed.

      • KCI등재후보

        바빙크 신학에서의 제도적 교회와 유기체적 교회 구별에 대한 고찰

        태동열 ( Dongyaul Tae )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6 No.-

        제도로서의 교회와 유기체로서의 교회 구별은 신칼빈주의 교회론의 중요한 특징이다. 그런데 신칼빈주의의 이 구별은 그 공헌을 인정받기도 하지만 비판도 받고 있다. 이 구별에 대한 이런 상반된 평가 가운데 이 논문은 제도적/유기체적 교회 구별에 관한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이해를 하나의 중요한 사례연구로 삼아 이 구별에 대한 비판에 응답한다. 이 구별에 대한 비판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이 구별에 따르면 제도적 교회가 유기체적 교회에 종속된다. (2) 이 구별은 성경적 개혁신학적 근거가 없다. (3) 그것은 결국 가시적 혹은 제도적 교회의 약화를 초래한다. 이 논문은 바빙크의 교회론에서 가시적 교회의 양 측면으로서 제도적 교회와 유기체적 교회 사이의 관계는 어떤 우월하거나 종속적인 관계가 아니라 서로 대등한 관계이며 긴밀히 연관되어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계라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바빙크가 이 구별에 대한 성경적, 개혁신학적 근거를 적절히 제시하고 있음을 논증할 것이다. 나아가서 이 논문은 그가 (직분과 은혜의 방편과 교회의 통치 형태를 가리키는) 제도적 교회와 (성도들의 고백과 삶을 가리키는) 유기체적 교회 사이의 구별을 통해 제도적 교회를 약화시키기보다는 강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는 점을 제도적 교회에 대한 그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논증할 것이다. 이는 이 구별이 제도적 교회의 약화를 초래하는가와 관련해서 그와 비판자들 사이의 견해 차이의 핵심이 결국 제도적 교회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차이에 놓여 있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앞에서 언급된 비판이 바빙크에게 해당한다고 말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고 동시에 신칼빈주의의 제도적/유기체적 교회 구별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이고 세밀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점도 보여줄 것이다.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hurch as institution and the church as organism is an important feature of Neo-Calvinist ecclesiology. However, this distinction of Neo-Calvinism is not only recognized for its contribution, but also criticized.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responds to the criticism of this distinction, taking Bavinck’s understanding of the institutional/organic church distinction as an important case study. The critique of this distinction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institutional church is subordinated to the organic church. (2) This distinction has no biblical or Reformed theological basis. (3) It eventually leads to the weakening of the visible or institutional church. This paper will demonstrate that in Bavinck’s ecclesi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and the organic church as both aspects of the visible church is not any superior or subordinate relationship, but a mutually equal relationship, and a relationship that is closely related and constantly interacting. In addition,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at Bavinck adequately provides the biblical and Reformed theological basis for this distinction. Furthermore, this paper will demonstrate, focusing on Bavinck’s understanding of the institutional church, that it can be said that he is strengthening rather than weakening the institutional church through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stitutional and the organic church. In this context, this study will show tha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riticism mentioned above applies to Bavinck,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also show that a more concrete and detailed evaluation of the institutional/organic church distinction of the Neo-Calvinism is needed.

      • 탈교회 현상과 비제도권 교회

        정재영 한국실천신학회 2021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Vol.2021 No.05

        이 연구에서는 제도권 교회에 속하지 않는 교회들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회 제도화의 문제는 학계에서 이미 오래된 연구 주제이기도 하지만, 최근 발생한 코 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하여 제도화된 관습을 극복하고 교회에 대한 개혁이 이루어 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탈교회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형태의 교회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목회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비제도권 교회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교회에 대한 새로운 욕구들을 이해하고 목회의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비제도권 교회 교인들이 보다 본질적인 신앙을 추구하고 있었고, 기존 교회에 출석하는 교인들과 교회 구성 요건에 대한 생각이 매우 달랐다. 또한 자신들이 출석하는 교회에 대한 평가가 매우 긍정적이 었으며 만족도도 매우 높았다. 그러나 비제도권 교회들이 사회봉사나 참여와 같은 이 웃 사랑에 대한 평가에서 제도권 교회보다 낮다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교회 특히 제도권 교회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스스로 갱신할 지 에 대해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urches not belonging to institutional churches were examined. The problem of institutionalization of churches is an old topic within the academia, but in light of the recent Corona virus situation where a call for churches to overcome the institutionalized customs and implement reform is being voiced, it is noteworthy. Especially, as the phenomenon of ‘de-church’ is accelerating, that a new form of church is being formed is a subject that requires further attention, both academically and pastorally. Conscious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the awareness of Christians toward non-institutional churches and understand the new desires for churches and provide pastoral resources. The result shows that the non-institutional church members sought more essential faith elements, and their thoughts on institutional church members and the configuration requirements of church were very different. Moreover, their evaluation of the churches they attend was very positive, and satisfaction, very high. But the evaluation of non-institutional churches on loving neighbors like community services and participations was lower than the institutional churches, showing its limitation. It is hoped that a practical discussion and alternative can be found on how the Korean churches, especially the institutional churches, can deal with and reform itself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 KCI등재

        교회회계기준의 내부통제제도에 대한 이해와 개선방안

        손혁(Hyuk Shawn)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7 로고스경영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교회 내의 내부통제제도의 올바른 구축과 운영을 통해 교회회계의 투명성을 제고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회의 내부통제제도의 구축과 운영에 대해 성경과 실제 사례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성경은 내부통제절차인 승인, 업무분장, 문서화, 사용통제 및 내부검증제도 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내부통제 운영방안의 형태를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회회계기준’과 ‘교회회계와 재무처리기준’에서도 내부통제제도를 언급하고 있으나, 승인 및 업무분장 등 내부통제절차의 미비점이 발견되고 추가적인 개선요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교회 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회계사건의 사례를 살펴보면 주요 문제의 시발점은 내부통제제도의 구축의 미비 및 운영의 취약점에 의해 비롯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교회의 내부통제절차의 구축과 운영에 대해 성경을 통해 설명하고, 교회회계기준의 내부통제측면의 개선점을 지적했다. 또한 교회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부통제의 취약점과 개선 방안을 사례를 통해 지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교단의 내부통제제도의 개선으로 인한 회계정보의 투명성을 제고함으로써 한국 개신교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속이는 저울은 여호와께서 미워하셔도 공평한 추는 그가 기뻐하시느니라”(잠언 1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church accounting through the proper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n the church. This study examines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of the church through the Bible and actual cases. The Bible refers to internal control activities such as authorization, segregation of duties, documentation, safeguarding and independent check, and it provides examples of how internal control operations are implemented. In Korea, ‘accounting standards for churches’ and ‘church accounting and financial standards’ also refer to internal control systems, but control activities are found to be lacking and additional improvement factors are needed.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ases of accounting fraud occurring in the church. Main problem of accounting fraud is caused by the inadequacy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nd the weakness of the operation. This study explains through the Bible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procedures of the church and points out improvements in the internal control aspects of the Church accounting standar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Protestant Church by improving transparency of accounting information due to improvement of internal control system of Korean denominations. “The LORD abhors dishonest scales, but accurate weight are his delight." (Proverbs 11: 1).

      • 노후소득보장제도가 소형교회 목회자의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은퇴 후 연금제도를 중심으로

        문병용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09 교회와 사회복지 Vol.10 No.-

        본 연구는 노후소득보장제도가 소형교회 목회자의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형교회 목회자의 경우 국민연금 수급 여부, 목회자연금 수급 여부 및 수급액 수준, 교회의 지원 금액, 개인 유산상속 소득여부, 월 평균 소득액, 소득액 만족 정도에 의하여 심리적 안정감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직자로서 영적인 생활을 추구하는 목회자의 노후생활에도 경제적 여건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제도적 방법으로 첫째, 소형교회 목회자의 재정 안정을 위하여 교회 및 지 방회(노회) 차원의 자매결연이나 최저생계비제도 등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각 교단이 시행중인 현행 목회자연금제도에 대한 개선과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에 대한 제도적 변화와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much the current aged income maintenance policy would satisfied for the small church pastor. As a result, psychological stability of small church pastor for the aged income maintenance is influenced by the national pension membership existence and nonexistence, the pastor"fs pension membership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level, church supply level, succession to property existence and nonexistence, the numeral of child, pastor"fs physical condition, the month average income. As result as the study, total income is not the responsibility of each individual or each church, denominations of dependent churches. Second, present ministerial pens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and changed as follows. Currently, in most denomination, churches and pastors should cover the pension denomnations as well as churches and pastors should cover the pension expense. Third, institutional and conscious changes for national pension system are needed.

      • KCI등재

        비제도권 교회의 유형에 대한 연구

        정재영(Chae Yong Ch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1

        최근 한국에서 제도권 교회들의 성장 정체 속에서 건물, 성직자, 교단 등 기존의 교회 구성의 문법을 따르지 않는 실험적인 새로운 기독교 공동체들이 나타나고 있다. 기존 교회의 틀에서는 의미 있는 신앙생활이 어렵다는 이유로, 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가운데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서, 그리고 이러한 모양을 원하는 교인들의 욕구에 부응해 기존 교회의 모습에서 탈피한 신앙 공동체들이 등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회들은 기존의 관점에서는 교회라고 보기 어려울 수도 있고, 또한 기존 교회의 틀로서는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비제도권 교회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학의 연구 방법을 통해 비제도권 교회들의 실태를 밝히고 이들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23개 사례 중에 유형별로는 목회자 없이 평신도들로 구성되었거나 목회자가 있어도 목회자로서 특별한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 평신도 교회가 13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일요일에 모이지 않고 평일에 모이는 ‘주중 교회’ 형태가 3개 있었다. 또한 3곳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다른 단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간을 모임 때만 빌려서 쓰는 ‘탈공간적 교회’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목적 지향에 따라서 보면, 대안 추구형, 본질 회복형, 필요 반응형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새롭고 다양한 종교적인 욕구에 대해서 한국 교회, 특히 제도권 교회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스스로 갱신할지에 대해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a new type of churches is appearing in Korea. In a midst of stagnation of institutional church growth, experimental, new Christian communities that do not follow the existing paradigm of church configurations like buildings, clergy, and denominations are appearing. In response to the desires of church members who reason that a meaningful life of faith is difficult within the framework of existing churches or that there exists a new possibility within a post-modernism, faith communities that are stripped of existing church models are appearing. From an existing perspective, it is difficult to label them as churches, and since they cannot be explained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churches, they are called non-institutional churches. This study, through sociological research method, attempts to show the actual state of non-institutional churches and classify their types. In this study, those non-institutional churches that do not belong to a denomination and live out their faith life according to their own ecclesiology are researched. Of the 23 cases by type, churches that are organized with only lay members and without clergies or though there are clergies they do not function with special authority make up the greatest proportion, at 13 cases. Traditionally, the uniqueness of church is that the Word is declared, and that communion is carried out. But that these practices once belonged only to those ordained clergies who received theological training from a legitimate denomination show these lay churches have escaped Christian tradition. And of the 3 cases of ‘mid-week churches’ where they did not meet on Sundays but on weekdays, one was like a monastery, and the other two did not explicitly express to be a church but carried out the functions of a church. Moreover, there were only 3 cases where they had their own worship or meeting rooms like the traditional churches, whereas the rest only borrowed available spaces from other organizations as needed. And finally, 5 met in their homes. In that sense, most of non-traditional churches can be seen as ‘trans-spatial’ churches. It is a great challenge to the Korean church that attendance in non-institutional churches are on the increase. In a post church growth era, or strictly speaking, after the decline of institutional churches, a new model of churches is appearing, and it is fulfilling their new spiritual desires. With regards to formal structures, these non-institutional churches possess a unique differentiation and autonomous freedom unlike the existing, traditional churches. With regards to these new and diverse spiritual desires, I hope that the Korean church, especially the institutional churches, can engage in detailed discussions and thus arrive at solutions as to how they will respond and reform.

      • KCI등재후보

        개혁교회의 직분제도와 정치질서 발전에대한 역사적 고찰: 칼빈의 ‘제네바 교회법규서’(1541)로부터‘도르트 개혁교회 질서’(1619)까지

        김은수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9 갱신과 부흥 Vol.24 No.1

        This study especially dealt with the history of development on the ‘Church Organization and Discipline’ of the Reformed church after the 16th century Protestant Reformation. For the study and analysis, first of all, the starting point is John Calvin’s ‘Projet D’ordonnances Ecclésiastique’(1541) and its revised version, ‘Les Ordonnances Ecclésiastique’(1561), and related his major theological works. And then, we also analyzed ‘The French Confession of Faith’(1559/1571) and ‘Discipline ecclesiastiques des eglise reformees de France’(1559) of the Reformed church in France. Finally, we look at close to ‘The Belgic Confession’(1561) and ‘The Church Order of Dort’(1619), which is the most completed form of church order for the Reformed church. In doing so, as an application of the study, I tried to find out some important improvements for the church organization and politic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본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운동의 여러 핵심적인 요소들 가운데서 특히 ‘교회의 개혁’ 분야에 있어 ‘직분제도와 정치질서의 개혁’에 대한 개혁교회의 이해와 실천의 발전 역사를 중심으로 그 중요한 원칙들과 특징적인 요소들을 깊이 있게 분석하며 살펴 본 것이다. 그러한 연구 분석을 위하여 집중적으로 살펴 본 중요한 자료들은 먼저 개혁교회의 직분제도와 정치질서의 근간이 된 것으로서 칼빈(John Calvin, 1509-1564)이 제네바 교회를 개혁하면서 작성한 『제네바 교회법규 제안서』(Projet D’ordonnances Ecclésiastique, 1541)와 그것을 수정 보완하여 완성한 『제네바 교회법규서』(Les Ordonnances Ecclésiastique, 1561), 그리고 이 주제와 관련된 그의 주요 저작들이다. 다음으로 그러한 칼빈의 신학사상과 “제네바 교회법규서”의 모범에 따라 작성되었으나 또 다른 중요한 발전적인 모습들을 보이는 프랑스와 네덜란드 개혁교회에서의 직분제도와 정치질서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프랑스 신앙고백서』(The French Confession of Faith, 1559/1571)와 『프랑스 개혁교회의 교회치리서』(Discipline ecclesiastiques des eglise reformees de France, 1559), 그리고 『벨직 신앙고백서』(The Belgic Confession, 1561)와 더불어 가장 완성된 형태로 개혁교회 교회법의 표준이 된 『도르트 개혁교회 질서』(The Church Order of Dort, 1619)를 중심으로 차례로 분석하며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마지막 결론과 적용으로써, 그러한 개혁교회 특유의 직분제도와 정치질서에 나타나는 주요 원리들과 특징들을 통하여 오늘날 한국장로교회의 직분제도의 중요한 문제점들과 개선방향에 대하여 간략하지만 집중적으로 모색하며 대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 KCI등재

        아나뱁티즘과 교회 직제

        김주한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2 신학사상 Vol.- No.198

        This article examines from the historical-theological perspective the Anabaptists’ church order theology. This theology is a system that practically embodies the doctrine of all priests of the Reformation movement, and that it is a major sign that guarantees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Anabaptism. The Anabaptists rejected the clergy-centered system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while they aim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apostolic church on earth through Bible study and community training among believers. They desired to build their own unique community of faith through separation from the government system, unlike the way the magisterial reformers designed the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church from within the established social order. The composition and structural form of the church organization not only determines the nature and direction of the church’s ministry, but also determines the main decisions of the church. The forms of church governance that emerged throughout the history of Christian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Centralized system, Congregational system, Presbytery system. Anabaptists’ church polity has developed their own historicity, specificity, and uniqueness that cannot be said to be clearly attributed to any of the three categories above. The Church order theory the Anabaptists have devised and developed is directly related to their vision, and it works as a norm that defines not only the religious patterns of members of the church but also the way of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is article will analyze what the radical element of Anabaptism is and how important it is in shaping the identity of Anabaptists compared to the magisterial Reformation group.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confessions of faith the Anabaptists adopted, I would like to discuss the lessons they give to the modern church and how they have an affinity with the discourse of the established church today. 본 논문은 아나뱁티스트들의 교회 직제론은 종교개혁운동의 만인사제론을 실질적으로 구현한 역사적 평화교회의 근간이며 아나뱁티즘의 특성과 성격을 담보해 내는 주요 표지라는 점을 역사-신학적 관점에서 논구한다. 16세기 유럽의 종교개혁운동의 무대 위에 등장한 아나뱁티스트들은 한편으로 로마 가톨릭의 성직자 중심 체제를 거부하고 신자들의 자유로운 성서 연구와 공동체 훈련을 통한 지상에서의 사도적 교회의 복원을 지향하였고, 다른 한편으로 제도권 종교개혁자들이 기성 사회 질서와 연합 속에서 교회의 조직과 제도를 설계하였던 방식과는 달리 세상 제도와 분리를 통한 자신들만의 독특한 신앙 공동체를 구축해 나갔다. 교회 직제의 구성과 구조 형태는 교회의 본질과 사역의 성격을 규정할 뿐만 아니라 교회의 주요 의사를 결정하는 근간이다. 기독교 역사를 통해 등장한 교회 정치 형태는 크게 세 부류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중앙 집권적 체제이다.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성공회, 구세군 등이 ― 이들 사이에는 역사, 전통, 의사 결정 방식의 측면에서 많은 차이들이 존재한다 ― 이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또 하나는 회중 중심 체제이다. 회중교회, 침례교파 등이 이 틀을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장로회 체제를 들 수 있다. 교회 회중을 대표하는 장로들과 목사가 당회를 구성하여 교회를 운영하는 방식이다. 유럽의 개혁교회, 장로교회 등이 이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아나뱁티스트들의 교회 정치 형태는 위의 세 범주들 중 어느 하나에 명확하게 귀속된다고 볼 수 없는 그들만의 역사성, 특수성, 고유성을 발전시켜 왔다. 이들이 고안하고 발전시켜 온 교회 직제론은 아나뱁티스트들의 비전과 직결되어 있으며 교회 내부 구성원들의 신앙 양태뿐만 아니라 세상과의 소통 방식을 규정하는 규범으로 작용한다. 이 글은 제도권 종교개혁 그룹과 비교해 볼 때 아나뱁티즘의 급진성은 무엇이며, 그것이 아나뱁티스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얼마만큼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또한 아나뱁티스트들의 교회 직제론을 그들이 채택하였던 신앙고백 문서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그것이 현대 교회에 주는 교훈과 특히 오늘날 기성 교회론의 담론과 어떻게 친화성을 갖는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정치적 대립과 종교적 통합의 동학(動學)

        강인철(Kang, In Cheo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神學展望 Vol.- No.171

        이 글은 교회 국가 관계와 관련된 ‘대립 협력, 통합 균열의 동학(動學, dynamics)’, 다시 말해 교회 국가 사이의 대립과 협력, 교회 지도자들 사이의 균열과 통합의 복합적 동학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특히 ‘교회 국가 관계의 성격’(대립 대 협력)은 ‘교회 내적 균열의 정도’(통합 대분열)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교회 국가 관계의 성격’과 ‘교회의 조직적 통합성 정도’라는 두 기준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조합을 만들어낼 수 있다. ① 협력-통합 유형 ② 협력-균열 유형 ③ 대립-통합 유형 ④ 대립-균열 유형. 또한 어떤 정치적 쟁점이나 상황에 대해 교회 지도자들이 취하게 될 대응의 강도와 방향, 대응의 통일성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교회의 제도적 이익’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여기서 제도적 이익에 대한 지도자들의 ‘주관적’ 인식이 특히 중요한데, ‘이익의 중요도’와 ‘합의 수준’이라는 두 차원을 고려할 경우, 교회 지도자들이 특정 쟁점에 대해 반응하는 방식을 대략 다음의 네 가지 상황으로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① 통합속의 강력한 대립 혹은 협력 ② 은폐된 균열 ③ 정치적 소극성 ④ 다양한 의견의 표출 혹은 무관심. 1960년대의 상황이 전형적으로 보여주었듯이, 교회 지도자들의 ‘정치적 관심 부재’ 혹은 ‘정치적 저항의 부재’라는 상황에서는 교회 내적 균열의 가능성이 최소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 1950년대 말과 제2공화국 시기에 드러났듯이, 교회 지도자들이 제도정치권 내의 특정한 정치 분파와 연결되어 교회 자신의 협소한 제도적 이익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이른바 ‘이익정치’에 몰두할 경우에도 교회의 조직적 통합성은 크게 흔들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영향으로 1970년대 이후 한국 교회 안에 ‘공동선 정치’(공익 정치)를 추구하는 진영이 형성되었으며, 1974년 지학순 주교 구속을 계기로 ‘비판 저항의 제도화’라는 과정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구대교구를 중심으로 한 일부 교구들에서는 특정 정파와 연계된 ‘이익 정치’가 지속됨으로써, 1970년대 이후에는 교회 안에서도 ‘이익 정치’와 ‘공동선 정치’의 갈등이 거의 일상화되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urch state relations under the military regimes and will focus on the complex dynamics of political opposition and church’s organizational integration. For this purpose, I derived four types of combination from crossing two variables, that is, characteristics of church state relation(opposition cooperation), degree of organizational integration(segmentation-integration): ① cooperation integration type ② cooperation segmentation type ③ opposition integration type ④ opposition segmentation type.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cooperation integration type’ became conspicuous in late 1940s, the first half of the 1950s, and the 1960s, while ‘opposition integration type’ was dominan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50s. But in the 1970s and 1980s, all these types emerged and disappeared by turns, which shows the fluidity and complexity of church state relations during those periods. I introduced the term of ‘church’s institutional interest’ to predict the political responses which the church leaders would take, as well as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at responses. Here, it is significant to pay attention to the ‘subjective’ aspects of perceiving and defining the church’s institutional interest on the part of church leaders. To this end, I proposed to introduce two additional variables: ① the ‘degree of importance’ of certain interests subjectively perceived by church leaders ② the ‘level of consensus’ among church leaders concerning particular political religious issues. Using the concepts of ‘degree of importance’ and ‘level of consensus’, we can identify varying responses of church leaders, such as a strong opposition or cooperation maintaining organizational integration, concealed segmentation or dissension, political passivity, political indifference, etc. Reflecting over a period of 30 years of church state relations under the military regimes, it seems to me that dissension within the Church i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opposition. In this sense, we can say that the emergence of some church leaders, willingly assuming the prophetic role, is likely to increase organizational dilemmas within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