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왈저와 흄의 자연주의 정치철학

        김은희(Kim, Eun-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3 No.-

        왈저의 이론은 현대 정치철학의 논쟁구도에서 공동체주의의 대표적 이론들 중 하나로 규정되어 왔다. 이 논문은 왈저의 이론을 공동체주의로 규정하기보다 이상주의 정치철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으로 규정할 것을 제안하면서 그러한 대안적 기획의 원형으로서 흄의 정치철학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왈저와 흄의 비교를 통해 이상주의(idealistic) 정치철학에 대한 대안으로서 어떤 형태의 정치철학을 그리는 것이 바람직한지 타진해 볼 것이다. 대안으로서 제시된 정치철학은 흄의 정치철학에서 함축되는 보수성을 극복한 형태이어야 바람직한 것인데, 왈저가 흄과 달리 어떤 점에서 보수성을 극복해내고 있는지 밝히는 것도 이 논문이 해야 할 일이다. 2절에서 왜 왈저를 흄과 연결하려는지 논의하며 3절에서 흄의 도덕철학, 정치철학을, 4절에서는 왈저의 정치철학을 개괄한다. 5절에서 왈저와 흄의 기획은 이상주의를 함축하는 구성주의적 이성주의 기획에 대한 비판이라는 점을 보이고, 양자는 그 대안으로 자연주의적 정치철학을 시도한다는 점도 제시한다. 6절에서 양자가 제시한 대안적 기획에 함축되는 보수주의 문제를 논의하며, 이 문제와 관련하여 발견되는 흄의 정치철학과 왈저의 정치 철학의 차이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이 과정을 통해 이 논문은 이상주의적 정치철학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자연주의적 정치철학이 과연 어떤 형태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암시를 얻고자 한다. Walzer’s political theory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communitarian theory.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at his theory should be characterized not as a kind of communitarianism but a kind of anti-idealism and as an alternative to idealism. In order to work it out, I show that Walzer’s ideas can be traced to Hume’s political philosophy. By comparing Walzer and Hume, I draw the conclusion that Walzer’s alternative is better than Hume’s, because the former can overcome the problem of conservatism while the latter cannot. First, I deal with the connection between Walzer and Hume, then survey each political theory, and show that both of them are characterized as projects rejecting idealistic political theories and suggesting a naturalistic account as an alternative to an idealistic one. Finally, by dealing with the conservative implications of their naturalistic projects, I clarify some differences between Walzer’s theory and Hume’s.

      • KCI등재

        법에서 정치철학은 무엇인가―법의 이념과 형식으로서 정치철학의 가능성―

        김대근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1

        Politics, philosophy, and law are inseparable, complementary, and fateful domains and entities that constantly intersect. Political philosophy and legal philosophy, in particular, as methods of self-reflection in politics and law, form the frontiers of ideology as tools for criticizing the legitimacy of their own systems, but they have a long history of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making each other as a part of their identity. However, recent political or legal philosophies do not seem to push their reflections on democracy, law, rights, and the rule of law any further than what state operators can describe. In short, this political philosophy is sometimes criticized for trying to cemen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great classical theories and the everyday forms of justification of so-called liberal democracy. For example, while thinking more broadly about th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s and horizons of justice, they do not extend their scope to concretizing justice as a matter of law. These questions are finally thought through by the political philosopher John Rawls, who distinguishes political philosophy from moral philosophy and makes justice the unique subject of political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since justice has been established as an ideology and value of law in the long history of law, political philosophy makes a practical contribution to law through the medium of justice or as a method of justice. This discussion specifically examines the issue of politics (of philosophy) in law by arguing how and on what grounds the call for equality as a form of justice contributes to the generalization of law (as a form). In particular, it examines how equality as a form of justice and a value ideology operates in law by positively exploring the function of the generalization of law through a shift in perspective on prejudice and by introducing the ways in which the generalization of law interacts with the justice ideology of equality. It can be said that legal philosophy is a branch of law that criticizes and theorizes the form of justice, its effectiveness and systemic legitimacy, and political philosophy is a branch of political science that identifies and theorizes the substance and legitimacy of justice. In this discussion, we will try to provide a simpl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is political philosophy in law' by explaining that the concept of 'justice' is the medium and method through which politics (of philosophy) meets law (of philosophy). 정치와 철학, 그리고 법은 분리 불가능하고 보완적이며 끊임없이 상호 교차하는 필연의 영역이자 존재자들이다. 특히 정치와 법의 자기성찰의 방법으로정치철학과 법철학은 자신의 고유한 체계의 정당성과의 비판의 도구로서 이데올로기의 전선(frontier)을 형성하지만, 오랜 시간 속에서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서로를 자신의 정체성의 일부로 삼아 온 역사가 있다. 그러나, 최근의 정치철학 혹은 법철학은 민주주의와 법, 권리와 법치국가에 대한 국가의 운영자들이 논의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자신의 성찰을 더 밀고 나가려고 하는 것같지 않다. 요컨대 정치철학은 고전적인 위대한 학설과 이른바 자유민주주의라고 하는 국가들의 일상적인 정당화 형태들 사이의 소통을 확고하게 할 뿐이라는 지적을 받는다. 이를테면 정의의 정치철학적 맥락과 지평을 보다 광범위하게 사유하면서, 정의를 법의 문제로 구체화하는 데까지는 자신의 영역을 확장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마침내 정치철학자 롤스가 정치철학을 도덕철학과 구별해 내고, 정의를 정치철학의 고유한 주제로 삼으면서 사유되기 시작한다. 한편 정의는 법의 오랜 역사에서 법의 이념이자 가치로서 자리매김해 왔기 때문에 정치철학은 정의를 매개로 또는 정의를 하나의 방법으로법에 실천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본 논의에서는 정의의 형식으로서 평등의 요청이 법의 일반화(라는 형식)에기여하는 방법과 근거를 논증함으로써 법에서 정치(철학)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특히 편견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통해 법의 일반화가 갖는 기능을 긍정적으로 모색하고 법의 일반화가 평등이라는 정의 이념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소개함으로써 평등이라는 정의의 형식이자 가치이념이 어떻게 법에서 작동하는지를 검토했다. 법철학은 정의의 형식, 그리고 형식의 효력과 체계정당성을 비판하고 이론화하는 법학의 분과고, 정치철학은 정의의 실질과 정당성을 규명하고 이론화하는 정치학의 분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의에서는 ‘정의(justice)’ 개념이야말로 정치(철학)가 법(철학)과 만나는 매개이자 방법이라고 설명함으로써 비로소 ‘법에서 정치철학은 무엇인가’에 대한 소박한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플라톤과 서구 정치철학 전통의 성립

        박혁(Park, Hy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3 No.-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는 자신의 전체주의 분석을 통해 전체주의의 본질은 인간 다원성에 대한 급진적 부정이라는 사실을 밝힌바 있다. 그녀는 그러한 분석을 서구의 철학적 전통에 대한 근본적 비판으로 확대시킨다. 아렌트는 플라톤으로부터 시작된 서구정치철학의 전통 안에 있는 반다원성의 요소는 정치적 현실에 있어서 전체주의적 재앙이라는 참혹한 결과에 일정한 책임이 있다는 테제를 주장한다. 물론 그러한 영향과 결과는 플라톤 철학이 의도했던 것은 아니었다. 아렌트가 말하려는 것은 플라톤의 국가이론이 20세기에 나타난 전체주의 국가의 시스템이나 목표를 선취했다는 것이 아니다. 아렌트가 주목하는 것은 플라톤의 정치철학으로부터 정치의 영역이 형이상학적 요소들로 잠식되었고, 그 결과 다원성이라는 인간조건에서만 가능한 정치적 범주들 즉 의견, 자유 그리고 권력과 같은 개념들이 탈정치화되었다는 점이다. 플라톤으로부터 시작된 서구 정치철학의 전통과의 대결에서 아렌트의 주된 관심은 다원성의 현상으로서의 정치를 재발견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서구 정치철학의 시조로 간주되는 플라톤의 정치철학에 대한 아렌트의 비판을 다룬다. 그 비판에서 우리는 특히 아렌트의 행위이론적 분석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정치와 철학의 갈등을 행위(Handeln)와 제작(Herstellen)간의 위상변화를 통해 해결하려는 플라톤의 시도는 결국 다원성의 파괴라는 반정치적 댓가를 치루고서야 가능한 일이었다. Hannah Arendt, through her analysis of totalitarianism, uncovered that the essence of totalitarianism is a radical denial of the plurality of human beings. She stretched the analysis to fundamental critics on the tradition of Western philosophy. Arendt proclaimed a thesis that a factor of anti-plurality in the tradition of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which originated from Plato,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disastrous results of totalitarianism in the realities of politics. There is no doubt that Plato’s philosophy did not aim for the disastrous consequences and impacts. However, what Arendt mentioned was not that Plato’s theory of the state preoccupied the system and that the purpose of totalitarian states emergedin the twentieth century. Rather, what Arendt focused on was the encroachment on a politic realm by metaphysical factors that are caused by Plato’s political philosophy. Another point is the de-politicalization of concepts on the political realm such as opinions, freedoms, and authorities, which were only possible on the human condition of plurality. In dispute with the tradition of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of Plato, the main concern of Arendt was to rediscover politics as a phenomenon of plurality. This article dealt with Arendt"s criticisms of Plato"s political philosophy, which is considered the origin of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Among these criticisms, we focus particularly on the action theoretical analysis of Arendt. Attempts made by Plato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politics and philosophy, by a variation of phases in between action and work, have been possible as reverse political payment for the wrecking of plurality.

      • KCI등재

        정치철학과 근대합리주의

        김비환(Bi Hwan Kim) 한국정치사상학회 2012 정치사상연구 Vol.18 No.1

        이 글은 서로 연관된 두 가지 목적을 갖고 있다. 첫째는, 스트라우스와 오크숏의 정치철학을 근대 합리주의에 대한 비판적 대응이란 관점에서 비교해봄으로써 그 유사성과 차이를 고찰해보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의 정치철학을 상보적으로 이해하여 20세기 후반을 지배해온 분석적 정치철학 및 그 공공철학적 진화형태인 롤즈 류의 정치철학과 차별성을 갖는 대안적인 정치철학의 한 가지 형태로 제시하고 그 성격을 규명해보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스트라우스와 오크숏의 정치철학은 다양한 수준의 정치적 신념들과 사고방식들의 한계(스트라우스) 혹은 조건성(오크숏)에 대한 자의식적이며 근본 비판적인 성찰을 통해, 정치적 삶의 한계(혹은 조건성)를 드러내주는 동시에 철학으로 대변되는 다양한 비정치적 활동들의 가치를 부각시켜주는 아이러니한 지적 활동 혹은 삶의 양식으로 규정할 수 있다. This paper has two interrelated purposes. One is to compare Strauss’ and Oakeshott’s political philosophy in terms of confronting modern rationalism, with a view to illuminating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other is to suggest an alternative form of political philosophy, which might supplement today’s dominant analytic form of political philosophy (public philosophy) represented by Rawls and Hart, on the basis of an understanding of Strauss’ and Oakeshott’s political philosophy as inter-supplementary with each other. Conclusively, it is argued that Strauss’s and Oakeshott’s political philosophy can be defined as an ironical way of thinking or living, which illuminates distinctive values of non-political activities represented by philosophy, through continuous, self-conscious and critical reflections on the conditionalities and limits of various forms of political thinking and belief.

      • KCI등재

        니체 정치철학과 포스트모던 정치철학 - 워렌의 ‘포스트모던 힘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숙고

        백승영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7 No.-

        The view of liberalism which pays attention to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has as many problems as its positive effects. One of them can be found in the analysis of Nietzsche’s philosophy provided by M. Warren(1991), a political scientist. He distinguishes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and ‘Nietzsche’s real politics’ and values the former as the ‘postmodern philosophy of power’which acknowledges the value of individuation, communal intersubjectivity, egalitarianism,and pluralism, and the latter as the real politics which supports the neo-aristocratic conservatism. It is understood that the former deserves attention and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a framework for postmodern political philosophy. Warren’s attempt deserves our appreciation, in that it gives the postmodern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by finding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reciprocity, intersubjectivity, and pluralism in Nietzsche’s philosophy. Simultaneously, however, it has some aspects which are incompatible with Nietzsche’s philosophy because it scales down the notion of will to power,separates political philosophy from politics, and provides arguments which does not take into account tasks of Nietzsche’s philosophy. Consequently, the ‘postmodern fruits of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are valid in a limited way. 니체의 정치철학적 사유를 주목하는 자유주의 진영의 시선은 그 긍정적 기능못지않게 많은 문제점을 노출한다. 워렌이 제공한 해석은 그 한 가지 경우다. 워렌은 ‘니체의 정치철학’을 ‘니체가 실제로 제공한 정치학’과 구별하고, 전자를개인성-공동적 상호주관성-평등주의-다원성을 긍정하는 ‘포스트모던 힘의 철학’으로, 후자를 신귀족주의적 보수주의를 제공하는 현실정치론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전자를 포스트모던 정치철학의 틀을 제공해주는, 현대 정치철학 담론에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한다. 워렌의 이 시도는 니체 철학이 갖고 있는 상호성 및 관계성 그리고 다원성의정치적 함의를 밝혀, 니체 철학의 현대적 의미를 밝혀낸다는 점에서 긍정적평가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니체 철학에서 힘에의 의지 개념을 축소화시키고,정치철학과 정치학을 분리시키며, 니체 철학의 과제를 고려하지 않은 논의를제공하기에, 니체 철학과 화해하기 어려운 측면을 동시에 갖고 있다. 따라서워렌이 제시한 ‘니체 정치철학의 포스트모던 결실’이라는 것은 제한적으로만타당하다.

      • KCI등재

        Political-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Teaching about Political Philosophy

        Dong-il Kim(김동일)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4 No.2

        이 글의 목적은 정치철학을 ‘정치철학적’으로 이해하고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정치철학의 ‘정치철학적’ 이해는 역사적, 철학적, 그리고 정치적 이해를 포함하지만 거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그것은 중요한 개념과 이론들을 정치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 글은 ‘정치철학적’으로 정치철학을 논의해야 하는 필요성을 검토한 후 역사적, 철학적, 그리고 정치적 정치철학의 이해가 보여주는 한계를 설명함으로써 ‘정치철학적’ 정치철학을 주장한다. 나아가 ‘정치철학적’으로 정치철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말해, 정치적인 문제들을 중심으로 정치철학을 이해하고 가르칠 때 정치철학이 여전히 유용하며 지속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at we should understand and teach political philosophy in a way that is of political philosophy. Although political-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political philosophy includes its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political understanding, it is not thus confined but arranges and understands important concepts and theories in line with political problems. Having explained the need to discuss political philosophy in a way of political philosophy, this paper argues for political-philosophical political philosophy by explaining the scopes and limits of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political understanding respectively. Furthermore, it discusses what it is to understand and teach political philosophy political-philosophically. In conclusion, it is when we understand and teach political philosophy by pivoting on political problems that we can hold that political philosophy is still of use and sustainability.

      • KCI등재

        논문 : 정치철학의 의미에 대한 하나의 탐구

        최치원 ( Chi Won Choi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社會科學論集 Vol.38 No.2

        본 논문은 정치철학의 의미를 가능하다면 보다 포괄적인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본 논문은 정치철학이 사장과 이론 그리고 방법 및 역사가 서로 교류하는 하나의 학문이 될 수 있다는 가정으로부터 출발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모든 정치철학은 다 정치사장이지만, 모든 정치사장이 다 정치철학은 아니다’ 와 같은 정치철학에 대한 이해방식을 따르지는 않을 것이다. 본 논문이 근본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것은 정치철학의 의미가 단지 ‘지혜’ 에 대한 앎만을 의미하는 철학의 영역으로 축소되어 이해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포괄적인 입장께서 논의를 전개한다는 취지에 따라서 본 논문은 논의 과정에서 정치철학에 대해서 어떤 분명한 규정을 내리는 일은 피할 것이다. 정치철학의 의미가 철학에 대한 특정의 고정관념의 틀을 통해 편협하게 이해될 이유는 없을 것이며, 따라서 정치철학에 내재해 있는 반성능력과 현실 비판의 능력이 제한될 이유도 없을 것이다. 본 논문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정치철학이 전제하고 있는 철학이 순수 이론과 사장의 영역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고, 인간 삶의 구체적 경험과 역사의 문제까지도 자신의 영역 속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게 되었을 때 정치철학은 자신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본 논의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정치철학이 진정한 의미의 정치철학이 되려면, 그것은 사회철학 그리고 여타의 인문· 사회과학의 이론들 그리고 필요하다면 역사 및 역사적 현실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의 ‘논리적 역사’ , 즉 ‘지식내부사’를 전개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is a t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olitical philosophy. It will explore the meaning of political philosophy from the various aspects, and through this, it will try to present a unified model of a political philosophy. For that purpose, this paper will develop a discussion on the basis of a rather comprehensive and problem-inducing stream of consciousness, and thereby consider the question of political philosophy in all its aspects. But this paper will avoid to give a clear definition of the political philosophy: There would be no reason why political philosophy should confine itself to a fixed framework of idea, and why it should, under the name of philosophy meaning ``wisdom``, cripple its reflective capability and critical power of the reality inherent in itself. Especially, this it will show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way of thinking like ``all political philosophy is political thought but not all political thought is political philosophy``.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show that political philosophy needs a communication, not only with the philosophy and social philosophy, but also other human & social sciences, and that if necessary, there should be an exchange between political philosophy and historical realities; in this way, political philosophy should develop its own ``internal history``, d. h. ``logical history``.

      • KCI등재

        칸트 영구평화 연구

        이재현(Lee, Jae-Hy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칸트는 영구평화의 문제를 ‘하나의 철학적 기획’이라는 인식 준거에서 접근하고 있다. 칸트 ‘영구평화론’ 논의에서 주목되는 것은 칸트가 영구평화를 ‘하나의 철학적 기획’이라고 한 부제다. 필자는 이러한 부제에 주목하여 논의의 관점을 보다 분명히 하여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칸트의 영구평화를 해 접근해 보고자 한다. 칸트가 영구평화를 ‘하나의 철학적 기획’이라는 표현을 한 것은 ‘영구평화론’이 실천을 지향하고, 그 지침의 설득에의 목적에서 비롯된다. 영구평화모색을 위한 이러한 부제는 인식의 대상에 대한 인식의 방법을 제시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왜냐하면 칸트의 ‘영구평화론’은 현실정치 자체가 아니라 현실정치를 초월하면서 현실정치를 가능케 하는 정치철학적 원리를 논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칸트의 역사철학적 측면에서의 ‘영구평화’ 연구에 이어 정치철학적 측면에서 칸트 영구평화를 탐구하는 두 번째 작업이다. 칸트의 ‘영구평화론’은 현실정치 자체가 아니라 현실정치를 초월하면서 현실정치를 가능케 하는 정치철학적 원리를 논구하고 있다. 그래서 칸트 정치철학은 영구평화를 실천철학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이다. 영구평화를 위한 칸트의 정치철학적 기획은 세계정부하의 평화적인 세계질서가 하나의 세계시민법을 전제한다는 테제를 위한 논의를 제공하고 있다. 칸트의 영구평화논의가 가지는 정치철학적 그리고 현대적 의미가 있다면 그것은 결정적으로 국제관계의 윤리가 전쟁의 패러다임으로부터 법적 평화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는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I. Kant is approaching the issue of Perpetual Peace in one’s philosophical project of recognition criteria. I. Kant is a practice-oriented represenation of a philosophical persuasion comes from planning a perpetual peace and purpose. So this paper is grounded on the political philosophy that I. Kant`s ‘Perpetual Peace : A political philosophy essay`s provides with profound insight about peace which is higher univeral value of human. This essay tries to unravel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ethical implications of peace theory. I. Kant`s Perpetual Peace, which the Enlighteanment in the 18th century designed, from the beginning were based on the idea of world citizen and repubican constitution. the goals of these ideas are the ending of the state of war among soverign state. In I. kant, perpetual peace enables a read politics not the read politics itself and provides human rights of men as world repubican constitutions. I. Kant`s political philosophy of perpetual peace supported the state of global repubican constitution. I. Kant`s repubican constitution is an idea derived from his transcendental concept of public rights. I. Kant had a strong and deep peace is based on moral philosophy. And His moral philosophy extend to political philosophy. I. Kant`s political philosophy suggest no treaty of peace shall be regarded as valid, if made with the secret reservation of material for a future war. So, I. Kant`s perpetual peace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with his political thoughts. The issues that I. Kant`s political philosophy focus on are conceptualized of realigation of morality, and recoustructs of perpetual peace, paradigm of legal peace.

      • KCI등재

        정치학적 탐구에서 `역사`와 `사상`: 한국 정치철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시론

        홍태영 ( Taiyoung Ho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7 韓國 政治 硏究 Vol.26 No.1

        이 글에서는 주요하게 20세기 후반의 정치철학의 흐름들 가운데 역사(학)과의 관계 설정의 문제를 둘러싼 주요한 네 가지 흐름들, 즉 미국 시카고학파를 형성한 레오스트라우스(Leo Strauss)의 정치철학, 스키너(Quentin Skinner)를 중심으로 하는 영국 케임브리지 학파, 코젤렉(Reinhart Koselleck)을 중심으로 하는 독일의 개념사 그리고 아날학파와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현상학의 영향을 받은 르포르(Claude Lefort) 및 로장발롱(Pierre Rosanvallon)의 정치철학을 다루었다. 특히 각각의 흐름에 제시하는 정치철학의 정의, 대상, 방법론을 살펴보면서 각각의 학파에서 이해하는 정치철학과 역사와의 관계 설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것을 통해 궁극적으로 정치철학의 정의와 그 역할에 대해 어떻게 사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흐름들에 비추어 한국에서 정치철학과 정치사의 관계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몇 가지 연구의 흐름에 대해 평가해 보고 궁극적으로 한국에서 정치철학 및 정치사의 과제로부터 한국정치철학의 연구대상과 방법론이 유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한국정치철학의 과제는 한국에서 근대성의 형성에 대한 이해가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four principal streams of political philosophy in the late 20th century which treat the problems of relation between political philosophy and history: the political philosophy of Leo Strauss in the Chicago school, that of Q. Skinner in the Cambridge School, that of R. Koselleck in the conceptual history school and that of C. Lefort and P. Rosanvallon in the Annales. Especially, we study what is the political philosophy,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history, and the role of political philosophy, which the each school suggest, examining the definition, objects of research and methodology of their political philosophy. In comparing these schools, we draw meanings to the Korean political philosophy, that is, what would be done the Korean political philosophy, what is the tasks of Korean political philosophy. In definitely, the Koran political philosophy should resolve the problems of the formation of modernity in Korea, which is to trace the particularity of Korean modernity.

      • KCI등재

        행복(eudaimonia)의 정치

        박성우(Sung Woo Park)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5

        본 논문은 가치 있는 삶에 관한 문제를 둘러싼 고대적 논의의 맥락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기여한 바가 무엇인가를 추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정치학』에 등장하는 철학적 삶과 정치적 삶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적 삶 (bios politikos)보다 철학적 삶 (bios theoretikos)을 우월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런 일반적인 이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적 일관성과 텍스트의 통일성을 해치는 요소를 안고 있다. 본 논문은 두 저작에서 표면적으로 드러난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논문의 2장에서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1권과 10권을 통일성 있게 해석하였으며, 3장과 4장에서는 『정치학』을 중심으로 정치적 삶과 철학적 삶의 관계를 새롭게 조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두 저작에서 드러난 표면적인 애매성은 철학자와 일반 시민들에게 각각 가장 적합한 형태의 가치 있는 삶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도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철학자들에게는 철학적 삶이 가장 가치 있는 삶임을 재확인하고, 일반 시민들에게는 “철학적 삶을 닮은 정치적 삶”이 철학적 삶과 견줄 수 있는 가치 있는 삶이라는 메시지를 아리스토텔레스는 전달하고 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인문교육과 음악활동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음악은 일반시민들에게 정치적 삶이 그것 자체로서 가장 가치 있는 삶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요건이 되며, 철학적 삶의 가치를 최고로 인정함으로써, 정치적 삶의 수단과 목적을 혼동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정치적 삶의 모색은 궁극적으로 개인의 행복을 정치와 연결시키는 새로운 시도로 볼 수 있으며, 기왕의 경쟁의 정치(politics of agon)를 극복하고 행복의 정치(politics of eudaimonia)를 지향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e article examines Aristotle’s contribution to the well-known issue concerning “worthy way of life” in ancient Greek context. It focuses on Aristotle’s two major political works, Nicomachean Ethics and Politics in the light of the prevalent question of what is the worthiest way of life. According to the dominant interpretation, Aristotle endorses the philosophical life as the worthiest. This interpretation, however, faces a few difficult problems with respect to textual unity of each work and theoretical consistency of his thought between the two works. The article attempts to solve those problems through close reading of the two texts. It argues that the apparent ambiguity of Aristotle’s position is explained by his intension that both potential philosophers and ordinary citizens choose the best way of life as they could. Aristotle reaffirms philosophers that the philosophical life alone is the best. At the same time, he implies to the ordinary citizens that the political life is also choice-worthy if it assimilates philosophical life. The article concludes that the new concept of political life eventually opens the possibility of the politics of eudaimonia, which may replace politics of ag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