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포칵(J.G.A. Pocock)의 정치사상사 연구에 대한 비판적 논의(Ⅰ)

        유종선(Ryu Jong Sun) 한국정치사상학회 2005 정치사상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정치사상사 기술방식과 연구의 목적에 관한 존 포칵의 주장과, 그의 주장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들을 논구한 것이다. 그는 정치사상시를 연구하고 기술하는데 있어 소위 랑케주의라고 하는 순수 역사주의적 태도와 방법을 지향한다. 그의 이러한 입장은 스트라우스(Leo Strauss) 등이 주장하는 바 ‘정치사상사는 곧 정치철학’이라는 입장과 뚜렷이 구별된다. 그렇기 때문에 정치사상사 연구의 목적에 관해 스트라우스 등이 주장하는 ‘철학주의’를 먼저 논의하고, 이를 전체적 논의의 배경으로 삼고자 했다. 본론에서는 소위 랑케주의적 정치사상사 기술의 의미, 목적, 현재적 합의, 역사와 철학의 대립성 등의 주제들에 대해 포칵과 그의 비판자들의 의견을 비교 검토하였다. 특히 순수한 랑케주의적 정치사상사 연구가 정치사상사라는 학문의 본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 사상의 역사적 의미를 그가 주장하는 것처럼 배타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라는 두 가지 비판적 질문들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포칵의 반론 및 이의 정당성을 검토하였다. 결론에서는 포칵의 역사철학이 정치사상사 연구 분야에 끼친 공헌과 한계, 그리고 한국에서의 정치사상사 연구에 주는 몇 가지 시사점들을 논의했다. This is a critical review on John Pocock's philosophy of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focusing on his discussion on the purposes of studying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Pocock insists upon a purely histocal - Rankean, as he calls it - attitude and methods of studying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His position sharply contrasts with that of . philosopher historians' like Leo Strauss. There are two critical questions involved: first, what is the point of studying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in terms purely Rankean, considering the dominantly practical aspects of the discipline?; secondly, could it be justified that Pocock defines the meaning of historicity in such a way as to exclude other historiographies as pseudo-historical? Pocock's response to these questions and his own answers will be critically reviewed. Lastly, the contribution of his philosophy to the academic field of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its limit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storians and philosophers of political thought will be discussed as concluding remarks.

      • KCI등재

        계시, 관습, 이성

        유종선(Ryu Jong-Sun) 한국정치사상학회 2009 정치사상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17세기 영국혁명의 주요 사건중 하나인 퍼트니 논쟁의 정치언어와 이의 정치사상사적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퍼트니 논쟁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시각은 이것이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사상적 도전에서 근대정치사상의 태동에 이르는 담론의 구조와 역사를 상징한다고 하는 것이다. 퍼트니 논쟁에서 ‘수평주의자’들의 주장은 직접적 계시의 프로테스탄티즘 교리에 바탕을 둔 급진적 정치사상의 전형이며, 비판자들은 이의 무정부적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관습과 절제된 이성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적어도 영미정치사상의 전통에서 볼 때 이는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으로부터 근대정치사상의 등장에 이르는 역사적 과정의 상징이고 축약이다. 본 연구에서는 퍼트니 논쟁의 구체적 언어들 속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정치사상적 도전의 성격과 한계, 이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담론의 모습들을 살펴 보고, 서구 근대정치사상 태동의 맥락에서 퍼트니 논쟁의 정치사상사적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비서구의 입장에서 서구 근대정치사상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우리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languages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of the Putney Debates, 1647,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of the English Revolution. I will argue that the Putney Debates in many respects represents the whole history leading to the emergence of modern political thought in the West. The Levellers here advance a radical democracy typical of the Protestant political thought, based upon the concept of sola scriptura and revelation, while the criticism of the Grandees represents a modern challenge to the allegedly anarchistic tendencies of such Protestant radicalism. The Putney Debates clearly shows the nature and limitations of the Protestant poltical challenge, on the one hand, and a modern response to the challenge, on the other, thus anticipating the emergence of modern political thought of Thomas Hobbes and John Locke.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histocal study will help us understand the nature and relevance of the modern political thought of the West in the non-Western world.

      • 기획논문 :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경향과 쟁점

        부남철 ( Nam Chul Pu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8 글로벌정치연구 Vol.1 No.2

        최근 한국정치사상 분야의 연구 경향과 과제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그러한 논쟁을 종합하여 서술한 것이다. 우선 한국정치사상 분야의 학문적 성과를 소개하고 연구공동체의 형성, 연구방법론 모색, 그리고 한국정치사상사 교재편찬에 대해 논의되었던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논쟁점 중에서 빈번하게 거론되었던 것은 한국정치사상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것이었다. 이것은 한국의 전통사상과 문화를 연구한다는 점에서 한국정치사상 분야가 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의 원천이라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한 정체성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는 서양정치사상이 정치사상의 본령으로 여겨지고 있는 한국 정치학계의 상황에서 연구자가 속해있는 한국이란 연구대상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관한 논의를 소개하였다. 그러면서 과연 한국적인 것은 무엇이고, 한국적인 것을 찾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정치사상 연구에 있어서는 개념과 관념 중심의 고전적인 연구관점으로부터 역사적 사례 분석과 서술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고 혼합적인 연구 경향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학계의 상황에서 한국정치사상 분야에서는 역사적 사례, 역사적 서술의 관점에 대해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하였다. 그리고 한국 정치사상 연구자들은 현실정치에 대해 정치사상적으로 어떤 제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학계의 기대를 소개하고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로서 민족주의, 재산권 등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study of Korean political philosophy and thought has become a promising research field in Korean political science. The number of scholars who specialize in Korean traditional thinking has increas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90`s. And they have organized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 and The Korean Society for Political Thought. Now this field is recognized as important field of political theory in Korean political science. In this study, I have reviewed the critical problems and issues in Korean political thought research. First, I have suggested that we need to think about Korean political thought in the context an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political theory. Second, I have described the problem of methodology of Korean political thought. Usually in political thought study, scholars focus on the concepts and ideas analysis of political thinkers or Ideology. But some scholars insist that in Korean political thoughts study korean history should be considered and focused on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Korean political thought. So I suggest that historical study also should be considered. Lastly, I discuss the criticism of Korean political scientists that political science professors and scholars` research is an empty vision of the ideal world. So I propose that even in political thought study we need to focus more on real politics and policy oriented research. And I suggest the study of nationalism and the rights of property ownership as urgent research issues in Korean political thought.

      • KCI등재

        현대 신유가 정치사상 시론(試論)-서양 민주사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옥 한국아시아학회 2019 아시아연구 Vol.22 No.1

        I purposed that modern and contemporary neo/new Confucianism(hereafter MCNC) be analysed in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thought. The periods and generations of each MCNC thought theorists had been establishment, philosophical elaboratedness, globalization and Marxist Confucianism. The main stream of MCNC has been on the point of conservative and Chinese traditional ‘dao’, ‘qi’ and ‘li’ paradigms transcendence. The critical reviews of MCNC have been as follows: transcendence of from politics to the political thoughts, the limitations of philosophical categories and concepts world and the setting up of modern structure and system.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first, MCNC has been only the notes of traditional Confucianism political thoughts, second, MCNC has rather been the campaign or cultural change, and third, MCNC has included the inner characteristics of outer elements so it has the possibilities to the general political thoughts alternative. 현대 신유가(新儒家)(혹은 당대, 當代 신유가, neo/new Confucianism)의 정치사상을 현대 정치이론의 맥락에서 해석하는 것이 본 문의 목적이다. 현대 신유가 정치사상이 보편적 정치사상으로 오늘날 존립 가능한 사상 구조를 가지고 있느냐가 본 문의 주요 주제이다. 중국 전통의 정치 방법에 지배와 피지배의 이중 구조와 지배 계층 위주의 성인의 군림과 일방성이 강조되었으며 반면 서양 정치사상은 근대 이후 시민 계층의 생성으로 인한 지배와 피지배의 상호 견제와 제도 건립, 민주와 과학 인식의 보편적 적용, 복지 개념의 적극성이 국가 건립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신유가 정치사상의 개념은 보수적 문화주의의 입장에서 전통 고전에 대한 재해석과 시각의 변화, 서양 철학과 정치사상 개념의 적용 등이 두드러진다. 현대 신유가 정치사상의 비이데올로기성의 특징으로 ‘도’를 본체로 하는 본체론과 심(心)과 이(理)를 핵심 개념으로 하는 인식론적 관념, 그리고 과정과 제도 차원이 아닌 가치 본질을 중시하는 가치론적 개념이 역사 맥락을 통해 진화 발전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현대 신유가 정치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은 정치에서 사상으로 철학에서 정치사상으로의 초월의 도약, 철학 범주와 개념 세계로의 제한성 및 사상 구조의 전근대적 제한의 탈피와 현대적 구조와 체계의 건립 등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으로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중국 현대 신유가 정치사상은 전통 유가 본체론의 현대적인 주석(註釋)에 불과한 이론 구조의 한계를 보인다. 둘째, 현대 신유가 정치사상은 사상의 차원에서보다 사회운동과 실제 정치 차원에서 전통 문화와 사상 보위의 보수적인 성격을 띤다. 셋째, 현대 신유가 정치사상은 유가 인식론의 시각에서 포용력과 상황 적응력을 내재하고 있어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정치사상으로 현대적 재해석과 재생산될 가능성을 갖고 있다.

      • KCI등재

        동·서양 정치사상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 한국정치사상의 모색을 위한 시론: 근대성의 형성과 변용 그리고 그 전환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홍태영(Hong, Tai-Young)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0 현대정치연구 Vol.13 No.1

        이 글은 동ㆍ서양 정치사상의 이분법을 넘어 한국정치사상의 정립을 위한 시론적 글로서 정치사상이란 무엇이며, 그 역할과 책무, 그리고 그에 따른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 서구 정치사상의 네 가지 흐름 - 미국 시카고학파, 영국 케임브리지학파, 프랑스 아날학파, 독일 개념사학파 - 이 각 나라의 근대성에 대한 고유한 문제의식과 결합된 정치사상의 방법론과 문제설정을 어떻게 형성ㆍ전개하는지를 살펴본다. 3장에서 근대성에 대한 마루야마 마사오의 일본정치학적 문제설정과 1990년대 이후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다양한 모색들이 지닌 문제의식을 살펴본다. 이러한 다양한 흐름들이 각 나라 근대성의 특수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나아가 그것을 파악하기 위한 정치사상의 고유한 방법론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알아봄으로써, 마지막 4장에서는 동·서양 정치사상이라는 구분 자체가 갖는 한계와 그것의 극복을 통한 한국정치사상이 추구해야 할 문제의식과 방법론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tries to suggest ways for the formation of Korean political thought in overcoming the dichotomy of eastern and western political thought. For this objective, we examine what is the political thought, how we study the political thought, and what is the role of political thought. The 2nd chapter examines the four principal streams of political philosophy in the late 20th century which treat the problems of relation between political philosophy and history: the political philosophy of Leo Strauss in the Chicago school, that of Q. Skinner in the Cambridge School, that of R. Koselleck in the conceptual history school and that of P. Rosanvallon in the Annales. In the 3rd chapter, we examine the problematics of Maruyama Masao, that is, the transformation and formation of modernity in Japan and the formation of Japanese political science. And we examine the intellectual trials of the researches of political thought in Korea after the 1990’s. In comparing these schools, we draw meanings to the Korean political philosophy, that is, what would be done the Korean political philosophy, what is the tasks of Korean political philosophy. In definitely, the Koran political philosophy should resolve the problems of the formation of modernity in Korea, which is to trace the particularity of Korean modernity. Finally, we suggest meanings of distinction of eastern and western political thoughts and, propositions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is distinction.

      • KCI등재

        새바인(George H. Sabine)의 정치사상사 이념 연구 서설

        양승태(Seung-Tae Yang)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4

        새바인은 유명한 정치사상사 교과서인 〈정치사상사〉의 저자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학문세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체계적인 조명이 이루어지 않았다. 이 논문은 일생에 걸친 그의 학문적 업적을 〈정치사상사〉를 비롯하여 주요 논문들을 중심으로 검토하면서 정치학사를 포함한 20세기 지성사에서 그것이 갖는 의미를 밝히기 위한 작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다음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그의 〈정치사상사〉가 갖는 지성사적 의미에 대한 검토이다. 그의 〈정치사상사〉는 서양 정치사상사에 관한 최초의 저작은 아니다. 그 이전에 던닝과 게텔의 저작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들 두 저작과 새바인의 저작을 비교하는 작업이 수행되었다. 둘째, 새바인의 〈정치사상사〉에 담긴 정치사상사 연구 이념에 대한 논의이다. 그 이념의 핵심은 “정치사상들 자체가 정치의 한 부분이라는 가설”이며, 그 가설과 관련된 “사회적 상대주의” 및 “역사적 상대주의”를 검토하였다. 그러한 이념들은 그의 여러 논문들을 통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그것들에 대한 검토는 일생에 걸친 그의 학문적 성찰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밝혀준다. 그것에 대한 설명이 이 논문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며, 그러한 설명을 통해서 비역사주의 및 형식주의적 정치학 연구에 대한 그의 비판과 더불어 그가 제시한 “합리적 비판”의 원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George H. Sabine is widely known as the author of the celebrated text book for history of political theory. But compared to the celebrity of the textbook the world of his scholarship has long remained out of the object of systematic study or serious considerations. This paper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initiating the project of filling the research gap and thereby attempting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his scholarship in the context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20th century. Thus three kinds of attempt are made in this paper. First, an attempt of identifying the importance his textbook holds in the writings of history of political theory. The textbook is not the first work in the field of writings. Before its publication there had appeared two major works written by Dunning and Gettel. A comparative critical commentary of the three works was made in this paper. Second, an examination of Sabine's idea of history of political theory suggested in the textbook as well as in his other works. It has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that the core of the idea lies in his hypothesis that political theory itself is a component of politics, and that the hypothesis is closely related to his other idea of social and historical relativism. The hypothesis and its related ideas are shown to reveal directly or indirectly what the core of Sabine’s life-long reflections of politics and political theories of the past and present were about. Sabine’s criticism of the a-historicism and formalism of contemporary political science as well as his principle of ‘rational criticism’appeared to be its major components, and a brief account of it constitutes the third part of this paper.

      • 한국 정치사회 공공분쟁의 특징과 해결 양상

        임재형 한국시민윤리학회 2010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3 No.2

        본 연구는 한국 정치사회 공공분쟁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통해 정치사회 공공분쟁은 어떠한 특징을 띠고 전개되고 있으며 어떻게 해결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전체 공공분쟁 중에서 정치사회 공공분쟁은 이명박 정부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발생되었으며, 노태우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제외하면 노무현 정부에서 가장 많은 발생 빈도를 보이고 있다. 정치사회 공공분쟁을 유형별로 보았을 때는 지역분쟁이, 종류별로 보았을 때는 관/민분쟁이, 성격별로는 이익/이익분쟁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고, 종료방식으로 보았을 때는 행정집행에 의한 분쟁 종료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정치사회 공공분쟁은 시민사회 공공분쟁보다 발생 빈도는 낮지만 평균 지속일수와 평균 참여자수 및 분쟁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분쟁의 평균 지속일수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정치사회 공공분쟁에 시민단체가 개입하면 개입하지 않는 분쟁보다 평균 지속일수가 길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정치사회 공공분쟁은 정부의 정책과정에서 발생 빈도가 높으며, 따라서 정치사회 공공분쟁을 예방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치사회 구성원, 특히 정책을 집행하는 관료들의 의식이 빠르게 전환되어야 할 것이며, 여론을 수렴하고 시민들의 의사를 대변하는 의회, 정당의 역할과 기능이 보다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사회 연결망이 청소년 정치사회 참여에 미치는 구조 분석 -정치사회 관심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윤주 ( Yun Joo Lee ),유혜영 ( Hye Young Y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1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 시간과 접촉하는 친구 수가 친구의 정치사회 관심이라는 변수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그리고 정치사회 참여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으로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주요 관심은 페이스북 이용이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그를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의 유형이 청소년의 정치사회참여 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이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대한 인지는 페이스북을 통해 교류하는 친구의 숫자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대한 인지는 교량적 사회자본을 매개하여 본인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결속적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관심은 사회적 자본을 매개하지 않더라도 본인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정치사회적 관심의 정도는 정치사회 참여 정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paper to study the network characters of youth Facebook network and its power as a new medium of political interests and participation sharing. We explore to classifies social capital into two different forms: bridging network and bonding network, and then analyzes the linkage between them. By comparing how many youth have facebook friends and how often they use them,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youth facebook network that effect the linkage beh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political interests, and participation. In particular, the organization structure was studied for a particular type of social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zing this structur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capital, political interests, and participation factors that occur within the communication networks.

      • KCI등재

        제1장 윤봉길의 정치사상

        정경환(Kyung-Hwan Chung) 한국민족사상학회 2008 민족사상 Vol.2 No.1

        This study analyses the political thoughts of Yoon Bong-Gil. The Sanghae Euigue(상해의거) leading by Yoon Bong-Gil is not event by his accident impulse and a one‘s indication. The Sanghae Euigue is a remarkable accomplishment by a concrete thought of Yoon Bong-Gil. With this comprehension, this thesis seeks for the theoretical analysis into the political thoughts of Yoon Bong-Gil. Moreover, to analyse concretely political thoughts of Yoon Bong-Gil is needed his basic knowledge on the state, society and history etc.. Above all, he has the martring state viewpoint. Next, he has the resisting will on unjust foreign powers. Lastly, he has the overcoming will about poverty and stupidity. On basis this fundamental knowledge, he has presented his political thoughts. First, his political thought is defined as the theory of farming revival. His theory of farming revival consists of the enhancement of common spirit and doctrine of breaking down reality. Secondly, his political thought can arrange the theory of building nation by education. The theory of building nation by education is basis on the alright recognition about the age problem. Finally, the political thought of Yoon Bong-Gil is defined as the theory of independent struggle. 본 연구는 윤봉길 의사의 정치사상을 분석하고 있다. 윤봉길이 직접 단행한 상해의거는 단순히 우발적인 충동이나 누구의 지시에 의한 사건이 아니다. 그것은 윤봉길 자신의 확고한 정치사상에 기초하여 행해진 쾌거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인식 하에 본 논문은 윤봉길의 정치사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윤봉길의 정치사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의 국가, 사회 및 역사에 대한 기본적 인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선, 그는 살신성인의 국가관을 지니고 있었다. 다음으로 그는 부당한 외세에 대한 확고한 저항의식을 함유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는 가난과 무지에 대한 자신 나름의 극복의지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기본인식을 토대로 해서 그는 자신의 정치사상을 표명하고 있는데, 첫째 그의 정치사상은 농촌부흥론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그의 농촌부흥론은 공동정신의 함양과 현실타파론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두 번째, 그의 정치사상은 교육입국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교육입국론은 시대문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기초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윤봉길의 정치사상은 주체적 독립항쟁론으로 규정할 수 있다. 주체적 독립항쟁론이란 한 마디로 민족의 힘을 전제로 한 투쟁의 전개를 의미한다. 즉 우리 손으로 부당한 외세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계시, 관습, 이성: 퍼트니 논쟁(The Putney Debates, 1647)의 정치언어와 정치사상사적 의미에 관한 고찰

        유종선 한국정치사상학회 2009 정치사상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languages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of the Putney Debates, 1647,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of the English Revolution. I will argue that the Putney Debates in many respects represents the whole history leading to the emergence of modern political thought in the West. The Levellers here advance a radical democracy typical of the Protestant political thought, based upon the concept of sola scriptura and revelation, while the criticism of the Grandees represents a modern challenge to the allegedly anarchistic tendencies of such Protestant radicalism. The Putney Debates clearly shows the nature and limitations of the Protestant poltical challenge, on the one hand, and a modern response to the challenge, on the other, thus anticipating the emergence of modern political thought of Thomas Hobbes and John Locke.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histocal study will help us understand the nature and relevance of the modern political thought of the West in the non-Western world. 본 연구의 목적은 17세기 영국혁명의 주요 사건 중 하나인 퍼트니 논쟁의 정치언어와 이의 정치사상사적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퍼트니 논쟁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시각은 이것이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사상적 도전에서 근대정치사상의 태동에 이르는 담론의 구조와 역사를 상징한다고 하는 것이다. 퍼트니 논쟁에서 ‘수평주의자’들의 주장은 직접적 계시의 프로테스탄티즘 교리에 바탕을 둔 급진적 정치사상의 전형이며, 비판자들은 이의 무정부적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관습과 절제된 이성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적어도 영미정치사상의 전통에서 볼 때 이는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으로부터 근대정치사상의 등장에 이르는 역사적 과정의 상징이고 축약이다. 본 연구에서는 퍼트니 논쟁의 구체적 언어들 속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정치사상적 도전의 성격과 한계, 이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담론의 모습들을 살펴 보고, 서구 근대정치사상 태동의 맥락에서 퍼트니 논쟁의 정치사상사적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비서구의 입장에서 서구 근대정치사상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우리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