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신간호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 비정신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
서지혜,이우진,김명석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4 지식융합연구 Vol.7 No.2
이 논문의 목적은 비정신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정신간호역량 강화 교육 프로 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일개 병원의 비정 신과 간호사이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간호역량 교육 요구를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환경으로 범주화하였다. 교육 내용은 ‘안전을 위한 개입 기술’, ‘증상별 간호 중재 기술’,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으로의 전과 및 전동과 관련된 정보’, ‘구 체적인 보고 지침’으로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교육 방법은 ‘사례별 교육’, ‘단계 별 시뮬레이션 교육’, ‘역지사지 체험 교육’, ‘매뉴얼을 활용한 교육’으로 4개의 주제 가 도출되었다. 교육 환경은 ‘임상 상황과 유사한 환경 구현’, ‘반복적인 교육이 가 능한 환경’으로 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비정신과 간호사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정신간호역량 교육 요구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 는 정신간호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mental health nurs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on-psychiatric nurs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non-psychiatric nurses from a specific hospital, a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categorized the educational needs of non-psychiatric nurses into three areas: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four topics were identified: “intervention techniques for safety”, “nursing interventions based on symptoms”, “information related to transfer from psychiatric wards”, and “reporting guidelines” The educational methods included “case-based education”, “step-by-step simulation training”, “empathy-based experiential learning”, and “manual-based educ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categorized into two themes: “implementation of an environment similar to clinical situation” and “an environment that allows for repetitive training” In conclusio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non-psychiatric nurses provided insights into their educational needs for mental health nursing competencies. Th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mental health nurs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유아교육학과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에 대한 좋은 수업 만들기:
문수영(Moon Soo Young),허혜경(Huh Hae Gye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 연구는 전문대학 유아교육학과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의 필요성과 함께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좋은 수업 인가에 대한 물음을 안고, 유아교육학과 특성에 비추어 수업과정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교수자의 성찰을 반영해가는 질적 실행연구 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전문대학 유아교육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05명과 동료교수 2인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초부터 2017년 1월 중순이며,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수업일지와 수업관찰자료, 학생과 동료교수와의 면담, 중간 강의평가 분석 보고서, 수업요구도조사와 성찰노트 등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을 통해 좋은 수업을 만들고자 노력했던 과정은 교수자에게 학습자 중심의 반성적 사고를 이끌게 하였으며, 국가정책에 맞추는 수동적 인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과의 소통과 이해를 중심으로 좋은 수업을 경험하게 하였다.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은 자신이 3년 동안 경험한 유아교육이라는 커다란 지식과 삶속에서 본 교과목의 교육목적과 내용을 연계하는 수업에 의미를 두었다. 이에 본 교과가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좋은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학과 특성에 맞는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에 대한 정체성이 재정립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ction research for reflecting instructors’ introspection by analyzing instructional process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ing a question on what is the good instruction with the necessity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junior colleges. Study participants are 105 junior students enrolled in and 2 professors teaching 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 junior college in Gyeonggi-do.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early September 2016 through the middle of January 2017, and for securing validity of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data such as class diary, class observation data, interview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analysis report of interim evaluation of lecture, survey of learners needs for instruction, introspection note etc. The process of efforts to make good instruc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ubject led instructors to have learner-centered reflective thinking, enabling to experience good instruction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with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breaking from passive classes adjusting to national policies.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t meaning on the class that connects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subject in profound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life they experienced for 3 years. Thus, identity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ubject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shall be reestablished for the subject to become good instruction that is meaningful to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작업치료 학생들의 정신과 영역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고예진(Go, Ye-Jin),김하은(Kim, Ha-Eun),송유미(Song, Yu-Mi),최은영(Choi, Eun-Yeong),김희(Kim, Hee)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정신과 영역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학교 중 정신과 교육과정이 있는 3, 4년제 학교를 선정하여 정신과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전공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고 인식도, 교육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인식도, 교육 만족도 하위 요인과 진로정체감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신과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 하위요인은 진로정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 교육 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교과과정 구성과 성적 평가, 실습 교육 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정신과 실습지도, 임상실습 후 만족도가 진로정체감과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이론 교육 만족도의 강의 및 실습과 성적 평가 요인이, 실습 교육만족도의 임상실습 후 만족도 요인이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정신과 작업치료에 대한 전공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형성을 위해서는 교육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wareness and education satisfaction in psychiatric field on their career identity.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122 students with experience in taking psychiatry courses from three to four-year schools with a psychiatric curriculu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and multi-recovery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wareness and education satisfaction on career identity. Results :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education satisfaction sub-factors and career identity showed that the relevance of awareness sub-factors to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 and career identit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oretical education satisfaction, the curriculum composition, grade evaluation and psychiatric practice guidance and satisfaction after clinical practice sub-factors of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ident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ecture and practice, grade evaluation factors of theoretical education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after clinical practice factors of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affect the career identity. Conclusion : To build a career identity for the students, there is a ne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follow-up studies to determine various factors on career identity.
H. Nohl의 교육학 이론 관점에서 본 학교교육의 시사점
김 철(Kim, Cheol)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1
오늘날의 학교교육은 교육의 목적인 인간 도야의 실현보다는 사회적·경제적 요구 충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교교육의 현실을 교육적으로 해결해야만 하는 과제로 인식하고, 독일의 교육사상가인 Nohl의 학교교육이론을 통하여 학교교육의 본질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그에 의하면 첫째, 학교교육은 아동의 자유와 권리 그리고 그의 내적의지를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조성해주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둘째, 학교에서의 교육은 개인이 ‘신체-정신-영혼의 통합적인 삶’을 형성하는 의미의 도야를 실현하기위한 행위로 인식되어야 한 다. 셋째, 교육현상에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는 상호 능동적, 인격적인 형태로 나타나야만 한다. 이렇게 볼 때 학교교육의 주요 기능을 사회적·경제적 효용성의 관점에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 자원의 양성과정으로 인식하는 시각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오히려 학교가 교육의 목적인 인간의 자기결정 능력과 책임의식을 실현시킬 수 있는 인간 교육의 장으로 인식될 때 학교교육의 본질적 의미와 성취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Merkmale der heutigen Schulerziehung darzustellen, die sich an sozialen und wirtschaftlichen Bedurfnissen so stark orientierten, und daraus ihr Wesen in Anlehnung an Nohls padagogischer Theoriebildung neu zu uberlegen. Die Theorie der Bildung, Autonomie der Pädagogik und den padagogischen Bezug findet Nohl aus der hermeneutischen Analyse von der Erziehungswirklichkeit heraus, mit deren Grundmerkmale er Padagogik als eine Geisteswissenschaft zu konstruieren versucht. Aus der Sicht Nohls padagogischen Gedanken kommen zum Schluß die folgenden Resümee heraus. Erstens, im pädagogischen Umfeld mußten die Freiheit und die Rechte des Kindes, die von der Autonomie des Zöglings ausgehen, aus dem Druck der außerlich anzuwendenden Zusammensetzung geschützt werden. Zweitens, Schule muß ein Ort sein, wo die Schuler durch erzieherisches Handeln mit den Anderen ihr geistlich, korperlich und seelisch integriertes Leben, nämlich ihr hochst geformtes Leben verwirklichen können. Drittens, der padagogische Bezug zwischen Lehrer und Schüler ist ein Grundphanomen in der Erziehung. In der erzieherischen Handlungsebene verlangt der Schüler nach Hilfe Schutz und Anerkennung, um zu seiner Lebensform zu kommen. Dieses Verlangen ist Recht auf sein Wohl und muß von dem Lehrer befriedigt werden. Der Erzieher soll sich in dem Schüler und seiner Anlagen einfühlen konnen, um ihn innerhalb seiner Möglichkeiten zu unterstutzen. In diesem Sinne muß die Schulerziehung nicht mehr als menschliches Handeln aus der Sicht sozialen und wirtschaftlichen Bedrufnissen verstanden werden. Vielmehr muß die Schule ein Ort sein, wo padagogische Ziele wie menschliche Selbstbestimmung und Verantwortungsbewusstsein anerkannt und verwirklicht werden sollten. Damit wird das mit der Zeit verschwundene Wesen der Schulerziehung heute wiederentdecken.
김철(Kim Cheol) 한독교육학회 200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0 No.1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는 교육 분야에서도 총제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현재의 상황과 미래를 위한 교육내용이나 방법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지만 동시에 교육적 활동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 또한 간과 할 수 없다. 특히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로 인하여 대화적이고 교호적이어야 할 교육현장에서의 인간관계가 더욱 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신뢰와 존경 그리고 애정이 상실되고 갈등과 불신이 증폭된 사제관계, 교우간의 폭력과 집단 따돌림, 교내외의 학생 폭력사태 등등의 경우가 이에 해당되는 좋은 예들이다. 이에 본 연구의 관심은 교육적 활동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인 교사-학생, 또는 성인-아동의 “교육적 인간관계”이론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을 시도해 본다. 교육적 현상으로서 “교육적 인간관계”의 속성과 이에 대한 재음미는 오늘날 지나치게 발달되고 있는 과학 기술의 문명으로 인한 교육의 총체적인 변화 속에서 야기될 수 있는 인간성의 상실, 비인간화 등과 같은 교육 현실 속에서의 여러 가지 다양한 문제점들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In unserem Jahrhundert regiert rapidlich die hoch entwickelte Informationstechnik unsere Lebensbereiche. Diese Tendenz beeinflusst auch Erziehungbereich. Damit ist von Paradigma-Wechsel der Erziehung gepraegt, naemlich, das Motto “ein neues Pardigma von Erziehung in 21 Jahrhundert. Als deren Schlussfolgerungen erwartet man darauf, dass die Erziehung zu dem National-Konkurrenz beitragen soll. Es darf aber auch nicht uebersehen werden, dass durch diese Funktion und Rolle der Erziehung die menschliche Beziehung zwischen Lehrer und Schueler, Erwachsenen und Kind, Erzieher und Zoegling verdraengt und in Misskredit gebracht wurde. Deren Ergebnisse entstehen schon in der Schule und unserer Menschengesellschaft sowie Vergewaltigung, Hass, Feindlichkeit Misstrauen und Ungehorsam im zwischenmenschlichen Verhaeltnis. Um diese Gefaerdungen des menschlichen Verhaeltniss zu mindern, bzw. zu vermeiden, hat diese vorliegende Arbeit eine Absicht, eine Moeglichkeit zu suchen. Dieses Vorhaben wird mit Intention verfolgt, die Bedeutung des erzieherischen Verhaeltnisses fuer Erziehung und Bildung und deren Theorie in der Paedagogik auslegen und zu erkennen. Durch solchen sinndeutungen Versuch soll der Paedagogik bei der Verarbeitung und Ueberwindung der oben genannten Probleme in Schule und Menschengesellschaft geholfen werden. Aufgrund des gestellten Ziels und der Aufgabe soll die vorliegende Arbeit in folgenden schritten erbracht werden. Im ersten Kapitel sollen die Ziele und Aufgabe der Arbeit geklaert weden. Im zweiten Kapitel wurde das Versuchsmodell der Theorie des erzieherischen Verhaeltnisses bei Schleiermacher und Herbart dargestellt. Im dritten Kapitel geht es um die Rekonstruktion der Theorie des erzieherischen Verhaeltnisses in Besinnung auf die geisteswissenschaftlichen Paedagogik, vor allem bei Dilthey und Nohl. Im vierten Kapitel soll im Hinblick auf die Dialogfaehikeit des Meschlichen das Verstaendnis der zwischenmeschlichen Beziehung bei Buber dargestellt werden. Anschliessend folgt dann Zusammenfassung und Schlussbetrachtung.
정기섭 한독교육학회 202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8 No.2
이 글의 주된 관심은 시기마다 사용된 ‘교육학’ 표현(Pädagogik, Erziehungswissenschaft, Bildungswissenschaften) 에 의도성이 내포되어 있다고 보고 그 표현을 통해 교육학의 학문적 경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Pädagogik이란표현은 19세기부터 1960년대까지 주로 사용되었는데, Pädagogik으로 표현되는 교육학은 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규범의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거나 배제하지 않고 있다. Erziehungswissenschaft로 표현되는 교육학은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강조하는데, 1960년대 “사실로의 전환”이 교육학 연구의 분위기를 주도하면서 교육학이경험적 학문들과의 결합을 시도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Bildungswissenschaften이란 표현은 1990 년대 간학문적 연구를 수행하는 경험적 교육연구(Bildungsforschung)의 급격한 팽창으로 교육학을 경험적 연구로 전환하자는 요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Bildungswissenschaften의 등장은 교육학이 규범적 성격을 포기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과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물음이 과거형이 아니라 오늘날 더 큰 의미가 있음을시사한다. Das Grundanliegen dieser Arbeit liegt darin aufzuzeigen, dass die verwendeten Begriffe ‘Pädagogik’, ‘Erziehungswissenschaft’, ‘Bildungswissenschaften’ jeweils eine beabsichtigte Bedeutung tragen und durch diese Begriffe die zeitliche Entwicklung des wissenschaftlichen Trends in der Erziehungswissenschaft erfasst werden kann. Die Verwendung des Begriffs ‘Pädagogik’ lässt sich vor allem in der normativen Pädagogik, experimentellen Pädagogik und geisteswissenschaftlichen Pädagogik erkennen, die von den 19. Jahrhundert bis in die 1960er Jahre hinein vorherrschend waren. ‘Pädagogik’ behandelt hauptsächlich die Frage nach den Normen, die die Bildung anstreben sollte. ‘Erziehungswissenschaft’ betont den wissenschaftlichen Charakter der Erziehungswissenschaft. In den 1960er Jahren bestimmte die “realistische Wende” die Stimmung der erziehungswissenschaftlichen Forschung und führte dazu, dass die Erziehungswissenschaft versuchte, sich mit empirischen Wissenschaften zu verbinden. Durch diesen Versuch wurden sie teilweise oder vollständig empirische Forschungsmethoden übernommen und es wurde versucht, die Ergenissen benachbarter Disziplinen wie Psychologie und Soziologie aufzugreifen. ‘Bildungswissenschaften’ wird seit den 1990er Jahren verwendet, um den Übergang der Erziehungswissenschaft zur empirischen Bildungsforschung zu betonen, die sich durch eine rasche Expansion auszeichnete. Bildungswissenschaften nimmt den zeitgenössischen Trend auf, der den internationalen Vergleich schulischer Leistungen und die interdisziplinäre Forschung betont. Das Auftreten der Bildungswissenschaften wirft die Frage auf, ob die Erziehungswissenschaft ihren normativen Caharkter aufgeben sollte, und wirft eine größere Frage nach dem wissenschaftlichen Selbstverständnis der Erziehungswissenschaft auf.
최명숙(Choi, M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야투 자연미술이 가지는 미술교육적 함의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가 중심이 되었는데, 연구자는 야투의 자연미술 정신과 방법을 통해 미술교육에 주는 의미를 깨닫게 되었다. 첫째, 자연미술 정신은 미술교육에서 자연과 인간 이해의 확장을 이루게 한다. 미술교육에서 자연미술 방법으로 인간의 상실된 육신, 마음(정신), 영혼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인간을 순수하게 본질의 눈으로 바라보도록 해준다. 이는 야투의 미적 태도로서 학생들이 자연에 몰입하여 미적 체험하며 자연의 본성을 깨닫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자연미술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한다. 둘째, 야투 자연미술은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의미 있고 다양하게 수용될 수 있다. 지역, 위치, 장소성에 기반하여 학생들 삶의 터전에서만 가능한 자연미술 교육을 할 수 있으며 미술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자연을 도구로만 삼지 않고 미술 놀이의 대상으로 보게 한다. 이때 자연미술 정신은 학생들에게 나도 미술을 잘할 수 있다는 창조적 활동으로 연결되어 자유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하여 미술교육은 야투 자연미술을 통해 학생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미적 경험을 제공하며 창의적인 미술 활동과 자연의 가치성을 깨닫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mplications of Yatoo nature art in regards to art education. The literature research has been the main method of research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realized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which is inspired by Yatoo nature art’s spirit and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spirit of nature art could expand the understanding of nature and human beings in the area of art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methods of nature art enable the lost body, mind (spirit), and soul to be recovered. Also, it allows students to see humans through the eyes of pure essence. This is possible because students immerse themselves in nature, experience it s aesthetics, and realize the essence of nature in terms of Yatoo’s aesthetic attitude. Thus, nature art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sustainable art education through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Yatoo nature art could be accepted in meaningful and diverse ways in art curriculum. It not only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nature art education based on region, location, and placeness, but also allows art curriculum to be reconstructed. In art curriculum, we should see nature as an object of art play rather than as a means. The spirit of nature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obtain freedom by connecting to the creative mindsets that ‘I can be good at art’ to the students. Therefor, art education through Yatoo nature art provides students with a new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and it helps them to understand the value of creative art activities and nature.
近代日本におけるペスタロッチ教育学説の変遷とその影響 - 身体教育の概念に注目して -
中野浩一(Nakano, Koichi),李吉魯(Lee, GilRo) 동아시아일본학회 2022 일본문화연구 Vol.- No.81
본 연구는 일본의 페스탈로치주의에서 신체적 측면이 어떻게 취급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페스탈로치 교육학설은 메이지(明治)초기부터 메이지 1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교육목적을 지 · 덕 · 체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1801). 따라서 당시의 일본 교육학은 ‘지육’, ‘덕육’, ‘체육’의 세 가지로 교육을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 이후로 ‘체육’의 개념은 신체교육을 의미하게 되었다. 메이지 20년대에는 교육목적을 정신면에 한정하는 헤르바르트의 교육학설이 도입되면서 종래의 신체교육 개념은 부정되었다. 이에 따라 ‘체육’이라는 단어의 개념은 신체양호 혹은 신체활동을 통한 운동교육의 개념으로 변화되기에 이르렀다. 메이지 30년대 이후에는 페스탈로치의 학설을 재평가하고자 하는 나도르프(Natorp)의 교육학설이 주목받게 되었으나 신체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메이지 20년대의 헤르바르트의 교육학설과 동일한 맥락으로 교육의 문제가 아닌 의학적인 문제로 인식하게 되었다. 즉, 신체교육의 개념은 메이지 초창기에만 그 존재가 인정되었으며 메이지 30년대에 페스탈로치가 다시 주목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에는 부활되지 않았다. This study clarified how the physical aspects were treated in Japanese Pestalozziism.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Pestalozzi"s educational theory was mainstream from the early Meiji era to the 10s. Pestalozzi’s main work “Wie Gertrud ihre Kinder lehrt”(1801) had been divided educational objectives into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so Japanese pedagogy at that time generally consisted of three contents: “intellectual education”, “mor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is term “physical education” meant the education of the body. In the 20s, when Herbartianism was introduced, which limited the purpose of education to the mental side, the concept of the education of the body was denied. Along with this, the concept of the term “physical education” changed into the care of the body, or the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activity. In the 30s, Natorp"s educational theory, which advocated the revival of Pestalozzi, attracted attention. However, as with Herbartianism in the 20s, the physical aspect was perceived as a medical issue rather than an educational one. After all, the concept of the education of the body was recognized only around the beginning of the Meiji era and never revived after that, despite Pestalozzi regaining attention in the 3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