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검색 언어가 웹 정보검색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웹 정보검색행위의 양상 차이를 중심으로 -

        변제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2 No.3

        웹상에서 영어 이외의 언어들로 이루어진 정보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영어 정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공통어(lingua franca)로서의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영어가 비모어인 이용자들이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영어권 화자의 모어 정보검색행위와 영어 정보검색행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주요 특징 및 차이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한 사립대학의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동시적 사고구술 기법을 적용한 정보검색 실험을 실시해 한글 정보검색행위 및 영어 정보검색행위와 인지과정을 조사하였다. 관찰데이터 및 사고구술데이터의 정성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 언어에 따른 웹 정보검색행위의 양상 차이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글 검색에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이며 독립적인 특성의 양상이, 영어 검색에서 수동적이고 소극적이며 의존적인 특성의 양상이 나타났다. 한글 검색에서는 이용자, 태스크, 시스템 등 다양한 출처에서 용어를 추출·조합한 검색어 구성, 여러 수준에서의 검색범위 조정, 검색엔진 검색결과페이지 내 탐색 대상 아이템의 선택과 관련한 원활한 필터링, 다수 아이템의 탐색 및 비교, 웹 페이지의 전체 내용 브라우징 등이 주요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영어 검색에서는 주로 태스크 추출 용어 중심 검색어 구성, 제한된 검색범위 선호, 카테고리나 링크 등 아이템과 아이템 간 관련성에 의존한 탐색 대상 아이템 선택, 동일 아이템의 반복적 탐색, 웹 페이지의 일부 내용 브라우징, 그리고 사전 및 번역기와 같은 언어지원도구의 빈번한 사용 등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Even though information in many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is quickly increasing, English is still playing the role of the lingua franca and being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n the web.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key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using mother tongue as a search language” and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using English as a search language” of users who are non-mother tongue speakers of English to acquire more diverse and abundant informa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experiment on the web searching which is applied in concurrent think-aloud method to examine the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and the cognitive process in Korean search and English search through the twenty-four undergraduate students at a private university in South Korea.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this study applied the frequency analysis to web search pattern under search language. As a result, it is active, aggressive and independent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in Korean search, while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in English search is passive, submissive and dependent. In Korean search, the main features are the query formulation by extract and combine the terms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users, tasks and system, the search range adjustment in diverse level, the smooth filtering of the item selection in search engine results pages, the exploration and comparison of many items and the browsing of the overall contents of web pages. Whereas, in English search, the main features are the query formulation by the terms principally extracted from task, the search range adjustment in limitative level, the item selection by rely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items such as categories or links, the repetitive exploring on same item, the browsing of partial contents of web pages and the frequent use of language support tools like dictionaries or translators.

      • 시맨틱 웹 기술에 의한 표준 정보 검색 서비스의 진화

        정한민,이미경,김평,이승우,성원경,김태완,이종섭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 한국산업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본 논문은 시맨틱 웹 기술이 어떻게 국가 표준(KS) 정보 검색 서비스 내 정보들을 연계시키고 사용자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기존 표준 정보 검색 서비스는 용어 검색의 유연성이 부족하여 표준 정보에서 사용된 용어와 사용자 용어 간의 괴리를 해소하지 못했으며 표준, 기관, 인력 등 상호 관련성을 가진 개체 정보들을 개별적으로 서비스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사용자의 표준 정보 검색 서비스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의어, 관련어를 중심으로 한 표준 용어 사전 구축을 통해 사용자 용어와 표준 정보 내 용어 간의 원활한 매칭을 지원하며, 표준 관련 개체들을 온톨로지와 추론을 통해 연계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개선된 표준 정보 검색 서비스는 개선된 표준 정보 검색 서비스는 개체 중심적 통합 검색 결과 제공 방식으로 관련 정보들을 단일 웹 페이지 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특정 KS 표준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는 기존에 DB 접근이나 검색 엔진을 통해 바로 획득할 수 없었던 정부 표준들, 기관들의 해당 KS 표준 인용 현황, 해당 KS 표준 전문가들, 부합화를 위해 참조된 국제 표준들, 해당 KS 표준 전문가들, 부합화를 위해 참조된 국제 표준들, 해당 KS 표준 전문가 네트워크, 해당 KS 표준 내 표준 용어 사전 정보 등 다양한 관련 정보들을 조합하여 서비스한다. 본 연구를 위해 모델링된 온톨로지와 시맨틱 웹기반 서비스 프레임워크인 OntoFrame 상에서 추론 작업이 표준 정보 적재 시에 전방 추론 (Forward-chaining)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표준 온톨로지 질의 언어인 SPARQL (SPARQL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을 이용해 일반 검색 서비스 수준의 속도로 서비스될 수 있었다.

      • 상용 온라인 데이터 베이스(DIALOG/ProQuest)와 인터넷 데이터 베이스의 검색 기능 비교

        신명조,김현희 明知大學校 文獻情報學會 2001 文獻情報學論集 Vol.- No.7

        본 연구는 상용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 데이터베이스가 정보의 유형에 따라 검색 효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주제 분야는 에너지와 경제분야로 제한하였으며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는 이 두 주제 분야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DIALOG와 ProQuest로 지정하였고 인터넷의 경우는 전문검색엔진과 일반검색엔진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검색 효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하였다.첫째, 이 두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성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서 두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설문지를 통해 에너지 및 경제 분야 정보 이용자들의 정보 이용 형태를 조사하였다.둘째, 에너지와 경제 분야의 32개의 정보 질문들을 이용하여 탐색 실험을 하여 두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효율성을 측정, 비교하였는데 검색 효율성을 좀 더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 3개의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보시스템 유형이 상용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 데이터베이스의 적합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검증되지 못했다.또한 정보 유형에 따라 상용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 데이터베이스의 적합성이 차이가 난다는 가설은 동향분석 정보만 제외하고는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인터넷의 검색 효율이 높게 나온 이유로는 먼저 인터넷 검색에서 專門 정보가 비교적 많이 수록된 전문검색엔진을 사용한 점을 들 수 있고, 둘째는 인터넷 데이터베이스의 질적인 성장을 들 수 있으며, 끝으로 국내 정보 검색 환경에서는 인터넷에 익숙한 검색사들이 상용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능숙하게 다루는 검색사 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다는 점을 들 수 있다.따라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질문을 면밀히 분석하여 정보 유형을 파악한 후 적합한 데이터베이스를 제안해 주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키워드: 상용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데이터베이스, 정보검색 This study is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search function of the commercial online database(DIALOG/ProQuest) and internet database.In order to do this study questionnaire is practicedm and the retrieval effectiveness of these databases are measured and analyzed. key word: commercial online database, internet database, information retrieval

      • KCI등재

        STN International 온라인 정보검색(情報檢索) 시스템

        정혜순,Jeong, Hye-So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1992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23 No.3

        특이하게 운영(運營)되는 STN International은 세계 최대의 과학기술(科學技術) 온라인 정보검색(情報檢索) 시스템으로서 세 비영리기관인 미국(美國)의 Chemical Abstracts Service, 독일(獨逸)의 FIZ Karlsruhe, 일본(日本)의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센터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STN에서 빠르고 효율적인 정보검색(情報檢索)을 위해서 설계(設計)한 Messenger 검색(檢索) 소프트웨어 기능, 검색시간(檢索時間)과 노력을 줄이는 진보된 소프트웨어인 SYN Express, 그리고 STN에 수록된 데이터베이스에 관해서 기술(記述)하였다. STN International is operated in North America by CAS, a division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by FIZ Karlsruhe in Eruope ; and by JICST in Japan. All three are not-for-profit scientific organizations. This paper describes Messenger software that is designed for fast and efficient information retrieval, the advanced front-end STN Express software that saves time and effort, and databases in STN.

      • KCI등재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검색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은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3

        Multimedia needs and searching have become important in everyday life, especially in a younger gen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needs and searching behaviors are distinctive compared to textual information needs and searching behaviors in a wide variety of ways. By interviewing and observing multimedia needs and search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from 20 areas in Seoul,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n users' multimedia needs and how users search multimedia. The findings are presented in terms of searching sources, multimedia needs, relevance criteria and searching barriers. For multimedia, the searching sources are found primarily as Naver and Google and the distinguished features are present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multimedia types. As multimedia needs are categorized into generic, specific and abstract, most of the needs are classified as specific needs rather than generic needs, but there exis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s of multimedia. In addition, the aspects of relevance criteria and searching barriers are reflec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multimedia typ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distinctive indexing and searching environments depending on the types of multimedia might be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multimedia searching. 일상생활에서 멀티미디어 검색은 중요한 검색활동이며,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검색행태는 그 특성상 텍스트 기반의 정보요구와 검색행태와는 달리 고유한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남녀 대학생 20명의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검색행태에 관하여 탐색적 고찰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이에 따른 검색과정이 녹화 및 녹취되었으며, 사후심층면담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러한 데이터의 분석결과는 멀티미디어 검색원, 정보요구, 적합성 판단 근거, 검색저해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되었다. 검색원의 특징으로는 국내포털사이트와 구글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의 개별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반영한 검색원이 규명되었다. 멀티미디어 정보요구는 특정한 정보요구가 보편적인 정보요구에 비해 많이 추구되었으나 개별 멀티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보편적 정보요구의 비중은 다르게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적합성 판단 기준과 검색저해요인은 개별 멀티미디어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게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통합적 멀티미디어의 검색 환경에서 개별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특성이 반영된 검색환경 구현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대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특허정보 Database에 관한 비교 연구

        김기두,홍정표,김대정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 2019 지식재산 교육과 연구 Vol.7 No.1

        Patent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published application and patent documents of the world. The amount of patent informaion is awfully large because over 3 million patent applications are filed per year in the world and patent documents disclose most of information witten in the patent application and the specification. Patent Informaion search DBs contain quite an amount of patent information and provide tools to search the information easity by keywords or numbers. Patent information search means to search published patent documents by the patent information search DBs. Patent information search DBs available at the universitiy are basically KIPRIS, WIPSON and WISDOMAIN. Even though these search DBs include patent publications of Korea and major foreign countries, they are different in respect of search operators, searchable items, extent of data, search tools and auxiliary services. This thesis comparatively analyzes search tools, extent of data, search results concerning same technological subjects and compares the merits and demerits of KIPRIS, WIPSON and WISDOMAIN DBs for searching and analyzing patent information at the university. 특허정보란 각 국의 공개특허공보 및 등록특허공보에 수록된 정보를 말한다. 전 세계에서 연간 출원되는 특허건수가 3백만 건을 넘고 특허출원서 및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 대부분이 특허공보에 수록되기 때문에 특허정보는 그 자료가 매우 방대하다. 특허정보검색DB란 방대한 특허정보를 수록하고 키워드, 번호 등을 통하여 원하는 특허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정리해 놓은 데이터 베이스를 말하며, 특허정보검색이란 특허정보검색DB를 활용하여 특허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말한다. 대학교에서 특허정보검색을 위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검색DB는 무료DB인 키프리스와 유료DB인 윕스온 및 위즈도메인을 들 수 있다. 이들 검색DB는 모두 한국의 특허공보와 세계 주요국의 특허공보를 수록하고 있으나, 검색연산자, 검색항목, 데이터수록범위, 부가서비스 및 일부 검색기능에서 차이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 3개 검색DB의 검색기능, 제공되는 국내외 데이터의 범위, 동일한 검색식으로 검색했을 때의 검색결과에 대한 비교분석 등을 통해 대학교에서 특허정보검색 및 특허정보분석용으로 활용함에 있어서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 검색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권창호 한국기록학회 2009 기록학연구 Vol.0 No.19

        최근, 웹을 이용한 기록정보의 유통과 이용이 증가하고, 정보적 활용 가치가 제고되어 웹사이트를 이용한 기록정보서비스가 기록관의 중요업무로 부각되고 있다. 웹을 이용한 기록정보서비스의 핵심은 이용자가 원하는 기록정보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검색시스템의 기본 메커니즘인 이용자질의와 기록정보표현의 매칭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 관리자들은 다양한 정보표현 도구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용자들은 여전히 정보검색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는 기록물의 기술정보 메타데이타를 중심으로 정보자원을 구조화하여 이용자 질의의 접근점을 확장하고, 의미있는 매칭을 통해 지식자원화된 검색결과값을 제공하기 위해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구축대상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불특정 이용자이며, 구축범위는 국가기록포탈의 기록자원 중 대통령 기록물로 선정하였다. 구축단계는 다음과 같다. 1)기록물의 기술정보 메타데이타를 중심으로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을 설계한다. 2)설계한 온톨로지 모델을 바탕으로 국가기록포탈에서 추출한 정보자원목록을 에디터를 이용해 토픽맵으로 반입하여 검색시스템으로 구현한다. 3)구축된 검색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테스트질의를 통해 토픽맵기반 검색시스템의 특징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평가한다. 최종적으로, 의미적 추론에 의한 연관 네비게이션검색을 확인하고, 분산된 기록정보자원 간의 연계된 결과값을 통해 지식자원화의 가능성도 제시한다. Recently, distribution of record via web and coefficient of utilization are increase. so,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using website becomes essential part of record center. The main point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by website is making record information retrieval easy. It has need of matching user's request and representation of record resources correctly to making archival information retrieval easy. Archivist and record manager have used various information representation tools from taxonomy to recent thesaurus, still, the accuracy of information retrieval has not solved. This study constructed record retrieval system based on Topic Map by modeling record resources which focusing on description metadata of the records to improve this problem. The target user of the system is general web users and its range is limited to the president related sources in the National Archives Portal Service. The procedure is as follows; 1) Design an ontology model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opic map which focusing on description metadata of the records. 2) Buildpractical record retrieval system with topic map that received information source list, which extracted from the National Archives Portal Service, by editor. 3) Check and assess features of record retrieval system based on topic map through user interface. Through the practice, relevance navigation to other record sources by semantic inference of description metadata is confirmed. And also, records could be built up as knowledge with result of scattered archival sources.

      • KCI등재

        의사의 임상질문 해결을 위한 온라인 정보검색과정 연구

        김순,정은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16 정보관리학회지 Vol.33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physicians’ online information search process to solve the clinical questions at the point of care. To achieve this purpose, ten university hospital-based physicians participated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studies. Based on Wilson’s problem solving proces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formation search stage and efficiency of online searching.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tend to relatively immediately formulate their clinical questions. However, basic searching strategies were only used and a few preferred information sources were chosen. However, average satisfaction degree of online searching appeared high with 5.7 (7 Likert-scale) and problem-solving index increased after searching. As physicians are likely to use well organized and evidenced-based credible information easily, it implies the needs for an integrated search system with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In addition, as other online resources’ awareness is lower comparing Google and PubMed, active promotions and training of other resources are needed. 본 논문은 임상의사가 환자치료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상에서 정보검색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병원 내과 전문의 10명을 대상으로 관찰조사와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Wilson의 문제 해결 모형을 기반으로 임상의사가 임상질문 해결을 위해 온라인상에서 검색하는 단계별 특성과 정보검색의 효용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의사는 사전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즉각적인 임상질문을 구성하지만, 실제 검색에서는 대부분 기본 검색전략만 사용하였으며, 본인에게 익숙한 특정 정보원만을 선호하였다. 하지만, 온라인 정보검색 평균 만족도는 7점 리커트 스케일 기준 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검색 후에 문제해결지수가 상승하였다. 임상의사는 잘 정리된 근거 중심의 신뢰성 높은 정보를 빠르고 쉽게 이용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환자 진료시스템에서 바로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검색시스템의 연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구글이나 PubMed 외에 다른 온라인 정보원에 대한 인지도는 현격히 낮게 나타나 다른 정보원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활용교육의 활성화도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데이타베이스 실험검색을 통한 정보스캐닝에 관한 연구

        유사라,박민영,Yoo, Sa-Rah,Park, Min-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200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4 No.1

        As the Web continues to expand and the amount of database increases, it is argued that the information scanning in web-centric search and retrieval become an important and professional activity. This analysis was performed to diagnose the ability of information scanning of searchers and to investigate the obstacles hindering the searchers from information scanning. Findings indicate that, even if the undergraduate students of information & library science had been exposed themselves to the LIS curriculum for four or three college years, their ability of information scanning was not sufficient enough to carry out successful DB searching or retrieval services as subject specialists.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information scanning ability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were derived from the experiment results. 본 연구는 과잉 공급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스캐닝 훈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 검색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스캐닝과 그를 저해하는 요소를 조사하였다. 과학기술분야 전공 석 박사학위 이상의 검색 의뢰인을 이용자로 선정하고 문헌정보학 전공 4학년생이 검색자가 되어 검색을 진행하며 그 과정에서의 정보스캐닝을 모니터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검색에서 나타난 것은 검색자 대부분이 단순탐색이상의 검색을 요하는 전문분야 정보의뢰에 대해서는 탐색된 결과에 대한 중요성 판단과 선별에 필요한 정보 스캐닝을 제대로 해내고 있지 못했으며, 최종적으로 이용자에게 제공할 정보을 조직하거나 구성하는 역할을 충분하게 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검색전문가로서의 능력배양을 위해서는 특정 전문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하며 그를 바탕으로 정보스캐닝 훈련이 주제별로 세분되어진 DB검색 실습으로 지원되어야 한다는 점이 실증적으로 지적되었다.

      • KCI등재

        퍼지관계곱 기반 퍼지정보검색시스템 구현

        김창민,김용기,Kim, Chang-Min,Kim, Yong-Gi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8 No.2

        퍼지관계 개념에 기반한 BK-FIRM(Bandler-Kohout 퍼지정보검색기법)은 형태론에 입각한 기존의 정보검색기법과는 달리 문서와 용어의 상대적 의미에 근거한 퍼지정보검색기법이다. BK-FIRM은 시소러스 자동 구축 기능, 검색 결과의 퍼지화된 우선 순위 제공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BK-퍼지정보검색기법은 높은 시간복잡도(time complexity)의 검색 연산을 내재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 적용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축소용어집합을 이용하여 BK-FIRM의 시간복잡도를 낮춘 A-FIRM(개선된 Bandler-Kohout 퍼지정보검색모델)을 소개하고 이를 정보검색시스템으로 설계 및 구현한 A-FIRS(개선된 Bandler-Kohout 퍼지정보검색시스템)를 구현한다. A-FIRS는 크게 문서베이스와 시소러스를 구축하는 전처리부(preprocess unit)와 사용자의 검색요구를 처리하여 문서를 검색하는 실시간처리부(real-time process unit)로 나누어지며, 각 처리부는 기능적 특성에 따라 4개의 처리단계로 구성된다. A-FIRS는 WWW 기반 환경과 연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WWW 환경의 사용자로부터 주어진 검색요구를 처리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