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과나무의 수체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관비의 효과

        박무용(Moo-Yong Park),강인규(In-Kyu Kang),양상진(Sang-Jin Yang),정재권(Jai-Kwon Cheung),변재균(Jae Kyun Byun) 한국원예학회 2004 원예과학기술지 Vol.22 No.2

        본 실험은 1996년부터 1999년까지 4년동안 ‘후지’/M.26 4년생을 이용하여 시비량을 추천시비량의 1/3로 줄여 관비로서 공급하였을 때 수체생장과 과실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농촌진흥청 표준시비량을 요소, 용성인비, 염화칼륨으로 추천 시비방법에 따라 시비한 구를 대조구로 하였고, 관비는 N:P:K의 비율을 10:5:7.5로 한 조제액비(RF) 관비처리구와 N:P:K의 비율이 17:8:26인 시판용 액비 Polyfeed-52(PF-52) 관비처리구를 각각 두었다. 대조구로는 10a당 시비량을 농촌진흥청 추천시비량인 N:P:K=10:5:7.5㎏으로 하고, N과 K는 기비 60%와 추비 40%로 나누어 시비하였고, 인산은 전량 기비로 사용하였다. 수체생육 상태는 관비처리구들에서 절간장과 평균 신초장이 대조구보다 짧았으며 정단신초장과 신초발생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평균 과중은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다소 큰 경향이었으나, 수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경도는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착색의 정도도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Hunter a값이 높고 b값은 낮아 보다 선명한 착색을 보였다. 엽내 인산 함량은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그 밖의 N, K, Ca, Mg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토양내 질소와 칼리 함량을 보면 관비처리구들에서는 시기별변화가 적었으나 대조구에서는 6월에서 9월까지 관비처리구들에서 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농촌진흥청 추천시비량의 1/3로 줄인 관비처리가 토양에 추천시비량을 시용하는 것보다 사과나무의 수체 안정과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하는데 더 우수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fertigation on the tree growth, fruit quality and yield in 4-year-old ‘Fuji’/M.26 apple trees for four years from 1996 to 1999. The treatments were prepared with liquid refining fertilizer (RF, N:P:K=10:5:7.5 ㎏/10a) and commercial liquid fertilizer, Polyfeed-52 (PF-52, N:P:K=17:8:26 ㎏/10a). The control (N:P:K=10:5:7.5 ㎏/10a) was prepared with nitrogen, potassium and phosphate. Nitrogen and potassium were applied 60% basal fertilizer and 40% side dressing. Phosphate was applied with 100% basal fertilizer for this experiment. The length of internode and the average length of shoot were shorter in RF and PF-52 treated apple tre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hoots and length of the terminal shoot. The average fruit weight was slightly heavier in the treatments than the control,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ruit number among treatments. In addition,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and hardness were higher in RF and PF-52 treatments. Fruit coloring in the treatment was much brighter than the control as Hunter ‘a’ value was higher and ‘b’ value was lower. Phosphate content in leaves was higher in RF and PF-52 treatment, and nitrogen,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were not different. Nitrogen and potassium content in soil were a little bit changed through RF and PF-52 treatment, but those of the control was higher between June and Septemb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rtigation seemed to be useful for the better coloration and increase of nutrient uptake efficiency in the production of fruits with high quality and stabilization of tree growth in ‘Fuji’/M.26 apple trees.

      • KCI등재

        EC기준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코크피트배지 재사용이 여름작형 파프리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장동철(Dong-Cheol Jang),최기영(Ki-Young Choi),여경환(Kyung-Hwan Yeo),김일섭(II-Seop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6 No.2

        본 실험은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지 재사용이 여름 파프리카의 생육 및 착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30% 배액 재사용을 기준으로 새배지, 1년 재사용 배지, 2년 재사용 배지로 구분하여 4월 18일부터 2016년 11월 31일까지 30주간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생육초기 초장은 2년 재사용 배지가 신규배지보다 길었지만 이후 역전되어 최종 생육초장은 56.58㎝ 짧았다. 1그룹 개화위치는 재사용 배지가 새배지에 비해 2.92㎝ 짧았고, 2그룹 개화위치는 0.31㎝ 길었다. 생육초기의 상대적 절간장은 재사용 배지를 사용할 경우 새배지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생육 후기의 불균형이 심화되었다. 1, 2년 재사용 배지의 생육마디수는 27.4마디로 가장 적었다. 하지만 수확마디수는 시험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2년 재사용 배지의 수확율이 26.8%로 가장 높았다. 비상품과의 비율은 생육이 진전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체중은 새배지가 227.7g, 2년 재사용 배지가 219.2g으로 재사용 배지가 21.2g 적었다. 건물중은 전 생육기간중 4그룹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 시기의 새배지의 건물중은 17.13g, 1년 재사용 배지 18.26g, 2년 재사용 배지 19.28g으로 배지를 재사용 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 생육기간의 평균 수분함량은 배지를 재사용 할수록 적었는데, 1년 재사용 배지가 2년 재사용배지보다 약 20g 더 적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전 생육 기간 동안 꾸준히 나타났다. 특히 1년 재사용배지는 3그룹 이후부터 다른 시험구에 비해 약 60g 이상 적었다. 결론적으로 코이어 배지를 재사용한 파프리카 순환식 수경재배시 중기생육 이후의 세력약화로 인한 비상품과의 발생을 유의하여 관리한다면 배지의 물리·화학성의 변화 및 병원균 감염에 의한 수량감소와 품질저하 등은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s of substrate reuse on the growth and yield of summer paprika in cyclic hydroponics. The test group was divided into a new coco slab, one year reused coco slab two year reused coco slab based on 30% nutrient solution reuse, and was performed from April 18 to November 31, 2016 for 30 weeks. As a result, plant height of early growth was that the 2 year reused slab was longer than the new slab but the final growth period was 56.58 ㎝ shorter. First group flower position was that reused slab was shorter by 2.92 ㎝ than the new slab and the second group flower position was 0.31 ㎝ long. The relative internode length of early growth, when the reused slab was used, the imbalance in the late growth stage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use of the new slab. The number of growth nodes in the 1 and 2 year reused slab was the smallest with 27.4 nodes. However, the number of harvested nodes did not show the difference in the test group, and the ratio of harvested that the 2 year reused slab was the highest at 26.8%. The ratio of unmarketable fruit tended to increase as the growth progressed. Fresh weight was 227.7g for new slab, 219.2g for 2 year reused slab and 21.2g for 1 year reused slab. The dry weight of the new slab increased with the reuse of the slab. It was 17.13g for new slab, 18.26g for 1 year reused, and 19.28g for 2 year reused. The average water content of the entire growth period was smaller as the slab was reused, and the 1 year reused slab was about 20g less than the 2 year reused slab. This trend was steadily occurring throughout the entire growing season. Especially, the reused slab for 1 year was less than 60g after 3 groups compared to other test groups. In conclusion, If will control seriously occurrence of unmarketable fruits by weakening after medium growth in summer-cultivated paprika in EC-based recycling hydroponic cultivation with reused cocopeat substrate, It is not what I have to worry that decrease of the yield and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due to the change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lab and the pathogenic bacteria infection.

      • KCI등재

        백침계 오이의 적심방법과 관수부위 확대가 측지발생수와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상규(Sang-Gyu Lee),강용구(Yong-Gu Kang),박동금(Dong-Kum Park),박경섭(Kyung-Sup Park),허윤찬(Yun-Chan Heo),고관달(Kwan-Dal K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4 No.1

        측지연속 적심과 관수부위를 확대하여 재배한 결과, 정식후 30일경의 생육특성은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장측지 발생수는 측지연속 적심과 관수부위 확대 처리구가 주당 10.1개로 가장 많았고, 측지연속 적심과 관행관수 처리구는 8.9개이었으며, 측지 1줄 연장재배와 관수부위 확대 처리구는 5.7개, 대조구는 5.6개이었다. 단측지는 4.9~3.7개로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지만 총측지 발생수는 측지연속 적심과 더불어 관수부위를 확대시킨 처리구와 측지연속 적심과 관행관수 방법으로 관리한 처리구가 각각 15개와 12.5개로 많았으며, 측지 1줄 연장재배와 관수부위 확대 처리구, 측지 1줄 연장 재배와 관수부위를 확대하지 않은 처리구가 각각 10.6개와 9.7개이었다. 상품수량에 있어서는 측지연속 적심과 관수부위 확대 처리구가 60,380 ㎏/ha으로 대조구에 비해 38% 증수되었고, 측지연속 적심과 관행관수 처리구가 54,670㎏/ha으로 25% 증수되었으며, 측지 1줄 연장재배와 관수부위 확대 처리구는 46,400 ㎏/ha로 6% 증수효과가 있었다. 즉, 백침계 오이를 재배할 경우, 측지는 연속 적심을 하고 관수부위를 생육 중후기에 이동시켜 주는 것이 측지 1줄기를 연장재배하고 관수부위를 확대하지 않는 처리에 비해 측지 발생도 많고 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ontinuous lateral shoot pinching and gradual adjustment of drip irrigation lines in improving plant health as well as fruit yield and quality in white-spined cucumber grown in the greenhouse. Grafted white-spined cucumber seedlings were established at a density of 18,000 plants per ha in a greenhouse. Main stems were pinched at 21<SUP>st</SUP> node. Each of the lateral shoots was pinched at the 3rd node and 2-3 fruits per lateral shoot were harvested. Drip irrigation lines were gradually adjusted to provide water to the area of maximum root concentration. Plants grown with these combined treatments produced 55% more lateral shoots and 38% more marketable yield, as compared to the control.

      • KCI등재

        겨울정식 파프리카의 적정 품종 선정을 위한 품종간 생육 및 착과 특성 비교

        장동철(Dong-Cheol Jang),최기영(Ki-Young Choi),허재윤(Jae-Yun Heo),김일섭(Il-Seop Kim) 한국원예학회 2016 원예과학기술지 Vol.34 No.3

        본 실험은 10개의 겨울정식 파프리카 품종에서 재배기간 동안 관찰되는 생육과 착과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을 위해서 공시된 품종은 적색계 파프리카 ‘Maduro’, ‘Maranello’, ‘Nagano’, ‘Sirocco’와 ‘Special’, 황색계 파프리카 ‘Coletti’, ‘Sven’, ‘Thialf’, ‘Volante’와 ‘Zagato’이었으며, 실험은 2013년 겨울부터 2014년 가을까지 42주 동안 실시되었다. 각 품종별 생육 특성의 검정은 파프리카의 생육 단계를 기준으로 하여 Group 1에서부터 Group 6까지 6회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파프리카 품종에서 생육초기 상대적 절간비율은 모든 품종에서 평균 이상의 범위를 보였다. 하지만 생육이 진전될 수록 상대적 절간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적색계 품종에서 황색계 품종에 비해서 컸다. 여름 재배기간 동안 ‘Special’과 ’Zagato’는 생장이 억제가 된 반면, ‘Maranello’와 ‘Volante’은 생육균형이 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착과율은 황색계 품종이 적색계 품종에 비해서 전체 마디수가 4.1마디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적색계 품종에 비해서 10.8% 높았다. 6월과 7월에 성과기를 거친 이후에 측정된 Group 4에서의 착과량은 ‘Sirocco’와 ‘Coletti’가 다른 품종에 비해 적었던 것으로 보아 공시 품종 가운데 장마기 환경에 민감한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측고가 높은 온실에서 여름 재배에 적합한 품종은 ‘Maranello’, ‘Nagano’, ‘Sven’, ‘Thialf’, and ‘Volante’ 이며, 측고가 낮은 온실에서 여름재배에 적합한 품종은 ‘Maranello’, ‘Special’, ‘Volante’와 ‘Zagato’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growth and fruit setting characteristics in ten winterplanted paprika (Capsicim annuum L.) cultivars. Five red line paprika cultivars (‘Maduro’, ‘Maranello’, ‘Nagano’, ‘Sirocco’ and ‘Special’) and five yellow line paprika cultivars (‘Coletti’, ‘Sven’, ‘Thialf’, ‘Volante’ and ‘Zagato’)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42 weeks, from winter of 2013 to autumn of 2014. Based on the growth stages of paprika, growth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six times, and each investigation was categorized from group 1 through group 6. The relative internode ratio showed a normal range at the early growth stage, but tended to gradually decline as growth progressed. This trend was greater in red line paprika than in yellow line paprika. Among the cultivars used for this experiment, ‘Special’ and ‘Zagato’ showed growth inhibition, whereas ‘Maranello’ and ‘Volante’ kept a balanced growth during summer cultivation. The fruit set percentage in yellow paprika was 10.8% higher than in red paprika, while the number of branches in yellow paprika was 4.1% less than in red paprika. When measured after the full fruiting age, from June to July, the number of fruit set in group 4 was much lower in ‘Sirocco’ and ‘Coletti’ than in any of the other cultivars, indicating that they were more sensitive to the growth environment during the rainy seas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ranello’, ‘Nagano’, ‘Sven’, ‘Thialf’, and ‘Volante’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summer cultivation in a high-plastic-film greenhouse, and ‘Maranello’, ‘Special’, ‘Volante’, and ‘Zagato’ could be good candidates for a low-plastic-film greenh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