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 전통의 재인식

        김용태 ( Yong Tae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본고에서는 먼저 문헌비판과 실증주의 역사학의 연구방법론을 특징으로 하는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식민지기 한국불교사 연구의 계보학적 특성 및 그 의미를 ‘전통의 집성’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어 한국불교 전통에 대한 부정과 긍정의 극단적 인식과 평가를 검토하고 ‘불교의 근대적 원형’ 추구와 이어 펼쳐진 ‘전통의 재발견’ 시도에 주목하였다. 근대불교학은 주석학 중심의 전통 불교학이 갖는 교조적 특성과는 달리, 원전 비평을 통한 객관적 접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식민지기에는 문헌 수집과 계보학적 분류, 엄밀한 텍스트 분석과 주제별 연구가 이루어졌고 전통의 자화상이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한국의 불교전통에 대한 식민지기의 인식 및 평가에는 부정적인 폄하의 시각이 두드러졌는데,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조선시대 시기구분론이나 교학쇠퇴론, 비주류 위상의 강조 등에서 타율성과 정체성에 근거한 특수론의 확산을 볼 수 있다. 반대로 崔南善 등에 의한 전통에 대한 긍정적 시각도 나타났고 한편 이전에 무비판적으로 통용된 개념적 오류나 잘못된 이해가 불식되기도 하였다. 1910년대에는 특히 문명개화론과 맞물려 ‘조선적 전통’보다 ‘불교의 근대적 원형’이 추구되었고 이후 연구 성과가 축적되면서 불교 전체의 역사와 함께 조선의 불교전통을 통시적으로 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불교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서 禪宗 전통의 재발견, 通佛敎 인식, 宗名 논의와 宗祖 문제가 시대담론으로 부상하였다. 즉 불교전통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인식의 심화가 전통의 재발견과 새로운 전통의 창출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This study firstly considered the adoption of modern Buddhist study focused on literature criticism and methodology based on the empirical historical study. Secondly it also deliberated the genealogical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Korean Buddhist study in colonial age from the aspect of `tradition collection`. In addition, the study reviewed the extrem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negative or positive view of Korean Buddhist tradition and paid attention to the search for `modern infinitive of Buddhism` and the consecutive trial of `rediscovery of tradition`. Unlike the doctrinal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Buddhist study focused on exegetics, modern Buddhist study has the characteristic of objective approach through original text criticism. Through that, literature collection, genealogical classification, strict text analysis and study of each theme were performed and traditional self-portrait appeared. Negatively derogative viewpoint was outstanding in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about the Buddhist tradition of Korea by Takahashi Toru. His emphasis on the expansion of special theory based on heteronomy and identity are found in the doctrine of Joseon dynasty period classification, doctrine of decline and the doctrine of non-mainstream phase. On the contrary, Choi Nam-Seon and other people showed positive viewpoints about tradition. Conceptual error or wrong understanding, which was commonly used without criticism, was swept off. Especially, in 1910s, rather than `tradition of Joseon`, `modern infinitive of Buddhism` geared with civilization theory was search for. After that, as study results were accumulated, the Buddhist tradition of Joseon was diachronically lightened with the history of entire Buddhism. Therefore, as a new understanding of Buddhist tradition, rediscovery of Seon school tradition, recognition of Pan-Buddhism, discussion of school name and issue of school founder appeared as discussions of the age. In other words, historical understanding of Buddhist tradition and deepened recognition were led to rediscovery of tradition and creation of new tradition.

      • KCI등재

        불교지성의 연구활동과 근대불교학 정립

        이봉춘(Bong Choon L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근대 불교지성의 연구 활동과 근대 불교학의 정립을 살피는 일은 곧 한국불교의 근대정신 및 근대성을 이해하는 작업으로서도 일정한 의미를 갖는다. 근대 불교학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한국불교가 처한 대전환기적 시대상황과 함께 불교지성의 다양한 동향 속에서 싹트고 성장해 왔다. 즉 근대사회로의 급격한 변화와 일본의 식민정책 하에서 교육·문화·불교개혁·외국유학 활동 등 불교지성들의 근대적 지적 동향을 바탕으로 근대 불교학이 싹트고 성장해 온 것이다. 근대 불교학을 이끌어 온 주역들은 물론 그런 시대상황과 동향 속에서 형성된 일단의 불교학자들이었다. 근대 불교학자군에 포함시킬 수 있는 인원은 대략 20명 내외로 헤아려지며, 학문적 배경 및 연구 성향에 따라 이들은 다시 몇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통교학자, 실천적 교학자, 유학 출신 신진학자의 그룹이 그것이며, 한국불교학 연구에 기여한 일본인 학자들도 한 그룹을 이룬다. 이들 근대불교학자들은 몇몇을 제외하고 는 거의 대부분이 在俗者로서 생활했던 승려신분으로, 이런 현상은 당시 한국불교의 한 특징적인 時流를 반영한다. 어쨌든 종교적 과제를 안고 있는 승려이자 학문적 과제를 추구해야할 불교학자로서 이들의 신분적 자각은 불교학 연구 활동의 기본적 배경이 되었다. 또한 일본의 불교문화 및 근대화된 불교학의 영향 그리고 불교 지성계 전반의 근대에 대한 시대인식 속에서 표출되고 있는 활발한 불교개혁론의 제기, 신학교기관을 통한 청년교육 활동, 근대적 지적활동으로서의 다양한 불교잡지의 간행과 논문 발표 등은 불교학 연구의 또 다른 배경을 구성한다. 근대 불교학자들이 이룩한 연구업적은 양적인 면에서 의외로 방대하며 연구주제 와 내용 또한 다양하고 풍부한 편이다. 근대 불교학의 정립은 곧 이같은 학문적 업적과 성과를 말함이다. 따라서 그것을 ①불교학 기본자료 ②한국불교·한국불교사 ③교학 및 불교사상 ④석가모니·인도불교 ⑤불교신앙 및 포교 ⑥종교사·종교학 ⑦불교사회·문화·기타의 주요 연구분야로 묶어 검토할 때, 우리는 근대불교학의 대략적인 윤곽을 그려볼 수 있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분야는 ②와 ③이다. 근대 불교학 연구의 출발 계기와 주요 과제가 우선 한국불교의 정체성 확립에 있었다 할 때 한국불교 및 한국 불교사 분야에 연구의 관심과 노력이 집중되고 있음은 당연한 현상이다. ②의 분야가 주로 전통교학자들에 의해 큰 성과가 나왔다면, ③의 교학 및 불교사상 분야에서는 신진학자들의 연구 개척 노력이 돋보인다. 근대불교학은 물론 그 자체로서 완성태는 아니다. 근대정신 및 근대성에 합당한 연구 업적과 성과를 충분하게 이루었다고 말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연구들을 통해 근대 불교학이 정립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이후 한국불교가 불교학 연구에 더욱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수 있게 되었음은 분명한 일이다. Observing carefully the research activities of Korean Buddhist intellectuals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Buddhist studies in modern ages has some meaning as the work to be able to understand both the modern spirit and the modernity of the Korean Buddhism.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has been sprouted up and grown up by various research activities of Buddhist intellectuals with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e great turning point of Korean Buddhism between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early of the twentieth century. In other word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and rapid change into modern society,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has been built up and grown up by the Buddhist intellectuals based on their modern intellectual trend such as education, culture, Buddhist reformation and the activities during their studying abroad. In brief, the leading Buddhist intellectuals of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were such Buddhist scholars as were built up in the trend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ose who belong to the modern Buddhist scholars are roughly estimated some 20 and they are able to be divided into a few groups by their scientific backing or their research disposition. Traditional Buddhist scholars, practical Buddhist scholars, new Buddhist scholars who studied abroad, and Japanese Buddhist scholars who contributed to the Korean Buddhist studies form those groups. Those modern Buddhist scholars were mostly married Buddhist monks except some, which reflected the Japanese Buddhist tradition and such tradition was the characteristic current in the Korean Buddhism of the times. Anyway, though they were the Buddhist scholars who had religious problem as the priest and obliged to investigate academic task, the awareness of their social status became the basic background on the research activities concerning Buddhist studies. In addition, the Japanese Buddhist culture, the influence of Japanese modernized Buddhist studies, and the awareness of the Korean Buddhist intellectuals of the times formed the other background on the research of Buddhist studie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modern Buddhist scholars are not only unexpectedly massive in terms of quantity, but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studies are also various and plentiful. For the reasons stated above, the formation of modern Buddhist studies stands for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the results on Buddhist studies. Accordingly, we would be able to grasp the general outline of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as follows: ①Basic materials for Buddhist studies ②Kore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③Buddhist studies and Buddhist thought ④Sakyamuni and Indian Buddhism ⑤Buddhist faith and missionary work ⑥The history of religion and the science of religion ⑦Buddhist society, Buddhist culture, and other subjects. Among the above ② and ③ are especially remarkable fields of study. As the start opportunity and main problem for modern Buddhist studies were chiefly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for the Korean Buddhism, it was natural phenomenon that modern Korean intellectuals exerted all possible efforts on both fields of Kore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While traditional scholars produced good results on both fields of ②Kore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on the other hand new intellectuals had excellent results on both ③Buddhist studies and Buddhist thought. It is true that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might not be a complete state in itself, for it did not accomplish perfectly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results in terms of modern spirit and modernity. And yet, as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could be settled through the above all possible efforts on various research activities by modern Korean intellectuals, it is obvious tha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earch activities the Korean Buddhism has been able to open a new skyline on the Korean Buddhist studies and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

        佛敎學報(불교학보)를 통해 본 한국불교연구의 동향

        이기운(Ki Woon Lee),조기룡(Ki Ryong Cho),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불교학보』는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불교학 전문 학술지로서, 불교교학 불교사 불교문화 전반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이 논문집은 1962년 창설된 불교문화연구소에서 이듬해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2년 12월 현재 50년 동안 63집을 발간하고 있다. 불교계에 이렇다 할 학술논문집이 없었을 때, 불교계 최초로 창간되어 그동안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업적을 발표하는 대변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으며, 한국 불교학의 흐름을 보여주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제시하는 선구 논문집으로서 소임을 다해왔다. 이제 연구원 개원 50주년 63집을 발간하면서,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회고하고 불교학보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50년 불교학보의 나아갈 길을 전망하고자 이 글은 기획되었다. 그동안 불교학보게재논문의 동향을 보면, 다음의 몇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게재 논문들은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교학사상과 불교사, 불교신앙과 문화에 있어서, 한국불교의 주체성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교학연구의 탈근대화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동국대학교가 세워지면서 불교계에는 비로소 현대적 불교교육이 실시되어 불교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현대적 불교학의 성과들은 『불교학보』를 통하여 학계에 소개되면서 현대적 불교학으로서 학문경향이 학계에서 자리잡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셋째, 종파의 탐구와 禪學의 연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면서 근본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교파의 교학사상을 바로 밝히려는 노력과 선학의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넷째, 고자료의 발굴을 통하여 한국 불교학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전통적인 불교학 외에 현대과학과 의학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불교학이 소개되었다. 다음은 앞으로 『불교학보』가 나아갈 길에 대해서는 한국불교학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미래불교의 비젼을 다음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1960년대 이후 2000년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 불교학의 硏究推移를 통해서 한국 불교학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한국 불교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앞으로 전통 불교학을 기반으로 응용 불교학을 더욱 진흥시키는데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불교학계의 권위지로서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우수한 신진학자의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불교학보』의 방향설정을 통하여, 우리논문집은 국내저명학술 지로서 만족하지 않고 불교학계의 국제저명학술지로 지향점을 두어 한국 불교학을 국제 불교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에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Bulgyohakbo(Journal for the Buddhist Studies; 佛敎學報) is a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at Dongguk University, and it is publishing treatises in general on Buddhist doctrinal studies, the history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Beginning with the first issue in 1963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in 1962, it has published 63 treatise collections as of Dec. 2012 for 50 years. When there were no treatise collections to speak of, it started its publ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Buddhist community. Since publishing its first issue,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of a spokesperson presen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uddhist scholars, and it has filled its role of a pioneering collection of treatises showing the flow of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the Buddhist research. While we publish the 63rd treatise collection in commemo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the institute, this writing was planned in order to look back on its academic achievements, ascertain its identity, and to put its course during its new 50 years into perspective. If we get a full review of the treatis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lgyohakbo,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atis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onfirm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disillusion toward Korean Buddhism.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clarify the independence of Korean Buddhism in respect of Buddhist philosophy, the history of Buddhism, Buddhist faith, and Buddhist culture through reopening their eyes to Korean Buddhism. Secondly, they led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doctrinal studies. After Dongguk University was founded, modern Buddhis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Buddhist scholars began to be turned out. Their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odern Buddhist research wer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 Bulgyohakbo, so that this magazine came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n academic trend as modern Buddhist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Thirdly, as research on Buddhist orders and Seon studies was done in depth, the efforts to correctly illuminate the doctrinal philosophies of all denominations from the fundament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were made, and a systematic research on Seon studies was done. Fourthly, the excavation of old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ifthly, diverse applied Buddhist studies in relation to modern science, medicine, and art besides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have been introduced. Next, regarding the course this Bulgyohakbo should take, as far as the task to set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right and the vision of the future Buddhism Firs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gress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rom 1960s to 2000s, it should keep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it should prepare the academic found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Secondly, it should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promotion of applied Buddhist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Thirdly, it should maintain and develop the status of an authoritative journal in the Buddhist academic circles, and it should fulfill the role of the gateway to th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by excellent rising scholars. Finally, through establishing these directions for the Bulgyohakbo, our collection of treatises should aspire toward a well-know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never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a famous Korean academic journal, so that it should show no neglect of promulgating Korean Buddhist studies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mmunity.

      • KCI등재

        동아시아 근대 불교연구의 특성과 오리엔탈리즘의 투영

        김용태(Kim, Yong-tae) 역사학회 2011 역사학보 Vol.0 No.210

        First and foremost, this study reviews the text-centrist study of modern Buddhism as established in the West, orient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oriental study, all of which follow the concept of "dual otherness." The study also examines characteristics of modern Buddist studies as they currently exist in Korea, China and Japan. Projection caused by orientalism seen in post-nationalist Buddhism, including pan-Buddhism, Zen Buddhism and Korean Buddhism was also consider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image of Buddhist tradition is composed of modern Buddhist study, but that aspects such as otherness, abolition and denial of tradition and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concepts owe their existence to orientalism.

      • KCI등재

        식민지기 한국인·일본인 학자의 한국불교사 인식 - 공통의 지향과 상이한 시각 -

        김용태 ( Kim Yong Tae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6

        20세기에 들어 근대학문의 연구방법론이 적용되면서 한국불교의 전통의 상이 조형되었다. 서양에서 성립해 일본을 거쳐 수용된 근대학문으로서의 불교학은 보편적인 지적 권력을 가졌고, 그로부터 학문적 권력을 획득한 식민지기 일본인 학자들은 한국불교사의 근대적 연구에 기여했다. 하지만 동양학적 접근, 그에 따른 폄하와 부정의 `타자화` 또한 동시에 이루어졌다. 본고는 한국인 학자의 한국불교사 토대 구축, 일본인 학자의 동양학적 시각과 연구 성과, 그리고 부정과 긍정의 두 측면이 교차된 전통의 자화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학과 역사학을 근간으로 하는 근대학문의 방법론 적용과 근대성의 지향은 양자에게 공통된 지점이었다. 다만 일본인 학자의 관점에는 타자에 대한 오리엔탈리즘의 시각이 짙게 깔려 있었다. 이는 당시의 맹목적 근대지상주의와 식민지라는 현실 상황에서 배태된 것이었다. 그와 반대로 해방 이후 현재까지 탈식민주의와 민족주의의 지향이 학술 담론에 깊이 스며들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을 되짚어 보기 위해서라도 식민지기 연구의 공과 과에 대해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image of Korean Buddhist tradition was cre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scholarly methodologies in the twentieth century. Buddhist studies as a modern academic field which had developed in the West came to Korea through Japan and engendered intellectual power and authorities.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held academic authorities with their expertises in Buddhist studies and contributed modern research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However, their Orientalist view and its consequent “objectification” with disparage or negation were also simultaneously carried out. This paper explores Korean scholars` construction of the basis for the history Korean Buddhist tradition, Japanese scholars` Orientalist view and researches, and the self-image of the tradition that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shared the orientation toward modernity and modern academic methodologies that were based on philology and historical studies. However, Japanese scholars` approach were tinged strongly with Orientalist perspective, which was brewed from the colonial situation, along with blind support for modernization. On the contrary, Korean scholarly discourses since the time of liberation have been characterized by their orientation toward post-colonialism and nationalism. In order to examine these current trend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erits and demerits of research works on Korean Buddh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우수등재

        동아시아 근대 불교연구의 특성과 오리엔탈리즘의 투영

        역사학회 2011 역사학보 Vol.0 No.210

        <P>&nbsp;&nbsp;First and foremost, this study reviews the text-centrist study of modern Buddhism as established in the West, orient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oriental study, all of which follow the concept of "dual otherness." The study also examines characteristics of modern Buddist studies as they currently exist in Korea, China and Japan. Projection caused by orientalism seen in post-nationalist Buddhism, including pan-Buddhism, Zen Buddhism and Korean Buddhism was also consider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image of Buddhist tradition is composed of modern Buddhist study, but that aspects such as otherness, abolition and denial of tradition and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concepts owe their existence to orientalism.</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