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바라 구니요시(小原国芳)의 전인교육론 연구

        한용진(Hahn, Yong-Jin)(韓龍震)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전인교육이라는 용어가 갖는 개념적 혼란함을 줄이기 위한 목적에서, 한자로 전인교육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오바라 구니요시(小原国芳: 1887-1977)의 ‘전인교육론’을 통해 그가 생각하는 전인교육의 개념이 무엇인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은 그 자체가 전인교육이어야 하지만, 한자로 된 ‘전인교육’이라는 단어는 일본 다이쇼기(大正期)인 1921년 8월 8일에 발표된 이른바 ‘8대교육주장’의 하나로, 오바라 구니요시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둘째, 전인교육의 개념을 분석하기 위해 제안한 <표2>는 코메니우스의 ‘총체적 문화인’을 양성하기 위한 삼원론을 토대로 교육내용으로 모든 것(Omnia), 교육대상으로서 모든 요소(Omnes), 그리고 교육방법으로서 포괄적․완전히(Omnino)라는 세 가지 관점을 담고있다. 셋째, 오바라의 전인교육론의 핵심 가치는 초기에는 진선미성(眞善美聖)만을 강조하지만, 후기 저작인 『전인교육론』에서는 진선미성(眞善美聖)의 절대가치와 건부(健富)의 수단 가치 등의 여섯 가지 기본 가치를 제안하고 있다. 넷째, 이러한 오바라 전인교육론의 특징은 ① 완전인격으로서 전인격적(全人格的), ② 평생교육으로서 전인생적(全人生的), ③ 지정의와 심신의 조화라는 면에서의 전인성적(全人性的), 그리고 ④ 궁극적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성적(聖的)․종교적 지향성을 들 수 있다. 결국 그의 교육론은 1920년대 일본의 다이쇼신교육운동의 통합적 인간상이라는 실천 원리에서 출발하여, 그가 1929년에 설립한 다마가와학원(玉川學園)을 통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The term whole-person education is used frequently in everyday life and is thought to be familiar to us, but its meaning is not clearly defined. In order to reduce the conceptual confusion of the term, I will examine and review the Obara Kuniyoshi (1887-1977) who first used the term Zenzin-kyouiku(whole-person education) in Chinese letter. His theory of whole person education is one of the so-called ‘eight major educational theories’ published in 1921 as part of the Taisho New Education Movement in Japan.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should be a whole person education in itself. Second, it is proposed that the concept of whole person education is based on the ternary theory of Comenius’ cultivating ‘total cultural person’. In other words, it includes Omnia as an educational content, Omnes as an educational object, and Omnino as an educational method. Third, the core value of Obara’s early theory of whole person education only emphasizes true-goodness-beauty and saint, but in his later work(Obara, 1976), there are six basic values suggested, four absolute values such as true-goodness-beauty and saint, and two instrumental values such as health and wealth.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person education of Obara are ① whole personality as perfect character, ② whole life as life-long education, ③ whole human nature as harmony of body and mind, and ④ saint and religious education as the ultimate core. In the end, Obara’s theory of ‘Whole Person Education’ aimed at the integrated personality based on the Japan’s Taisho New Education Movement in the 1920s, and continues to this day through the Tamakawa Gakuen, which he founded in 1929.

      • KCI등재

        전인적 양육사역(전인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연구

        장주동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1

        We are currently living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cholars predict that there will be radical changes across the society and as the byproduct of these changes, societal problems such as isolation and loss of humanity will be expected to arise due to this revolution. Holistic education or whole-person education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ducational alternatives to prevent such problems. Though no one particular definition exists and there is disagreement among scholar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it, holistic education can be defined as education that aims to raise a well-balanced Whole Person, based on the belief that there are various aspects in a person and education should promote balanced and holistic development of those aspects. Christian educators often address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holist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hristian education. When the term holistic education is used in the context of Christian education, it refers to education that raises a wholistic person in the image of God and it also refers to education that helps a person grow to be like Christ. To help children grow to be like Jesus, Curriculum used for this purpose should be based on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humanity and should reflect principles which are shown in the holistic growth of Christ. 우리는 지금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학자들은 이미 시작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사회전반에 걸친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고, 이런 변화의 부산물로서 인간성 상실과 소외와 같은 문제들이 생겨날 것을 예상하면서, 이에 대한 교육적 대안으로 전인교육을 이야기 한다. 전인교육이 무엇인지, 어떤 요소들을 갖추어야 전인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통일된 하나의 의견이 존재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전인교육이란 인간에게 다양한 측면이 있다는 생각에 바탕을 두고, 인간의 모든 영역들이 균형 있게 성장하도록 하여 온전하고 균형 있는 인간, 즉 전인(Whole Person)을 길러내는 교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기독교 교육가들도 기독교적 전인교육의 필요성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기독교 교육에서 전인교육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 이 말은 교육의 목표, 내용, 그리고 방법에 있어서 성경적인 원리를 반영한 것으로, 궁극적으로 하나님이 형상으로서의 온전한 인간을 길러내는 교육, 학습자들을 예수님을 닮은 모습으로 성장하게 돕는 교육을 말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기독교적 전인교육, 즉 전인적 양육을 위한 커리큘럼은 성경이 말하는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예수님의 성장에서 보여지는 전인적 성장의 원리들을 반영한 것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논어(論語)』에서 찾을 수 있는 전인적(全人的)인 교육자의 모습을 갖추기 위한 실천 태도

        이경희,전일균 안암교육학회 2022 한국교육학연구 Vol.28 No.1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practical attitude to acquire the image of a whole person(全人的) educator needed in this era through the records in ‘Confucius’ Analects(論語). The purpose of Confucianism(儒學) is to nurture Gunja(君子) with perfect whole person of the highest human qualities(全人的人格). Exploring the Analects(論語) of Confucius is a useful theoretical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ree practical attitudes to acquire the image of a whole person(全人的) educator in the Analects. First, educator must have the spirit of ‘enjoys learning(好學)’ and ‘self-reflection(修己)’ as a cognitive part for effort to the highest human qualities(人格陶冶). Second, educators must attitude of example as a part of practice 'practice what they preach(言行一致)' and 'lead by example(率先垂範)' so that students can follow them voluntarily. Third, educators must have an attitude of love, concern and consideration, and an attitude that reject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t is the emotional part of forming the right relationship with the learner. The practical attitude for whole person educator examined in this study helps educators realize the essence of education and provides the importance and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儒學) an opportunity for introspection and the possibility of whole person educ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actical virtues of The Analects(論語) will flourish in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본 연구는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전인적인 교육자의 모습을 갖추기 위한 실천 태도를 『논어』에서 ‘공자’의 기록을 통해 찾고자 하였다. 유학의 목적은 전인적인 인격을 갖춘 군자의 양성에 있다. 그러므로 유학의 입장을 잘 나타내주고 있는 공자의 『논어』를 탐구하는 것은 현시대의 교육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유용한 이론적 대안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논어』에서 전인적 교육자의 모습을 갖추기 위한 실천 태도에 대해 세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교육자는 자신의 인격도야를 위한 인지적 측면인 ‘호학’ 정신과 ‘자기반성’의 태도를 지녀야 한다. 둘째, 교육자는 실천적 측면인 ‘언행일치’와 ‘솔선수범’으로 학습자에게 자발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모범적인 태도를 지녀야 한다. 셋째, 교육자는 학습자와의 올바른 관계 형성을 위한 감성적 측면으로 편견과 차별의 배제, 사랑, 그리고 관심과 배려의 태도를 지녀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전인적인 교육자의 모습을 위한 실천 태도는 교육자들에게 교육의 본질을 깨닫게 해주며, 유학에 대한 중요성과 이해, 그리고 내적 성찰의 기회와 전인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논어』의 실천덕목들이 현 교육상황에 더욱 융성해지길 기대하며 더 나아가 현 교육상황의 위기를 극복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체육교육에 있어서 전인 교육의 문제

        김성곤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 교육의 궁극적 목적으로 알려진 전인 교육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관점으로 체성 교육을 검토해 봄으로써 체육 수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보는 데 있다. 체육 교육에 있어서 전인 교육의 문제는 우선 전인이라는 개념이 모호하고 너무도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인을 바라보는 학문 공동체 내의 가치 판단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일치된 규범(혹은 패러다임)의 마련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설령 이러한 일치된 규범이 마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규범은 시대나 사람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일한 관점에서 교육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는 체육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에 관한 논의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끊임없이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자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주체성(主體性), 개체성(個體性), 정체성(正體性), 체화(體化), 체현(體現) 등의개념에서 꼭 빠지지 않은 한 가지에 주목한다. 그것은 우리의 몸(體)이다. 신체를 가진 주체적이고 개체적인 존재인 우리 인간은 몸을 통해 익히고(體化), 자신이 익힌 것을 몸을 통해 구체적인 형체를 갖추게 하여 세상에 드러낸다(體現). 체화와 체현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주인된 신체 혹은 개인의 신체는 결국, 인간의 본성(本性)을 의미한다. 사전적 의미로 보아도 본성의 같은 말은 체성(體性)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인간이 가진 이성, 지성, 감성, 인성, 덕성 등은 모두 인간의 ‘몸성’ 곧, ‘체성’으로 귀결될 수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들은 인간의본성이라 할 수 있는 ‘체성’이 지닌 다양한 양상들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교육의 시작과 끝은 체성(體性)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omatic education’ as a alternative perspective on the ‘whole person education’ known as the ultimate goal of the physical education. The problem of whole person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is that the concept of ‘whole person’ is vague and used in a variety of mean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agreed norm(or paradigm) within the community of academic community involving value judgement. But, it is almost impossible to explain a educational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s of a single norm(or paradigm) because of this norm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individual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researcher focuses on one thing that is not inevitable in the concepts of subjectivity, individuality, identity, somatization, and embodiment that we often talk about. It is our body. Our human being, a subjective and individual being with the body, learns through the body(somatization) and reveals to the world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eir bodies(embodiment). The subjective and individual body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rough somatization and embodiment ultimately means human nature. Therefor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human reason, intellect, emotion, personality, and virtue are all can be concluded in the ‘somatic nature’. This is because they can be seen in various aspects of 'soma', which is human nature. Therefor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al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somatic nature’. That is to say, the ultimate goal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schools is to assist individual stud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attitude, skills, and knowledge of human movement.

      • 발도르프교육론의 전인교육적 고찰 : 교육사상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정영근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0 발도르프교육연구 Vol.2 No.1

        슈타이너에 의하면 인간은 의지·감정·사고로 대표되는 영혼의 활동을 통해 자신만의 내면세계를 형성하고 정신세계와 관계한다. 그리하여 교육의 궁극적 과제는 정신의 관점에서 영혼과 육체가 조화롭게 결합되도록하는데 있다. 본고에서는 슈타이너 교육이론의 태동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개혁교육학운동에서 나타났던 전 인 교육적 특성들이 발도르프교육론과 학교교육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가를 교육사상사적 맥락에서 간략히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혁교육학운동의 이론가 및 실천가들은 당시의 일반학교에서 행해지는 주지주의 적 교육이 인간을 전인적으로 성장시킬 수 없다고 비판하였으며 슈타이너 역시 육체와 영혼 그리고 정신이 함 께하는 교육, 즉 인간의 총체적 모습을 담아낼 수 있는 교육만이 진정한 교육이라고 주장하였다. 현대의 교육 이 지나치게 주지주의적이고 물질중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인간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전인적으로 교육하지못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동·서양 교육의 역사에서 인간의 전인적 발달에 대한 철학적 관점 및 교육학적 논거를 가장 심도 있게 제시한 교육사조는 독일의 신인본주의(Neuhumanismus) 교육사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18세기 독일 신인본주의의 도야사상 및 훔볼트의 인간도야이론이 통합된 전체로서의 인간을 지향하는 교육을 주창하였던 점에 의거하여 그러한 교육이념과 이론이 슈타이너의 교육론에서 나타나는 전인 교육적 계기와 의 유사점 검토를 시도한다. 그러나 슈타이너의 교육론을 신인본주의 전인교육이론과 직접 비교하여 그 의미 를 해석해내는 일은 간단하지 않으며 지속적이고 방대한 후속연구를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인교육의 재조명과 미술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김정효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 No.89

        본 연구는 기후 위기, 이데올로기 인플레이션 현상 등 인류 혼돈의 상황에서 인간다움을 기본으로 하는 전인교육의 의미를재조명하고 주입식 교육과 경쟁 체제로 점철된 현대 학교교육에서 전인교육 구현 방향을 탐색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최근 10년간(2014년~2023년) 실행된 전인교육 관련 연구 190여 개 중 미술교육 관련전인교육 사상 연구를 검토하여 세 개의 사상을 선정하였다: 홀리스틱 교육, 독일의 신인본주의, 심미적 인간. 이 사상들로부터 전인교육의 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전인교육 사상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술과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에 모두 반영되고 있으나, 특히 미적 체험 영역에서 반영 정도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전체적으로 전인교육 요소는 부분적으로 단편적으로 반영되고 있었다. 향후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전인교육 사상의 이념, 가치, 그리고 맥락에 근거하고, 인간다움에 대한 학문적, 교육 실천적 다양한 사유를 불러일으키며 담론을 확장해 나가도록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purpose of reexamining the meaning of humanity in situations of human crisis and chaos and exploring the direction of implementing whole person education in modern school education. I searche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s for studies related to whole person education conducted over the past 10 years (2014 to 2023) and found about 190 results. Among these, an analysis of the studies related to art education revealed that three ideologies, including holistic education, German neo-humanism, and aesthetic human, were being discussed as theoretical backgrounds. An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by extracting elements of whole person education from these ideologies, and based on this, I analyzed how the whole person education ideology is being implemented in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As a result, n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elements of whole person education were partially and fragmentarily reflected. Curriculum documents should be described in sentences containing philosophy based on the fundamental ideology, values, and contexts pursued in whole person education.

      • 한국형아유르베다 전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고찰 연구 : 내러티브 교육적 접근에 대한 탐색

        김지영(Jiyoung Kim),윤천성(Chun-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21 뷰티산업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한국형아유르베다 교육훈련체계가 전인교육으로서 의미가 있고 교육 현장에서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형아유르베다에 대한 교육적 관점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기에 한국형아유르베다에 대한 전인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 한국형아유르베다 전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자 탐색적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정보 사이트인 RISS에서 키워드 검색한 논문 중에 연구 주제와 관련 있는 논문을 선정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형아유르베다의 전인교육적 의미와 전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내러티브 교육적 관점의 탐구를 하였다. 그리고 교육현장에서 인지, 정서, 행동이 통합적으로 학습되는 한국형아유르베다 전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형아유르베다 교육훈련체계가 추구하는 교육목적과 전인교육이 지향하는 교육의 방향은 일치한다. 둘째,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을 활용한 교육 심리적 관점의 연구에서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이 연구대상에 대해 정서적, 심리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기대 효과를 가져오며 교육 목표 달성에 유용한 도구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을 활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은 뷰티 및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실증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넷째, 한국형아유르베 교육훈련체계의 교육적 효과는 내러티브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주체적 사고를 통한 인지학습이 일어나고 사회정서 학습의 내면화를 통한 통합적, 전인적 교육이 이루어진다는 내러티브 교육적 접근으로 이론적 해석이 가능하다. 즉, 한국형아유르베다 전인교육 모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해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현장에서 실천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한국형아유르베다 전인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In this study, although the Korean Ayurveda education training system is meaningful as a holistic education and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ical type can be usefully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research on Korean Ayurveda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meaning of holistic education and to conduct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Ayurveda holistic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were selected and reviewed from among the papers searched for by keyword on RISS, an academic information site. Through this, the meaning of holistic education of Korean Ayurveda and the narrative educational persp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holistic education program were explored.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for developing a Korean Ayurveda holistic educ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learning in the educational fiel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Korean Ayurveda education training system coincides with holistic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goals. Second, in the study from the educational psychological perspective using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ical type, it was found to be a useful tool for achieving the educational goals by bringing positive expected effects on the research subjects. Third, the program developed by using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ical type was empirically meaningful as it presented positive effects on beauty and psychology. Fourth, the narrative pedagogical approach that cognitive learning occurs through learners independent thinking and integrated and holistic education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hrough narrative interaction of the Korean Ayurveda education training system is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Korean Ayurveda holistic education model. interpretation has been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Ayurveda holistic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가톨릭 학교의 전인교육 사명에 대한 고찰

        구본만 ( Koo¸ Bon-m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가톨릭철학 Vol.0 No.17

        본 연구는 가톨릭 학교의 사명인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의 풍부한 의미를 드러내는 하나의 개념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고찰한 내용은 교육관련 교회문헌, 성경 및 예수의 교육관, 가톨릭 윤리신학 및 영성신학, 인격(persona)개념의 역사적 논의와 현대 인격교육 운동의 흐름 등이었다. 우선 교회문헌 고찰을 통해 가톨릭 학교의 사명이 ‘복음화’와 ‘전인교육’으로 요약되며, 이 둘은 분리되는 사명이 아니라 ‘복음화를 통한 전인교육’, 즉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으로 명명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 고찰했던 성경 및 예수의 교육관은 가톨릭 전인교육이 ‘완전한 인간’ 양성을 목적으로 하며, 완전한 인간이란 하느님의 모상으로서의 완전성에 도달한 사람이고, 이러한 완전성은 회개, 즉 ‘인격’의 총체적 변화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도록 이끌어 주었다. 이러한 고찰은 그리스도교적 전인이 ‘인격적 인간’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스도교적 인격 개념은 ‘이성적 본성’을 갖고 윤리적 행위 결정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가진 주체로서의 ‘개별성(독자성)’; 타자에게 ‘열려’ 있으며 ‘관계’를 맺는 존재임을 드러내는 ‘공동체성’; 인간적인 모든 특성이 통합된 ‘완전한 전체성’; 하느님 자녀로서의 ‘존엄성’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고찰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의 개념 모형은 다음과 같다.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은 전인, 즉 완전한 인간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완전한 인간은 그리스도의 인격에 자신을 일치시키면서 인격의 완전성에 도달한 인간, 다른 말로 인격이 총체적으로 양성된 인간을 의미한다. 인격의 총체적 양성은 세 가지 원리의 유기적인 통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첫째는 ‘복음적 가치관’ 형성으로 이 원리는 지식의 통합에 기여한다. 둘째는 ‘그리스도교 덕성’ 함양으로 이 원리는 정서·의지·행동의 통합에 기여한다. 이 두 원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한 인격 안에서 완전한 통합을 이루도록 이끌어 주는 세 번째 원리가 ‘영성’으로, 이 원리는 인격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고 완성을 구현한다. 이러한 유기적 통합 과정을 통해 인격적 완전성에 도달한 전인은 ‘참 사람’이며 ‘참된 그리스도인’ 곧 ‘복음화된 사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nceptual model that reveals the abundant meaning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CEWP), which is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s. To attain its purpose, the study examines Catholic educational documents, the educational philosophy revealed in the Bible and the teachings of Jesus Christ, Catholic moral theology and spiritual theology, a history of the concept persona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character education. Above all,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documents elucidates that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s is summarized in two terms: ‘evangelization’ and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ese two terms are integrated in the expression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rough evangelization’, that is, ‘CEWP’. The educational philosophy revealed in the Bible and the teachings of Jesus lead to the following understandings: the goal of CEWP is to form a ‘perfect human being’. A perfect human being is one who becomes a perfect reflection of the image of God. Such perfection is achieved through conversion, i.e., the holistic transformation of the ‘persona.’ Such an understanding shows that a Christian conceptualization of the whole person is based on the ‘human being as a persona.’ Persona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dividuality(subsistence)’ as a subject who has a ‘rational nature’, and ‘self-control’ and takes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moral behaviors; a ‘sense of community’ that is ‘open to’ and has a ‘relationship with’ other beings; ‘the completed wholeness’ that integrates the entire range of human characteristics; and ‘dignity’ as a child of Go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udies, this work suggests describing the conceptual model of CEWP as follows: CEWP is a process that aims to form a whole person, in other words, a perfect person. A perfect person is someone who strives to identify his/her persona with the Persona of Jesus Christ, thus becoming a human being with an integrally formed persona. The integral formation of the human persona is realized by integrating three principles in an organic way. The first principle is the formation of a ‘viewpoint of evangelical values’ that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The second is the fostering of ‘Christian virtue’ that contributes to integrating the emotions with the will and behavior. The third is a ‘spirituality’ that organically bonds the other two principles and leads to their perfect integration in the persona. Spirituality is a principle that elicits and completes the transformation of the persona. A whole human being, in perfecting the persona by such an organic integration process, is a ‘true person’ and ‘true Christian’, specifically, an ‘evangelized person.’

      • KCI등재

        한국형아유르베다 전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생 인식 조사 연구

        김지영 ( Jiyoung Kim ),윤천성 ( Chunsung You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전인교육에 대한 학생 인식을 조사하여 한국형아유르베다 전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후, 통계분석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인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관심은 매우 높은 반면, 학교 전인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전인교육이 미비하다고 인식한 학생들은 특히,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삶의 행동변화가 나타나는 교육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자기이해 및 수용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이끌 수 있는 실천적 행동역량 강화교육으로써의 한국형아유르베다 전인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은 학교 전인교육 정책과 제도가 미흡하며 전인교육 프로그램 또한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학교에서 정서적 영역의 활동이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많은 학생들이 심신 균형의 성장과 이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학교에서는 정서적 영역의 교육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정서발달 및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삶의 행동변화를 이끄는 심신 균형의 교육프로그램으로써 한국형아유르베다 전인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of holistic education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yurveda holistic education program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derive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holistic education was very high, while their perception of school holistic education experience was relatively low. Second, students who recognized that holistic education was insufficient, especially recognized that education that showed behavioral changes in life based on self-understanding was lacking. A Korean Ayurveda holistic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hird, students perceived that the school’s holistic education policy and system were insufficient and that the holistic education program was also insufficient. Fourth,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activities in the emotional domain were insufficient at school. Fifth, many students were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 for the growth of mental and physical balance. However, the school recognizes that education in the emotional domain is insufficient,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Korean Ayurveda holistic education program as an educational program for mental and physical balance that leads to behavioral changes in life through emotional development and self-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