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기비저항 탐사와 자기지전류 탐사 자료를 이용한 미얀마 중앙분지 전기비저항 구조 연구

        노명근,이희순,안태규,장성형,황인걸,이동훈,황세호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9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2 No.2

        We conducted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to obtain the resistivity structure of the central Myanmar basin. We tried to analyze the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the resistivity variation of Myanmar by performing representative geophysical survey methods because researches on the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 are insufficient in Myanmar. The electrical resistivity is expected to be low considering the marine sedimentary rocks composed of shale and sandstone in this area. The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were carried out using SmartRho of Geolux Co., Ltd. and MTU-5A of Phoenix geophysics Ltd., respectively, to visualize the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 of study area.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showed an electrical resistivity less than dozens of ohm-m within the depth of 100 m. In particular, MT survey data were almost similar to TM and TE modes in the frequency range above 1 Hz. The two-dimensional inversion of MT data showed a subsurface structure with low resistivity below 150 ohm-m divided into east-west direction. We confirmed that the inversions of DC resisitivity and MT data along an overlapped survey line represented similar results.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t would be effective to perform DC resistivity and MT survey simultaneously to study the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 of the central Myanmar basin. 이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와 자기지전류(magnetotellurics, MT) 탐사를 이용하여 미얀마 중앙분지에 대한탐사를 수행하였다. 미얀마에서는 지하구조의 전기비저항 구조로 해석한 연구가 미흡하여 심부까지 전기비저항을 제공해주는 대표적인 탐사를 활용하여 지하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지질은 셰일층과 사암층으로 구성된 해성퇴적층으로 지하의 전기비저항 값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연구는 ㈜지오룩스에서 자체 개발한 전기비저항 탐사 장비(SmartRho) 와 Phoenix사의 MTU-5A를 사용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전기비저항 구조를 영상화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와 MT 탐사는지하 100 m까지는 수십ohm-m 미만의 전기비저항 구조를 보였다. 특히 MT 탐사 자료에서는 1 Hz 까지 TM, TE 모드가 거의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MT 탐사 2차원 역산 결과 150 ohm-m 이하의 낮은 전기비저항 구조를 나타냈고, 동서방향으로 전기비저항 구조가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T 탐사를 전기비저항 탐사와 인접한 위치에서 수행한 결과, 2차원 역산 결과가 유사한 전기비저항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미얀마 중앙분지의 전기비저항 구조 연구를 위해서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고려하여 전기비저항 탐사와 MT 탐사를 동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온도변화에 따른 모래-실트 혼합토의 전기비저항 특성변화

        박정희(Park, Jung-Hee),서선영(Seo, Sun-Young),홍승서(Hong, Seung-Seo),김영석(Kim, YoungSeok),이종섭(Lee, Jong-Sub)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10

        전기비저항은 이온의 이동성에 의존하며 전기비저항의 활용도는 지하공동, 단층조사, 지하오염도 측정 등 다양한 지반조사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흙의 온도변화에 의한 전기비저항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모래와 실트가 혼합된 시료를 동결시키기 위해 나일론 셀을 제작하였으며 시료의 온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시료를 냉동고에 고정하였다. 온도변화에 따른 시료의 전기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네 개의 전극을 정사각형 배열로 셀의 옆면에 설치하였다. 시료의 온도가 20℃에서 -10℃까지 변화하는 동안 옴의 범칙을 이용하여 포화도가 다른 각 시료(0%, 5%, 10%, 15%, 20%, 40%, 60%, 100%)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전기저항은 보정과정을 거쳐 전기비저항으로 환산되었다. 실험결과, 실험 초기 20℃에서는 시료의 포화도가 증가할수록 전기비저항은 감소하였다. 상온에서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전기비저항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의 경우 포화도가 15% 이상인 시료들의 전기비저항은 0℃ 근처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동결된 시료의 전기비저항은 포화도와 관계없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흙의 온도변화와 동결에 따른 전기비저항의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동결 깊이 추정과 같은 지반조사 시 전기비저항은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which is related to charge mobility, has increased in the field of geotechnical engineering for the detection of underground cavern, faults and subsurface pollution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due to temperature change. Sand-silt mixture specimens prepared in the square freezing nylon cell are frozen in the frozen chamber. Four electrodes are attached on the four side walls of the freezing cell for the measurement of electrical resistance during temperature change. Electrical resistances of sand-silt mixtures with different degrees of saturation (0%, 2.5%, 5%, 10%, 20%, 40%, 60% and 100%) are measured as the temperature of specimens decrease from 20℃ to -10℃. The electrical resistances determined by Ohm’s law are transformed into the electrical resistivity by calibr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degree of saturation, the lower electrical resistivity at 20℃. Electrical resistivity gradually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decrease from 20℃ to 0℃. For the specimens with the degree of saturation of 15% or higer, electrical resistivity dramatically changes near the temperature of 0℃. In addition, very high electrical resistivity is observe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saturation if the specimens are frozen. This study provides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according to the soil freezing and temperature change demonstrates that electrical resistivity be a practical method for frozen soil investigation.

      • KCI등재

        온도보상형 전기비저항 프로브 - 개발 및 적용

        정순혁(Jung Soon-Hyuck),윤형구(Yoon Hyung-Koo),이종섭(Lee Jong-Sub)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1

        전기비저항은 지층의 자세한 이해와 지반의 기본 물성치 획득을 위하여 다양한 측정 장비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브가 관입되는 동안 온도가 전기비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시켜 보다 정밀한 전기비저항을 평가할 수 있는 온도보상형 전기비저항 프로브(TRP)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전기비저항 콘의 직경에 따른 온도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두가지 직경(2㎜, 5㎜)의 콘을 제작하였다. 온도 센서는 전기비저항 프로브와의 전기적 간섭현상을 고려하여 선단부에서 15㎜ 떨어진 곳에 부착하였다. 또한 모터식 관입기와 전기비저항 프로브 사이의 전기적 교란을 막기 위하여 절연 커넥터를 이용하였다. 직경 30㎝의 아크릴 수조에 주문진사를 수중강사법으로 시료를 조성하고 타격에 의해 상대밀도를 증가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관입되는 동안 프로브의 온도가 증가하였으며, 정확한 전기비저항 프로파일을 산정하기 위하여 온도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보상형 전기비저항 프로브(TRP)를 개발하고, 이를 관입실험에 적용하여 정확한 지반조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온도에 대한 영향 및 관입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Electrical resistivity is applied for understanding details about layers and obtaining basic properties of soils to various measurement devi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TRP(Temperature-compensated Resistivity Probe), analysis about effects of temperature changes during cone penetration test, and observation of characteristics of cone penetration. In order to observation of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a diameter difference of resistivity cone probe, the cone which has wedge type cone tip is made to two types, 2㎜ and 5㎜. Temperature sensor is attached at 15mm below from cone tip because of an electrical interference with elecrical resistance probe. Delectrical connector is used to prevent electric disturbance between motor type penetrating machine and electrical resistivity cone probe. Application tests are carried out in acrylic cell whose diameter is 30㎝ with uniform Jumunjin sand according to densification caused by blows.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uniformly during penetration and a tendency, characteristics of cone penetration, is discovered during altering state of soil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mperatur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penetr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penetrating tests in order to conduct an accurate ground investigation using TRP(Temperature-compensated Resistivity Probe).

      • KCI등재

        전기비저항 검층으로 얻은 전기비저항과 터널 현장 암반등급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이강현,서형준,박진호,안희윤,김기석,이인모,Lee, Kang-Hyun,Seo, Hyung-Joon,Park, Jin-Ho,Ahn, Hee-Yoon,Kim, Ki-Seog,Lee, In-Mo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2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4 No.5

        터널 시공 중 암반등급은 지보패턴의 결정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따라서 터널 설계 시에 터널이 시공되는 노선의 암반등급을 파악하기 위해서 시추조사를 수행한다. 시추구간 사이의 미시추 구간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 탄성파 탐사 등과 같은 지구물리탐사를 통해 암반등급을 파악한다. 따라서 전기비저항과 암반등급의 상관관계를 찾기 위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실내시험 또는 전기비저항 탐사로부터 얻어진 전기비저항과 암반등급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전기비저항 검층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전기비저항과 RMR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현장 데이터 분석 결과, 전기비저항과 RMR은 약 90%이상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MR 평가 요소들과 전기비저항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전기비저항과 불연속면상태는 약 80%이상의 양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지하수상태는 약 57%이하의 낮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Rock mass rating (RMR) is the key factor when designing the appropriate support pattern of tunnel projects. Borehole drilling is usually performed along the tunnel route in order to determine the rock mass rating to be used for tunnel design. The rock mass rating at the non-boring region between boreholes is usually assessed through geophysical surveys such as electrical prospecting, seismic prospecting, etc. Many studies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ical resistivity and rock mass rating. However, most researches were aimed at ob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ameters utilizing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from laboratory tests or electrical prospectings. In this paper, efforts were made to analyze and obtain relationships between the electrical resistivity obtained from in-situ electrical resistivity logging data and the rock mass rating. Correlation studies using field data showed that the electrical resistivity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rock mass rating with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more than 90%.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between RMR classification parameters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It was shown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dition of discontinuities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was very high with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more than 80%; that between the groundwater condition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was very low with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less than 57%.

      • KCI등재

        전기잡음 간섭이 있는 도심지 지역 탐사를 위한 유사직류 전기비저항 기법

        조성호(Joh Sung-Ho),김봉찬(Kim Bong-Chan)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30 No.1

        최근 도심지 재개발, 지하철과 같은 지하공간의 시공 등과 관련하여 도심지 지반조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지반내 전기잡음, 교통진동, 지중 매설물 등 많은 장애 요인으로 인하여 도심지 지반조사의 신뢰성은 낮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기비저항 시험을 도심지에서 수행하고자 할 때 대두되는 가장 큰 장애요인 중 하나인 전기잡음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사직류 전기비저항 기법(Pseudo-DC Resistivity Survey, PDC-R)을 제시하였다. PDC-R 기법은 기존의 전기비저항 시험과는 달리 0.1~1.0㎐ 범위의 저주파 교류를 입력전원으로 사용하여 전기비저항 시험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심지 전기잡음 성분인 60㎐의 배수가 되는 주파수를 회피함으로써 도심지 전기잡음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PDC-R 기법의 구현을 위해서 교류 입력전원과 관련된 영향인자, 즉, 표면효과(skin effect), 주파수 효과, 입력전류 크기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최적의 시험조건을 설정하였다. 또한, PDC-R 기법을 자연 지반에 적용하여 기존 전기비저항 시험, CapSASW 시험 등과의 비교를 통하여, PDC-R 기법의 신뢰성과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Recently, urban retrofit and extension, development of new buildings and facilities, and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like subway tunnels in urban areas give rise to significance of site investigation at urban areas. However, ambient electric noises, traffic vibrations, embedded objects work as obstacles to high-quality and accuracy in site investigation at urban areas. In this paper, a new technique called the pseudo-DC resistivity survey (in brief, PDC-R) was proposed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 of ambient electrical noises in resistivity survey. PDC-R technique utilizes an AC current with frequency range of 0.1 to 1.0 ㎐ rather than DC current, which is used for conventional resistivity survey. The motivation of using low-frequency AC current is to avoid 60-㎐ components or its multiples in the resistivity survey which ambient noises are mostly composed of. The implementation of PDC-R technique also included the parametric study on skin effect, frequency effect and current-level effect, which led to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values of frequency and current level for PDC-R survey.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PDC-R technique was verified through field tests, accompanied by the comparison with DC resistivity survey and CapSASW tests.

      • 대전지역 사면의 전기적인 특성 평가

        이승재,윤형구 大田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6 산업기술연구소 論文集 Vol.31 No.1

        산사태 발생 원인에는 강우에 대한 영향력이 존재하며, 사면의 내부를 평가하는 물리탐사기법 중 전기비저항 탐사는 강우에 대해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를 활용하여 산사태경험이 있는 사면 내부를 탐사하였으며, 강우 발생 시 산 내부의 전기비저항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연구지역은 대전광역시 도심지에 있는 사면이며, 측선 길이는 총 200m, 전극의 수는 101개, 간격은 2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의 깊이는 최대 20m까지이며, 이에 대한 전기비저항값을 획득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강우량 0mm와 5mm일 때 측정을 하였으며, 전기비저항 분포는 2D 단면도를 활용하였다. 깊이 5m ~ 15m 사이에 저비저항대와 고비저항대가 골고루 분포하였으며, 전기비저항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기 위하여 한 지점을 설정하여 깊이와 강우에 대한 정량적인 전기비저항 값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심도가 깊어질수록 전기비저항값은 커지며, 강우 시에는 전기비저항 값이 다소 작게 나타났다.

      • KCI등재

        점토광물 함유량을 고려한 땅밀림 산사태 지역의 전기비저항 자료의 해석

        김정인 ( Jeong-in Kim ),김지수 ( Ji-soo Kim ),이선중 ( Sun-joong Lee ),조경서 ( Kyoung-seo Cho ),김종우 ( Jong-woo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21 지질공학 Vol.31 No.2

        산사태 연구에서 풍화대 안에 분포하는 점토광물의 함유량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산사태 발생과 관련된 지하 구조를 파악하고 미끌림 면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지구물리탐사를 수행하는데 특히 전기비저항 단면이 많이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풍화대에 분포하는 카올리나이트와 몬모릴로나이트와 같은 점토광물에 의한 전기전도도의 증가효과(전기비저항의 감소효과)를 해석하기 위해 병렬모델 아치의 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점토의 전기전도도는 광물의 종류 및 그 비표면적과 양이온 교환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간극수의 전기비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매질의 전체 비저항과 지층인자는 작아지는데 카올리나이트에 비해 몬모릴로나이트가 훨씬 작게 나타난다. 또한 공극률이 커지고, 고결인자가 작아질수록 지층인자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점토광물에 대한 병렬모델 아치의 방정식을 현장자료에 적용하기 위해 2014년 땅밀림 산사태가 일어난 충남 태안 신진도리에서 수집되어 처리ㆍ해석된 전기비저항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존의 실험식에서 카올리나이트의 함유량에 따라 결정되는 계수들을 활용하여 풍화대의 전기비저항 값들을 계산하고 이들을 전기비저항 수치모델링에 포함시켰다. 점토 함유량을 변화시켜 만든 여러 개의 이론자료들 중에서 현장자료와 가장 근접하는 모델자료를 선택하여 이에 입력된 점토 함유량 10%를 이 지역의 풍화대에 대한 점토 함유량으로 추정하였다. 땅밀림 연구에서 처음 시도된 전기비저항 자료를 이용한 점토 함유량의 추정기법은 차후 점토함유량 외에 전기비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공극률, 포화도, 간극수의 전기비저항)들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이들을 수치모델링에 먼저 포함시켜 수행할 때 더욱 그 신뢰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Clay mineral content of weathered zone is a key parameter for landslide studies.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is usually performed to delineate the geometry of complex landslides and to identify the sliding surface. In clay-bearing weathered zone, parallel resistivity Archie equation i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ductivity added (resistivity reduced) by clay minerals of kaolinite and montmorillonite, which is dependent on their specific surface area and cation exchange capacities (CEC). A decrease of overall resistivity and apparent formation factor is observed with increasing pore-water resistivity, significantly in montmorillonite. Formation factor is found decreased with increasing porosity and decreasing cementation factor. Parallel Archie equation was applied to the electrical resistivity data from the test area (Sinjindo-ri, Taean-gun, Chungcheongnam-do, Korea) which experienced land creeping in the year of 2014. A panel test with varying clay-mineral contents provides the best fit section when the theoretical section constructed with the assumed contents approaches the field section, from which the clay-mineral content of the weathered zone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0%. Resistivity interpretation schemes including the clay mineral contents for land creeping studies explored in this paper can be challenged more when porosity, saturation, and pore-water resistivity are provided and they are included in the numerical resistivity modeling.

      • KCI등재

        전도성 간극수의 함수 정도에 따른 원주형 시멘트 시험편의 전기비저항 특성

        이상규,이태종 한국자원공학회 200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6 No.5

        The effects of water contents and pore water conductivity on electrical resistivity of cement core have been discussed. Time variation of water content and electrical resistivity of a fully saturated cement core, due to evaporation, with 4 kinds of solutions with different conductivities has been measured while keep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onstant. For precise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and resistivity of the core, standardization of process from saturating the core to measurement of electrical resistivity with time is essential and a standard procedure is suggested. Resistivity of a cement core depends strongly on the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in the pore. As the conductivity of the pore water gets high, increment of resistivity becomes small for the same relative water content variation. Resistivity variation of the core as a function of relative water content can be explained by modified Archie’s formula. And we found that resistivity of a cement core and that of pore water cannot be explained by Archie’s formula but roughly follows the parallel resistance model even when relative water content is below 100%, so that a generalized parallel resistance model is suggested including water content and the resistivity of pore water. 실험실내에서 시멘트 코어를 이용하여 함수율과 간극수의 전기비저항이 암석의 전기비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항온․항습 환경을 구성하고 4가지 각기 다른 전기비저항을 가지는 용액으로 포화된 시멘트 코어를 대상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함수율과 전기비저항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함수율과 시험편의 비저항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항온․항습 환경의 조성과 시험편의 포화로부터 측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규격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규격화된 공정을 제시하였다. 시멘트 코어의 전기비저항은 간극수의 전기전도도에 매우 크게 좌우된다. 즉, 간극수의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동일한 상대함수율 감소에 대한 전기비저항 증가율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상대함수율에 대한 전기비저항의 변화는 변형된 Archie의 식으로 설명된다. 또한 상대함수율이 100%가 아닌 경우에도 시멘트 시험편의 전기비저항과 간극수의 전기비저항은 병렬저항모델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의 병렬저항모델에 함수율을 포함시킨 변형된 병렬저항모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금속합금 열화도 평가기술

        남승훈,유광민,류제천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1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1 No.5

        재료의 노화에 의한 강도 및 인성 감소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비파괴적 기법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전기비저항법도 그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법의 열화도 평가에의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6종 10 가지의 비자성 금속을 측정시료로 선택하여 직류 two-point probe법(혹은 2탐침법)으로 전기비저항을 계산한 결과와 비접촉식 와전류 방법으로 전기비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1Cr-1Mo-0.25V강에 대하여 비파괴적 측정 방법인 four-point probe 방법(혹은 4탐침법)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와 기존의 2탐침법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현장에서의 4탐침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1Cr-1Mo-0.25V강에 대하여 2탐침법으로 구한 비저항값과 4탐침법으로 구한 비저항 측정값의 차이는 0.6%였다. 따라서 4탐침법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금속소재의 열화도의 비파괴적 평가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Developments of nondestructive evaluation techniques for reduction of strength or toughness by aging of material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 method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is one of them.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to the evaluation of the evaluation of degradation of metallic alloy, ten different non-magnetic materials were selected as test materials. Electrical resistivities measured by DC two-point probe method and those measured by non-contact type eddy current method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o examin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four-point probe technology in field, the electrical resistivities for 1Cr-1Mo-0.25V steel measured by DC two-point probe method and four-point probe method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Differences between two measure values for the 1Cr-1Mo-0.25V steel were0.6%. Therefore, the four-point probe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estimation of the degradation of metallic alloy.ect.

      • KCI등재후보

        암석의 전기비저항 측정을 통한 전기뇌관의 사용 안전성 검토

        최병희 ( Byung-hee Choi ),류창하 ( Chang-ha Ryu ),신승욱 ( Seung-wook Shin ),김수로 ( Soo-lo Kim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16 화약발파 Vol.34 No.4

        전기뇌관을 사용하는 발파장소에서는 비전기뇌관을 사용하는 개소에 비해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왜냐하면 전기뇌관은 큰 미주전류가 발파회로 속으로 흘러 들어가면 조발이나 불발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암석의 전기전도도가 높거나 전기비저항이 낮으면 이런 위험은 더 증가한다. 왜냐하면 이런 암석은 미주전류가 발파회로 속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는 통로를 더 많이 제공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한 발파장소에서 채취한 몇 개의 암석시편들을 대상으로 전기비저항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대상현장에서의 전기뇌관의 사용가능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황화금속 광물의 함량이 높은 암석시편에서는 전기비저항 값이 39~47 Ω.m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타의 보통암석에서의 15000~21000 Ω.m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치이다. 특히, 전기비저항이 39 Ω.m인 암석의 경우, 뇌관의 발화전류를 0.4 A로 가정했을 때 암석 1 m를 통해 미주전류가 흐른다면 외부전압이 2 V만 인가되어도 뇌관이 기폭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파현장에 황화금속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암석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시험결과는 대상현장에서는 전기식 발파를 지양해야 함을 의미한다. Much care should be taken when electric caps are used in blast site than when non-electric initiation systems are used. This is because electric caps can cause premature firing or misfires if stray currents of high magnitude flow into the blasting circuit. If the rock has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or lower electrical resistivity, such risks will be increased because the rock will provide more passages for the stray currents to flow into the blasting circuit. In this study, several rock samples obtained at a blast site were tested for electrical resistivity to decide whether electric caps could be used or not in the site. The measured electrical resistivity was 39~47 Ω.m for the rock samples that had a higher content of metal sulfides. Contrary, the resistivity was 15000~21000 Ω.m for ordinary rock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rock of electric resistivity of 39 Ω.m, only 2-V electric potential enables a stray current to flow through the rock of 1-m length, which can cause the premature firing of a detonator whose initiation current is 0.4 A. This result shows that electric initiation system should not be used in the site because rocks containing much amount of metal sulfides are widely distributed t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