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개인-전공 적합성과 수업 내 자율성 충족의 역할

        민자원,이유경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敎育問題硏究 Vol.37 No.1

        학생들이 인식하는 전공 적합성은 대학생활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을 시작하면서 고정될 수 있는 개인-전공 적합성이 환경적으로 지원이 가능한 자율성 충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n = 251, 여자 74%)의 설문 응답을 활용하여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은 학문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인 대학생활적응 5개 영역 각각에 대해서 이루어졌으며, 예측변인으로는 개인-전공 적합성과 자율성 충족, 그리고 두 예측변인 간의 상호작용항이 투입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두 예측변인과 대학생활적응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대학에 대한 애착과 상관이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개인-전공 적합성은 신체적 적응을 제외한 모든 대학생활적응 영역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율성 충족은 사회적 적응을 제외한 모든 대학생활적응 영역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전공 적합성과 자율성 충족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적응과 신체적 적응에서만 유의하였다. 즉, 개인-전공 적합성이 낮더라도 수업 내 자율성 충족이 높게 인식되는 경우, 정서적 및 신체적 적응이 높게 나타나 자율성 충족이 보완적 역할을 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낮은 개인-전공 적합성을 보이는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수업 내 학습 방법 및 과제 종류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개인의 의견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등의 교육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Students' perceived major f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daptation to college.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person-major fit, which can become fixed when students start college, predicts college adaptation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autonomy need satisfaction, which can be environmentally supported.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survey responses from college students (n = 251, 74% female)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person-major fit and autonomy need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llege life adaptation, especially to attachment to the universit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of the five domains of college adaptation, including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the university, with person-major fit and autonomy need satisfaction as predictors, along with their interaction term. Th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person-major fit significantly predicted all aspects of college adaptation, except for physical adaptation. Autonomy need satisf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all aspects of college adaptation, except for social adapt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major fit and autonomy need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domains of emotional adaptation and physical adaptation. In other words, even when person-major fit was low, high autonomy need satisfaction in the class played a complementary role in enhancing emotional and physical adaptation.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efforts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low person-major fit to choose learning methods and types of assignments in the class and to express their opinions freely to enhance their college adaptation.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최은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1

        본고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과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학습자 현황 및 요구 분석을 위해 한국문화적응척도와 설문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문화교육프로그램 설계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작업으로 부산 지역에 위치한 D대학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적응척도’를 측정하였다. 각 하위 요인 간의 문화적응의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 생활문화 이해 및 친숙도’ >‘한국인과의 사회적 교류 및 대인관계’ > ‘한국 대중문화 이해 및 친숙도’ > ‘한국어에 대한 친숙도’ > ‘한국어의 사회적인 활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으로의 유학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으로 보통 한류를 비롯한 한국 대중문화를 주목한다. 이를 감안하다면 ‘한국 대중문화 이해 및 친숙도’가 가장 높은 적응력을 보일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본 척도의 측정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와 한국인과의 사회적 교류 및 대인관계에 대해 긍정적 적응의 양상을 보였다. 한편 현재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및 요구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의 경험 및 만족도에 관한 부분과 학습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관한 내용이었다. 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과 관련하여 ‘한국사람 및 다른 사람과의 교류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긍정적 답변의 비중이 높았다.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심이 사람들과의 교류에 있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그리고 한국문화적응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결과, ‘한국인과의 사회 교류 및 대인관계 프로그램’ 과 ‘한국의 일상(전통)문화 이해 및 체험 프로그램’ 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문화교육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학습자인 외국인 유학생의 현황과 요구를 고려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다양한 사례가 이어지길 바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how foreign students adapt to Korean culture and learners’ demand for a cultural adaptation program. Korean cultural adaptation criteria and a survey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and demand and a cultural educational program design was proposed. To analyze how foreign students adapt to Korean culture, “Criteria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for foreign students” was employed on foreign students of B university located in Bus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cultural adaptation situation between each subordinate element indicated the following sequence: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Korean customs” >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s” >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Korean pop culture” > “Familiarity with the Korean language” > “Social uti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survey on programs considered most necessary for Korean cultural adaptability revealed increasing demand for “Program on social interchange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s” and “Program on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posed various Korean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This paper discusses a variety of concrete program development features to ensure adaptability continues,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demand of foreign students who are the learners.

      • KCI등재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 및 적응에 관한 고찰

        김원기(Kim, Won Ki) 한국민간경비학회 2010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6 No.-

        본 연구는 경호관련학과 대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및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각의 성별, 소속대학과 관련한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254명의 4년제, 2년제 경호관련 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별, 소속대학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의 세 가지 대학생활 적응 요인과 대학생활 만족도요인간의 차이와 관계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요인 및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들보다 비교적 높은 적응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소속대학별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요인 및 만족도는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활 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adaptation of students in guard related department to university life followed by each background variable and to make a close inquiry into adaptation level to university life by each sex and membership university.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what adaptive factors which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for university life were.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three adaptive factors to university life- academic adaptation by each sex and each membership university, social adaptation and individual-emotiona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factors for university life with 254 university students in guard related departments at two-year colleges and four-year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adaptive factors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followed by each sex,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ale students had higher level of adaptation than female students. Second, in adaptive factors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followed by each membership univers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for university life and adaptive factors to university life.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부적응아 그림특징과 시사점

        백중열 ( Jung Youl Bai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아동의 성향과 갈등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본문에서 학교부적응 아 동의 그림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그림진단의 의미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내용을 기초로 학교부적응 아동 중에서 ‘수학을 싫어하는 아동’과 ‘언어적 스트레스가 있는 아동’, ‘대인관계가 좋은 학교부적응 아동’의 그림에 나타난 특징을 비지시적 관점에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학교부적응 아동에게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가정과 학원, 교사 등 다양한 요인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그 내용을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부적응 아 동의 그림에서 주변환경과의 관계성을 분석해야 한다. 둘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개별 성향 과 특성을 분석해야 한다. 셋째, 학교부적응 아동이 평소에 어떤 것에 관심을 갖고 그림을 그리는지 관찰해야 한다. 넷째, 아동의 그림 발달단계와 학교부적응 아동의 그림 특징의 차 이점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그림에서 갈등이나 문제 요소를 발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여섯째, 학교부적응 아동으로 판단하기 전에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는 노력 이 필요하다. 일곱째, 학교부적응 아동에게 사랑과 진정 성을 느끼게 해야 한다. 다변화되어 가는 환경에서 학교부적응 아동들이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아동의 환경 과 심리가 반영되는 그림을 교사가 관찰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갈등요인을 해결하는 방법 이 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traits of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and cause of conflict and examined the meaning and method for art psychotherapy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uch children`s pictures. Based on the result, among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those who dislike mathematics,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s drawn by those who have verbal stress and those who have good personal relations were analyzed from a non-directive viewpoint. As a result, various factors such as family, institute and teacher were found as factors which influence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such factors. First, relationships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should be analyzed from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s pictures. Second,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s individual traits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analyzed. Third, it should be observed that in which one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are interested and draw pictures. Fourth,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s pic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s pictures should be discovered. Fifth, efforts should be made so as to find conflict or problems in their pictures. Sixth, effort to receive advice from experts should be made before deciding one as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Seventh, we must make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feel love and sincerity. Teachers` efforts to observe and understand the pictures in which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s environment and psychology are reflected may solve conflict factors, so that such children can adapt themselves to school in diversified environment.

      • KCI등재

        중국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유형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만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9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유형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중국 유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상관관계분석과 다변인 회 귀분석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은 개방성, 배려, 친밀감, 믿음의 하부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정보적, 정서적, 평가적, 물질 적 지지로 되어 있다. 문화적응유형은 통합유형, 동화유형, 분리유형, 주변화유형의 하위요소로 범주화하였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지각된 차별감, 지각된 적대감, 대 인관계 스트레스, 문화충격,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5개 하위요소로 되어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 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감 중 개방성 요인은 지각된 차별성, 지각된 적대감, 대인관계 스트레스, 문화충격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 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배려 요인은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한국인의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적 지지는 지각된 적대감과 대학생 활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또한 정보적 지지는 지각된 차별감에, 정서적 지지는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평가적 지지는 문화 충격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셋째,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이 문화적 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화 적응유형은 대인관계 스트레 스, 문화충격,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동화유형은 지각된 차 별감에, 분리유형은 지각된 적대감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trust, peceived social support, and cultural adaptation types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me significant effects of Korean trust among Chines student respondents in Korea on acculturative stress. Specially, the higher level groups in the score of Korea trust, care, intimacy, and reliance have less acculturative stress than the lower level groups. Second, Som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ceived social support on their acculturative stress are founded. Specially, the higher level groups in the score of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tend to experience less acculturative stress than the lower level groups. Third, the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types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them are analyzed. The marginalization type and the separation type have tendency to get higher acculturative stress, but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ion type and the assimilation type have tendency to get less acculturative stress.

      • KCI등재

        사회정서역량과 회복탄력성이 학교 적응과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Kim So Young),김현지(Kim Hyun ji),이상수(Lee Sang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사회정서역량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과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광역시에 소재한 3개 학교에 재학 중인 학교 적응 청소년 180명과 학교를 자퇴 또는 퇴학한 학교 부적응 청소년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학교 적응 청소년과 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을 비교한 결과, 학교 적응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이 높았다. 둘째, 학교 적응 청소년과 부적응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비교한 결과, 학교 적응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이 높았다. 셋째, 학교적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서역량의 하위변인을 분석한 결과, 자기인식 및 관리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학교적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을 분석한 결과, 감사하기, 관계성, 소통능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생들이 학교에 적응하기 위해 어떠한 능력을 교육할 필요가 있는지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resili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school maladjustment. We conducted a survey on 180 students from three school and 100 adolescents dropped out of school or expelled from school in Korean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emotional competence of school-adjusted adolesc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resilience of school-adjusted adolesc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Third, the self-awareness and management, sub-factor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Fourth, Third, the appreciation, relationships, and ability to communicate, sub-factor of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orientation of what abilities students need to educate to adapt to school.

      • KCI등재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학교생활적응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희진 ( Hee Jin Kim ),최장원 ( Jang Won Choi ),이지현 ( Jee Hyun Lee ),( Atterraya Madhu Sudha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즉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그리고 부모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어느 정도의 상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대인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청소년 자존감의 수준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는 부모, 친구, 교사와의 관계가 각각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상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하고, 이러한 관계의 문제에서 비롯된 학교생활적응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찾기 위한 시도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존감은 청소년의 적응을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변수로서, 자존감에 대한 개입은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개입의 폭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가지고 청소년 자존 감을 조절변수로 투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8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들의 친구관계 및 학교생활에 관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가 보고식 설문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본 자료 중 불충실한 응답을 제외한 2,176 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대인관계정도 평균을 비교해 볼 때 또래관계의 정도가 3.1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부모와의 관계 2.96, 교사와의 관계가 2.22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모두에서 관계의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존감이 높아질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또래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 계정도에서는 자존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유일하게 교사와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정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즉,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 계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생활적응에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의 경우, 3가지 관계영역의 관계정도가 어떠한지를 우선 살펴보아야 할 것이며, 청소년 상대적으로 취약한 관계 영역을 발견하여 그 영역에 보다 주력한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3가지 관계 영역에서 모두 취약한 청소년에게는 관계정도의 향상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및 평가와 포괄적인 상담 및 개입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둘째, 교사와의 관계로 인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문제가 있는 청소년의 경우 교사와의 관계개선을 위한 노력과 함께 자존감 향상을 위한 개입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교사와의 관계정도가 낮아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에게는 교사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개입 외에도 자신의 성격, 능력, 가치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자존감 향상을 위한 개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자존감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치료나 해결중심치료 등의 효과성이 보고되고 있는바, 적절한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실시하고 그러한 프로그램의 효과성도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청소년들의 자존감과 대인관계에 관한 조사를 통해 문제가 발견되는 청소년에 대해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사례관리를 실시함으로써 그 중 학교생활 부적응이 나타난 학생들에게는 치료적 개입을, 아직 부적응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러한 요소가 내재해 있는 학생들에게는 예방적 차원의 개입을 해야 할 것이다. 향후 필요한 후속연구들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영역의 세부 하위 관계적인 속성들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하게 파악하여 관계의 개선을 위한 개입시에 관계의 어떠한 측면들에 주력한 상담 또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또래와의 관계나 부모와의 관계에서와는 달리 교사와의 관계와 학교생활적응에서만 조절효과를 보인 것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juvenile interpersonal relations by the factors which affect juvenile school adapting matter. Then, it tri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juveni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chool adapting issue by dividing into 3 groups of their relationship pattern. 3 groups consist of their relationship with peers, teachers and parents. In addition to, it tri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self-esteem level on adapting to school life. This is an attempt to compare what types of relative effects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teachers have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to look for methods that can resolve school life adaptation issues arising from such relationship.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self-esteem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adaptation of youths. So, self-esteem was inserted as a moderator variable. This study was done based on the survey “research of juvenile friendship and school life”, which wa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08. The data of this research is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zed the best answered 2,176 data among them. Essential outcome of the study is as follow. First, primary average of juvenile inter-relationship with peer group is 3.12 point, 2.96 with parents, and 2.22 with teachers. Second, it reveals that each of the relationship levels (peers, teachers and parents) gets rises, the level of adapting school life also gets rises. Third, juvenile self-esteem has meaningfully influenced on raising level of school adaptation. Statis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level of relationship with peers, parents and level of adapting school live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level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level of adapting school life proved that the level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ve positive effects on level of adapting to school life.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suggestions for intervening in school adapting issue based on the results. First, to improve juvenile adapting to school life, it has to be preceded improving juvenile inter-relationship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peers, teachers and parents. In case of youths who seem to have problems on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level of relationships among 3 types of relationship be examined first. Then, we have to find relationships that youths are comparatively vulnerable. In particular, for youths who are vulnerable in all 3 types of relationship, systematic analysis and evaluations, comprehensive counselling and interventions are essential for improving the level of relationships for youths. Second, to improve adapting to school life for juvenile, it is requested to proceed simultaneously, the intervention which is raising juvenile`s self-esteem improving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other words, for youths who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school life adaptation due to a low level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first. In addition,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o improve self-esteem so that youths can make positive evaluations of one`s personality, ability and valu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and solution-focused therapies for increasing self-esteem is being reported, and there is a need to conduct appropriate programs and verify such programs` effectiveness. In addition, focused case managements for youths who are shown to have problems through investigations on self-esteem and 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conducted. Among such students, treatment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those who have school life maladjustment,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those students who have yet to show maladjustment but have such elements within.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that are required in a future. First, effects on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detailed sub-properties of relationships with peers, teachers and parents that affect school life adaptation should be grasped. Next, studies should be taken place to grasp the cause of moderating effect that was shown betwee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school adaptation life, which was not shown in relationships with peers or parents.

      • KCI등재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대학생활적응 실태 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

        구슬기,박주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54 No.1

        This study analyzed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using the 4th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and Education Panel and explored variables that affect college adjustment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moting college adjustment. To this end, based on several preceding studies, the sub-factors of college adaptation were defined as “academic adaptation,”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and the actual status of college adaptation was analyzed through a cognitive diagnostic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 analysis. and the influence of variables was explor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the three sub-fa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satisfac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was the highest,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adjustment” was found to be the lowest. Second, because of the profile analysis of college life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experienced both “academic adjustment” and “college environment adjustment” at the same time.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hree sub-factors of college adjustment were self-efficacy, scholarship per student, and education expenditure per student.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sub-factors and variables that require priority measures to impro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4차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실태를 분석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대학생활적응 진작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다수의 선행연구를 근거로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을 ‘학업 적응’, ‘대학환경 적응’, ‘사회적 적응’ 으로 정의하였고, 인지진단모형 및 다중회귀모형 분석을 통하여 대학생활적응의 실태 및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활적응의 세 가지 하위요인 중 ‘학업 적응’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사회적 적응’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의 프로파일 분석결과, ‘학업 적응’과 ‘대학환경 적응’ 두 가지 요인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생활적응 세 가지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 학생 1인당장학금, 학생 1인당 교육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조치가 필요한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이타주의 논의에서 적응도 개념의 다의성

        정상모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7 No.-

        적응도’는 집단 유전학과 진화 종합론의 핵심 개념의 하나이다. “한 개체의 적응도 희생을 통하여 타 개체(들)의 적응도를 증대시키는 행동 경향”으로 정의되는 생물학적 이타주의 논의에서도 적응도 개념은 중심을 차지한다. 그러나 진화 생물학의 다른 주요 용어들과 마찬가지로 ‘적응도’도 명료성과 정밀성에 있어서 아직도 만족스러운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관련 논의의 주제나 맥락에 따라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타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여러 이론들에서도 그 점이 두드러진다. 이 논문은 진화론적 이타주의 논의에서 사용되는 적응도 개념들을 분석하여 그것의 의미 다양성과 맥락적 성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논문은 먼저 적응도 개념을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표준적인 적응도 개념은 형질의 진화와 선택의 다양한 국면들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보편적인 개념으로 정의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따라서 각 탐구 목적과 분야에 적합한 복수의 적응도 개념을 허용하는 편이 좋다는 견해에 도달한다. 그런 다음, 이타주의 문제의 해법으로 제시된 친족 선택론, 호혜 이타주의론, 형질 집단 선택론에 나타나는 적응도 개념을 상세히 분석한다. 분석은 각 이론들에 사용되는 적응도 개념의 특성, 구성 요소. 선택 기준, 작용 기제, 적합한 분야, 그리고 다른 적응도 개념으로의 호환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분석의 결과 이타주의 논의에서도 적응도는 다의적이고 맥락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변수의 일부를 조정함으로써 상호 교환가능한 수학적 공식으로 표기될 수 있음을 밝힌다. 'Fitness' is one of the central concepts in population genetics and evolutionary synthesis. Fitness plays also a central role in the discussions of altruism, which is defined as "the behavioral property of increasing others' fitness by means of sacrificing one's own fitness." Yet, as in other terms in evolutionary biology, the term fitness hasn't reached a satisfactory level in clarity and precision and has various meanings depending on each subject and context. Particularly, things are more serious in the theories which have been suggested to solve the problem of evolutionary altruism. This paper aims at articulating the concept of fitness that has been used in theories on altruism through conceptual analyses. Firstly, I analyse the concept of fitness per se, through which I conclude that the standard concept of fitness hardly cover every aspect of the trait-selection and evolution processes and that it be preferable to have multiple concepts of fitness appropriate for each research purpose and field. Secondly, I analyse fitness concepts in the theories on kin altruism, reciprocal altruism, and trait-group selection. The analyses would be performed in terms of conceptual properties, elementary constitutions, selection unit, working mechanism, exchangeability with other concepts. Through the analyses I conclude that as is the case in fitness per se, fitness in theories on altruism be also plural in meaning, contextual in usage, and exchangeable by slightly modifying s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