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의 특성 고찰

        홍용희(Hong Yong-hee)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7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는 ‘일본 사회 속의 북한 시’의 특성을 지닌다. 그것은 ‘재일조선문학가예술동맹’이 친북단체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산하기구로서 조총련의 기본 지침과 방향성에 대한 문학적 실천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라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한편, 일본의 재일본조선인문단은 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문예동)이 1959년 6월 7일 결성되면서 조총련의 지도 아래 김일성과 조선로동당의 문예정책을 받드는 작가, 예술인 대오를 집중적으로 강화해 나간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는 바처럼 재일조선인 시는 기본적으로 북한 시와 근원 동일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시 창작의 방법론은 물론 위상, 역할, 평가 등이 북한의 주체적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사상적 무기로서의 특성에 직접 대응되는 것이다.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의 시적 양상을 주제의식에 따라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대체로 일본사회에서의 정착과 시련, 조국에 대한 그리움, 김일성ㆍ김정일에 대한 송가, 남한 사회의 비판과 조국통일에 대한 염원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재일조선 디아스포라 시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한민족 문학권의 중심에 있으나 아직 우리에게 미답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시의 현황과 위상을 확인하고 아울러 북한문학의 미래지향적인 변화에 순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재일조선인은 폐쇄적인 북한과 달리 자본주의 문화의 첨단을 직접 접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에 거주한다는 분명한 변별성을 지닌다. 다시 말해,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는 북한식 사회주의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미적 거리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가 앞으로 전지구적 시장화에 대응해야 하는 북한사회의 개방화를 선도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점으로 파악된다. 또한, 이러한 논법은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북한문학의 일방적인 영향권에 놓인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문학이 앞으로 폐쇄적인 북한문학의 변화에 적극적인 충격과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전도된 위상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재일 디아스포라는 세계정세의 흐름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더불어 북한 주민에 비해 남한과의 원할한 소통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에 대한 논의는 이와 같은 한반도의 통일시대와 민족적 통합을 향한 미래지향적인 가능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주목하고 평가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The poetry written by Korean-Japanese hav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oetry in Japan society. That is directly appeared in the 'Art Community of Korean-Japanese literary people" which is the affiliate organization of 'Korean-Japanese Union', pro North Korean organization, and has an purpose on practicing literally about basic principle and direction of North Korean residents’ league in Japan. The platform of North Korean residents’ league in Japan suggests practice of reunification, protection of national interests of Korean-Japanese, contribution to world independency and so on based on the level as an subordinated organization of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Korean-Japanese Literature Artist Union is formed in June 7, 1959, writers and artists supporting Ilsung Kim and literature policy of North Korean political party are centered and Korean-Japanese literary world in Japan was developed. As you may know under this situation, the poetry of Korean-Japanese has identification in their roots with North Korean poetry. Status, role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methodology of poetry correspond to characteristics as ideological weapon for independent socialistic revolution of North Korea. As we divid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Japanese poetry according to subject consciousness, they can be summarized as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Korean-Japanese, conflicts with Japan society, emphasis on mother tongue use, anti American feeling and criticism on South Korean society, desire of reunification, praise of Ilsung Kim and Jungil Kim, shaping of ordinary life and so on. Among this characteristics except poetry about ordinary life, other poetry have their role in teaching and enlightening ideological direction of Korean-Japanese society. When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Japanese poetry, they are still in the center of the Han race literature range but they have importances because we can confirm the current situation and status of Korean-Japanese poetry which remains as unsolved field, along we can watch the possibility to work as pure function to the future directed change.

      • KCI등재

        해방직후 재일조선인 문학의 자리 만들기

        이재봉(Lee Jae Bong)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재일조선인 문학은 특정한 국가에 귀속시키려는 근대 국민국가적 욕망에서 벗어나 디아스포라 문학으로 바라볼 때 그 독특한 위치성이 밝혀질 수 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관점에서 1945년 조선의 해방과 일본의 패전이라는 역사적, 정치적 상황 아래서 재일조선인 문학이 어떤 위치를 만들려고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조선과 일본 그리고 변화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재일조선인 문학은 스스로의 위치를 확립하기 위해 끊임없이 조선과 일본에 개입한다. 따라서 재일조선인 문학 역시 조선과 일본을 동시에 지향하고 있었다. 󰡔민주조선󰡕의 필자가 재일조선인, 일본인, 본국의 조선인 등으로 나뉘어 있는 것 등에서 이런 성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조선과 일본에 동시에 개입해야 하는 이 독특한 위치성은 재일조선인들이 조선을 적극적으로 번역하는 행위로 나타난다. ‘재일조선문학회’가 ‘조선문학가동맹’의 강령을 거의 그대로 번역한 것이나 조선을 배경으로 삼은 문학작품이 많은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표현이라도 발화 위치와 문맥에 따라 번역의 의미는 달라질 수밖에 없었고 조선은 여전히 식민지적 모순에 가득 찬 공간으로 번역된다. 그래야만 재일조선인은 일본이라는 식민지 종주국 공간에서 일본인들과 공동투쟁 또는 공생의 명분을 마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 재일조선인은 일본인들에게 적극적으로 번역되어야 하는 존재이기도 했다. 󰡔민주조선󰡕의 창간 목적 중의 하나가 조선과 재일조선인에 대한 왜곡된 일본의 시선을 바로잡는 것이었다는 점은 여기서 기인한다. 조선과 일본에 끊임없이 개입하고 번역하는 존재임과 동시에 번역되어야만 하는 존재였던 재일조선인 문학은 바로 이 때문에 이미 세계성을 띠게 되고 그들의 문학은 상호문학적 과정이라는 특성의 세계문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The unique positionality of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can be revealed when it is viewed as a diaspora literature, which gets out of the modern national desire of imputing to a certain nation. This paper, approached in this terms, intended to look into which positionality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tried to make under the historical, pol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liberation and Japan defeat in 1945. In the circumstance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international changes,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continuously intervened in Korea and Japan to establish their own status. Thus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also had an innate respect for Korea and Japan at once. It is possible to judge from the fact that the authors of 『Minju Chosun』 were composed of the Koreans in Japan, Japanese and inland Koreans etc. The unique positionality, intervening in Korea and Japan at once, is outed as behaviour that the Koreans in Japan translated Korea actively. That is why ‘The Association of Choseon Literary Writers in Japan’ translated the organizational statement of ‘The Union of Chosun Literary Men’ to the letter and there were many literary works with Korea setting. However it has been inevitable that the same expression differed in accordance with utterance places and contexts and Korea is still translated as a space filled with colonial contradiction. Only then could the Koreans in Japan get justification for joint struggles or symbiosis with Japanese in space of Japan, the country from which colony originated. Besides, the Koreans in Japan were beings translated by Japanese positively. That contributes to the point that one of the purposes for 『Minju Chosun』 foundation was to correct distorted views on Korea and the Koreans in Japan.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was a translated being as well as a continuously intervening in Korea and Japan and translating being, and because of this, it has already taken on globality and their literatures have showed world literary character that is inter-literary process.

      • KCI등재

        디아스포라의 위도 가 가로막은 것과 열어놓은 것 : 남북일 냉전 구조와 재일조선인의 언어, 연대, 장소

        조은애(Eunae Ch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5 No.-

        이 글은 필자의 박사학위논문 「남북일 냉전 구조와 재일조선인의 문화적 월경: 자기민족지적 글쓰기의 계보」(동국대학교, 2020)의 논점을 소개하고, 그 중에서 특히 재일조선인의 언어, 연대, 장소라는 키워드를 통하여 다른 두 명의 한국(문)학 연구자들과 대화해 보고자 한 시도이다. 먼저 1절에서는 필자의 박사학위논문이 ‘재일조선인은 재현의 주체인가 대상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음을 밝혔다. 조선어와 일본어를 넘나들고, 생활세계와 사상적인 귀속 국가 사이에서 유동하며 전후 일본 사회와 재일조선인 사회, 그리고 분단된 조국 사이의 다양한 ‘연대’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재일성’을 구성해 간 재일조선인 문학자들의 모순적 조건들을 가시화하는 것이 그 질문에 대한 유의미한 응답일 수 있다. 2절에서는 식민지 조선인의 ‘이언어’ 및 ‘다언어’ 글쓰기를 다룬 정한나, 다카하시 아즈사 선생님의 박사논문에서의 문제제기를 경유하여, 해방후 재일조선인 문학에서의 이언어 글쓰기라는 문제를 재검토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재일조선인의 문학과 매체에서 ‘조선어’와 ‘일본어’란 결코 단일한 각각의 실체가 아니며, 그 안에 식민주의와 ‘조국’의 분단, 그리고 동아시아 냉전의 역사가 겹쳐지며 생겨난 차이들이 무수히 교차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둘 사이의 관계 또한 균질적이지 않다는 점을 해명하였다. 3절에서는 두 선생님이 다룬 다민족・다언어 매체와 독자 간의 관계를, 필자의 논문에서 다루었던 재일조선인 발행 매체들의 언어와 독자에 겹쳐 보았다. 여기에서는 한편으로는 다언어로 쪼개진 재일 사회를 향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언어적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 다민족 독자를 향해 발화하는 과정으로부터, 재일의 범주에서 배제되었던 망명자가 ‘재일성’의 경계를 새롭게 구성하였음을 이야기했다. 4절에서는 ‘북위 38도’가 재일조선인 문학자들에게 ‘조국’의 분단이자 재일조선인 사회 내부의 분단, 그리고 숙명적인 동시에 불길한 ‘귀국’, ‘두 개의 전쟁’과 ‘냉전/열전/의 연속성 등으로 표상되는 방식을 살폈다. 특히 두 선생님들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김달수의 작품에서 한국전쟁기 재일조선인의 존재 방식이 시각성에 의존하여 그려진다는 점, 그리고 쓰이는 대상으로서의 재일조선인 여성과 매체 운영의 주체에 따른 작품의 성격 변화 등으로 연구의 시야를 넓힐 수 있었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arguments of my doctoral dissertation and outlines a dialog with two other Korean (literary) researchers through the keywords of language, solidarity, and the place of Zainichi Koreans in their literature. Section 1 of this article mentions that my dissertation began with the question, “Are Zainichi Koreans the subject or object of representation?” Visualizing the contradictions of Zainichi Korean writers who introduced “Zainichi-ness” while shuffling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daily life and ideological attributions, and connecting various networks of solidarity between postwar Japan, Zainichi society, and the divided “homeland,” can be a response to the question. In Section 2, the matter of bi-linguistic writings of Zainichi Korean writers in postwar Japan was reviewed through the works of two researchers on the “bilingual” and “multilingual” writings of colonial Korean intellectuals. In Section 3, I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national and multilingual media covered by the researchers, whith the languages and readers of the Zainichi Korean publishing media covered in my dissertation. In Section 4, I introduced the representation of the “38th parallel north” by writers as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nd a division within the Zainichi Korean society, the fate and ominous “return,” and the continuity of the “two wars: the Pacific War and the Korean War” and the “cold war/fiery war.”Keywords: Zainichi Koreans(Korean Reidents in Japan), Zainichi-ness, bilingual writing, Return to North Korea, the exile, the Korean War

      • KCI등재

        재일조선인과 ‘이카이노(猪飼野)’라는 장소

        양명심(Yang, Myung Sim)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7 No.-

        오사카(大阪)의 이쿠노쿠(生野区)는 가장 규모가 크고 오래된 대표적인 재일조선인 집주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돼지를 기르는 토지’라는 뜻을 갖는 오사카시 이쿠노쿠 이카이노초(猪飼野町)의 옛 지명 ‘이카이노’는 1973년 그 명칭은 소멸되었지만 해방 후 70년이 지난 지금에도 ‘재일’의 상징적인 장소로 과거가 아닌 현재로 이야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재일조선인 사회의 세대교체가 일어났던 1980년대 후반 재일 2,3세들에게 오사카 ‘이카이노’라는 장소가 특별한 곳으로 기억되고, 의미가 부여되면서 ‘만들어지는’ 과정을 재일조선인이 발행한 잡지 『민도』와 『호르몬문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두 잡지는 신세대 재일조선인의 자기표현의 ‘장’으로서 재일조선인 문화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환점이 되는 잡지이다. 따라서 재일조선인 발행 잡지에 수록된 ‘이카이노’ 관련 문학 작품과 좌담회, 평론, 에세이 등을 통해 재일조선인이 형성한 오사카 이쿠노쿠의 지역 문화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카이노’를 중심에 두고 있는 재일조선인들의 문화정체성을 재조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민도』에서 소개하고 있는 이카이노 출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서 ‘이카이노’가 ‘혼종적 언어’의 장소, ‘여성’의 장소, ‘공동체’의 장소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호르몬문화』의 이카이노 특집에서는 ‘재일’이 직면한 현실적 문제들을 재일 스스로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그 해결책을 모색해 가는 과정에서 ‘이카이노’라는 장소가 만들어낸 재일조선인의 문화정체성의 실제를 확인하였다. 문학적으로 재생산된 이카이노 언어, 이카이노 사람, 이카이노 공동체 의식 속에는 『호르몬문화』를 통해 확인된 오사카 조선인의 역사와 삶의 과정에서 빚어진 재일조선인의 균열된 문화정체성이 그 중심에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kuno-ku in Osaka is the largest and oldest residential area for ethnic Koreans in Japan (Zainichi Koreans). The name is currently no longer used, but, after 70 years past since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this place is still told as a symbolic location of Zainichi Koreans. This study reviewed two magazines: Minto and Hormon Culture, in order to find out the process of how “Ikaino” has been remembered and created as a special place for Zainichi Koreans. The magazines are more notable for the fact that they functioned as a “forum” for the self-expression of Zainichi Koreans and pursued new values for new-generation Zainichi Koreans at the time when Korean-Japanese media started to be differentiated. The term “Ikaino” in the works of writers from Ikaino that were published on Minto was represented as a place for “hybrid language,” a place for “female,” or a place for “community.” In addition, articles about Ikaino on Hormon Culture presented the reality of the cultural identity of Zainichi Koreans that was created by the place “Ikaino” in Osaka in the process when new-generation Zainichi Koreans recognized and addressed problems they faced themselves. It was found that the split cultural identity of Koreans in Osaka, which was confirmed on Hormon Culture, was situated at the center of Ikaino language, Ikaino people and Ikaino community that were reproduced through literature.

      • KCI등재

        재일조선인잡지 『호르몬 문화』(ほるもん文化)연구 ― 재일조선인잡지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

        이승진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ontent and features of Hormone Culture, a magazine for Koreans in Japan, and to identify the role and status Hormone Culture take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magazines in Japan. In the 1990s, when the magazine appeared, the circumstances of the Korean society and magazines in Japan were changing in a way that was different from ever before. Third-generation Koreans came to form the majority in the composition of generations, thus causing the existing associations and house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become notably weaker in their ethnically persuasive power. From the viewpoint of research into the magazine media, externally, the diversity of the Japanese media and decline in print journalism directly influenced the magazine media. Internally, third-generation Koreans were emerging as the main agent of expression, which was not a mere change in generations because it became more difficult to express, through the Korean magazines in Japan, discourse on Koreans in Japan at a collective level. Hormone Culture is a magazine that emerged from the midst of these changes. The significance of the magazine can be thought to be valuable, because it shed light upon everyday experiences and the realities of the general public, particularly Koreans living in Japan. At the same time it actively linked the "boundary status" of the Koreans to actual issues in reality, thus seeking the ground for general opinions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본고는 재일조선인잡지 『호르몬 문화』의 내용과 성격을 살펴보고, 재일잡지사의 맥락에서 『호르몬 문화』의 역할과 위상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호르몬 문화』가 등장했던 1990년대는 재일조선인사회와 재일잡지 매체를 둘러싼 환경이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변화하기 시작한 시점이었다. 세대 간 구성 비율에서 3세대가 다수를 차지하면서, 기존 ‘재일조선인 조직’과 ‘재일조선인 집’이 발신하는 민족적 호소력이 두드러지게 감퇴했을 뿐만 아니라, 재일조선인의 실제적인 국적 이동이 활발히 벌어지기 시작한 점에서 1990년대는 재일조선인 사회의 변화가 가장 큰 폭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잡지미디어 연구라는 관점에서 살펴볼 때, 1990년대는 재일잡지 매체를 둘러싼 출판 환경의 변화가 재일조선인 사회의 환경 변화와 호응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이전 시기와 차별된다. 외부적으로는 일본 미디어의 다양화와 활자 매체의 쇠퇴가 잡지 매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고, 내부적으로는 단순한 세대교체의 차원을 넘어 표현의 주체로 재일조선인 3세대가 부상하면서, 집단적 층위의 재일조선인담론이 더 이상 재일잡지를 통해 표출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호르몬 문화』는 정확히 이러한 변화 흐름의 한 가운데에서 발간되기 시작한 매체였다. 이 잡지는 재일조선인 일반 대중들의 일상적 경험과 현실적인 삶을 가능한 다양하게 조명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재일조선인의 ‘경계적 입장’을 현실에 밀착한 문제들과 적극적으로 연동시킴으로써 이전과 다른 형태의 공론장적 가능성을 새롭게 모색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에 서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재일조선인 스포츠커뮤니티의 탄생과 동아시아 네트워크의 재편(1950-1965)

        유임하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학 Vol.50 No.-

        Thi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orts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from Korean War in June of 1950 to just before th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65. Life and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ere faltering with Korean War(June 25th, 1950). On the other hand, war material production had a boom in Japan and Japanese society could have the recovery and reconstruction of economy during Korean War.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starte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with South and North Korea and began to have reconstruction of national association when cease-fire system started. The sports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developed rapidly for reconstruction. From postwar to Korean War in June, 25th of 1950, it was the beginning of sports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from 1950 to 1965 when basic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was done. This period was explaned that there were so many changes in sports community by organizing with strong national association and Japanese society started to have high growth. This study reviews sports organization and ac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based on studies related to their sports. With this review, it is investigated how sports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is related to Japanese society and how it is developed with relationship with South and North Korea. 이 글은 1950년부터 1965년 한일조약 체결 직전까지 ‘재일조선인’의 스포츠 커뮤니티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전쟁 발발(1950.6.25)과 함께 ‘재일조선인’의 삶과 사회는 크게 흔들렸다. 그러나 한반도 전쟁으로 인해 일본사회는 전쟁물자 생산과 특별한 호황이 불었고 경제재건과 회복의 계기를 마련했다. 전쟁이 휴전체제로 돌입하자 이때부터 재일조선인사회는 남북한과의 연계를 강화하며 민족단체의 조직 재건에 돌입했다. 이러한 추세 속에 재일조선인 스포츠커뮤니티 재건도 빠르게 전개되었다. ‘전후’로부터 1950년 6.25한국전쟁 직전까지가 재일조선인 스포츠커뮤니티의 기원 형성의 시기였다면, 1950년부터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되는 1965년까지는 일본사회가 고도성장기로 진입하며 재일조선인 스포츠커뮤니티 또한 강한 모국지향성을 가진 민족단체의 등장과 함께 조직화되는 변화의 시기였다. 이 글에서는 총련계와 민단계에서 작성한 재일조선인들의 스포츠 관련 사료를 바탕으로 재일조선인들의 스포츠조직과 활동을 재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재일조선인 스포츠커뮤니티가 일본사회와 어떻게 연계되었고 남과 북과는 어떤 연관을 맺으며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 KCI등재

        재일조선인, 일본의 지역사회를 살다 – 해방 후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의 정주와 생활을 중심으로

        정계향 한국구술사학회 2017 구술사연구 Vol.8 No.2

        오늘날 재일조선인의 역사는 100년을 넘어서고 있다. 1970년대부터는 고국으로의 귀환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사실을 받아들인 재일조선인 2세를 중심으로, 정주국인 일본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 본격적인 고민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고민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의 정 주과정과 생활세계 분석을 통해, 재일조선인이 지역의 일본인 혹은 지역사회와 어떤 관계를 맺어 왔는지 그 변화의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가 ‘재일조선인’이 가지고 있는 디아스포라적 특징, 특수성에 관심을 기울였다면, 여기에서는 지역주민으 로서의 재일조선인의 존재 양상에 주목했다. 해방 후 다카라즈카는 지역재건과정에서 시정촌 합병을 통해 ‘시’를 탄생시켰고, 도시계획의 수립과 실행 속에서 도시화가 진전 되면서 주택도시, 관광도시로 발전했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새로운 인구는 전통적 지역 질서에 변화를 가져왔고, 자치회 역시 그 역할이 점차 축소되었다. 다카라즈카 재일조 선인은 식민지기에 진행된 각종 지역공사에 종사하며 이주를 시작했다. 해방 후에도 상당수가 일본에 계속 정주하면서, 조련지부와 민단지부 등 재일조선인 조직을 만들고 민족학교를 설립했다. 다카라즈카에서 일하고, 학교를 다니고, 자치회에 가입하는 등 다카라즈카의 주민으로서의 일상을 보냈다. 한편으로 생활 속에서 민족차별을 경험하 고, 재일조선인 조직 및 민족학교를 통해 민족공동체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등 민족 집단으로서의 일상도 존재하고 있었다. 최근 다카라즈카 지역사회의 배타성이 점차 약 화되고, 재일조선인 조직 역시 기능이 축소되면서 다카라즈카에서는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에 새로운 관계가 만들어지고 있다. 또 일부 재일조선인은 다카라즈카 지역발전에 기여해온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새롭게 발굴하며 ‘자기서사’를 만들어가고 있다. The histor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has been over one hundred year. Once these residents had to accept the reality that repatriation to their homeland was extremely difficult since 1970, they began to seriously consider how to sustain themselves in Japan. And such a suffering has continued on to this da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ettle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eir lifestyle. It intends to find out how these South Koreans have coped with their reality and maintained relationship with their local community in Japan through their former life in Korea. Whereas prior researches were interested in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resident in Japa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esence aspect of ‘Zainichi(在日)’ as local natives in Japan society. After World War II, ‘Takaratuka(宝塚)’ has developed into a ‘city’ through the Housing Master Plans as part of the local reconstruction process. Through planning and execution, the city has developed as a dormitory suburb and a tourist attraction. The newly introduced inhabitants from the neighbor land who were disjointed from ‘cou(講)’ organization of local rural village had their roles altered in the local community. A self-governing body neighborhood of workers in the local construction site w and has been consistently passed on the next generation. They made their own ‘the Korean Residents Association in Japan(民團)’ and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總聯),’ and founded their own national school which they have managed decently since Korea liberation. As local citizens, the ‘Zainichi second generation’ reveals their way of thinking. As they remember the home country of their parents, they don't have as much affection and sense of belonging to ‘Takaratuka.’ But in recent days, there are newly developing connections and communication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in ‘Takaratuka,’ because of weakened exclusiveness, and reduced role of ‘Zainichi’ as an organization, and less interest in their home country.

      • KCI등재

        재일조선인 잡지 『민도(民涛)』 연구

        신재민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5

        본 논문에서는 재일조선인 잡지 『민도(民涛)』를 민중문예종합지라는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잡지 『민도』는 『삼천리』와 『청구』 사이의 3년간의 공백기 속에서, 문예 및 문화 활동의 공간이 부재했던 재일조선인, 특히 재일조선인 민중을 중심으로 하는 문예종합지로서 스스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었으며, 나아가 80년대라는 시대상황 속에서 재일조선인의 독자적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자 힘쓴 잡지이기도 했다. 1980년대 후반은 세계적으로는 동유럽 공산주의가 점차 붕괴하고 있었으며, 재일조선인 내적으로는 재일조선인 3세대의 등장으로 인한 조국과의 연결고리가 희박해지고 있었으며, 일본 사회의 지속적인 동화정책으로 인해 재일조선인의 내적 아이덴티티의 혼란이 초래되는 시기였다. 재일조선인 민중문예종합지『민도』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재일조선인을 위한 자유로운 문예공간을 표방하면서, 재일조선인 민중문화운동의 구심점이 되고자 했던 잡지였으며, 조국의 민주화 문제나 옥중작가의 석방 문제와 같은 표현의 자유에 관한 문제, 조국통일과 관련한 문제는 물론, 일본사회 내의 문제와 재일조선인의 독자적 아이덴티티 구축에 관한 문제에 이르기까지 당시의 시대적 욕망을 반영한 잡지였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재일조선인 잡지 『민도』가 『삼천리』와 『청구』사이의 공백기를 잇는 잡지이자 재일조선인의 자유로운 문예공간을 표방한 ‘민중문예종합지’로서 스스로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잡지 『민도』는 재일조선인 최초의 민중문예종합지였으며, 나아가 민중을 중심으로 하는 재일조선인의 디아스포라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민중문화운동을 선도하는 잡지이기도 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magazine 『Mindo』, which targets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zainichi people) as readers. The magazine 『Mindo』 was established as a comprehensive literary magazine for the zainichi people who lacked opportunities to engage in literary and cultural activities. This magazine also tri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zainichi people who were in their 80's. In the late 1980s, communism in Eastern Europe was gradually collapsing. This period is also known as the time during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Korea and the zainichi was weakened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the third generation of zainichi. 『Mindo』 was 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this historical period. This magazine aimed to be the center of the zainichi people's cultural movement, and also tried to provide them with a free literary space. The magazine 『Mindo』 was the first comprehensive literature magazine of the zainichi people. The magazine also led the cultural movement to build the diaspora identity of the zainichi people by focusing on the public zainichi society.

      • KCI등재

        재일조선인의 역설적 정체성과 사회적 상상

        오태영(Oh, Tae Young)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7 No.-

        이 글에서는 김명준 감독의 영화 <우리학교>에 나타난 재일조선인 사회의 구심점으로서 조선학교라는 공간에 주목하면서, 일본 홋카이도 지방의 재일조선인 사회와 그러한 사회 속에서 자신들의 삶을 영위해가고 있는 재일조선인들의 정체성 구축 방식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일본 당국은 재일조선인의 일본사회로의 동화를 위한 교육 정책을 실시한 반면, 재일조선인들은 자신들만의 지위와 위상을 공고히 하기 위해 민족교육을 실천하는 방향으로 교육 정책을 펼쳐나갔다. 동화와 차별의 조건 속에서 재일조선인들은 자신들만의 정체성과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한 길을 걸어왔고, 그 핵심에 조선학교가 놓여 있었다. 조선학교는 재일조선인 학생들의 자기 구축의 공간으로 기능한다. 그런데 조선학교의 재일조선인 학생들은 일본사회에서 재일조선인이라는 타자화된 위치를 확인하고 강조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구축해가고 있었다. 따라서 조선학교는 타자화된 위치를 긍정하는 전략 속에서 자기를 구축하는 ‘역설적 정체성’ 형성의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조선학교는 재일조선인들의 연대와 결속을 강화시켜주는 곳이자 세대론적 연속성을 확인하고 계승하는 공간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재일조선인 사회가 고립된 위치로부터 벗어나 일본사회 속에서 나름의 조화로운 공동체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은 ‘대안 사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기존 사회의 가치와 질서를 재생산하는 것이 아닌, 다채롭고 이질적인 사회 구성원들로 하여금 새로운 사회적 상상을 가능하게 하는 곳이 바로 조선학교인 것이다. This article noted space of the Joseon school as the focal point of the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of film <Our School> by Kim, Myoung Jun. Yet was developed to discuss how to build their own identity of Koreans residents in Japan are going to reflect your life in such a society and a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of Japan"s Hokkaido region. Japanese authorities conducted a training policy for the assimil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the Japanese society. On the other hand, Korean residents in Japan are spread out in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policy and national education practice in order to consolidate the position and status of their own. Korean residents in Japan in terms of assimilation and discrimination have walked past a road to build their own identity and community. And at its core it lays the Joseon school. Joseon school serves as a space for self-construction of Korean residential students in Japan. But the students were going to build their identity in a way to identify and highlight position of the other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in Japanese society. So That schools was functioned as a space of “paradoxical identity” to build a positive self-formation in the strategy of the position of the other. Meanwhile, the Joseon School is a place that enhance the solidarity and 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living in Japan. At the same time there was also a space to make the three ontological continuity and succession. And it was isolated and the orientation of its own harmonious community from a position outside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In that sense, there was also the possibility it will show the “alternative society”. Let the rich, heterogeneous society will have a direct shipbuilding joseon schools where possible a new social imagination.

      • KCI등재

        재일조선인 표상과 시선의 주체: 이마무라 쇼헤이 〈니안짱〉(1959)을 중심으로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2 씨네포럼 Vol.- No.41

        본 연구는 일본영화의 재일조선인 표상과 시선의 주체 문제에서 이마무라 쇼헤이의 〈니안짱〉이 원작과 다른 시선을 구축하는 것에 주목했다. 재일조선인 문학사적 관점에서 원작은 화자로서 재일조선인 아동의 주체성 문제와 일본 대중사회의 내셔널리즘적 소비의 문제가 있다. 이마무라의 〈니안짱〉은 원작의 이러한 문제와 거리를 두기 위해 가상인물들을 조형하여 원작을 재구성 및 재창조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니안짱〉이 새롭게 조형한 일본인 복지사 가나코와 재일조선인 노파 사카다의 의의와 재일조선인 아동의 자의식 형성에 관계된 지정학적 조건을 살폈다. 〈니안짱〉이 탄생시킨 가상의 인물들은 원작의 재일조선인 아동 시선에서 구체화되지 못한 어른들의 문제, 즉 재일조선인을 둘러싼 일본사회의 차별적 시선을 담지한다. 〈니안짱〉은 가나코와 재일조선인, 가나코와 일본인 사이의 거리를 표상하여 재일조선인의 삶에 전제된 일본의 역사를 반추시킨다. 이때 가나코와 대조되는 사카다는 일본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직접적으로 표명한다. 〈니안짱〉은 재일조선인의 삶이 일본이라는 지정학적 조건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사카다의 대사와 동선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1세의 삶에서 벗어나려는 다카이치의 의지는 보타산에 오르는 상승성을 통해 반복된다. 그러나 다카이치의 자의식에서 발생한 상승적 역동성은 일본인에 의해 저지되고, 회귀되기를 반복한다. 〈니안짱〉의 엔딩은 그럼에도 굴하지 않는 다카이치의 강인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그것을 일본사회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관객에게 되묻는다. As a matter of the representation of Zainichi (ethnic minority in Japan) in Japanese cinema, This study focused on Shohei Imamura’s Second Brother (1959) bears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original work. There are several fictitious characters and new, related episodes in Second Brother. Following the difference, this study notices Kanako-Japanese social worker- and Sakada-old Zainichi woman- as fictitious characters and also surveys Japan as a geopolitical condition for Zainichi children’s identity. The fictitious characters from Second Brother connote Japanese ethnic discrimination or the perspective of the adult which cannot reveal itself because the original work had written by children. A gap between Kanako and Zainichi and between Kanako and other Japanese in Second Brother makes rumination on th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ism that brings about the Zainichi and also there’s today. Sakada, another fictitious, expresses her stance directly as a Zainichi woman who has no choice but to live in Japan. And Takaichi, who is the second brother or the second generation of Zainichi, climbs Bota-Yama (slag heap of coal mine) repeatedly for the sake of getting over the closed conditions of selection. Whenever he expresses the will himself, the Japanese block him and sends him back to the place where they accord to Zainichi as implicit bias. Imamura asks back to Japan, how it is possible and what have to do now in the last sc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