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앙담론과 법사회학적 이해

        송영현 ( Song Young-hyu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이 글의 목적은 문화와 법적인 틀에서 우리 사회에 다양하게 나타나는 재앙에 대한 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곧 재앙담론을 문화적 시각에서 다루어보는 한편 그에 대한 법의 대응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담론은 하나의 문화현상이다. 담론은 사회의 문화적 분위기를 파악하는 도구가 될 수 있으매 재앙담론 분석을 통해 그 사회적 의미 이해에 다가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문화적 제도인 법이 어떠한 모습으로 등장하는지를 봄으로써 재앙과 법의 사회적 맞물림을 상정하려 한다. 재앙은 그 이름처럼 등장한다. 보이나니 지진이나 홍수, 가뭄, 온갖 전염병의 창궐, 테러, 전쟁, 인종 갈등뿐이다. 그런데 재앙담론 또한 그만큼의 수로 사회에 현시된다. 예측이 어려운 재앙에 대응하는 담론은 철학적 사유에 의한 현재의 사회를 재해석하기도 한다. 재앙을 맞이한 위기 속에서 인간은 스스로의 지위와 사회의 제도를 되돌아본다. 그래서 재앙은 때로 인간의 현재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문제는 그 기준이 위기를 맞이하는 사람들마다 다 다르다는 데 있다. 세계의 많은 이들이 이 같은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 이를 언어로 대상화하고 있는데 그 또한 재앙담론이다. 그래서 재앙은 역사와 시대 발전, 그리고 인간의 정신을 지배해 온 이성에의 믿음을 재배치하는 현실적인 진앙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인류의 역사는 재앙 극복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기도 한다. 문제는 언제나 재앙이 휩쓸고 간 세계의 모습이었고, 역으로 재앙이 몰아닥치기 전의 인간 세상이었다. 그래서 인간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기준의 가장 보편적 틀이 되는 법을 만든 것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의도했든 그렇지 않든 사회의 문화를 형성하는 배경이 된다. 법사회학은 그것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 재난에 대비코자 하는 문화제도로써의 법이 안전한 사회를 세우는데 기여할 수 있게끔 하는 단서를 제공한다. 재앙담론은 재앙에 대한 시야의 폭을 설정하는 언어적 실천이다. 담론은 사회의 의식을 반영하기에 그 속에 내재된 다양한 생각과 의견은 곧 사회적 현실을 드러내는 것이다. 질병과 지진, 사고는 안전을 떠올리게 한다. 그리고 그것은 법에의 전화이다. 이미 말했듯이 재앙담론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영화로, 소설로, 사진으로, 그림으로도 표현된다. 재앙은 위기이고, 법은 기준이다. 법의 속성이 그렇듯이 재앙에의 대응은 법의 변화와 맞물린다. 그렇기에 재앙에 대한 구체적인 법 담론 분석도 뒤따라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ourse on the catastrophes which appears variously in our society in culture and legal perspective. Accordingly, it aims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legal issues in the discourse related to the catastrophe. Discourse is a cultural phenomenon. Discourse understanding is also good for examining the cultural atmosphere of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seeks social meaning through analysis of discourse about disaster. In this process, the study will look at what kinds of laws are expressed as cultural systems and assume social interactions of disaster and law. Sociology of law will subsequently seek understanding about it. This as a way to prepare for a disaster seeks to provide clues about the establishment of a safe society by law. The Catastrophe discourse refers to the discourse on catastrophe literally. And here is another discourse on the text contained in the line of sight to the catastrophe of the people means the practice of the language overlooking the disaster. The discourse will reflect the consciousness of society. Therefore, various ideas and opinions expressed in the discourse are to expose the social reality. Disaster produces a lot of discourse. Disease and earthquakes, accidents are reminded of safety. Types of disasters are shown in a very diverse and complex look. It is also human to copes much variety. This study consists of analyzing the discourse of catastrophe appeared variously in our society and sociology of law aimed at understanding of it. Through this, there should be more active measures through law for the society and the people who are faced with unavoidable catastrophes and even for the discourse, some part should be focused on this as well. Hopefully in the subsequent studies following this study, it should include the discourse analysis according to specific laws for individual catastrophes such as earthquakes, floods and droughts, etc.

      • KCI등재

        둘째 재앙(출 8:1-15)의 재앙성(災殃性) 이해와 번역 제안

        장석정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2

        본 논문은 출애굽기에 나오는 열 가지 재앙들 중에서 8:1-15에 기록된 소위 ‘개구리 재앙’의 ‘재앙성’(災殃性)에 관한 연구이다. 개구리가 나일강에서 생겨나서 왕과 신하와 백성의 집과 침실과 부엌에 들어가고 사람에게 기어오르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 이집트 백성에게 재앙으로 인식되었는가에 관한 질문에 답을 찾으려는 노력이었다. 필자는 기존에 발표된 여러 학자들의 제안의 공통점을 모아서 개구리 재앙이 “청각적 재앙”(auditory plague)이었을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개구리들이 왕과 신하와 백성의 집에서 시끄럽게 울어대는 통에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게 되었던 것이 개구리 재앙의 ‘재앙성’이었으며, 이것이 동사 ṣ‘q(짜아크)를 통해서 12절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개구리들의 울음소리가 너무 시끄러워서 모세는 여호와께 부르짖으면서 개구리 들을 없애달라고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역개정』의 “간구하매”를 “부르짖으니”로 수정해서 번역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개구리 재앙은 그 울음소리가 고통을 주는 “청각적 재앙”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렇게 이해될 때 8:12에 기록된 ṣ‘q 동사와 바로의 요청(개구리를 제거해 달라), 바로가 악취에도 불구하고 숨을 쉴 수 있었다고 기록된 점 등이 쉽게 이해된다. 이 연구는 이제까지 학자들이 막연하게 개구리 재앙이 미치는 피해를 “오염”이나 “신들의 진노” 혹은 “여호와 하나님과 이집트 신의 대결” 등으로 이해했던 주장들에 대한 유일한 대안은 아닐 수 있지만, 또 하나의 가능성 있는 제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on the “disastrousness” of the so-called frog plague recorded in Exodus 8:1-15. It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y the rising of frogs from the Nile River, their entering the homes, bedrooms, and kitchens of the king, his subjects, and the people, and their crawling on the people, was in some sense perceived as a plague by the Egyptian people.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the frogs were harming people by entering bedrooms and kitchens because they could contaminate food, and others have suggested that the frog-headed goddess Heqet was angry by the appearance of the frogs. However, I think that these are not very convincing arguments. I have therefore focused on the possibility that the frog plague was auditory, drawing together the commonalities of the proposals of scholars such as Childs, Dozeman, and Propp, and including Lerner. The first evidence of this view is in the phrase “cried out” to YHWH when the frogs appeared in multitude in the houses and kitchens of the king, his servants, and the people. At that point, Pharaoh asked Moses to remove them by the next day. In verses 8 and 9, the verb ‘tr, which means “to pray,” is used, whereas, in verse 12, the verb ṣ‘q is used, which has been mistranslated as “간구하매”(= pray) in The Korean Revised Version(1938) and subsequent translations. Even more surprising is that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The Korean Bible (1911), correctly translated the Hebrew verb ṣ‘q as “부르지지니”(= cry). By mistranslating what was correctly translated in the first translation, The Korean Revised Version precludes the possibility that the plague of the frogs could be understood as an “auditory plague”. The “disastrousness” of the frog plague was that the frogs croaked so loudly in the houses of the king, his servants, and the people that normal life became impossible, and this is what is recorded in verse 12 through the verb ṣ‘q. The cries of the frogs were so loud that Moses had no choice but to “cry out” to YHWH and ask that they be removed.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at the translation of “prayed” in verse 12 should be modified to “cried out”(부르짖으니) which would revert to the translation of “부르지지니” in The Korean Bible (1911). Furthermore, the fact that Pharaoh calls Moses and Aaron to remove the frogs as soon as they enter the inhabited area suggests that pollution from the frogs was not the problem, but rather the immediate, unbearably loud croaking of the frogs. This is because pollution from frogs can only happen over time, not immediately. Pharaoh’s request is for the frogs to be removed, and the Hebrew verb used here, swr means to get rid of the frogs. Although the frogs died and created a foul odor, Pharaoh was able to breathe in verse 15, so we can see that it wasn’t the odor that was the problem, but rather the cessation of the frogs’ cries that allowed him to breathe.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Egyptian records indicate that the Nile River was home to a large number of frogs and that there was a time in late September and October each year when the frogs croaked so loudly that it was called “the month of the frogs.” Although the biblical text does not mention that the frogs appeared and caused the people of Egypt to suffer because of their croaking, it would have been obvious to anyone living in Egypt at the time (including the Israelites, who had been living in Egypt for many years) that the frogs’ croaking was a problem. The frog plague can be understood as an “auditory plague” in which the croaking caused distress, which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the verb ṣ‘q in 8:12, Pharaoh’s request (to remove the frogs), and the fact that Pharaoh was able to breathe despite the stench. This study offers a compelling, if not the only, alternative to the vague way scholars have understood the effects of the frog plague as “pollution” or ...

      • KCI등재

        다섯째 재앙(출 9:1-7) 재고

        장석정(Chang Sok-Ch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0 신학사상 Vol.0 No.150

        이스라엘 공동체가 여호와 하나님의 백성으로 새롭게 태어난 결정적인 사건인 출애굽 사건을 이해하려면 여호와가 애굽에 내린 열 가지 재앙들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재앙을 한 가지도 내리지 않아도 여호와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 나가게(출애굽) 할 수 있었지만, 열 가지나 되는 재앙을 내려서 출애굽하게 한 것을 보면 재앙에 관한 내용은 그 자체로서도 중요한 신학적 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이 재앙들 가운데 다섯째 재앙에 대한 분석적 연구로서, 애굽 사람들이 소유한 가축들에게 심한 전염병이 생기는 재앙이 기록된 본문을 다루고 있다. 재앙은 가축들을 죽게 하지만, 실제적으로 이 재앙의 피해를 보는 사람들은 애굽 사람들이었고, "들에 있는" 가축들을 죽임으로써 다섯째 재앙은 애굽 땅을 황폐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바로에게 실제로 여호와의 말씀을 전하고 바로가 이스라엘을 보내주기를 거절하는 장면들에 대한 본문이 생략된 것에 주목하여, 재앙을 내리는 것은 여호와 하나님이며 성서기자는 이것을 강조하려는 것이었다는 사실도 밝힐 수 있었다. 7절에 사용된 "보내다"라는 동사의 이중적인 측면은 결국 이스라엘이 애굽 땅에서 나가야 한다는 사실을 다섯째 재앙이 암시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재앙의 본문이 강조하고 있는 개념성이 "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출애굽기 전체에서 나타나는 "땅"의 개념성(Conceptuality)의 기초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해 준다. The Exodus event has been one of the most crucial events in the history of Israel because the Israel community was born through that event under the leadership of Moses. In order to understand this overarching event of Exodus, the study on the ten plagues brought upon Egypt by YHWH has to be done. Actually, YHWH did not need to hit Egypt with those ten plagues to make Israel come out of Egypt because YHWH is always able to do that kind of thing without any plague what so ever. However, the fact that we have the texts of those ten plagues in Exodus indicates that there is very important meaning and theological themes embedded in them. In this study I have focused my research on the fifth plague where a deadly pestilence killed all of the Egyptian livestock in the field. The expression "in the field" denotes that the doomed livestock should be limited to the land of Egypt. I noticed the similar case in the fourth plague narrative(8:24) where the land was ruined because of the flies. The concept of the land is clearly emphasized in this fifth plague narrative as in the cases of the previous plague narratives. The ultimate target of each plague is no other than the land of Egypt. The land should be desolated and ruined, so Israel could get out of that land and go to the promised land. Also the plague warning that is supposed to be told to the king of Egypt is delivered to Moses by YHWH. But the actual deliverance of that warning to the king of Egypt is not written in the text. Including the previous four plague, the text of the fifth plague becomes silent on this matter. This means that the narrator wants to make sure the fifth plague is nothing but the work of YHWH. The fact that the plague fell upon Egypt justifies that the king of Egypt heard the warning and rejected to the idea of letting Israel go out of Egypt. This study shows that the land is the conceptuality in this plague narrative and that getting out of the land of Egypt is the only way to fulfill the promis

      • KCI등재

        열 가지 재앙에 대한 재고

        김영혜 한국구약학회 2022 구약논단 Vol.28 No.3

        본 논문은 열 가지 재앙에 대한 타학문 분야의 연구를 소개하고, 문서비평을 통하여 열 가지 재앙의 순서에 대한 원칙을 파악하고자 시도한다. 논문에 의하면 첫째―넷째 재앙은 여름철 나일강의 범람으로 인한 일련의 자연 현상이고, 다섯째―여섯째 재앙은 본래는 첫째―넷째 재앙과 관련이 없었으나 편집자에 의해 셋째―넷째 재앙인 곤충 재앙을 통해 곤충들이 퍼뜨린 질병 재앙인 듯이 순서가 정해진 것이며, 일곱째―아홉째 재앙은 겨울에서 초봄에 이집트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기후 현상이다. 마지막 재앙인 장자 재앙은 초봄에 지켜지는 유월절과 관련됨으로 기후적으로 역시 초봄에 발생하는 아홉째 재앙에 이어서 열째 재앙으로 자연스럽게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출애굽기의 재앙 이야기를 논문에서는 이집트 특유의 자연 현상과 이에 더하여 신명기 본문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질병과 관련하여 고대 이스라엘인들이 이집트에 대해 품고 있었던 시각과 이해의 산물로 해석하고 있다. 열 가지 재앙에 대한 이러한 작업은 P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논문에서는 시편 78편과 105편에 나오는 재앙 이야기 구절과 출애굽기의 관련 본문을 비교하면서, 출애굽기의 열 가지 재앙 이야기는 P에 의해 오랜 세월에 걸쳐 여러 차례에 걸친 편집 활동 끝에 최종화 되었다고 결론짓는다.

      • 사회적 재앙과 위기상황에서의 교회와 실천신학의 과제

        오성주(Sung-Joo Oh)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0

        본 논문은 사회적 재앙의 성경적 의미를 창조신앙과 신학을 근거로 해석한다. 재앙이란 인간의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징벌이면서 동시에 하나님의 계시적 사건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저자는 사회적 재앙이란 무엇을 의미하며, 사회적 재앙을 성경적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관점을 소개하였다. 신학적 해석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저자는 사회적 재앙과 위기적 상황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저자는 먼저 리차드 세넷(Richard Sennet)이 말하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로부터 초래되는 인간성의 파괴, 레베카 코스타(Revecca D. Costa)가 말하는 슈퍼밈(Super Meme) 사회의 병폐,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이 말하는 자본주의의 맘몬 사상, 그리고 한병철의 인간 내면에 퍼져 있는 신경증적 질병 등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 재앙과 위기적 상황의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오늘날의 사회적 재앙과 위기적 상황은 인간 밖에서 일어나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변화가 근본적인 원인이 아니고, 오히려 인간 안에서 일어나는 탐욕과 교만이 인간사회를 철저하게 파괴하고 있는 근본적인 원인임을 지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실천신학적 관점에서 오늘날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 재앙과 위기적 상황을 극복하는데 있어서의 과제와 실천방법이 무엇인지를 제안하고 있다. This dissertation interprets social disaster based on the biblical meaning of creation faith and theology. The author believes theologically that disaster is God’s punishment for human sin, and at the same time, he try to explain it as a revelatory event of God. So, the author introduces a perspective on what social disaster means and how to interpret social disaster from a biblical perspective. In this article, based on not only theological interpretation but also social science analysis, the author analyzed the fundamental causes of social disasters and crisis situations. To this end, the author first described the destruction of humanity caused by the neo-liberal economic system as described by Richard Senet, the ills of the super-meme society as described by Rebecca Costa, the mammon idea of capitalism as described by Walter Benjamin, and the neuroticism spreading inside of humans by Byeong-cheol Han. As the cause of the social disaster and crisis situation, it was pointed out that we are currently facing such as disease. Today’s social disasters and crisis situations point out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outside humans and the resulting changes are not the root causes, but rather, greed and pride within humans are the fundamental causes that thoroughly destroy human society. In conclusion, from a practical theological point of view, the author is proposing what are the tasks and practical methods for overcoming the social disasters and crisis situations facing today.

      • KCI등재

        "재앙"의 이해와 그 스토리

        이혜경 ( Hye Kyoung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8

        이 글은 재앙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살펴 우리 사회에 수도 없이 등장하는 재앙의 모습을 이해하고, 그것이 어떻게 소설 속에서 이야기되고 펼쳐지는지를 헤아려보고자 한다. 때때로 독자는 소설보다 더 현실적인 재앙의 모습을 목격하지만 쓰인 소설은 리얼리티의 확보 외에도 또 다른 장치를 감추기 마련이다. 일본에서 발생한 대지진 같은 재앙의 실제도 다양한 장르의 다른 시선에 의해 실시간으로 전개된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당시 혹은 현재의 모습이 상상력으로 그려지는 재앙의 모습은 예술 작품의 표현된 과거라 할 수 있다. 예술 작품은 재앙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해 준다. 이로 말미암아 재앙은 새로운 담론을 도모할 수 있는 사실이 되고 예술은 그 해석의 바탕이 되기도 한다. 줄리안 반스는 그의 장편소설 『10½장으로 쓴 세계 역사』에서 회화와 소설의 만남을 시도한다. 매직 리얼리즘 작품이라 할 수 있는 이 소설에서 반스는 제5장「난파」를 실어 19세기 초 서아프리카 해안 대서양에서 있었던 한 프랑스 함대의 난파사건을 기술하고, 이어 제리코의 그림 "난파 장면"에 대한 분석을 그리는 다층적 구성을 취하고 있다. 강영숙의 『아령 하는 밤』은 재앙에 의해 마련된 각종 장치의 암시와 그 결과로 재구성된 인간의 감정이 투영된 의미의 과정을 가른다. 재앙을 다룬 문학작품은 즉각적으로 써야만 하는 시간적 제약을 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더 긴 시간 동안의 각색이 전제되는 것이기도 하다. 재앙은 그렇게 앞으로 다가 올 사건과 시간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로 문학작품 속에 동원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was writt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tastrophe. There are a number of works of art dealing with its. Some even intentionally literature would pick it to be the subject of the story. And a catastrophe is drawn as a figure is expressed as music. And it is also constantly occur in the future. Otherwise, it will not be possible prediction. Based on a hypothetical catastrophe caused by the writer`s imagination and art have been able to do a real catastrophe on the arts will be able to do. Additionally, there was already a disaster,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old time of it is from a completely different perspective on a lot of artistic recreating repeated. The problem is that such a catastrophe could lead to a wider range of new opportunities, and the discourse of artistic interpretation will be based on demand. A History of the World in 10½ chapter, The dumbbells of the night written by Gang Young-suk are one of the shows. Previous work, it is the painting(The Raft of the Medusa) were drawn back to the novel was written. Two of the latter, it happens in our everyday catastrophes are depicted. Will be able to avoid a disaster, at least represented. To avoid disaster, but we really must understand it. Not intended as a political, rather than symbolic interpreta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play, not mushy, without interpretation. One of the materials have already expressed a catastrophe for the art, curiously enough, such a disaster never re-writing of a different era, different genres of art to see these new attempts at stacking of catastrophe. We must understand the lessons of its and must know how to interpret. Literary works just such appearance has been shown dramatically.

      • KCI등재

        일곱 나팔 재앙의 의미(계 8:2-11:19)

        박두환(Doo-Hwan Park) 한국신약학회 2010 신약논단 Vol.17 No.4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일곱 나팔 재앙의 신학적 의미를 통시적-공시적인 방법을 통해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재앙신학에 대한 전승사적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이것이 검토될 것이다. 먼저 구약성서의 재앙신학이 다루어지게 되는데, 창조신학과의 관계, 출애굽기의 재앙신학, 예언서와 묵시문헌에 나오는 재앙신학이 다루어진다. 그 다음, 유대교의 재앙신학, 특별히 유대묵시문헌에 나오는 재앙신학을 검토할 것이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드러나는 일곱 나팔 재앙의 신학적 의미와 묵시적 교훈들을 살펴볼 것이다. Das Thema dierser Artbeit lautet “Das apokalyptische Verstandnis uber die Plagenerzahlung in der Offenbarung des Johannes”. In dieser Arbeit werden apokalyptischen Bedeutungen und Mahnungen durch diachronisch-synchronische Methoden behandelt. Die Plagen der sieben Posaunen werden im kosmologischen Perspektiv dargestellt. Sie lassen sich nicht nur als ein Prozess der apokalyptischen Eschatologie, sondern auch als die theologie der Plage verstehen. In dieser Arbeit wird die Traditionsgeschichte von Plagenerzahlung bearbeitet: Erstens werden die Plagenerzahlung vom AT, d. h. das Verhaltnis mit der Theologie der Schopfung, Plagenerzavom Exodus, Plagenerzahlung vom Prophetenbuch und Daniel erhellt. Zweitens wird die Plagenerzahlung vom Judentum, besonders von judischen apokalyptischen Literaturen behandet. Drittens werden viele verschiedene Bedeutungen und Mahnungen der Plagenerzahlung betrachtet.

      • KCI등재후보

        열 가지 재앙에 나타난 생명과 생태계

        장석정(Sok-Chung Cha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2 Canon&Culture Vol.6 No.2

        본 연구는 출애굽기에 기록된 열 가지 재앙 이야기에 나타난 생명과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밝히려는 것이다 각 재앙의 내용을 분석하여, 재앙의 피해를 입게 되는 대상을 구체화하였다 재앙 이야기의 역사성(historicity)에 대한 논의는 지양하고, 본문에 기록된 재앙의 내용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재앙 이야기가 창세기의 창조 이야기에서 나오는 피조물들에 대한 반창조(anti-creation) 내지는 비창조(de-creation)로 보는 해석들도 지양한다. 왜냐하면 재앙 이야기에서 피조물들이 사라지는 것도 있지만, 새롭게 창조되는 것들도 있기 때문이다. 사람의 생명과 동, 식물의 생명을 포함한 생태계 전반에 걸친 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이스라엘이라는 선택된 백성들의 생명 앞에서 상대적으로 가치가 없는 것으로 취급되는 애굽의 백성들과 그들에게 속한 동, 식물들의 생명을 비교하였다. 애굽의 물과 땅, 가축들과 식물들, 그리고 마지막 재앙을 통해서 애굽의 장자들의 목숨까지 잃게 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이스라엘과 애굽 사람들 사이에는 상대적인 가치가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런 상대적인 가치 평가는 이스라엘의 우선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결론짓게 되었다. 또한 각 재앙의 결과로 피해를 입은 애굽은 그 피해가 영구적이 아니라, 일시적인 것에 그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런 의미에서 `피해의 상징성` 이라는 개념을 주창하였다. 즉, 피해가 완전히 복구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피해가 시간적으로 영구성을 지닌 것이 아니라 임시적인 성격을 가지며, 시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 복구되는 특징을 보인다는 것이다. 해석학적인 측면에서 이스라엘의 우선성만으로는 오늘날 설명할 수 없는 애굽 사람들의 생명과 생태계의 문제들은 새로운 연구 논문을 통해서 연구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xts’ understanding on the life and ecosystem of ten plagues in Exodus. By analyzing each plague, the victims of the plague have been finalized. I did not deal with the historicity of each plague but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plague in the texts. Also I also disagreed with the interpretations that the plague story is a kind of anti-creation or de-creation. It is because the plague got rid of the established creatures but it created something new. I have tried to grasp the damages in terms of human life and ecology including the lives of animals and plants. And the lives of the Egyptian people are compared to those of Israel who have priority over the Egyptians according to the texts. In the plague story the land and water of Egypt were devastated and the lives of animals, plants, and even the firstborn Egyptians were lost. In this situation the relative value between Israel and the Egyptians was applied and it resulted from the priority of Israel. The damage of the Egyptians and their ecosystem was not permanent, but temporary. In this respect, I suggest the concept of symbolism of damage. Although the damage was not possible to be restored completely, it only lasted a certain period of time. As time passes by, the damage can be restored partially. In the viewpoint of hermeneutics the new study is required in order to find the way to explain the problem of the partial treatment of the Egyptians and their ecosystem.

      • KCI등재

        출애굽기 열 가지 재앙 기사의 신학적 의미

        박신배(Shin-Bae Par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1

        출애굽기의 재앙 기사에 대한 신학적 의미를 찾는 작업은 팬데믹 시대 신앙 공동체 유지에 중요한 연구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출애굽기의 열 가지 재앙 기사가 출애굽기 신학과 재앙 기사의 구조에서 각자 어떻게 연관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출애굽기 7-12장의 열 가지 재앙의 현상과 의미, 출애굽기에서 그 신학적 자리와 신학적 의미를 연구하여 신학적 의미에서 열 가지 재앙 기사가 차지하는 신학적 자리를 찾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출애굽기 신학의 구조에서 열 가지 재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고찰하기 위해 열 가지 재앙 기사를 살피고, 구조주의 방법을 통해 출애굽기 신학의 재조명 작업을 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출애굽 재앙 기사의 전체적인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유월절 기사를 설명하기 위한 배경적 이야기이자, 구원의 이야기임을 밝히며 오늘의 신학적 의미를 성찰하고자 한다. 출애굽 재앙 기사는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출애굽 공동체를 형성하고, 예배 공동체로서 약속의 땅으로의 여정을 이끄는 도입부 사건이다. 출애굽 이야기로서의 유월절 해방 이야기는 이스라엘 신앙 공동체에 구전되면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위협적인 재난의 이야기로 이해되고 해석된다. 따라서 이러한 재앙 기사의 신학적 의미는 하나님의 심판으로서의 변혁을 요청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henomena and meanings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Old Testament, the meanings of the 10 disasters in Exodus, and the structural meaning of the 10 calamities. Especially we will be scrutinizing the chapters 7-12 in the book of Exodus, the theological place of the 10 disasters. Also, we will examine the meaning of these calamities in the book of the Exodu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0 disasters and the structure of the text. The thesis seeks to shed new light on these aspects. By focusing on the structural criticism of the Exodus text we hope to uncover the theological meanings of the Old Testament. The story of the Passover in Exodus derives from oral tradition of the liberation of Israel. The story of the 10 disasters would have been important to the community of the believing. For the Reformation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these disasters were understood to be examples of the judgement of God in the saving history of Israel and were connected to the passover festival. The theological meanings of the disasters will help us understand the saving story of the believing community.

      • KCI등재

        요한계시록에 나타나는 출애굽 전승에 관한 연구: 나팔 재앙과 대접 재앙을 중심으로

        신동욱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xodus relates to Revelation. The studies of the fact that the Old Testament Prophetic Books had a great influence Revelation are remarkable. In contrast, the study of how Exodus ha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revelation consists of too many loose ends. Therefore, I would like to reveal the effect of Exodus on Revelation through this study. For this, I compared the Plagues in Exodus with the Plagues in Revelation. I also compared the Israelites who lived in the wilderness for 40 years with the woman in Revelation 12. Finally, I analyzed the Plagues of Exodus, the Plagues that appeared in Psalms, and the Plagues that appeared in the Early Jewish Document.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Plagues of Trumpet and the Plagues of Bowl using the Plagues of Exodus can be interpreted in a creative theological aspect. However, this study lacks the tradition-historical analysis of each disaster. So I want to leave this part as a research task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출애굽기가 요한계시록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약의 예언서들이 요한계시록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에 관한 연구들은 많지만, 출애굽기가 요한계시록 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진하다. 그러므로 논자는 본 연구를 통해 출애굽기가 요한계시록에 미친 영향을 밝히려 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출애굽기에 나오는 재앙들과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재앙들, 40년 동안 광야에서 생활했던 이스라엘 사람들과 요한계시록 12장에 나오는 여인을 비교하였고, 마지막으로 출애굽의 재앙들과 시편과 초기 유대교 문서에 나타나는 재앙들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논자는 출애굽 재앙을 사용한 나팔-대접 재앙이 창조신학적인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각각의 재앙들 사이의 전승사적인 분석이 부족하므로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