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발성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환자들에서 Squamous Cell Carcinoma 항원의 유용성

        최영민(Young Min Choi),박성광(Sung Kwang Park),조흥래(Heung Lae Cho),이경복(Kyoung Bok Lee),김기태(Ki Tae Kim),김주리(Juree Kim),손승창(Seung Chang So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의 치료 후 추적조사 시에 시행하는 혈중 Squamous Cell Carcinoma (SCC) 항원 검사가 재발의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고 완전 관해 되었다가 재발된 환자들 중에서 재발 시에 SCC 항원 검사가 이루어졌던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CC 항원은 환자의 혈칭으로부터 면역효소법으로 측정되었고, 2 ng/mL 미만을 정상으로 하였다. 진단, 추적조사, 재발 시의 SCC 항원값을 조사하여, SCC 항원 검사의 재발에 대한 민감도, 재발 양상에 따른 차이, 재발에 대한 증가 시기, 종양의 크기 및 병기와의 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 재발된 환자 20명 중의 17명에서 SCC 항원이 정상보다 증가되어 SCC 항원의 민감도는 85%였고, 평균은 15.2 ng/mL (중앙값: 9.5 ng/mL)였다. 재발 부위별로는 국소 재발, 원격전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등으로 나누어서 SCC 항원을 비교하였으나 차이가 없었다. 재발을 진단하기 전 6개월 내에 SCC 항원이 검사되었던 11명에서 재발 전 SCC 항원은 평균이 13.6 ng/mL (중앙값: 3.6 ng/mL)였고, 7명에서 정상 보다 높았으며, 정상 범위였던 4명 중의 3명에서 1.5 ng/mL 이상으로 증가되는 양상이었다. 재발된 환자들 중에서 진단 시에 SCC 항원이 검사되었던 16명의 환자들에서 병기 lb, lla이면서 4cm 미만이었던 환자들에 비하여 병기 lb, lla이면서 4cm 이상이거나 병기 llb, lll이었던 환자들에서 진단 당시의 SCC 항원값이 높았다. 결론 :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환자들에서 추적조사 SCC 항원 검사는 재발의 조기 발견에 유용하고, 향후 효과적인 구제치료법이 개발되면 임상적인 이득이 더욱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a follow-up examination using serum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for the early detection of recurrence in patients treated for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 20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recurrent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between 1997 and 1998, who had experienced a complete remission after radiotherapy and who under-went an SCC test around the time when recurrence was detecte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levels of SCC were measured from the serum of the patients by immunoassay and values less that 2 ng/mL were regarded as normal. The sensitivity of the SCC test for use in the detection of recurrenc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CC values and the recurrence patterns and the tumor size and stage, and the temporal relation between the SCC increment and recurrence detection were evaluated. Results : The SCC values were above normal in 17 out of 20 patients, so the sensitivity of the SCC test for the detection of recurrence was 85%, and the mean and median of the SCC values were 15.2 and 9.5 ng/mL, respectivel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CC values according to the recurrence sites. For 11 patients, the SCC values were measured over a period of 6 months before recurrence was detected, and the mean and median values were 13.6 and 3.6 ng/mL, respectively. The SCC values of 7 patients were higher than the normal range, and the SCC value of the other 4 patients were normal but 3 among them were above 1.5 ng/mL. At the time of diagnosis, the SCC valuess were measured for 16 of the 20 recurrent patients, and the SCC values of the patients with a bulky tumor (≥ 4cm) or who were in stage lib or lll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atients with a non-bulky tumor or who were in stage lb or lla. Conclusion : The SCC test is thought to be useful for the early detection of recurrence during the follow up period in patients treated for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When an effective salvage treatment is developed in the future, the benefit of this follow-up SCC test will be increased.

      • KCI등재

        국가책임법상 재발방지의 확약과 보장에 관한 연구

        이춘선(Lee Chunseun) 대한국제법학회 2020 國際法學會論叢 Vol.65 No.4

        지난날 재발방지의 확약과 보장은 분쟁 해결을 위한 외교교섭의 결과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확약과 보장으로 인한 유책국의 의무도 정치적 외교적 교섭의 결과이며, 법적 의무라고 보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유엔 ILC의 법전화 노력과 2001년 ICJ의 LaGrand 사건판결로 이는 위법행위에 의한 법적 결과로서 인정되고 많은 국가들이 이를 국제소송에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인권보호를 위해 지역인권재판소의 판결과 인권위원회(HRC)의 최종 견해를 통해 인권침해에 대한 재발방지의 보장을 하나의 법적 원칙으로 활용하고 있다. 재발방지의 보장은 배상이라 측면에서 구제적 기능과 또한 장래 위법행위의 재발을 방지하는 방어적 기능 등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과거 전통적인 배상의 차원에서 단지 구제방안의 하나로 역할을 했으나 오늘날은 위법행위의 재발을 방지하는 미래 지향적 기능에 더 주목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재발방지의 보장은 위법행위가 발생했다고 하여 모두 자동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상황이 그렇게 요구하는 경우” 등 상황 요건과 위반한 의무의 성질과 위반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예외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재발방지의 보장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양면성과 예외적 성격으로 유엔 ILC의 법전화 과정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고 결국 융통성이 많은 문구로 법전화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재발방지의 보장을 결정하는 상황과 보장의 형식이 이러한 양면성과 예외적 성격에 서로 연관되어 있어 재발방지의 보장 요구는 제한적이며 보장 형식이 다양하다. 이와 관련 ICJ가 여러 후속판결을 하였으나 일관된 기준을 정하기 어렵고 매 사건마다 상황을 검토하여 입장을 결정해야 한다. 재판소는 재발방지의 보장을 명령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보나 이러한 명령을 하는 판결에는 매우 신중한 입장이다. 재발방지의 확약과 보장은 일부 결함은 있지만 위법행위로 손상된 법적관계를 회복하고 계속적으로 유지하는데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외교교섭 뿐만 아니라 국제재판에서도 이를 소송 전략의 차원에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와 관심을 가져야한다. In the past, the assurances and guarantees of non-repetition has played its role in the settlement of disputes among states only as one of the tool of diplomatic negotiation. However, it has become one of legal doctrine in international law by virtue of the codification on the State Responsibility by UN ILC and the Judgment of LaGrand Case by ICJ in 2001. The guarantees of non-repetition has become one of principles in content of the State Responsibility in ILC Articles The guarantees of non-repetition has the twofold functions as one of the remedial form of reparation and also one of preventive measures against future recurrence of wrongful acts. Those features make them into a rather exceptional remedy, which should not be automatically available to every injured state. ILC has also underlined this exceptional character and flexibility of guarantees of non-repetition with cautious expression ‘if circumstances so require.’ Therefore, it relates both to the circumstances which require an offer of guarantees of non-repetition, and the form that the guarantees may take. While the practice of the State was not uniform, there are two major categories of guarantees: general and special guarantees. The later one requests to give specific instructions to the state agents, to adopt a certain line of conduct, and even to adopt or to abrogate certain legislative provisions. These specific forms has been developed in the regional court of human rights and in the international bodies for the supervision of human rights such as HRC. Despite of some shortcomings, The guarantees of non-repetition continues to take a fundamental function to restore and maintain the legal relations, which was affected by international wrongful acts.

      •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자궁경부암의 재 방사선치료

        김진희(Jin Hee Kim),최태진(Tae Jin Choi),김옥배(Ok Bae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3

        목 적 :저자들은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고 골반 내에 재발하여 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률, 부작용 등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7년 1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고 추적 관찰 중 골반내에 재발하여 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진단당시 병기로는 Ia 1명, Ib 5명, IIa 5명, IIb 3명, IIIb 2명, IVa 2명으로 평균연령은 57세(37∼79세)이었다. 재발기간은 6개월에서 122개월로 평균 58개월이었다. 재발부위는 7명에서 자궁경부, 10명에서 질부, 1명에서 골반내 림프절에 재발하였다. 12명은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 방사선치료를, 4명은 외부방사선치료와 자입방사선치료를, 2명은 외부방사선치료단독를 시행하였다. 재 방사선치료의 외부방사선량은 2,100∼5,400 cGy이었고 방사선총량은 3,780∼8,550 cGy이었다. 재발 후 추적기간은 8개월에서 80개월로 평균 25개월이었다. 결 과 :재 방사선치료 직후 전체 18명 중 14명(78%)에서 국소 제어가 되었으며 재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2년 무병생존률은 53.6%이었다. 재발부위에 따라 2년 무병생존률이 질에 재발한 환자 10명에서는 71.4%, 자궁에 재발한 환자 7명에서는 28.5% (p=0.03)를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 방사선총량에 따라 2년 무병생존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6,000 cGy 71.8%, ≤6,000 cGy 25% p=0.007). 재 방사선치료 후 20개월 이상 추적 관찰된 환자 10명중 7명에서 무병생존 중이다(7/18, 39%).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가장 좋은 생존률을 보였다. 재 방사선치료 후 실패양상은 국소 재발이 국소 제어 안된 4명을 포함한 7명(39%)에서 자궁 및 질에 재발하였고 2명에서 원격 전이되어 사망하였다. 부작용으로는 장출혈이 3명에서 있었으며 수술을 요하는 장폐쇄가 2명, 방광손상에 의한 혈뇨가 1명, 2도 방광염이 2명, 연부 부종이 2명, 질부조직괴사가 1명에서 있었으나 자연 치유되었다. 재 방사선치료총량이나 재발기간에 따른 부작용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경우, 재 방사선치료는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나 심각한 부작용을 줄이는 노력이 더 요구된다. Purpose : To evaluate treatment results in terms of local control, complications and survival after reirraidiation in re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definite radiation therapy. Mate ria l a nd me thods : From November 1987 through March 1998, eighteen patients with re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definite radiation therapy were subsequently treated with reirradiation at Keimyung Univers ity Dongsan Medical Center. In regard to the initial FIGO stage, one patient was stage Ia, five were stage IIa , three were IIb, two were IIb and two were IVa. The age range was 37 to 79 years old with median age of 57. The time interval from initial definite radiation therapy to recurrence ranged from 6 to 122 months with a median of 58 months . The recurrent s ites were the uterine cervix in seven patients, vagina in ten and pelvic lymph node in one. Reirradiation was performed with external radiation and intracavitary radiation in twelve patients , external radiation and implantation in four and external radiation alone in two. The ra nge of external radiation dose was 2,100∼5,400 cGy and the range of the tota l radiation dose was 3,780∼8,550 cGy. The follow- up periods ranged from 8 to 20 months with median of 25 following reirradiation. Results : Fourteen of eighteen patients (78%) had loca l control just after reirradiation. The two year disease free survival (2YDFS) rate was 53.6%. There were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2YDFS according to both recurrent s ite (2YDFS 28.5% in uterine cervix, 71.4% in vagina, (p=0.03)) and the total dose (2YDFS 71.8% in >6,000 cGy , 25% in ≤6,000 cGy, p=0.007). Seven of ten patients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20 months rema in alive and disease free (7/18, 39%). Patients treated with external radiation and intracavitary radiation had a higher rate of 2YDFS. Seven patients including 4 patients with no local control experienced local failure in the uterus or vagina and two patients died with distant metastas is . Complications included rectal bleeding in 3 patients , bowel obstruction treated with surgery in two, hematuria in one, radiation cystitis in two, soft tissue swelling in two and vaginal necros is spontaneously healed in on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total dose or the time to recurrence from initial radiation. Conclusion : In patients with recurrence following definite radiation therapy in the uterine cervical cancer, reirradiation may be effective but requires an effort to reduce radiation induced severe complications.

      • 위암환자의 재발유형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

        하태경,권성준,Ha, Tae Kyung,Kwon, Sung J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위암 환자 수술 후 재발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재발의 조기 발견과 이에 따른 보다 나은 치료 성적을 얻기 위하여 필수적인 정보이다. 즉 종양의 특성에 따른 재발의 유형, 재발시기, 재발 이후의 경과 등을 이해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근치적수술을 시행 받은 1,338명의 환자 가운데 재발 유형을 모르는 경우(n=60), 사고사 및 타 질환으로 사망한 경우(n=55)를 제외한 1,223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재발예(n=241)와 비재발예(n=982) 사이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재발예 가운데 재발의 유형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재발예는 비재발예에 비하여 위전절제술, 진행된 병기, 림프관이나 혈관 침윤예, 위전벽암, 크기가 큰 암, 미분화암, 미만형, Borrmann 4형이 의미 있게 많았다. 복막파종은 여성, stage III, 위상부 및 위전벽암, 미분화암, 미만형, Borrmann 4형이 의미 있게 많았고, 혈행성전이는 조기위암, stage I, 국소전이는 Borrmann 1, 2, 3형이 의미 있게 많았다. 복막파종의 경우 혈행성전이나 국소전이에 비하여 재발 후 생존기간이 짧았다(7.0개월, 9.5개월, 12.5개월). 조기재발군은 병기3, 4기, N3, 림프관침윤율이 높았고, 후기재발군은 병기3기, N1이 조기재발군에 비해 의미 있게 많았다. 결론: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위암수술 후 재발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Evaluating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recurred gastric cancer is essential for early detection of the recurrence and for better clinical outcom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patterns of the recurrence, the timing of the recurrence, and the clinical result after recurrence according to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2 to December 2005, of the 1338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a curative gastric resection, 241 patients who recur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re selected and their cases wer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the time to recurrence after operation and survival were determined retrospectively according to the type of recurrence. Results: For the recurrent group, the numbers of total gastrectomies, advanced stages, lymphatic and/or venous infiltrations, whole stomach cancer cases, large tumors, undifferentiated tumors, and Borrmann type 4 tumors were higher than they were for the non-recurrent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recurrence types were classified as peritoneal seeding, hematogenous recurrence, and locoregional recurrence, independent risk factors were female gender, stage III, upper third, and whlole stomach cancer, and undifferentiated- type, diffuse-type, and Borrmann type 4 tumors for peritoneal seeding; early gastric cancer, stage I for hematogenous recurrence; and Borrmann type 1, 2, and 3 tumors for locoregional recurrence. Survival duration after detection of the recurrence was shorter for peritoneal seeding than for hematogenous or locoregional recurrence (7.0 months vs. 9.5 months and 12.5 months). Conclusion: For early detection of the recurrence after curative surgery for gastric cance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high risk factors for recurrence vary with the clinicopathologic data for the patients.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예방전략에 관한 연구

        최송식(Choi, Song-S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8 No.-

        알코올중독 문제는 현재 한국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있는 사회문제 중의 하나로 그 특성은 재발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그동안 질병모델적 입장에서 접근해 온 알코올중독의 치료와 재발을 재발예방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먼저 알코올중독에 있어 재발이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고 알코올중독에 있어 정의적 특징으로까지 여겨지고 있는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모델-인지행동모델, 극복기술모델, 회복훈련과 자조모델 그리고 재발예방계획모델을 살펴보았다. 그런 후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결부지어 생리심리사회적 재발예방모델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재발예방전략으로는 변화단계에 따른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하는 전략, 신체적 요인에서 기인되는 만성금단과 갈망을 이해하고 극복하는 전략, 자기효능과 위험도가 높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인지적 기술, 문제해결기술 및 사회기술을 향상시켜 나가는 전략, 가족역기능을 관리해 나가는 전략음주와 중독조장문화의 개선, 그리고 전통적 차마시기 문화의 생활화 운동 전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알코올중독의 재발을 예방함에 있어 가족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relapse prevention models and to suggest relapse prevention strategies of alcoholics which are based on biopsychosocial model. To do so, various articles and literature were studies. In this study, it is regarded relapse as a process and results rather than resumption of drinking. It is reviewed of various models of relapse prevention of alcoholics -cognitive behavioral model, coping skills model, recovery training and self-help, relapse prevention plan model. Also,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relapse prevention strategies must involve increasing motivation of change, increased understanding of withdrawl symptoms and craving, problem-solving skills, cognitive coping skills, social skills, emotional and stress management, management of dysfunctional family.

      • SCOPUSKCI등재

        자궁경부암으로 수술 후 재발암의 방사선치료

        김진희(Jin Hee Kim),김옥배(Ok Bae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 적: 자궁경부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 단독치료만 시행받은 후 재발암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생존율 및 실패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1999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초기(I, IIa) 자궁경부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 후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31세에서 70세로 평균 48세이며 수술 당시 병기1기가 20명,2기가 7명이었고 23명이 편평상피암이었고 4명은 선암이었다. 수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2개월에서 90개월로 평균 29개월이었다. 재발부위로는 질 부위가 14명, 골반강이 9명, 복합재발이 4명이었다.수술은 25명에서 전자궁 적출술과 골반내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2명은 전자궁 적출술만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13명에서는 외부방사선 치료만을 받았고 13명에서는 외부방사선 치료와 질강내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며 1명은 질강내 방사선치료만을 받았다. 방사선치료 후 추적관찰기간은 6개월에서 128개월로 중앙값 55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71.9%, 68.2%이었다.재발부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질 부위에만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가장 높은 5년 무병생존율을 나타내었다(5년 무병생존율, 질 부위에만 재발한 환자는 85.7%, 질 부위를 제외한 골반부위에 재발한 환자 53.3%, p=0.09).재발시기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실패양상으로는 질 부위에만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7%의 국소재발만 있었고 골반강내에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국소재발이 주된 실패이었고 골반과 복벽, 복막 등에 같이 재발되었던 환자들은 방사선치료 후 원격전이가 주된 실패이었다. 방사선치료 후3도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 결 론:이상으로 볼 때,초기 자궁경부암에서 수술 단독치료 후 재발암에서는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이라고 생각되며 특히 수술 후 질 부위에만 재발한 경우에는 외부방사선치료와 질강내 방사선치료로 좋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reatment results in terms of the survival and failure patterns subsequent to radiation therapy in re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primary surgery. Material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1999, 27 patients, with re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primary surgery, were subsequently treated with radiation in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t th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Their median age was 48, ranging from 31 to 70 years old. With regard to the initial FIGO stage on presentation, 20 and 7 patients were stages I and II, respectively. Twenty three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4 had adenocarcinomas. The time interval from the primary surgery to the recurrence ranged from 2 to 90 months with a median of29 months. The recurrent sites were the vaginal cuff alone, the pelvic cavity and combined recurrence in 14, 9 and 4 patients, respectively. Radiation was performed, with external and vaginal intracavitary radiation in 13 patients, external radiation alone in 13 and vaginal intracavitary radiation alone in another one.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55 months, ranging from 6 to 128 months. Results: The five year disease free survival (5y DFS) and five year overall survival (5y OS) rates were 68.2 and 71.9%, respectively. There was a margin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5y DFS in relation to the recurrent site (5y DFS, 85.7% in vaginal cuff recurrence alone, 53.3% in pelvic cavity recurrence, p=0.09).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urvival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primary surgery and a recurrence. There was only a 7% local failure rate in the patients with a vaginal cuff recurrence. The major failure patterns were local failure in the patients with pelvic cavity recurrence, and distant failure in the patients with a combined recurrence.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bove grade 3 after the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Radiation therapy was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a recurrent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following primary surgery, especially the external beam radiation and vaginal intracavitary irradiation achieved the best results in the patients with a vaginal cuff recurrence following primary surgery.

      • KCI등재

        이차성 자연기흉 환자의 재발양상에 관한 분석

        유경민,김삼현,서필원,박성식,류재욱,김현정 대한흉부외과학회 200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1 No.5

        Background: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is caused by various underlying lung diseases, and this is despite that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is caused by rupture of subpleural blebs. The treatment algorithm for secondary pneumothorax is different from that for primary pneumothorax. We studied the recurrence rate, the characteristics of recurrence and the treatment outcomes of the patients with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Material and Method: Between March 2005 to March 2007, 85 patients were treated for their first episodes of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for recurrence of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by conducting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Result: The most common underlying lung disease was pulmonary tuberculosis (49.4%), and the second was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27.6%). The recurrence rate was 47.1% (40/85). The second and third recurrence rates were 10.9% and 3.5%, respectively.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1.1±6.7 months (range: 0∼36 month). For the recurrence cases, 70.5% of them occurred within a year after the first episode. The success rat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ies were thoracostomy 47.6%, chemical pleurodesis 74.4%, bleb resection 71% and Heimlich valve application 50%. Chemical pleurodesis through the chest tube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treatment. The factor that was most predictive of recurrence was ‘an air-leak of 7 days or more’ at the first episode. (p=0.002) Conclusion: The patients who have a prolonged air-leak at the first episode of pneumothorax tend to have a higher incidence of recurrence. Further studies with more patient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standard treatment protocol for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배경: 기저폐질환이 없이 늑막하 폐기포의 파열에 의해 발생되는 원발성 자연 기흉 환자들과는 달리, 이차성 자연 기흉 환자들은 다양한 기저폐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재발의 빈도나 그에 따른 치료방침이 다르다. 본 연구는 이차성 자연기흉으로 입원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에 대하여 재발의 빈도 및 양상, 그리고 치료방법에 대한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초발한 이차성 자연기흉 환자 85명을 대상으로 치료방법, 재발양상,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차성 자연기흉의 기저질환으로는 폐결핵이 49.4%로 가장 많았으며, 만성폐쇄성 폐질환이 27.6%였다. 평균 21.1±6.7개월(0∼36개월)의 추적기간 동안 40명의 환자가 재발하여 재발율은 47.1%였으며, 3회 재발율은 10.9%, 4회 재발율은 3.5%였다. 재발기간은 1년이내 재발한 경우가 70.5%였다. 치료 성공율은 흉강삽관술만으로 47.6%, 흉관을 통한 흉막유착술 74.4%, 기낭절제수술 71%, Heimlich도관거치 50%로 흉막유착술의 성공율이 가장 높았다.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7일 이상의 공기누출이었다(p=0.002). 결론: 초발한 이차성 자연기흉 환자에서 7일 이상 공기뉴출이 되는 경우는 재발의 위험성이 높았다. 흉막유착술은 이차성 기흉환자의 재발방지에 유용한 치료방법이나, 앞으로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치료지침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 SCOPUSSCIEKCI등재

        Recurrence and Extraneural Metastasis in 31 Meningeal Hemangiopericytomas

        김정훈,김준수,김창진,황승균,정희원,권병덕,Kim, Jeong Hoon,Kim, Joon Soo,Kim, Chang Jin,Hwang, Sung Kyun,Jung, Hee Won,Kwun, Byung Duk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0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0 No.3

        목 적 : 높은 재발율과 전이 가능성의 특징을 갖고 있는 수막 혈관외세포종은 perivascular pericytes에서 기원하는 드문 종양으로, 저자들이 경험한 수막 혈관외세포종에 있어서 종양의 재발 및 신경계외 전이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82년부터 1999년까지 수술을 시행하여 수막 혈관외세포종으로 진단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진단 후 재발까지의 기간, 재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인자들, 그리고 신경계외 전이의 기간 및 부위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31명의 환자들 중 12명의 환자들에서 원발성 부위에 종양이 재발하였다(38.7%). 전체의 환자들에서 재발이 발생하지 않았던 평균 기간(recurrence-free period : RFP)은 104개월이었으며 처음 수술 후 5년, 그리고 10년의 재발이 발생하지 않았던 율(recurrence free period : RFP)은 각각 59.2%, 33.6% 이었다. 원발성 부위에 종양의 재발을 보였던 12명의 환자들 중 4명의 환자들에서 첫 수술 후 5년 이후에 재발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처음 수술시의 절제 정도가 재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처음 수술시에 완전 절제한 군의 RFP는 111 개월이었으며, 추적 관찰 5년째 RFR는 완전 절제한 경우 72.7%, 불완전 절제한 경우 20.8%로 그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p=0.0060).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지만 완전 절제 후 부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을 경우가 완전 절제만을 시행한 경우보다 RFR가 높아 추적 관찰 5년째의 RFR는 각각 100%, 그리고 70.3% 이었다(p=0.3359). 4명의 환자들(12.9%)에서 수막 혈관외세포종의 신경계외 전이가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신경계 외 전이의 평균 기간은 107개월, 그리고 추적 관찰 5년, 10년째의 신경계외 전이율은 각각 4.4%, 24.9% 이었다. 결 론 : 수막 혈관외세포종은 수술적 제거 후 원발성 부위에 또는 원발성 부위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재발의 가능성이 무척 높은 종양이다. 이러한 재발의 가능성을 줄이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수술적 제거 정도로 처음 수술시에 가능한 완전 절제를 시도하여야 한다. 그리고 처음 수술시에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다고 하여도 완전 절제 후 부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재발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원발성 부위의 재발 또는 신경계외 전이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가능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 Meningeal hemangiopericytoma(M-HPC), characterized by a high local recurrency and metastatic potential, is a rare neoplasm arising from perivascular pericyte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currence and extraneural metastasis in M-HPC.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the records of 31 M-HPC patients treated from 1982 through 1999 at our institution. The time to recurrence and the various parameters affecting recurrence were determined. Extreneural metastasis was also analyzed. Results : The rate of local recurrency was 38.7%(12/31). The overall average recurrence-free period(RFP) before the first recurrence was 104 months, with overall recurrence-free rates(RFRs) at 5 and 10 years after first surgery of 59.2% and 33.6%, respectively. Of the 12 patients who experienced local recurrence, 4 had recurrences 5 years later after the first surgery. Complete excision at the first operation significantly extended the average time before first recurrence from 43 to 111 months. The 5-year RFRs for the groups of complete excision and incomplete excision were 72.7% and 20.8%, respectively(p=0.0060).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lete excision followed by adjuvant radiotherapy of more than 50Gy extended the RFP. The 5-year RFRs for the groups of complete excision and complete excision with adjuvant radiotherapy were 70.3% and 100%, respectively(p=0.3359). Four patients(12.9%) presented one or more extraneural metastases that were developed at an average of 107 months after the first operation with the 5- and 10-year metastasis rates of 4.4% and 24.9%, respectively. Conclusions : M-HPC has a propensity to recur either locally or at distant sites after surgical resection. Complete excis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reduce recurrence. However, even with complete excision, adjuvant radiotherapy of more than 50Gy significantly reduces the risk of recurrence. Local and distant recurrences may occur after a prolonged disease-free interval, emphasizing the need for long-term follow-up.

      • KCI등재

        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재발 인자

        김한식(Han Sik Kim),김성환(Sung Hwan Kim),신규호(Kyoo-Ho Shin),한수봉(Soo Bong Hah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1

        목적: 골의 거대세포종으로 확진된 환자들의 재발률을 확인하여 치료결과를 평가하고, 환자에 따른 인자, 종양의 성질, 수술 방법에 따른 재발과의 상관관계 유무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3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수술적 치료를 받고, 병리학적으로 골의 거대세포종으로 확진된 환자 중 최소 2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52예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임상적 특성으로 연령, 성별, 발생 부위, 병적골절 유무, Campanacci 등에 의한 종양 등급을 확인하며 치료 방법, 재발 및 재발시기, 재발 후 치료방법, 합병증, 최종 추시 결과를 확인하였다. 정기적인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재발이 의심되는 경우 생검을 통한 병리학적 결과를 확인 하였고, 국소재발과 각 항목과의 상관관계는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재발은 16예(31%)에서 발생하였고 재발 시기는 평균 17개월로 1예를 제외하고 모두 2년 내에 재발하였다. 성별, 발생부위, Campanacci 분류, 병적골절, 내원 시 종양의 재발여부, 절제연, 골이식, 금속내고정, 골시멘트 충전술 등 각 항목과 국소재발과는 통계적으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임상적 특성 및 치료방법과 국소 재발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재발은 대부분 수술 후 2-3년 내에 발생하므로 이 기간 내에 정기적 추시와 검사를 시행하고 이후에도 재발 및 폐 전이에 대한 장기적인 추시 관찰이 요구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currence rates of a giant cell tumor of the bone and determine what, if any, patient factors, tumor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treatments correlate with the incidence of a local recurrence. Materials and Methods: The records of fifty two cases who were diagnosed with a giant cell tumor of the bone between March 1992 and March 2001 and were could be followed up for at least 2 years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This study reviewed the clinical characters, and the treatment method, recurrence, complication, the result of the follow-up. A Fisher's exact test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statistics. Results: Sixteen patients (31%) had a local recurrence. The average time to recurrence was 17 months. All but case one recurred within 2 years after receiving surgical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urrence rates based on the following variables: gender, tumor location, Campanacci grade, the presence of a pathologic fracture, primary versus recurrent tumor at presentation, resection margin, the use of a bone graft, internal fixation or polymethylmethacrylate. Conclusion: The clinical characters and methods of treatment were not correlated with a local recurrence. Most recurrences of a giant cell tumor can be expected within the first two to three years. Therefore the patient needs to be followed up in that period and longer for the a late recurrence and pulmonary metast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