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8년 경성의 장티푸스 유행과 상수도 수질 논쟁

        백선례 서울역사편찬원 2019 서울과 역사 Vol.- No.101

        During the colonial period, Typhoid fever was one of the most common infectious disease in Joseon. Typhoid, a water-borne disease, occurred at a certain time each year, although its fatality rate was lower that of the same water-borne disease, cholera. Typhoid was not a priority of the sanitary authorities, but it was more difficult to prevent because it was a common disease. Milk, vegetables and fruits were also the causes of typhoid, but the main cause was water. In the colonial Joseon, people were supplied with drinking water primarily through wells and water supply facilities, and wells were generally blamed for the cause of typhoid. However, the typhoid epidemic of Seoul(Gyeongseong) in 1928 was different. In 1928, typhoid epidemic broke out in Seoul from midwinter to early spring and the patients of typhoid were mostly Japanese. Therefore, the water supplies were pointed out as the cause of typhoid. The deficiencies and water quality of the water supply facilities were embroiled in controversy. There was a disagreement between the Gyeongseong city government and the medical community that water supply was the cause of typhoid outbreak. Japanese of all levels of society, including medical circles, Gyeongseong city government officials, citizens, and journalists, argued over water quality and water supply facilities, but as typhoid faded away, the debate on water quality ended without a conclusion. In the debate about water quality, the problems of the Gyeongseong Water Supply System, which used to be the largest facilities of the time, were clearly revealed. The medical community also failed to win a complete victory. In 1928, the typhoid epidemic and the debate about water quality did not serve as a momentum for the management or establishment of the water supply of Seoul. The water supply expansion plan went ahead as scheduled, but the improvements to the water supply facilities was carried out more later. In the end, in 1928, in the debate about water quality,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the Gyeongseong city government were busy trying to shift the responsibility to others. In 1928, the typhoid epidemic ended up in exposing the weaknesses of medical knowledge and modern facilities until then. 식민지시기 내내 조선에서 장티푸스는 가장 흔한 전염병 중의 하나였다. 물을 매개로 전파되는 전염병인 장티푸스는 같은 수인성 전염병인 콜레라처럼 치사율이 높지 않았고 매년 일정한 시기에 발생하는 전염병이었기 때문에 방역당국의 우선순위는 아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병이었기 때문에 방역에 더 어려운 점도 있었다. 장티푸스를 매개하는 것으로는 물, 우유, 야채, 과일 등이 있었으나 장티푸스가 발생할 경우 가장 큰 의심을 받는 것은 주로 물이었다. 식민지 조선에서 사람들이 식수를 공급받는 방법은 크게 우물과 수도였고 대개는 우물이 더 강력한 병원으로 지목되었다. 그러나 1928년 경성의 장티푸스 유행은 상황이 달랐다. 1928년 경성의 장티푸스 유행은 한겨울부터 초봄까지 발생하였으며 일본인들에게 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특이점에 따라 장티푸스의 병원으로 우물이 아닌 수도가 더욱 부각되었다. 상수도 시설의 불완전함과 수질이 논란의 중심이 되었고 수도가 병원이 아니라는 경성부측과 수도가 장티푸스 발생의 원인이라는 의학계측의 의견이 대립하였다. 의학계, 경성부 관계자, 시민, 언론인 등 각계각층의 일본인들이 수질과 상수도 시설을 둘러싼 논쟁을 펼쳤으나, 장티푸스가 점점 사그라지면서 1928년 상수도 수질 논쟁은 결론도 없이 흐지부지 마무리되었다. 이러한 결과와는 별개로 상수도 수질 논쟁 과정에서 당대 최고이자 최대의 시설을 내세웠던 경성 상수도 시설의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났으며, 의학계로서도 완전한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1928년의 장티푸스 유행과 수질 논쟁은 이후 경성의 상수도 관리나 시설 개선의 특별한 계기가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경성의 상수도 확장 계획은 예정대로 진행되었으나 문제가 되었던 상수도 시설의 개선은 좀 더 이후에 진행되었다. 결국 1928년 경성의 수질 논쟁은 조선 의학계에서 최고의 권위를 지닌 경성제대 의학부와 조선 내 최고의 상수도 시설을 내세운 경성부의 책임회피와 함께 당시까지의 의학 지식과 근대적 시설이 가지는 취약점을 노출한 채 마무리되었다.

      • 정신증적 증상을 보인 장티푸스 1례

        손현균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8 생물치료정신의학 Vol.4 No.2

        장티푸스의 여러 합병증 중에 정신증적 증상은 드문 임상양상이다. 장티푸스와 정신증상과의 인과관계는 아직 명확히 알려진 바는 없으나, 장티푸스 환자 중 어떤 화자가 정신증상을 나타내고 어떤 화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발병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으로 장티푸스 감염, 고열, 독소, 대사결핍, 효소 결핍, 비타민 결핍, 소인이 있는 성격 경향 등이 추정된다. 저자는 정신증상을 보인 34세 된 남자 장티푸스 환자를 치료할 기회가 있었고 그 환자는 입원당시에는 정신분열병과 같은 증상을 나타냈었다. 그래서 이에 대한 증례보고와 함께 장티푸스 환자의 정신과적 증상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여보았다. Among the various complications in typhoid fever, the psychotic symptoms are rare clinical manifestati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yphoid fever and the psychiatric symptoms is not yet clear. The causative factors of psychiatric symptoms could be the typhoid infection, high fever, toxin, metabolic deficiency, enzymatic defect, vitamin deficiency, predisposing personality. The author experienced a 34 year old male of typhoid fever accompanied with psychotic symptoms, whose symptoms and signs were like that of schizophrenics on admission, and then author reported this patient and reviewed related articles antipsychotics frequently used to relieve psychotic and behavior symptom during acute manic episode before mood stabilizer have an effect on, and it have been suggested that antipsychotics immediately discontinue when to be relieve acute manic symptom is theoretically the best choice.

      • KCI등재

        조중환의 번안소설과 열병의 상상력 -장티푸스의 변주와 형상화를 중심으로

        박성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4 현대소설연구 Vol.0 No.93

        장티푸스는 20세기 중반까지 맹위를 떨쳤던 감염병으로 한국에서도 여러 차례유행한 바 있다. 이미 19세기 말부터 위생과 방역을 중심으로 한 대응이 이루어졌으며, 대중들에게도 주요한 감염병 가운데 하나로 폭넓게 인식되고 있었다. 하지만 문학 작품에서는 장티푸스가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신경쇠약이 결핵, 천연두 등과 달리 장티푸스는 1910년대 초반까지도 거의소설에서 거론되지 않았다. 조중환의 번안소설인 「쌍옥루」나 「비봉담」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등장하게 되는데, 이 역시 장티푸스를 병명을 직접적으로 채택하지는 않았다. 조중환의 번안소설에서 장티푸스는 감염병의 측면보다는 불명열(不明熱)의 일환으로 등장한다. 감염병임을 추론할 수 있는 서술이 작중에서 등장하기는 해도 발병의 중심에는 작중인물의 죄책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이 강하게 작동한다. 이는19세기 영미소설이 채택한 neural fever와도 연결된 것으로, 열이라는 요소를 중심으로 작중의 갈등을 설명하거나 이를 해소하는 계기를 제시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열병을 중심으로 하여 근대의료를 소설 속에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혈액검사와 혈청주사, 체온 측정을 중심으로 한 진단과 치료는 모두 의사와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작중인물의 병을 치료하는 것 역시 의사의 역할로 분리된다. 같은 시기 소설에서 나타나는 신경쇠약이의료와는 무관하게 작중인물 간의 갈등 해소를 통해 치유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장티푸스를 중심으로 한 열병의 상상력은 소설에서의 근대의료를 구체화하는 데 적잖은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서는 열병을 중심으로 결핵이나 신경쇠약과 같은 여타의 질병과도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한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20세기 초 문학에서질병을 인식하고 형상화하는 양상을 살펴보는 데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것이다. Typhoid fever was a rampant infectious disease until the mid-20th century, experiencing several outbreaks in Korea. Since the late 19th century, responses centered around hygiene and quarantine were implemented, and it was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infectious diseases among the public.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cases where typhoid fever directly appears in literary works. Unlike neurasthenia, tuberculosis, or smallpox, typhoid fever was almost never mentioned in novels until the early 1910s. It was not until Jo Jung-hwan's adapted novels, such as "Ssangokru" and "Bibongdam," that typhoid fever finally made an appearance, albeit not adopting the disease name directly. In Jo Jung-hwan's adapted novels, typhoid fever appears more as a part of an unknown fever than from the aspect of an infectious disease. Although there are descriptions that allow readers to infer it as an infectious disease, psychological factors like the characters' guilt play a strong role at the outbreak's center. This is connected to the neural fever adopted in 19th-century English and American novels, where fever is central to explaining conflicts within the story or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re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se novels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formally introduce modern medicine into the story, centered around fever. Diagnosis and treatment focused on blood tests, serum injections, and temperature measurements are all conducted by doctors and medical institutions, separating the act of curing the characters' diseases as the doctors' role. Considering that neurasthenia, appearing in novels from the same period, is healed through the resolution of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independently of medical intervention, the imagination of fever centered around typhoid feve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oncretizing modern medicine in literature. Furthermore, it is worth noting that fever, centered around typhoid, creates connections with other diseases such as tuberculosis and neurasthenia. This offers another perspective in examining how diseases were recognized and visualized in early 20th-century literature.

      • KCI등재

        증례 : 감염 ; 낼리딕산 내성 장티푸스균(Salmonella typhi)에 의한 신농양과 간농양 1예

        임수영 ( Soo Young Lim ),김호중 ( Ho Joong Kim ),한지숙 ( Ji Suk Han ),강동훈 ( Dong Hoon Kang ),이정아 ( Jeong A Lee ),이승순 ( Seung Soon Lee ),김민정 ( Min Jeong Kim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4

        장티푸스에 의한 장천공 및 장출혈, 그리고 장관 외 합병증인 간농양, 신장염, 골관절감염 등은 조기 항균제 치료로 현재는 그 빈도가 매우 줄었다. 상염색체우성다낭성신질환과 같은 기저 신질환이 없는 환자에서 장티푸스균에 의한 신농양 발생하거나 당뇨병이나 간암, 담석증과 같은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에서 장티푸스균에 의한 간농양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특히 장티푸스의 합병증으로 신농양과 간농양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는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바 없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예전에 비해 장티푸스의 발병률이 줄었지만, 기후의 온난화와 집단 급식 등 수인성 전염병이 유행 할 수 있는 기회가 늘고 있고, 해외여행자와 국내 거주 외국인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여전히 중요한 질병이다. 저자들은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에서 네팔 여행 후 낼리딕산 내성 Salmonella typhi에 의한 신농양과 간농양을 동시에 진단받고, 신농양 경피적 침흡인술과 고용량 시프로플록사신으로 치료한 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Prompt antibiotic treatment reduces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such as liver abscesses, pyelonephritis, and osteomyelitis in patients with typhoid fever. Renal or liver abscesses are especially rare in patients without underlying disease or predisposing factors. The occurrence of both renal and liver abscesses in a patient with typhoid fever has not been reported. Although the prevalence of typhoid fever in Korea has decreased, it is still an important disease owing to increased opportunities for the occurrence of waterborne diseases with climate warming and group feeding, and the increased numbers of tourists and foreigners visiting Korea. We present a patient with no underlying disease or predisposing factors who developed both renal and liver abscesses caused by nalidixic acid-resistant Salmonella typhi after a trip to Nepal. He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renal abscess and high-dose ciprofloxacin. (Korean J Med 2013;84:608-612).

      • KCI등재

        말단 회장과 횡행 결장의 궤양에서 미성숙 육아종을 보인 장티푸스 1예

        윤상구,김남훈,김민환,박주현,배원기,김경아,이준성,김한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3 No.1

        살모넬라 감염증 중에서 가장 심각하고 치명적인 장티푸스는 S. typhi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전신 감염성 질환이다. 장티푸스 환자는 S. typhi에 감염된 후 1∼2주 잠복기가 지난 후 임상 증상이 나타나며 잠복기 동안 회장의 Peyer’s patches와 장간 림프절의 대식세포에 포식되어 세포 내에서 생존 및 증식하여 림프조직의 과형성, 회장 말단부의 궤양 및 궤사를 일으키고 그 합병증으로 장출혈이나 장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대장 점막의 변화는 궤양이 가장 흔하며 조직학적으로 현저한 적혈구 및 림프구 포식을 동반한 괴사와 조직구의 증식이 관찰된다. 장티푸스의 경우 육아종성 병변은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육아종이 장티푸스 환자의 골수, 간, 비장에서 증명된 예가 있었지만 말단 회장 및 횡행 결장의 궤양에서 미성숙 육아종은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본 저자들은 말단 회장 및 횡행 결장의 궤양에서 미성숙 육아종이 보인 장티푸스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yphoid fever, the most serious human salmonellosis, is a systemic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 and is characterized by prolonged fever, bacteremia, and multiplication of the organism within mononuclear phagocytic cells of the liver, spleen, lymph nodes, and Peyer’s patches. The characteristic lesion of typhoid fever is an ulceration of the small intestinal lymphoid tissue, particularly the Peyer’s patches. The usual histological findings of typhoid ulcer are necrosis and histiocytic proliferation that phagocytizes erythrocytes and degenerated lymphocytes. A granuloma is an unusual histopathological presentation of a typhoid lesion. Even if granulomas have been reported in the bone marrow, liver, and spleen in cases of typhoid fever, granulomas in primary ulcers of the ileum and transverse colon have been reported very rarely. We experienced a case of typhoid fever in which ill-defined granulomas were seen in ulcers of the terminal ileum and transverse colon.

      • 경구용 장티푸스백신 Salmonella typhi 균주 Ty 21a

        정성균,정대균 경희대학교식량자원개발연구소 2007 硏究論文集 Vol.24 No.-

        장티푸스를 일으키는 원인 균은 Samonella typhi이다. 이 장티푸스균은 1880년 Eberth(Germanier, 1972)에 의해 환자의 장간 림프절 (mesenteric lymph nodes)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1884년 Gaffky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Samonella typhi는 그람음성의 운동성이 있는 박테리아로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 군에 속한다. 이 균은 발효를 할 수 있다는 점과 3가지 종류의 표면 항원 구조에 의해 다른 Salmolnella 종과는 구별되어진다. 3가지 항원은 H, O, Vi으로 H 항원은 flagellar 구조를 하고 있다. O항원의 특이성은 세포벽의 lipopolysaccharide를 구성하고 있는 다당류의 당 성분에 기인한다. O 항원이 결여된 Salmonella는 이 항원을 가진 균에 비해 훨씬 덜 독성을 가지기 때문에 O 항원은 Salmonella가 병원성이 되게 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Vi 항원은 Enterobacteriaceae 중 소수만이 함유하는 가장 바깥의 다당류 층을 구성한다. S. typhi의 Vi 항원은 N-acetylgalactosaminuronic acid로만 구성된 homopolymer이다. Vi 항원은 생쥐에서의 병원성과 연관되어 있고 S. typhi 면역성을 부여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람에서도 Vi가 독성을 유발하는지는 분명치 않다.

      • 장티푸스로 인한 비장농양 1례

        박동일,권삼,강승완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1994 東國醫學 Vol.2 No.-

        비장에 생기는 농양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서 복강내 발생하는 농양중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았을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장티푸스 감염은 골, 폐, 갑상선, 간, 비장, 신장, 심장, 내장, 피부 등 여러장기에 침범하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장티푸스에 의한 비장농양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세 남자환자가 10일간의 고열과 좌상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이학적검사상 중등도의 비장종대와 둥근종괴가 촉지되었다. 혈액배양에서 살모넬라 균이 검출되었으며 복부초음파 및 컴퓨터단층촬영상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저밀도의 낭종이 관찰되었다. 페프라신 항생제 및 CT 유도하에 경피적 천자 흡인 및 배농술로 지방절제없이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Splenic abscess is an uncommon, but frequently fatal condition among the intraperitoneal abscesses. Salmonella infection can lead to various organ involvement, including bone, lung, thyroid, liver, spleen, kidney, heart, pericardium, intestine and skin, and cause a variety of complications. But splenic abscess caused by Salmonella typhi is rare. An 18-year-old student was admitted due to high fever and left upper abdominal pain of 10 days duration and with moderate splenomegaly on physical examination. The blood culture was positive for Salmonella typhi.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CT scan showed a well defined large splenic and a small liver abscess. We treated him with antibiotics(Peloxacin) and CT-guided percutaneous aspiration and drainage successfully. Although splenectomy remains the traditional treatment for bacterial splenic abscess, CT-guided percutaneous drainage may be appropriate in carefully selected patients. We report a case of splenic abscess by Salminella typhi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해외여행 후 장티푸스와 A형 간염이 동시에 감염된 1예

        조영혜,정동욱,이상엽,박선기,조아라,이수진,최희경,김윤진,이정규,이유현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12

        Infectious diseases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have increased. Feco-oral route is the most common mode of transmission for both typhoid fever and hepatitis A, and thus infection by these agents have an association with poor sanitation. A 30-year-old male was visited to the hospital because of high fever after traveling in Thailand. The level of hepatic transaminases were mildly elevated and viral serological marker for hepatitis was negative. The blood culture was reported positive for Salmonella typhi. After a few days, the level of hepatic transaminases rapidly increased and viral serological marker for hepatitis became positive with anti-hepatitis A viral IgM at follow-up. Therefore we report a case of co-infection of S. typhi and viral hepatitis A after traveling abroad. 장티푸스와 A형 간염은 모두 개발도상국에서 흔히 발생하는 수인성 감염으로 유행지역으로 여행하기 전의 개인위생교육과 예방접종이 중요한 질환이다. A형간염은 임상증상이있은 후에도 1-2주의 window period를 가지므로 A형간염이임상적으로 의심될 때는 IgM anti-HAV가 음성이더라고 1-2주후에 재검하여 다시 확인해 봐야한다. 저자들은 해외여행 후발열을 주소로 입원하여 혈액배양 검사에서 장티푸스로 진단된 환자가 바이러스성 간염에 대한 검사에서 음성의 결과를보였다가 급격하게 간수치가 증가하면서 재검사한 Anti-HAV IgM에서 양성의 결과를 보여 장티푸스와 A형 간염의 동시감염이 진단된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증례 : 감염 ; 시프로프록사신에 반응하지 않은 해외유입 장티푸스 3예

        김대범 ( Dae Bum Kim ),김시현 ( Si Hyun Kim ),오수진 ( Su Jin Oh ),김동규 ( Dong Kyu Kim ),최수미 ( Su Mi Choi ),김명신 ( Myung Shin Kim ),신완식 ( Wan Shik Shin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3

        최근 장티푸스 치료에 있어 nalidixic acid에 내성이면서 fluoroquinolone에 상대적 내성을 나타내어 시프로프록사신치료에 실패하는 예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Nalidixic acid 내성 S. Typhi에 의한 장티푸스는 원내 검사실에서 사용되는 Microscan을 이용한 디스크 확산법에는 nalidixic acid에 대한 검사가 포함되어있지 않고, 최소억제농도를 대부분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시프로프록사신에 상대적 내성인지 여부를 알수 없어 적절한 치료가 지연될 수 있다. 동남-중남아시아 국가들에서 nalidixic acid 내성 S. Typhi 감염의 증가를 감안하고 해외여행자와 국내 거주 외국인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앞으로 이와 같은 예들이 결코 드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동남아시아 여행 후 시프로프록사신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티푸스 환자 3예를 최근 경험하여 nalidixic acid에 대한 감수성 검사와 시프로프록사신 최소억제농도 측정을 하였고, 대체 약제로 ceftriaxone과 azithromycin으로 합병증 없이 치료한 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Recently, the role of ciprofloxacin in the empirical treatment of typhoid fever has been limited with the increased incidence of nalidixic acid-resistant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 in South-central and Southeast Asia, as well as multidrug-resistant strains. We experienced three cases of imported typhoid fever that did not respond to ciprofloxacin. All of the blood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ciprofloxacin in vitro, but the patients failed to achieve clinical improvement with ciprofloxacin and were treated with ceftriaxone or azithromycin. Although nalidixic acid-resistant strains may be reported as susceptible to ciprofloxacin on disk diffusion tests, they frequently show a poor clinical response to ciprofloxacin because of the increase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ciprofloxacin. Therefore, if clinical improvement is delayed or fails with ciprofloxacin, imported typhoid fever from South-central or Southeast Asia should be considered as being due to nalidixic acid-resistant strains and should be treated with high-dose ciprofloxacin, ceftriaxone, or azithromycin. (Korean J Med 77:377-381, 2009)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장티푸스예방접종에 관한 의학적 논의의 전개

        백선례 ( Baek Seon-lye )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2020 연세의사학 Vol.23 No.2

        This article examines how professional discussions on the typhoid vaccine, the latest medical technolog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volved in colonial Korea (Joseon),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in Japanese and Joseon medical journals at the time. I attempt to describe vaccination not as “complete knowledge,” but as knowledge that was being constructed, as well as compare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between the Japanese Empire and Joseon. In Imperial Japan, there were various studies on typhoid vaccination. Generally, most of them agreed on the vaccine’s effectiveness, but other opinions also appeared. Certain studies mentioned that it was difficult to consider the reduction of typhoid incidences in the Japanese Army and Navy an effect of the vaccine. Moreover, some suggested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oral immunity, as vaccination was difficult to popularize, and incomplete vaccination was no different than not getting vaccinated at all. In addition, Japanese researchers conducted studies with variabilities in vaccination methods and amounts that assessed post-vaccination morbidity and mortality to improve the vaccine’s effectiveness. Contrarily, Joseon’s medical journals primarily communicated observational statistics from clinical studies that mainly involved Japanese participants, focused on post-vaccination reactogenicity, and conveyed potential opportunities for oral immunity that had less reactogenicity. While the Japanese and Joseon medical journals were similar in that they both acknowledged the typhoid vaccine’s effectiveness and how to improve it, their directions were quite different. In Japan, as vaccinations were implemented on a large scale and statistical data regularly accumulated, the studies mainly strove to reduce the number of deaths after vaccination. Meanwhile, the Joseon medical journals included studies on lowering post-vaccination reactogenicity in an attempt to increase the number of vaccinations, as resistance to vaccinations remained strong among Koreans. In summary, the contents of the Japanese and Joseon discussions regarding typhoid vaccination were different and limited based on their location, even though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ame time period. Such differences demonstrate the impact of the colonial situation, which was evident even in medical journals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readers and in a field of knowledge that was distant from the public. Even so, both Japanese and Joseon medical journals shared similar relative and hierarchical methods in hygiene ideology. In addition, this study defends the view that although preventive medicine, such as vaccination, is a field closely related to policy, it cannot exist as a “field of objective knowledge” independent from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