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성장애음소 설정을 통한 유성음 간 평장애음 유성음화 문제 해소

        고영진 ( Ko Young-jin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6 No.-

        기존의 한국어 장애음소 체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유성장애음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 한국어는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장애음이 발화된다. 이와 같은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학자들은 유성장애음이 유성음사이 에서만 발음되는 것에 근거해 한국어는 유성장애음소는 존재하지 않으나, 무성평장애음이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변화하여 발화되는 음운현상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주장은 무성음이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동화하는 자연스런 음운현상으로 인식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이는 한국어에는 유성장애음소가 없다는 주장의 근거가 됐다.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무성평장애음은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동화한다는 주장과 일치하지 않거나 심지어 역행하는 음운현상까지 있어, 유성음사이 무성평장애음 유성음화 규칙은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음소체계에서 무성평음으로 분류되는 ‘ㅅ’은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변화되지 않으며, 미국영어를 배우는 한국어 모어 화자는 영어중간어에서 약음절의 무성장애음을 유성음으로 발음하지 않으며, 한국어의 무성평장애음으로 중화된 어말종성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가 붙어 유성음사이의 환경이 조성되더라도 유성음으로 발음되지 않고 유기음이나 긴장음 등 본래 음소의 음가를 그대로 간직한 무성음으로 발음된다. 이는 한국어 무성평장애음 유성음화 규칙에 문제가 있음을 증명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고영진(2015)의 주장처럼 한국어의 유성장애음소를 인정하면 해소된다. 한국어에서 유성장애음이 유성음 사이에서 발화된 것은 유성장애음소가 그대로 발화된 것이며,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한국어의 유성음사이의 환경은 어떤 음운변화도 유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성장애음소가 무성평음으로 발화되는 음운변화현상이 있어 설명이 필요하다. 이는 한국어의 경우 유성장애음소가 형태소(단어)의 초성과 종성으로 발음될 때 무성음으로 발화되는 ‘유성장애음 무성음화 규칙’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현상은 여러 언어에서 보이고, 음성학적인 측면에서도 초성의 경우 성대의 떨림 준비가 덜 돼있고, 어말장애음의 경우 불파폐쇄음으로 중화되기 때문에 기도에서 기류의 흐름이 멈춰 성대가 떨리지 않는 매우 자연스런 음운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There is no acceptance on the existence of the voiced obstruent phonemes in Korean by almost all of the current and former studies. But voiced obstruents are uttered in the context of intervoiced in real Korean speeches. To explain the situation, scholars insist on the exist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that even though voiced obstruents are not existed as phonemes in Korean but uttered in the intervoicing context because of voicing assimilation. And the assertion is considered as a natural phonological process, since assimilating to adjacent sounds is normal and it becomes the evidence of the assertion.But in Korean, as there are some phonological phenomena not in line with or even reversal to the idea that intervoiced voiceless plain obstruents are voiced, the assertion has some problems.Even though ‘ㅅ’ is classified to voiceless plain obstruents in the system of Korean phoneme, it is not changed to a voiced sound in intervoiced context, the sounds neutralized to voiceless plain consonants at the end of a word are revived to their origin sounds of properties voiceless even though they are in the intervoiced context by adding vowel initial affixes and all of them prove ‘the intervoiced voiceless plain obstruents voicing rule’ in Korean has problem. And Korean speakers learning American English do not pronounce weak syllable intervoicing voiceless obstruents as voiced ones in their inter language of English and it is another one to contradict the rule.This study solves the problem by accepting Ko (2015) assertion that Korean has voiced obstruents as phoneme. So the voiced obstruents pronouncing in intervoced context are the sounds of origin without any change and the intervoiced context is not the trigger of any phonological changes in Korean. But we need one thing to explain the reason why voiced obstruents are pronounced as voiceless one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word and the rule ‘voiced obstruents devoicing rule’ changing voiced obstruents to voiceless one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word is the answer for that. And the rule is natural since voiced obstruents devoicing phenomena at the situations is normal in many languages and in phonetic idea of VOT and unexplosion of the obstruents at the end of a word stop moving airstream in the vocal track and not make possible to vibrate vocal folds.

      • KCI등재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부르기 시 음도산출 특성

        김은진(Eun Jin Kim),김수지(Soo Ji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3

        본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부르기 시 음도산출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대상자의 합창경험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남성으로 장애인 합창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12명과 장애기관을 이용하고 있으며 합창경험이 없는 9명의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음도산출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Praat을 사용하여 편안한 음역대에서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도록 하여 녹음하였고, 음도 도약이 포함된 특정구간(‘합니다-사랑하는’)을 발췌하여 음절별 개별 산출음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합창단원 그룹의 경우 음역대가 넓고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저음과 최고음에서는 모두 합창단원 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일 축하> 노래 중 구간에서의 개별 음절별산출음도를 분석한 결과, 기대음도와 실제 산출음도 간 차이가 있었으며, 합창단원 그룹의 음도산출정확도가 모든 음절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절 ‘다’와 ‘하’ 완전 5도, 완전 8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음도산출치의 경우, 음절 ‘니’,‘다’, ‘하’, 완전5도, 완전4도, 완전 8도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합창단원 그룹의 음도산출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율윤곽의 경우 개인이 부른 멜로디의 음도가 얼마나 기대음도에 유사하게 진행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합창단원의 경우 음도산출 정확도의 수준에 관계없이 기대되는 선율진행의 윤곽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처럼 합창단원 그룹의 확장된 음역대와 음도산출 정확도는 일정수준의 노래 부르기 지속 시 음도 훈련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 부르기 능력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oice pitch between who have choir experiences and those who do not.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1 mal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2 choir group members and 9 non-choir group). Praat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itch, produced by the participants while they were singing in their comfortable pitch ran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nge of melodic contour in the choir group was broader and higher than those of the non choir group. Participants in the choir group produced a lower pitch in the beginning note, and they produced a higher pitch compared to the non-choir group on the highest and lowest note of the song. An analysis on the pitch of the individual note that the participants produced revealed a gap between the expected pitch notes and the actual notes produced while singing. In all syllables of the song, participants in the choir group showed higher accuracy of the pitch production, and significantly more accurate on the perfect fifth and eighth intervals. Regarding to the relative pitch, participants in the choir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more accurate notes on perfect fifth, perfect fourth, and perfect eighth intervals.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constant singing experience enable them to have pitch training. It also implies for further studies regarding to singing abilitie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한국 성인 인구의 주관적 음성문제와 직업 요인

        변해원(Haewon By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3

        Background & Objectives: Considering the numerous studies on subjective voice complaints among professional voice users, it is clear that subjective voice complaints are currently quite comm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cross-section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in the South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national-survey data.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4,601 persons (1,988 male; 2,613 female) aged 19-60 in South Korea. Occupation was defined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 test,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revalence of self-reported voice problems was 6.0%. In the logistic-regression analyses of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non-manual workers were found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voice problems (OR=1.67, 95% CI: 1.23-2.26), but the opposite was true for manual workers. Adjusting for covariates, professionals (OR=3.51, 95% CI: 1.34-9.19) and service workers (OR=2.68, 95% CI: 1.02-7.06) were found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voice problem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non-manual workers, particularly professionals and service workers, are at a higher risk of developing voice problems compared to other occupations. 배경 및 목적: 많은 연구들에서 직업은 음성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되고 있고, 최근 단면연구에서 주관적 음성문제는 병인학적 음성장애의 독립적인 위험 지표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역학자료를 사용하여 근로자의 주관적 음성문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직업과 주관적 음성문제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에서 건강설문조사와 이비인후검진을 모두 완료한 전국의 19세 이상 60세 미만 성인 4,601명(남 1,988명, 여 2,6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업은 6차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대분류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직업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 비교는 교차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직업과 주관적 음성문제의 관련성 파악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교차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통제변수는 연령, 성, 교육수준, 소득 사분위수, 흡연여부, 음주빈도, 갑상선 장애 유병, 최근 2주동안 만성ㆍ급성 질환 및 사고ㆍ중독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 여부를 사용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4,601명의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율은 6.0%였고, 서비스종사자(7.8%), 단순노무종사자(7.7%),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7.4%), 군인(6.9%), 관리자(6.2%) 등의 직업에서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율이 평균보다 높았다. 현재 취업자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모든 통제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무직자, 학생, 주부 등의 비경제활동인에 비해서 비육체노동자는 주관적 음성문제의 위험이 약 1.7배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육체노동자의 경우에는 교차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최장 직업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모든 통제변수를 보정했을 때, 비경제활동인에 비해서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주관적 음성문제의 위험이 약 3.5배 더 높았고, 서비스 종사자는 주관적 음성문제의 위험이 약 2.7배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대분류를 기준으로 직업을 구분했을 때,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와 서비스 종사자는 음성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후에도 주관적 음성문제의 잠재적 위험요인이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음성문제의 위험이 높은 직업에 대한 음성 관리와 음성장애 예방을 위한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종성 발음 오류 분석 - 장애음을 중심으로 -

        퓨퓨아웅 ( Phyu Phyu Aung ),노채환 ( Roh Chaehw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종성 장애음의 발음 오류를 분석하고, 오류의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는 종성 위치에서 장애음들이 각 계열을 대표하는 평음 [ㄱ], [ㄷ], [ㅂ]로 실현되는 반면 미얀마어는 종성 위치에서 표기로 나타나는 장애음들 /k, t, p, s/이 제 음가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성문폐쇄음 [ʔ]으로 발음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미얀마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종성 장애음을 발음할 때 어려워하여 많은 오류를 범한다. 미얀마인 학습자들의 실제 오류 양상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종성 장애음 [ㄱ], [ㄷ], [ㅂ]를 탈락하여 발음하거나 다른 음으로 대치하여 발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얀마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종성 장애음의 정확한 조음 위치를 잘 알지 못하므로 발음하기 어려워하여 모국어에 있는 성문폐쇄음 /ʔ/을 한국어의 종성 장애음 발음에 그대로 적용하여 발음한다. 또한 종성 장애음/ㄱ, ㄷ, ㅂ/을 다른 위치에 있는 자음으로 혼동하여 발음한다. 이러한 오류는 학습자들이 종성 장애음에 익숙하지 않고 세 음소에 대한 변별력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ronunciation errors made by Myanmar learners in producing Korean final obstruent consonants and to reveal the cause of the errors. In Korean, the obstruent sounds are realized as plain [k], [t], [p] representing each series in the final position, whereas in Myanmar, the obstruent consonants /k, t, p, s/ appearing in the final position are not realized as the original phonetic value, and are pronounced as a glottal stop [ʔ]. Due to these differences, Myanmar learners make many error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Myanmar learners to pronounce the pronunciation of Korean of final obstruent soun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error patterns of Myanmar learn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ers omitted the final obstruent sounds [k], [t], [p] in Korean and pronounced them by substituting them by other sounds. Since Myanmar learners do not know the exact articulation position of the Korean obstruent sounds, it is difficult to pronounce it. Therefore, the glottal stop [ʔ] in the native language is applied to the pronunciation of the final obstruent sounds in Korean. In addition, the final obstruent sounds [k], [t], [p] are confused with consonants in different positions and pronounced as consonants in different positions. This error can be analyzed because learners are not familiar with the final obstruent sounds and their discrimination power for the three phonemes is poor.

      • KCI등재

        음성장애 성인과 직업적음성사용자의 음성문제자각의 차이

        이옥분,박상희,이창희 한국직업재활학회 2018 職業再活硏究 Vol.28 No.1

        Voice handicap index have been widely applied as a meaningful protocol to evaluate patient’s self-awareness of voice problem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self-awareness voice problems between dysphonic speakers and occupational voice users. 202 spea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91 dysphonic speakers, 56 occupational voice users(teache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etc), 55 non-occupational voice users. All participants were from 20 to 70 ages without language. speech, and hearing problems. Two kinds of survey to questionnaire to assess voice problems were used in this study. Korean validated translation of VHI(voice handicap index, total 30 items) and SAIVP(self awareness index of voice problems, 15 items). For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scores of VHI and SAIVP, one-way Anova analysis was used. And the relations with VHI and SAIVP within each groups was assessed using by Pearson correlation(p<0.01). The results were follow as: First, total scores of VHI and SAIVP were shown higher in dysphonic speakers compared to other occupational and non-occupational voice users. And one-way Anova analysi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total scores of VHI total, VHI-Funtional and SAIV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scores of VHI, each subscale of the VHI and SAIVP within three groups(p<0.01).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lf-awareness of voice problems may be differ according to dysphonic types and occupations. It needs to be more studied in clinical aspects.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 음성문제 혹은 음성장애를 갖게 된 아동이나 성인들은 의사소통의 곤란을 경험하고 이는 개인적으로 삶의 질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어려움을 만날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 연구는 음성장애를 의학적으로 진단받은 성인과 직업적으로 음성을 많이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성인들 그리고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기 인식 음성 문제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추후 직업 및 작업환경, 신체적 문제로 인해 음성장애를 겪을 수 있는 성인들을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202 명이고, 91 명의 음성장애환자와 56 명의 직업적 음성사용자(예, 교사, 언어재활사, 기타등), 55 명의 일반 성인이다. 설문평가에 참여하 성인들은 모두 일상생활에서 정상적인 의사소통을하며 연령범위는 20세에서 70 세까지이다. 이 대상자들은 설문평가 일자를 기준으로 해서 3개월 이내 음성문제로 의학적인 진단을 받은 경험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평가 도구는 2개이며, 하나는 음성문제가 있는 아동이나 성인(노인)들을 대상으로 재활영역에서국내외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Jacobson et al.,(1997)이 개발한 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 VHI-30개 문항) 평가도구이며, 한국어로 번안되어 타당도가 연구된 설문도구를 사용하였다. 또다른 평가도구P(음성문제자각지수(self awareness index of voice problems, SAIVP-15개 문항)는국내 연구자가 개발한 것으로 두 개 평가도구 모두 5점 척도로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지수가 높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서 VHI와 SAIVP 점수에서 그룹 간 차이를 찾기 위해ANOVA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룹 내의 VHI와 SAIVP와의 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VHI와 SAIVP의 총 점수는 다른 전문적이고 일반 성인 음성 사용자들과 같은음성장애자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ANOVA 분석 결과 VHI 합계, VHI-Funtional 및SAIVP의 총 점수에서 세 그룹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로, 그룹 내에서 VHI 점수와 SAIVP점수사이에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본 연구의 결과는 발성장애의 유형과 직종에 따라 음성 문제의 자기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음성 문제의 인식은 직업환경에서의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보여진다.

      • KCI등재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장애음의 지각적 대응 양상 분석

        심현주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동서인문학 Vol.-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Ukrainian perceive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obstruents and that of Ukrainian. In addition, we tried to discuss how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obstruents of the two language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relate to these perceptual correspondences. To this end, a perceptual match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listen to Korean syllables and mark it with Ukrainian phonemes. The results, like learners in other languages, it is expected that Ukrainian cannot distinguish Korean obstruents properly because the phonation types of Korean obstruents are marked as one Ukrainian phoneme. In particular,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plain-untensed and plain-tensed. Ukrainian learners also did not seem to perceive VOT and F0,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obstruents, as acoustic cues.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was expected to affect the discrimination of phonemes. It could be seen that Ukrainian learners cannot properly use the acoustic cues of Korean obstruents that do not exist in their native language in phoneme discrimina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not possible to specifically identify how learners discriminate Korean obstruents, what are the strategies of using acoustic cues of the learn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크라이나인이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장애음을 어떻게 지각적으로 대응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아울러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두 언어의 장애음의 음향적 특징이 이러한 지각적 대응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어 장애음을 듣고 우크라이나어 음소로 표기하는 지각 대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른 언어권의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장애음의 삼지적 대립을 모두 하나의 음소로 표기하여 제대로 변별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평음과 경음을 변별하는 데에 어려움이 컸다. 그리고 우크라이나인 학습자는 한국어 장애음의 주요 변별자질인 기식성과 긴장성, 즉 VOT와 F0를 음향 단서로 민감하게 지각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조음위치는 음소를 변별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결과적으로 우크라이나인 학습자는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한국어 장애음의 음향자질을 음소 변별에서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학습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한국어 장애음을 변별하는지, 발음 지각에서의 음향자질 사용 전략은 어떠한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 것은 연구의 한계점이다.

      • KCI등재

        음고와 선율 중심 음악활동이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진아,박혜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고(pitch)와 선율(melody)을 중심으로 한 음악활동이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K시에 거주하는 단순언어장애를 가진 만 6세 아동 3명을 대상으로 30분씩 총 12회기 개별중재를 실시하였다. 작업기억은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문장 폭 기억과제, 언어능력은 PRES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고와 선율을 중심으로 한 음악활동은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을 측정하는 두 가지 과제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둘째,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능력에서도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본 활동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음고에 대한 변별력과 기억할 수 있는 선율의 마디수 증가를 돕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음고와 선율을 중심으로 한 음악활동이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을 활성화시키는 중재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언어능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tch-melody music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working memory and language competenc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 total of 12 sessions each for 30 minutes with 3 six year-ol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living in K city. The pre-post tests were performed on the non-word speaking and sentence-width memory tasks for working memory, and the PRES test for language competency. First, pitch-melody musical activities showed the improvement in both tasks for working memory, and second, for language competency the improvement in the acceptance and expressive language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membering length of the melody and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pitch increase as the session progressed. This suggests that pitch-melody musical activities can be employed as an intervention to activate the working memory and also to improve the language competenc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 KCI등재

        어간 내부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과 첨가

        이상신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硏究 Vol.- No.67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 of ‘nasal+obstruent’ and ‘nasal’. By an interrogative sentence my aims can be summarized: Was ‘nasal+obstruent’ made by adding ‘obstruent’ at ‘nasal’? Otherwise was ‘nasal’ made by deleting ‘obstruent’ at ‘nasal+obstruent’? In other words, the verification of the rationality of addition and deletion of ‘nasal+obstruent: nasal’ is aims of this study, especially, ‘beolsseo’(“already”) and ‘meonjeo’(“formerly”). In ‘beolsseo’, there are rooms for reconsideration at etymology. Dialectally, the absence of obstruent is incontestably the characteristics of dialects of western-Korean, but there is obstruent in dialectal form of ‘beolsseo’ in western-Korean, especially Jeonnam subdialect. So in contrast of ‘meonjeo’, ‘beolsseo’ needs to be reconsidered at etymological views. 본고에서는 이른바 쌍형어의 두 어형 중 어느 것이 구형 혹은 신형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세우고 이 판별 기준에 따라 장애음의 유무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두 어형의 신․구형 판별을 시도하되, 특히 ‘벌써’와 ‘먼저’의 관련 형태들이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 및 첨가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논의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먼저’의 관련 형태들과는 달리 ‘벌써’의 관련 형태들은, 장애음의 유무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형태로 알려져 있는 기존의 어휘들과는 다른 존재일 가능성이 있음을 알게 된다. 즉 방언형을 포함한 ‘벌써’의 관련 형태들 중 장애음을 가진 쪽과 가지지 않은 쪽의 양쪽은 어원적으로 그 구성이 다른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 가능성을 말하게 되는데, 이런 추론에는 방언형의 분포가 그 한 근거로 제시된다.

      • KCI등재

        김영랑의 시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음상적 특징 분석

        장보미(Jang, Bo?mi)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7

        김영랑의 시는 음악성을 함유한다. 음악이 소리를 전제하고, 그 소리들이 의미의 전개를 야기하듯이 시어는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음성적 효과를 통해 시어의 의미 전개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지금까지 김영랑 시의 리듬은 대체로 시의 형식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시의 음악성을 밝히기 위해 시어의 길고 짧음과 같음, 반복 및 일정한 휴지가 제시되었는데, 시의 다채로운 면모를 밝히기에는 제한적인 것이었다. 소리와 의미의 기표로서 시어를 분석하는 과정은 낭독을 통한 청각적 효과와 의미의 환기, 재발화를 통한 의미의 확산이 실질적으로 시의 가치를 확인하는 의미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형식과 의미의 결합으로서의 시어의 소리 결합과 그것의 리듬 체계를 언술함으로써 시의 가치를 탐구하려 한다. 본 글은 현대시의 리듬을 규명하기 위한 지표로서 음상적 특징을 시 분석에 활용한다. 음상(音相)은 소리의 차이로 말미암은 어감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의 각 분절과 구조, 주제의 성격을 가늠하는 단서가 된다. 한 편의 시를 장악하는 음상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화자의 감정과 호흡의 짜임과 함께 시의 리듬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 시의 음성적 특징, 음상 분석은 하나의 발화로서의 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단위의 분석이 된다. 이러한 논지를 뒷받침하는 예로 본문에서는 ?모란이 피기까지는?을 분석한다. 각각 공명음과 장애음의 계열로 구성된 두 개의 동심원은 시의 분절마다 다른 배합으로, 이미지와 감각으로서의 분위기를 형성한다. 이 시에서는 공명음을 기본 단위로 하여 장애음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화자의 호흡과 긴장의 정도가 달라진다. 두 개의 동심원으로 표현된 음성적 자질들의 배합이 주제 표현을 위한 의미 형성을 돕는 것이다. 시적 언어의 형식으로서 음성적 자질들은 의미 자질을 내포한다. 소리를 전제한 시어는 청각적 요건뿐만이 아니라 주제를 구현하기 위한 위치와 의미 자질을 전제한다. 이 점에서 시를 지배하는 의미의 최소 단위로서의 음상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 흐름으로서의 시의 리듬을 밝히는 실마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a rhythm is combination of meaning and form in Kim yeong-rang’s poem. When we consider the process of poetic diction"s vocalization, sound feature is the key to determine rhythm that controls over poem’s meaning and tone. The previous discussions noted a foot for sense of stability while reciting a poem. That means harmonious auditory characteristic makes a poetic beauty, but the balance of sound is not everything in poem’s musicality. Sounds, basic elements of a subject in a poem, are designated in their own places not separating form and meaning. Especially, the harmony of sound is not the only way to create poetic esthetic in the modern poetry. Thus, previous theories have a limitation that cannot be to analyze the whole structure of a poem. Till the peonies bloom produces a rhythm through the placement of sonorant and obstruent. Sonorant makes a soft sound with positive vowel harmony. In contrast, Obstruent produces grave sound with passive vowel harmony. Poetic languages obtain sound images depending on sound characters. Similarly, every sound image is connected with other senses and meaning structure. For that reason, the poetic narrator’s dictions express his emotion. In Till the peonies bloom, both sonorant and obstruent comprising its structures interact each other. In last line, two sounds are mixed and combined with their sound images for realize main topic. In this poem, two different sounds make the narrator’s breath. Arrangement of sonorant shows the mellow stream, and that of obstruents display fast breathe. The gradual flow of aspiration is based on a lot of nasal and liquid sound in poetic diction. In contrast, rough curve is based on aspirated consonant, tense consonant which are belonged to obstruents. Two sound streams control the poem’s mood depending on sound frequency. Among these curves, first line and last line have a similar syntax. The Last one expands a meaning of first by removing the boundary of seasonal circulation, beauty and sadness. Poetic narrator gets a maturation of consciousness trough that meaning expansion. An echo symptom is originated in rhythm of verse. Not a simple repetition but producing difference, makes for the second articulation according to comprehension of poetic symbol. A result of this thesis is the new condition of rhythm. The two concentric circles create an aesthetic value depending on fusion of content and form. Sonorant"s circle and obstruent’s circle make upsurge of sentiment and tension of breathing in this poem. Rhythm is not a perfect means of analyzing musical form in the poem. In process of poetic creation, sound image, sense, progression of meaning, and topic determinate placement of phonemes. So, rhythm is not an accent or a beat. Therefore, sound qualification which reflects meaning and structure is the new way of analyzing rhythm. That is the main thrust of this study.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최은서,우지수,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3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공통으로 가지는 의사소통의 결함 중 운율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 펴보고자 한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과 관련된 실험연구 13편을 선정하 여 연도별 연구 현황, 연구 유형 및 방법, 연구대상자 연령, 연구대상자의 장애 유형, 독립변인과 종속 변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에 4편으로 가장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 었고, 다음으로 2013,2020년,2023년 2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방법으로는 실험연구가 13편(92.85%)으 로 가장 많았고, 질적연구는 없었으며, 문헌연구가 1편(7.14%)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연령으 로는 학령기(7-13)가 11편(84.61%)으로 학령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학령전기(4-6)가 2편 (15.38%)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군의 유형으로는 HFA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 는 10편(76.92%)으로 가장 많았고, LFA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는 2편(15.38%)으로 나 타났으며, ASD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는 1편(7.69%)으로 가장 적었다, 다섯째, 독립변 인의 요소로는 총 13편의 연구 중 운율의 음향학적 측면을 독립변인으로 진행한 연구는 9편(69.23%), 운 율의 사용적 측면을 진행한 연구는 4편(30.76%)으로 나타났다. 종속 변인의 요소로는 운율의 표현을 살 펴본 연구는 6편(46.15%)으로 가장 많았고, 운율의 이해를 살펴본 연구는 5편(38.46%) 그리고 윤율의 이 해와 표현 모두를 살펴본 연구는 2편(15.38%)으로 가장 적었다. 여섯째, 종속 변인을 기준으로 연구결과 들을 분석한 결과, 운율이해를 다룬 연구들은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연구가 5편 중 5편 (100%)으로 전부였고, 운율의 표현을 다룬 5편의 연구 중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연구는 4편(80%), 운율 의 이해와 표현 모두를 다룬 연구에서는 운율의 이해와 표현 모두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 1편(50%)과 운 율이해는 차이가 없고, 표현에만 차이가 있다는 연구 1편(5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 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추후 자폐스펙트럼장애 아 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 시키기 위한 전략, 특정 운율 문제를 식별하고 표적 치료 기술 개발, ASD 아동을 식별할 수 있는 잠재적인 지표로서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진단 도구의 개발 등 폭넓 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